KR100558992B1 -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992B1
KR100558992B1 KR1020030081817A KR20030081817A KR100558992B1 KR 100558992 B1 KR100558992 B1 KR 100558992B1 KR 1020030081817 A KR1020030081817 A KR 1020030081817A KR 20030081817 A KR20030081817 A KR 20030081817A KR 100558992 B1 KR100558992 B1 KR 100558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inside handle
assembly
door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8004A (ko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9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 핸들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과 도어 트림과의 결합 공차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 핸들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인사이드 핸들과 핸들 하우징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핸들과의 간섭등을 제거함과 아울러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부품수를 절감하여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핸들(H) 및 록킹 레버(L)가 설치되어 있는 핸들 어셈블리(52)에 형성됨과 아울러 도어 인너 판넬(50)과 도어 트림(T)과의 사이 간격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인너 판넬(50)에 나사(1)로 고정되도록 가운데 부분에 나사공(2)이 형성되며 종단에 걸림턱(3)이 형성된 직립부(4)와, 도어 트림(T)의 장착공(53) 외주변에 형성됨과 아울러 여러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5)와, 상기한 걸림턱(3)과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부(6)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가이드(5)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종단에 쐐기형의 걸림부(7)가 형성되고 링형태로 제작되어 도어 트림(T)의 장착공(53) 외주변에 결합되는 핸들 하우징(8)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인사이드핸들결합구조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Combining structure of door inside handle for automobil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2는 도1의 조립 단면도,
도3은 도2에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4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도4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나사 2: 나사공
3: 걸림턱 4: 직립부
5: 가이드 6: 끼움부
7: 걸림부 8: 핸들 하우징
H: 핸들 L: 록킹 레버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 핸들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과 도어 트림과의 결합 공차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 핸들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에는 차량 실내의 탑승을 위해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자동차용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도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도어 핸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 핸들은 도어의 외부 및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탑승자가 차량 내, 외부에서 도어를 쉽게 열 수 있도록 하는 바, 인사이드 핸들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어 인너 판넬(50)에 걸림턱(51)으로 끼움 결합되어 있고 핸들(H) 및 록킹 레버(L)가 조립되어 있는 핸들 어셈블리(52)와, 상기한 핸들 어셈블리(52)의 핸들(H) 및 록킹 레버(L)가 일측으로 삽입되어 인너 판넬(5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도어 트림(T)의 장착공(53)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핸들 하우징(54)과, 상기한 핸들 하우징(54)의 가운데 부분에서 인너 판넬(50)과 핸들 어셈블리(52) 및 핸들 하우징(54)을 고정시키는 나사(55)로 구성된다.
상기한 핸들 하우징(54)은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H) 및 록킹 레버(L)가 수납되어 작동 가능하도록 소정 공간을 이루면서, 도어의 내부(인너 판넬)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나사(55)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핸들(H)에 의해 가려지는 중앙 부분에 배치하는 바, 상기한 나사(55)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서는 상기한 핸들(H)을 들어 올린 후 나사(55)를 조이거나 풀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에 장착하기 위해서 핸들 어셈블리를 도어 인너 판넬에 결합시키고, 도어 트림을 장착함과 아울러 도어 트림의 장착공에 핸들 하우징을 삽입하면서 나사로 이를 조이게 되면, 상기한 도어 트림 및 인너 판넬과의 조립 공차로 인해 상기한 핸들 하우징이 도어 트림에서 부분적으로 들뜨거나 또는 인사이드 핸들과 핸들 하우징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인사이드 핸들의 장착 후 핸들과 핸들 하우징의 사이 간격이 균일하지 않게 되면, 상기한 인사이드 핸들의 작동 시 핸들 하우징과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서 볼 때 핸들과 핸들 하우징과의 간격이 일정치 않으면 차량의 인테리어 품격이 낮아져 보이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인사이드 핸들과 핸들 하우징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핸들과의 간섭등을 제거함과 아울러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부품수를 절감하여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핸들 및 록킹 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핸들 어셈블리에 형성됨과 아울러 도어 인너 판넬과 도어 트림과의 사이 간격 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인너 판넬에 나사로 고정되도록 가운데 부분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종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직립부와, 도어 트림의 장착공 외주변에 형성됨과 아울러 여러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한 걸림턱과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가이드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종단에 쐐기형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링형태로 제작되어 도어 트림의 장착공 외주변에 결합되는 핸들 하우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와 사시도와 도2에서 A 부분의 확대도로서, 핸들(H) 및 록킹 레버(L)가 설치되어 있는 핸들 어셈블리(52)에 형성됨과 아울러 도어 인너 판넬(50)과 도어 트림(T)과의 사이 간격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인너 판넬(50)에 나사(1)로 고정되도록 가운데 부분에 나사공(2)이 형성되며 종단에 걸림턱(3)이 형성된 직립부(4)와, 도어 트림(T)의 장착공(53) 외주변에 형성됨과 아울러 여러부분에 "ㄷ"자형으로 형성된 가이드(5)와, 상기한 걸림턱(3)과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부(6)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가이드(5)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종단에 쐐기형의 걸림부(7)가 형성되고 링형태로 제작되어 도어 트림(T)의 장착공(53) 외주변에 결합되는 핸들 하우징(8)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핸들 어셈블리(52)의 직립부(4)에 링 형태의 핸들 하우징(8)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핸들 하우징(8)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바, 결과적으로 핸들(H)과 핸들 하우징(8)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핸들 하우징(8)을 도어 트림(T)에 결합시키면, 상기한 가이드(5)에 걸림부(7) 중간 부분이 삽입된 상태가 됨으로써, 매우 견고하게 핸들 하우징(8)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도어에 인너 핸들(H)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직립부(4)가 형성되어 있는 핸들 어셈블리(52)를 인너 판넬(5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공(2)을 통해 인너 판넬(50)에 핸들 어셈블리(52)를 고정하게 된다.
인너 판넬(50)에 핸들 어셈블리(52)가 고정되면 그 상면에 도어 트림(T)을 결합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도어 트림(T)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53)에 의해 핸들 어셈블리(52)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한 도어 트림(T)의 장착공(53)에는 다수의 가이드(5)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한 가이드(5)에 쐐기 형상의 걸림부(7)가 삽입되도록 핸들 하우징(8)을 끼우게 된다.
핸들 하우징(8)을 끼우게 되면 걸림부(7)가 요철 형상의 가이드(5)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태에서, 상기한 걸림턱에 핸들 하우징(8)의 걸림부(7)가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한 걸림부(7)의 종단에 형성된 쐐기 형상에 의해 핸들 하우징(8)이 고정됨으로써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핸들 하우징(8)이 결합되면 인사이드 핸들의 설치가 완료되는 바, 이 상태에서는 핸들(H)과 핸들 하우징(8)의 사이 간격이 매우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인사이드 핸들 부분의 외관 품질이 매우 향상된다.
상기한 핸들(H)과 핸들 하우징(8)의 사이 간격은 결과적으로는 핸들 어셈블리(52)에 형성된 직립부(4)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직립부(4)에 핸들 하우징(8)이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핸들(H)과 핸들 하우징(8)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핸들 하우징(8)의 결합이 결과적으로는 도어 트림(T)과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바, 도어 트림(T)과의 사이 간격도 매우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핸들 하우징(8)을 결합시킬 때 단순히 가이드(5)와의 결합만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인사이드 핸들의 결합 작업이 매우 단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핸들 어셈블리에 종래 핸들 하우징의 내측면과 같은 부분인 직립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직립부에 링 형태의 핸들 하우징을 쐐기 형상의 걸림부 및 도어 트림에 형성된 가이드로 결합시킴으로써, 인사이드 핸들의 구성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 공정이 단순화됨과 아울러 핸들 하우징과 핸들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인사이드 핸들의 성능 및 외관 품질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핸들 및 록킹 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핸들 어셈블리에 형성됨과 아울러 도어 인너 판넬과 도어 트림과의 사이 간격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인너 판넬에 나사로 고정되도록 가운데 부분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종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직립부와, 도어 트림의 장착공 외주변에 형성됨과 아울러 여러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한 걸림턱과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가이드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종단에 쐐기형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링형태로 제작되어 도어 트림의 장착공 외주변에 결합되는 핸들 하우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
KR1020030081817A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 KR100558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817A KR100558992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817A KR100558992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004A KR20050048004A (ko) 2005-05-24
KR100558992B1 true KR100558992B1 (ko) 2006-03-10

Family

ID=3724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817A KR100558992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9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004A (ko) 200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3594B1 (en) Door construction for vehicle
KR20030006339A (ko) 자동차의 넌 하우징 그립 타입 도어 핸들 및 그 조립공정
KR100558992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
KR100571670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결합구조
KR100448339B1 (ko) 자동차의 풀 핸들 장착구조
KR0140266Y1 (ko)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결합구조
JP3911661B2 (ja) ドアの艤装サッシュの構造
KR100298741B1 (ko) 차량의리어도어델타커버장착구조
KR100380446B1 (ko) 자동차용 도어 풀 핸들 고정 구조
KR200148269Y1 (ko)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
KR19980047068U (ko) 자동차 사이드도어의 풀핸들 고정구조
KR0125305Y1 (ko) 자동차도어용 힌지의 체결구조
KR200189170Y1 (ko) 차량용 윈도 스위치 장착구조
KR19980051005A (ko) 자동차의 후드오픈용 레버 취부구조
KR200174732Y1 (ko) 정비성이 향상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어셈블리
JP2002047832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のキーシリンダ取付け構造
KR20030093542A (ko) 도어 트림에 일체화 성형된 도어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구조
KR19980047627U (ko) 자동차의 가니쉬 조립구조
KR19990011001U (ko)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
KR19980044750U (ko) 자동차의 트렁크 보드 취부구조
KR19980031716U (ko) 트림류의 바디 고정용 록킹클립
KR19990006928U (ko) 자동차 도어핸들 취부구조
KR19980038943A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고정구조
KR19980029124U (ko) 차량도어락의 액튜에이터취부구조
KR20030049881A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