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929B1 - 방사 기계 및 방사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 기계 및 방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929B1
KR100554929B1 KR1020030061357A KR20030061357A KR100554929B1 KR 100554929 B1 KR100554929 B1 KR 100554929B1 KR 1020030061357 A KR1020030061357 A KR 1020030061357A KR 20030061357 A KR20030061357 A KR 20030061357A KR 100554929 B1 KR100554929 B1 KR 10055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pinning
fiber bundle
duct
spinn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3523A (ko
Inventor
나까노쯔또무
니이미기와무
마루야마나오끼
이시이다까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40023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26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in which fibres are controlled by one or more endless apr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다수의 덕트 (44) 는 방사 기계의 베이스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각 덕트 (44) 에는 팬 모터를 구비한 흡인장치 (45) 가 관 (46) 을 통하여 연결되어, 연결관 (48) 을 통하여 흡인부 (S) 가 연결되어 있다. 각 모터 (47) 는 공통의 인버터 (52) 에 연결되어, 인버터 (52) 는 제어장치 (54) 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서 모터 (47) 를 제어한다. 제어장치 (54) 는 메모리 (55) 를 구비하고, 메모리 (55) 에는 섬유 종류와 방사될 실의 번수를 포함하는 방사 조건과, 모터 (47) 의 회전 속도간의 대응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메모리 (55) 에는 섬유속에 작용하는 흡인압력의 크기가 대번수 > 중번수 > 세번수가 되도록 설정하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제어장치 (54) 는 방사 조건에 대응하는 모터 (47) 의 회전 속도를 인버터 (52) 에 지령한다.
방사 기계, 방사 방법

Description

방사 기계 및 방사 방법 {SPINNING MACHINE AND SPINNING METHOD}
도 1 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흡인 장치와 덕트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 는 드래프팅 장치와 섬유속 집속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3 은 흡인부와 밑바닥 닙 롤러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부분 개략도,
도 4a 는 섬유속 집속 장치를 섬유속 이동 방향 전방에서 본 부분 개략도,
도 4b 는 회전축의 정면도,
도 5 는 도 2 의 부분 확대도,
도 6 은 연결관의 부분 사시도,
도 7a ~ 도 7f 는 번수가 다른 실의 방사시에 흡인 압력과 모우 (Hairiness) 와의 관계 또는 흡인 압력과 U% 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도 8 은 일반의 링 정방기에서 보풀과 감기는 양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
11 : 드래프팅 장치 12 ~ 14 : 밑바닥 롤러
12a : 기어부 15 : 롤러 스탠드
15a : 롤러 스탠드의 지지부 16 : 밑바닥 에이프런
17 : 밑바닥 텐서 18 : 중량 아암
18a : 레버 18b : 중량 아암의 프레임
19 ~ 21 : 상부 롤러 30 : 섬유속 집속장치
31 : 송출부 31a : 상부 닙 롤러
32, 33 : 흡인관 32a, 33a : 흡인 구멍
32b, 33b : 접동면 34 : 통기 에이프런
35 : 회전축 35a : 밑바닥 닙 롤러
36 : 지지 부재 37 : 지지빔
38 : 지지 아암 38a : 지지 아암의 지지부
39 : 베어링 40 : 앤드 플러그
40a : 결합부 40b : 결합 구멍
41 : 기어 42 : 지지 아암
42 : 중간 기어 44 : 덕트
45 : 흡인 장치 46 : 관
47 : 모터 47a : 팬
48 : 연결관 48a, 48b : 결합 구멍
49 : 벨로우즈부 50 : 흡인 노즐
51 : 공기식 덕트 52 : 인버터
53 : 교류 전원 54 : 제어 장치
55 : 메모리 56 : 이상 검출 센서
본 발명은 방사 기계 및 방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예컨대 정방기의 드래프팅 장치 (drafting device) (드래프팅부) 의 하류측에 배열되어 드래프팅 장치로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섬유속 집속장치를 구비한 방사 기계 및 이 방사 기계를 사용하는 방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상기 유형의 섬유속 집속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섬유속을 집속하는데에는 흡인 작용을 사용하였다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11-286837 A 호와 제 2000-73224 A 호 참조). 상기 특허문헌 1 과 2 에 개시된 각각의 장치에서, 드래프팅 장치의 최종 롤러의 하류의 밑바닥측에, 흡인 슬릿을 갖는 정지 접동면을 구성하는 중공 프로파일 (가이드 실린더) 을 형성하여, 이 중공 프로파일을 중심으로 수송용 천공 벨트가 감겨진다. 게다가, 상측에는 닙 포인트 (nip point) 를 한정하도록 천공 벨트와 접촉 유지되는 닙 롤러가 제공된다. 닙 롤러는 최종 롤러에 의해서 이송 벨트를 통하여 구동된다. 닙 롤러를 이송 벨트를 통하여 구동시키는 구성 대신에, 닙 롤러가 최종 롤러와 접촉 유지되는 이송 롤러를 통하여 구동되는 구성도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접동면에 흡인 슬릿이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과, 인장 롤러 사이에서 천공 벨트가 감겨진다는 점에서 상기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구성과 상이한 구성을 가진 섬유속 집속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0-34631 A 호 참조).
상기 섬유속 집속장치를 구비한 방사 기계로 실을 방사할 때, 섬유속 집속장치의 흡인 슬릿상에 가해지는 흡인 압력이 방사되는 실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어 졌다. 하지만, 지금까지, 방사 조건에 따라서 흡인 압력을 적극적으로 변경하여 적절한 품질의 실을 방사하는 것에 관해서 기재된 문헌은 없었다.
본원 발명자는, 실험적으로 상기 흡인 압력을 변경하여, 방사된 실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흡인 압력이 낮은 영역에서는, 부압의 상승 (감압도의 상승) 에 따라 실 품질이 현저히 향상되고, 부압이 어떠한 레벨 이상으로 되면 섬유속이 포화상태가 되기 때문에 실의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압력이 일정한 상태로 되기 시작하는 레벨은, 실의 굵기 (번수), 섬유 종류, 및 방추 회전수에 따라서 다르게 되는 것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흡인 작용에 의한 섬유속의 집속도를 증가시켜 바람직한 실 품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레벨 이상의 흡인 압력 (이후에, 필요 압력으로 간주됨) 을 섬유속에 작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하지만, 안전성의 관점에서, 높은 필요 압력의 방사 조건에 따라서 흡인 장치의 압력 설정이 고정되면, 낮은 필요 압력의 방사 조건에 대하여는 흡인에 필요한 전력 등의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소비하는 결과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가령 흡인 압력이 각각의 방사 조건에 따라 변경가능하도록 방사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라도, 기계 조작자가 에너지 낭비없이 압력 설정을 실시하더라도 적정치가 쉽게 결정될 수 없고, 방사 조건이 변경될 때마다 몇 번이나 실시되는 실험 방사에 따라서 적정치를 찾아내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1 개의 풀 보빈 (full bobbin) 에 감긴 실에 있어서, 보풀 등의 실 품질은 비틀림/감겨지는 부분에서의 실 장력의 변화 등에 따라서 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보다 균질한 실을 얻기 위해서는, 감겨지기 시작할 때부터 풀 보빈이 정지할 때까지 흡인 압력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 것보다 변화시키는 것이 대부분 적절하다.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방사된 실의 품질이 소망하는 조건을 충족하도록 섬유속 집속장치의 흡인 압력을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방사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감겨지기 시작할 때부터 종료할 때까지 적절한 섬유속 집속 작용을 발휘하도록 섬유속 집속 장치를 형성시켜 일정한 품질의 실을 방사할 수 있는 방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상기 드래프팅부에 의해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섬유속 집속장치가 형성된 방사 기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섬유속 집속장치는, 닙 롤러를 구비한 송출부, 섬유속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이 송출부의 닙 포인트의 상류측 쪽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흡인 구멍을 구비 한 흡인부, 송출부를 구성하고 흡인부를 따라서 회전되는 통기 부재, 및 흡인부에 작용하는 흡인 압력을 임의로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흡인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드래프팅부내에서 드래프트된 섬유속은 이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형성된 섬유속 집속장치에 의해서 집속되어 집속된 상태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섬유속 집속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방사 기계와 비교하여, 보풀의 발생과 낙면(落綿)이 억제되어 실 품질의 개선 효과가 대폭 향상된다. 섬유속 집속장치의 집속 작용은, 흡인 수단에 의해서 흡인 압력이 부여되는 흡인부의 흡인 구멍의 흡인 작용에 의해서 발생한다. 그 후, 흡인 수단이 상기 흡인부에 작용하는 흡인 압력을 임의로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흡인 압력을 방사 조건에 따라서 최적의 값으로 변경하여 방사할 수 있게 한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흡인 수단은 방사실의 대번수, 중번수, 및 세번수에 대응하여 흡인 압력의 크기가 대번수 > 중번수 > 세번수가 되도록 변경하여 구동된다. 전술한 발명에 있어서, 방사실의 굵기에 따라서 흡인 압력이 적정한 값으로 변경되어 방사가 실시된다. 그 결과,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가 억제된 상태에서 섬유속 집속 장치의 집속 작용이 적절하게 실시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인 수단은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흡인 압력을 변경할 수 있 도록 구동 제어되어, 상기 제어 수단은 방사 조건에 대응하여 적절한 흡인 압력의 크기를 자동적으로 설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사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제어 수단에 방사 조건에 대응하는 적절한 흡인 압력이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그 후, 방사 기계가 작동되면, 흡인 수단은 제어 수단에 의해 흡인부의 흡인 압력이 방사 조건에 대응하여 적절한 압력이 되도록 구동 제어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인부에는, 각 방추에 대응하는 흡인 구멍을 구비한 흡인관이 형성되어 있고, 이 흡인관은 다수의 흡인 장치에 의해 부압에서 유지되는 덕트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인 장치가 이상 정지될 때, 나머지의 흡인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서 흡인 구멍의 흡인 작용이 확보되어서, 방사 실의 품질이 허용 범위내에서 유지된다.
청구항 5 에 개지된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4 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흡인관이 연결된 덕트는 공기식 덕트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인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서 덕트가 소정의 부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닙 롤러를 구비한 송출부, 섬유속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이 송출부의 닙 포인트의 상류측 쪽으로 적어도 연장하도록 형성된 흡인 구멍을 구비한 흡인부, 송출부를 구성하고 흡인부를 따라서 회전되는 통기 부재, 및 흡인부에 작용하는 흡인 압력을 임의로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흡인 수단을 포함하고,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상기 드래프팅부에 의해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섬유속 집속장치가 장착된 방사 기계를 사용하는 방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후, 흡인 압력을 보빈에 감겨진 실의 양이 풀 보빈의 대략 30 퍼센트가 될 때에 최대가 되도록 조절하여 방사를 실시한다.
전술한 발명에 따라서, 방사 실 (즉, 풀 보빈) 이 감겨지기 시작할 때부터 종료할 때까지 섬유속 집속 장치의 흡인 압력이 일정하도록 방사되는 것이 아니라, 보빈에 감겨지는 실의 양이 풀 보빈의 대략 30 퍼센트가 될 때에 흡인 구멍의 흡인 작용이 최대가 되도록 방사되는 것이다. 그 결과, 방사 실의 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도 1 ~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 은 섬유속 집속장치의 덕트, 흡인 장치, 및 흡인부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 는 드래프팅 장치의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은 드래프팅 장치의 밑바닥 롤러와, 섬유속 집속장치의 흡인부 및 밑바닥 닙 롤러와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상부 롤러측을 생략한 부분 개략도이다. 도 4a 는 닙 포인트에서의 섬유속을 인출하는 방향 (드래프팅 장치에서 섬유속 이동 방향에 대하여 전방측) 에서 본 섬유속 집속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프팅부로서의 드래프팅 장치 (11) 는 전방 밑바닥 롤러 (12), 중간 밑바닥 롤러 (13), 및 후방 밑바닥 롤러 (14) 를 구비한 3 선식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방 밑바닥 롤러 (12) 는 롤러 스탠드 (15) 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지지되고, 중간 밑바닥 롤러 (13) 와 후방 밑바닥 롤러 (14) 는 롤러 스탠드 (15) 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위치조정가능하도록 고정된 지지 브라켓 (13a, 14a) 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지지 브라켓 (13a, 14a) 은 롤러 스탠드 (15) 에 형성된 긴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 (모두 도시되지 않음) 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밑바닥 에이프런 (16) 은 밑바닥 텐서 (17) 와 중간 밑바닥 롤러 (13) 주위를 감싸게 된다.
전방 상부 롤러 (19), 중간 상부 롤러 (20), 및 후방 상부 롤러 (21) 가 각각 전방 밑바닥 롤러 (12), 중간 밑바닥 롤러 (13), 및 후방 밑바닥 롤러 (14) 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부 롤러 지지 부재를 통하여 중량 아암 (18) 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다. 각 상부 롤러 (19∼21) 는 2-방추 유닛내에 지지되어 있다. 전방 밑바닥 롤러 (12) 와 전방 상부 롤러 (19) 가 드래프팅 장치 (11) 의 최종 송출 롤러쌍을 구성한다.
중량 아암 (18) 상에는 레버 (18a) 가 가압 위치와 해제 위치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레버 (18a) 가 도 2 에 도시된 중량 아암 (18) 의 프레임 (18b) 과 당접하는 가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중량 아암 (18) 에 의해 지지된 상부 롤러 (19∼21) 를 밑바닥 롤러 (12, 13, 14)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 위치에서 잠금 상태 (lock state) 로 유지된다. 또한, 레버 (18a) 가 도 2 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상방의 해제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프팅 장치 (11) 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 류측에 섬유속 집속장치 (30) 가 배치되어 있다. 섬유속 집속장치 (30) 는 송출부 (31), 흡인부 (S) 로서의 흡인관 (32, 33), 및 통기 부재로서의 통기 에이프런 (34) 을 구비하고 있다. 송출부 (31) 는, 전방 밑바닥 롤러 (12) 와 평행하게 배열된 회전축 (35) 에 형성된 닙 롤러로서의 밑바닥 닙 롤러 (35a) 와, 통기 에이프런 (34) 을 통하여 밑바닥 닙 롤러 (35a) 에 접촉 가압되는 닙 롤러로서의 상부 닙 롤러 (31a)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섬유속 집속장치 (30) 에 있어서,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닙 롤러 (31a) 는 드래프팅 장치 (11) 의 상부 롤러 (19∼21) 와 같이 2 개의 방추마다 지지부재 (36) (도 2 와 도 5 에 도시) 를 사이에 두고 중량 아암 (18)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지지부재 (36) 는 전방 상부 롤러 (19) 의 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으로는, 섬유속 집속장치 (30) 의 밑바닥측에는, 드래프팅 장치 (11) 의 롤러 스탠드 (15) 사이에 배치된 방추의 절반,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방추가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베이스의 종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롤러 스탠드 (15) 의 중간위치에는, 기계 베이스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빔 (37) 에 베이스 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지지 아암 (38) 이 배치되고, 롤러 스탠드 (15) 와 지지 아암 (38) 과의 사이에는 회전축 (35) 이 지지되어 있다.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35) 은 다수의 방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방추) 에 대응하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베어링 (39) 이 고정되어 있다. 그 후, 베어링 (39) 이 앤드 플러그 (40) 에 결합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앤드 플러그 (40) 가 결합부 (40a) 에서 롤러 스탠드 (15) 와 지지 아암 (38) 에 형성된 지지부 (15a, 38a) 에 의해 지지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축 (35) 은 롤러 스탠드 (15) 와 지지 아암 (38) 과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 (15a, 38a) 는, 2 개의 앤드 플러그 (40) 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회전축 (35) 의 단부에 장착된 앤드 플러그 (40) 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 (15a) 는 롤러 스탠드 (15) 에 고정된 블록으로 구성되어, 기계 베이스의 전방측상에 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하는 결합 리세스를 갖고 있다. 지지부 (38a) 도 기계 베이스의 전방측상에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하는 결합 리세스를 갖고 있다. 그 후, 앤드 플러그 (40) 는, 결합 리세스와 결합가능한 결합부 (40a) 를 갖고, 결합부 (40a) 에서 지지부 (15a, 38a) 와 단일 스냅 작동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 (35) 에는 종방향의 중앙에서 기어 (41) 가 회전축 (35) 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밑바닥 롤러 (12) 에는 기어 (41) 와 대향하는 위치에 기어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아암 (38) 과 같이, 베이스 단부가 지지빔 (37) 에 고정된 지지 아암 (42) 에 의해 기어부 (12a) 및 기어 (41) 와 그물 형태로 중간기어 (43) 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전방 밑바닥 롤러 (12) 의 회전력은, 기어부 (12a), 중간 기어 (43), 및 기어 (41) 에 의해 회전축 (35) 에 전달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기의 기계 베이스에는, 그의 종방향 (도 2 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 으로 연장하도록, 섬유속 집속장치 (30) 용 덕트 (44) 가 배치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덕트 (44) 는 정방기의 기계 베이스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각 덕트 (44) 의 길이는 일측상에 24 개의 방추, 양측상에 48 개의 방추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덕트 (44) 내를 부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3 개) 흡인 장치 (45) 가 관 (46) 을 통하여 각각의 덕트 (44) 에 연결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 16 개의 방추로 구성된 하나의 유닛에 대해서는 하나의 흡인 장치 (45) 가 형성되어 있다. 흡인 장치 (45) 는 팬 (47a) 을 모터 (47) 로 구동하는 팬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44) 는 드래프팅 장치 (11) 의 상후방측상에 방사 기계의 기계 베이스의 중앙에 배치되고, 흡인 장치 (45) 는 덕트 (44) 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덕트 (44) 및 흡인 장치 (45) 에 의해 흡인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부 (S) 는, 덕트 (44) 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4 개의 방추마다 형성되고, 연결관 (48) 을 통하여 덕트 (44) 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관 (48) 의 중간에는 벨로우즈부 (49) (도 2 에만 도시)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에 있어서, 흡인관 (32, 33) 을 총괄하여 흡인부 (S) 로서 도시하였고, 각각의 흡인관 (32, 33) 에 형성된 흡인 구멍을 총괄하여 파선의 원형으로 도시하였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 (48) 의 선단부에는 흡인관 (32, 33) 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결합 구멍 (48a, 48b)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관 (48) 의 좌우측에는, 흡인관 (32, 33) 의 제 1 단부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흡인관 (32, 33) 의 제 2 단부가 앤드 플러그 (40) 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앤드 플러그 (40) 에는 베어링 (39) 이 결합되는 결합 구멍 (40b) 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은 연결관 (48) 의 일측에 흡인관 (32, 33) 을 장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관 (32) 은, 밑바닥 닙 롤러 (35a) 의 닙 포인트가 그 사이에 있고, 섬유속 (플리스 (fleece)) F 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 쪽으로 연장하는 슬릿형의 흡인 구멍 (32a) 이 형성된 접동면 (32b) 을 갖는다. 흡인관 (33) 은, 하류측 쪽으로 연장하는 슬릿형 흡인 구멍 (33a) 이 형성된 접동면 (33b) 을 갖는다. 그 후, 도 3 과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관 (32) 은 섬유속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밑바닥 닙 롤러 (35a) 의 닙 포인트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흡인관 (33) 은 그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 있어서, 흡인 구멍 (32a, 33a) 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통기 에이프런 (34) 이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흡인관 (32) 은, 통기 에이프런 (34) 을 전방 밑바닥 롤러 (12) 와 전방 상부 롤러 (19) 의 닙 포인트 근방에 도달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흡인관 (33) 은, 통기 에이프런 (34) 으로부터 나오는 섬유속 (F) 을 어떠한 플리스 각도로 전향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리스 각도" 라는 용어는, 섬유속 (플리스) (F) 이 닙 포인트를 통과한 후, 이 섬유속 (F) 을 인출 위치까지 안내하는 원호면의 곡률 중심과 닙 포인트를 연결하는 선분과, 상기 곡률 중심과 섬유속 (F) 의 끌어내는 지점을 연결하는 선분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통기 에이프런 (34) 은, 일부가 흡인관 (32, 33) 에, 일부가 밑바닥 닙 롤러 (35a) 에 접촉하도록, 또한 밑바닥 닙 롤러 (35a) 의 회전에 따라 접동면 (32b, 33b) 상에서 접동하면서 회전되도록 둘러싸여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기 에이프런 (34) 은, 적절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직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와 도 4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관 (33) 의 하부 근방에는, 실이 끊어질 때에 드래프팅 장치 (11) 로부터 송출되는 섬유속 (F) 을 흡인하는 단일형의 공기식 장치의 흡인 노즐 (50) 의 선단부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흡인 노즐 (50) 의 베이스 단부는 모든 방추 사이에 공통적인 공기식 덕트 (51) 에 연결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터 (47) 는 공통의 인버터 (52) 를 통하여 상용의 교류 전원 (53) 에 연결되어 있다. 인버터 (52) 는 컨버터회로와 인버터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교류 전원 (53) 의 교류를 컨버터회로에서 직류로 변환한 후, 인버터회로에서 소망하는 주파수와 전압에 해당하는 교류로 변환하여 최종 전류를 출력한다. 인버터 (52) 는 제어장치 (54)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 (54) 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서 모터 (47) 를 제어한다. 제어장치 (54) 는 방사 기계의 주제어장치 (비도시)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인버터 (52) 와 제어장치 (54) 는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제어장치 (54) 는 CPU (비도시) 와 메모리 (55) 를 구비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 (serial interface) 를 통하여 상기 주제어장치와 통신가능할 수 있다. 메모리 (55) 에는, 여러 가지의 섬유 종류와 방사실의 번수 등을 포함하는 방사 조건과 모터 (47) 의 회전속도간의 대응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메모리 (55) 에는, 방사실의 대번수, 중번수, 및 세번수에 대응하여, 섬유속 (F) 에 작용하는 흡인 압력의 크기가 대번수 > 중번수 > 세번수가 되도록 설정하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는 예를 들어, 실험 방사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진다. 예를 들어, 흡인 압력은 대번수에 대하여 4 kPa, 중번수에 대하여 2 ∼ 3 kPa, 세번수에 대하여 1 ∼ 2 kPa 로 설정되어 있다.
제어장치 (54) 는 주제어장치로부터 방사 동작시의 방사 조건 데이터를 입력받아, 방사 조건에 대응하는 모터 (47) 의 회전속도를 인버터 (52) 에 지령한다. 즉, 흡인 수단 (흡인 장치 (45)) 은 제어수단 (인버터 (52) 와 제어장치 (54)) 에 의해 흡인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어수단은 방사 조건에 대응하여 적절한 흡인 압력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할 것이다.
정방기의 작동 전에, 다양한 섬유 종류와 방사실의 번수 등의 방사 조건이 주제어장치에 입력된다. 정방기가 작동되면, 섬유속 (F) 은 드래프팅 장치 (11) 의 밑바닥 롤러 (12∼14) 와 상부 롤러 (19∼21) 와의 사이를 통과하여 드래프트된 후, 섬유속 집속장치 (30) 로 안내된다. 송출부 (31) 는 전방 밑바닥 롤러 (12) 와 전방 상부 롤러 (19) 의 표면속도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회전된다. 섬유속 (F) 은, 적절한 긴장 상태에서 송출부 (31) 의 닙 포인트를 통과한 후, 전향하여 비틀림을 받으면서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덕트 (44) 의 흡인 작용이 연결관 (48) 을 통하여 흡인관 (32, 33) 에 가해지고, 접동면 (32b, 33b) 에 형성된 흡인 구멍 (32a, 33a) 의 흡인 작용이 통기 에이프런 (34) 을 통하여 섬유속 (F) 에 가해진다. 그 후, 섬유속 (F) 이 흡인 구멍 (32a, 33a) 과 대응하는 위치 쪽으로 흡인 집속되면서 이동한다. 송출부 (31) 의 닙 포인트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흡인 구멍 (32a, 33a) 이 존재하기 때문에, 섬유속 (F) 은 닙 포인트를 통과한 후에도 흡인 작용을 받아 집속되면서 이동한다. 그 결과, 닙 포인트를 통과한 후의 각 섬유속 (F) 의 양단부에서 섬유의 분리가 억제되어 보풀의 발생이나 낙면이 억제되어 실질적으로 실의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흡인 장치 (45) 에 있어서, 덕트 (44) 내의 부압이 실의 굵기 (번수) 와 섬유 종류 등을 포함하는 방사 조건에 대응하여 적절한 값이 되도록, 인버터 (52) 에 의해 모터 (47) 의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그 결과, 방사 조건이 변경되더라도, 소망하는 실의 품질이 방사된다.
도 7a 와 도 7b, 도 7c 와 도 7d, 및 도 7e 와 도 7f 에서는, 대번수 (소모(梳毛)된 실 : 10 번수), 중번수 (소모된 실 : 40 번수), 세번수 (소모된 실 : 80번수) 의 실을 방사하였을 때 흡인 압력과 모우와의 관계 및 흡인 압력과 U% 와의 관계를 도시하였다. "모우" 라는 용어는, 1 cm 의 실에 존재하는 보풀의 총길이를 의미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모우는 단위로 도시되지 않았다. 흡인 구멍 (32a, 33a) 을 통하여 섬유속 (F) 에 작용하는 흡인 압력은 방사실의 품질을 변경시킨다. 흡인 압력이 낮은 영역에서는, 부압의 상승 (감압도의 증가) 에 따라 실의 품질이 현저히 향상되고, 부압이 어떠한 레벨 이상에 도달하면 부압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섬유속은 이 레벨에서 포화 상태가 된다.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압의 크기는, 대번수 > 중번수 > 세번수 의 관계로 형성된다. 메모리 (55) 에는 상기 방사 결과에 따라서 결정된 흡인 압력이 되도록 모터 (47) 의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제어장치 (54) 에 주제어장치로부터 방사 조건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그 방사 조건에 적절한 회전 속도가 인버터 (52) 에 지령된다. 그 후, 인버터 (52) 에 의해, 모터 (47) 가 소정의 회전속도가 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1) 섬유속 집속장치 (30) 는 흡인부 (S) 에 작용하는 흡인 압력을 임의로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흡인 수단 (흡인 장치 (45)) 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흡인부 (S) 에 작용하는 흡인 압력을, 실의 품질이 방사 조건에 따라서 소망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적절한 값을 가지도록 변경하면서 방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2) 흡인 장치 (45) 는, 방사실의 대번수, 중번수, 및 세번수에 대응하여 각 흡인 구멍 (32a, 33a) 의 흡인 압력 크기가 대번수 > 중번수 > 세번수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구동된다. 따라서, 방사실의 굵기에 따라서 흡인 압력이 적절한 값으로 변경되어 방사가 실시되어서,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억제한 상태에서 섬유속 집속장치 (30) 의 집속작용이 적절하게 행하여진다.
(3) 흡인 장치 (45) 는 제어수단 (인버터 (52) 와 제어장치 (54)) 에 의해 상기 흡인 압력을 변경하도록 구동 제어되고, 제어수단은 방사 조건에 따라서 적절한 흡인 압력을 자동적으로 설정가능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사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계 조작자는 작동전에 방사 조건을 입력 설정하기만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방사 조건을 변경하는 작업은 용이하게 실시된다.
(4) 드래프트된 섬유속 (F) 에 흡인 작용을 가하고 각각의 방추에 대응하여 제공된 흡인 구멍 (32a, 33a) 각각을 구비한 흡인관 (32, 33) 이 연결관 (48) 을 통하여 덕트 (44) 에 연결된다. 덕트 (44) 는 다수의 흡인 장치 (45) 에 의해 부압을 가지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하나의 흡인 장치 (45) 가 이상 정지될 때, 나머지 흡인 장치 (45) 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서 흡인 구멍 (32a, 33a) 의 흡인 작용이 확보되어, 방사실의 품질이 허용 범위내에서 유지된다.
(5) 섬유속 집속장치 (30) 전용의 덕트 (44) 가 공기식 덕트 (51) 와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인 장치 (45) 를 대형화하지 않고서 덕트 (44) 내를 소정의 부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6) 닙 포인트의 하류측에 형성된 흡인 구멍 (33a) 에 의한 집속 작용이, 닙 포인트의 상류측에 어느 정도 전달된다. 따라서, 닙 포인트에 도달하기까지 섬유속 (F) 의 발산은 억제되어, 집속 작용이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소정의 방사 조건에서, 방사실이 감겨지기 시작할 때부터 종료 (즉, 풀 보빈) 할 때까지, 섬유속 집속장치 (30) 의 흡인부 (S) 의 흡인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방사가 실시된다. 하지만, 방사실이 감겨지기 시작할 때부터 풀 보빈이 될 때까지, 보풀 형성 상태를 고려하여 보풀이 발생하기 쉬운 시기에 흡인부 (S) 의 흡인 압력을 증가시켜 흡인 장치 (45) 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도 8 은 섬유속 집속장치 (30) 가 장착되지 않은 링 정방기에서 보풀의 발생수와 권취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의 세로축에서 "3 mm 보풀 개수/10 m" 은 실 10 m 당 3 mm 길이를 갖는 보풀 개수를 나타낸다. 도 8 로부터, 보빈으로의 실 권취량이 풀 보빈의 대략 30 퍼센트 (30 퍼센트 다발) 에 도달한 시기에 보풀이 발생하기 쉬워짐을 발견하였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보빈으로의 실 권취량이 풀 보빈의 대략 30 퍼센트 (30 퍼센트 다발) 에 도달된 시기에 흡인부 (S) 의 흡인 압력이 최대가 되도록 조정하여 방사가 실시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 (55) 에는 각각의 방사 조건에서의 권취량과 흡인부 (S) 의 흡인 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억된다. 그 후, 제어장치 (54) 는 방사되기 시작한 후 권취량에 대응하여 인버터 (52) 에 모터 (47) 의 회전속도를 지령한다. 권취량에 대한 정보는 주제어장치로부터 제어장치 (54) 에 입력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방사실이 권취되기 시작할 때부터 종료 (즉, 풀 보빈) 할 때까지 섬유속 집속장치 (30) 의 흡인 압력이 일정하도록 방사가 실시되지 않고, 보빈으로의 실 권취량이 대략 30 퍼센트에 도달한 시기에 흡인 구멍의 흡인 작용이 최대가 되도록 방사가 실시된다. 그 결과, 풀 보빈을 중심으로 권취된 실내에 보풀의 생성과 실의 불균일성이 일정하게 되고, 방사실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방사 조건에 대응하여 인버터 (52) 를 통하여 모터 (47) 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54) 가 통신을 통하여 주제어장치로부터 방사 조건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구성 대신에, 기계 조작자가 제어장치 (54) 에 방사 조건을 입력 설정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방사 조건을 입력할 시, 방사 조건중 선택된 조건이 미리 주제어장치 또는 제어장치 (54) 에 기억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방사 조건과는 무관하게 흡인부 (S) 의 흡인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방사실의 사용에 따라서 실의 품질을 의도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과잉 품질의 방사실을 회피할 수 있다.
제어장치 (54) 에 방사 조건과 흡인 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미리 기억시켜서, 방사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소정의 흡인 압력이 달성되도록 제어장치 (54) 가 인버터 (52) 를 통하여 모터 (47) 를 구동 제어하는 구성 대신에, 기계 조작자가 제어장치 (54) 에 모터 (47) 의 회전속도를 입력 설정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방사 조건과 모터 (47) 의 회전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차트 등을 미리 작성하여, 기계 조작자가 그 차트 등을 사용하여 방사 조건에 대응하는 모터 (47) 의 회전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장치 (54) 를 형성하지 않고서, 방사 기계의 주제어장치가 제어장치 (54) 의 역할을 하고 인버터 (52) 에 지령신호를 직접 출력하는 구성도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실품질이 양호한 실, 즉 보풀의 발생이나 실의 불균일성이 적은 실을 방사하기 위해서 흡인부 (S) 의 흡인 압력을 적정한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고, 실품질을 의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흡인부 (S) 의 흡인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섬유 종류가 같더라도 직물용의 실과 뜨개질용의 실에 필요한 실의 품질은 다르다. 예를 들어, 뜨개질용의 실은 직물용의 실과 비교하여 보풀이 더 많고 흡인 압력을 낮은 레벨로 설정하여 에너지 소비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질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대신에, 의장실과 같이 실의 불균일성을 적극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 권취 시작부터 풀 보빈시까지 흡인부 (S) 의 흡인 압력을 적절하게 변경하도록 흡인 장치 (45) 를 구동할 수 있다.
덕트 (44) 에 연결되는 흡인 장치 (45) 의 개수는 2 이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나일 수도 있다. 하지만, 하나인 경우에 있어서, 흡인 장치 (45) 가 고장나면 즉시 기계 작동이 정지되어 실의 품질이 저하되어 방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다수의 흡인 장치 (45) 가 덕트 (44) 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 (44) 의 길이는, 일측에는 24 개의 방추에 대응하는 길이, 양측에는 48 개의 방추에 대응하는 길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개수의 방추에 대응하는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8 의 배수의 방추에 대응하는 길 이가 바람직하다.
다수의 덕트 (44) 를 방사 기계의 기계 베이스의 종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대신에, 방사 기계의 기계 베이스의 길이에 걸쳐서 하나의 덕트 (44) 만을 형성할 수 있다.
정방기의 좌우측에 배치된 흡인관 (32, 33) 에 의해 덕트 (44) 를 공유하는 배열 대신에, 방사 기계의 기계 베이스의 종방향을 따라서 좌우측 덕트 (44) 가 2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덕트 (44) 에 하나의 흡인 장치 (45) 가 연결되는 구성도 사용될 수 있다.
덕트 (44) 에 다수의 흡인 장치 (45) 가 연결된 구성에 있어서, 각 흡인 장치 (45) 의 모터 (47) 로의 속도 지령이 동일하지는 않고, 각 모터 (47) 마다 속도 지령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흡인 장치 (45) 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 수단을 형성하여, 이 이상 검출 수단의 이상 검출 신호에 따라서 이상이 발생한 흡인 장치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그 흡인 장치 (45) 에 연결된 덕트 (44) 와 연결되어 이상이 나타나지 않는 다른 흡인 장치 (45) 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흡인 장치 (45) 에는 이상 검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모터 (47) 의 이상 검출 센서 (56) 가 제공되어 있다. 이상 검출 센서 (56) 로서, 예를 들어 모터 (47) 의 구동축의 회전속도 센서가 사용된다. 그 후, 제어장치 (54) 는, 이상 검출 센서 (56) 의 이상 검출 신호에 따라서, 이상이 발생한 흡인 장치 (45) 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또한 그 흡인 장치 (45) 에 연결된 덕트 (44) 와 연결된 다른 흡인 장치 (45) 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모터 (47) 로의 속도 지령을 변경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흡인 장치 (45) 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 흡인 장치 (45) 를 정지시키더라도 덕트 (44) 내의 부압이 소정의 범위내에 유지되면서 계속 작동된다. 따라서, 방사될 실의 품질이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 소정의 도핑 (doffing) 시간이 될 때까지 방사를 계속할 수 있다.
흡인 장치 (45) 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다른 흡인 장치 (45) 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동되는 구성에 있어서, 각 모터 (47) 를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게 하는 구성 대신에, 동일한 덕트 (44) 에 연결된 모터 (47) 의 각 그룹마다 제어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47) 를 인버터로 구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덕트 (44) 에 연결된 모터 (47) 의 각 그룹마다 인버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덕트 (44) 에 3 개의 흡인 장치 (45) 가 연결되어 있으면, 3 개의 모터 (47) 마다 하나의 인버터 (52) 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모터 (47) 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어 및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덕트 (44) 의 위치는 드래프팅 장치 (11) 의 후방측 상방에만 한정되지 않고, 드래프팅 장치 (11) 의 후방측 또는 드래프팅 장치 (11) 의 후방측 하방에도 배치될 수 있다.
방추를 개별의 모터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소위 단일 방추 구동 시스템의 정방기에 있어서, 흡인 장치 (45) 의 이상 검출 수단의 이상 검출 신호에 따라서, 이상 흡인 장치 (45) 에 연결된 덕트 (44) 로부터 흡인 작용을 받는 흡인관 (32, 33) 과 대응하는 방추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그 후, 다른 방추는 소정의 도핑 시간이 될 때까지 계속 방사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모든 방추의 방사가 정지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권취 도중에 방사가 정지되는 방추의 개수가 줄어든다.
4 개의 방추가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도록 회전축 (35) 및 흡인관 (32, 33) 이 배열되는 구성 대신에, 하나의 유닛은 인접한 롤러 스탠드 (15) (예를 들어, 8 개의 방추) 사이 또는 2 개의 방추 사이의 방추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모든 유닛을 동일한 수의 방추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인접한 롤러 스탠드 (15) 사이의 방추 개수가 서로 상이하도록 (예를 들어, 6 개의 방추와 2 개의 방추) 구성하여 2 종류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흡인관 (32, 33) 을 별개로 형성하지 않고 이 흡인관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이 흡인관은 상부 닙 롤러 (31a) 의 맞은편 측이 개방된 원호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인관 (32, 33) 은 연결관 (48) 과 대향하는 측의 맞은편 측상의 단부가 폐쇄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앤드 플러그 (40) 는, 흡인관 (32, 33) 의 단부를 기밀 밀폐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서, 베어링 (39) 이 결합되는 결합 구멍 (40b) 과, 흡인관 (32, 33) 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구멍) 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직물이나 뜨개질물로부터 통기 에이프런 (34) 을 형성하는 대신에, 고무제의 벨트나 탄성을 갖는 수지제의 벨트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흡인부를 구성하는 흡인관 (32, 33) 을 연결관 (48) 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섬유속 (F) 의 닙 포인트가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상류측과 하류측에 흡인 구멍 (32a, 33a) 을 형성하는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닙 포인트에 대하여 상류측에만 흡인 구멍 (32a) 이 형성되는 구성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흡인 구멍 (33a) 을 그 내부에 형성하지 않은 흡인관 (33) 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방법이나 조립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질 수 있다. 또한, 흡인관 (33) 을 생략하여 통기 에이프런 (34) 을 흡인관 (32) 과 밑바닥 닙 롤러 (35a) 와의 사이에서 감겨지도록 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통기 에이프런 (34) 을 구동하는 구성으로서, 흡인관 (32, 33) 과 밑바닥 닙 롤러 (35a) 를 생략하고, 난형의 단면을 가진 흡인관을 형성하여, 그 흡인관내의 소정의 위치에 흡인구멍을 형성하고, 흡인관의 외주를 따라서 통기 에이프런 (34) 을 접동가능하게 감는다. 그 후, 상부 닙 롤러 (31a) 를 적극적으로 구동가능하게 하여, 이 상부 닙 롤러를 통기 에이프런 (34) 과 가압 접촉시키면서 구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이 통기 에이프런 (34) 을 구동시킬 수 있다.
흡인 장치의 구성은, 팬 (47a) 을 모터 (47) 로 구동하는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감압 펌프 (진공펌프) 를 사용할 수 있다. 진공 펌프는 회전식 펌프 또는 왕복식 펌프일 수 있다.
공기식 장치로서, 단일 노즐식의 장치 대신에, 플루트식 (flute type) 구성을 가진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통기 에이프런 (34) 을 상측에 형성하는 구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발명 (기술적 사상) 에 관해서는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인 수단은 방사 기계의 기계 베이스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덕트와 이 덕트에 연결된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인 수단은 방사 기계의 기계 베이스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덕트와 이 덕트에 연결된 다수의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각 흡인 장치에는 이상 검출 수단이 장착되어, 이 이상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에 따라서 이상 흡인 장치를 정지함 과 동시에, 상기 이상 흡인 장치에 연결된 덕트와 연결된 다른 흡인 장치의 흡인 작용을 향상시키도록 작동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서, 방사실의 품질이 소망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섬유속 집속장치의 흡인 압력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서, 권취 시작시부터 종료할 때까지 섬유속 집속장치에 적절한 섬유속 집속 작용을 가하여, 일정한 품질의 실을 방사할 수 있다.

Claims (6)

  1.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상기 드래프팅부에 의해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섬유속 집속장치를 포함하는 방사 기계로서,
    상기 섬유속 집속장치는, 닙 롤러를 구비한 송출부, 섬유속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송출부의 닙 포인트의 상류측 쪽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흡인 구멍을 구비한 흡인부, 상기 송출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흡인부를 따라서 회전되는 통기부재, 및 상기 흡인부에 작용하는 흡인 압력을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흡인수단을 포함하는 방사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수단은, 방사실의 대번수, 중번수, 및 세번수에게 대응하여, 상기 흡인 압력의 크기가 대번수 > 중번수 > 세번수가 되도록 변경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기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흡인 압력을 변경가능하도록 구동 제어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방사 조건에 대응하여 적절한 흡인 압력의 크기를 자동적으로 설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기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부에는 각 방추에 대응하는 흡인 구멍을 구비한 흡인관이 형성되고, 상기 흡인관은 다수의 흡인 장치에 의해 부압으로 유지되는 덕트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관과 연결되는 덕트는 공기식 덕트와는 별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기계.
  6. 닙 롤러를 구비한 송출부, 섬유속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송출부의 닙 포인트의 상류측 쪽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흡인 구멍을 구비한 흡인부, 상기 송출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흡인부를 따라서 회전되는 통기부재, 및 상기 흡인부에 작용하는 흡인 압력을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흡인수단을 포함하고,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상기 드래프팅부에 의해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섬유속 집속장치를 포함하는 방사 기계를 사용하고,
    보빈으로의 실 권취량이 풀 보빈의 30% 에 도달한 시점에 흡인 압력이 최대가 되는 방사 방법.
KR1020030061357A 2002-09-10 2003-09-03 방사 기계 및 방사 방법 KR100554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64334 2002-09-10
JP2002264334A JP3826291B2 (ja) 2002-09-10 2002-09-10 紡績機械及び紡績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523A KR20040023523A (ko) 2004-03-18
KR100554929B1 true KR100554929B1 (ko) 2006-03-03

Family

ID=3226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357A KR100554929B1 (ko) 2002-09-10 2003-09-03 방사 기계 및 방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26291B2 (ko)
KR (1) KR100554929B1 (ko)
CN (1) CN100408734C (ko)
TW (1) TWI2502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1644B2 (ja) * 2007-02-21 2011-11-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績機械
JP6194909B2 (ja) * 2015-03-10 2017-09-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6558194B2 (ja) * 2015-10-02 2019-08-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における吸引ダクト
CH715422A1 (de) * 2018-10-02 2020-04-15 Rieter Ag Maschf Faservorbereitung mit einer Abfolge von Maschinen.
DE102019116234A1 (de) * 2019-06-14 2020-12-17 Saurer Intelligent Technology AG Spinn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1426A (ja) * 1989-02-20 1990-09-04 Murata Mach Ltd 集中吸気ブロア装置
DE4323472C2 (de) * 1993-07-14 1997-08-07 Inst F Textil Und Verfahrenste Doppelriemchen-Streckwerk
IT1307759B1 (it) * 1998-03-31 2001-11-19 Schurr Stahlecker & Grill Dispositivo per condensare un composito di fibre stirato.
CH693214A5 (de) * 1998-07-14 2003-04-15 Schurr Stahlecker & Grill Vorrichtung zum Verdichten eines verstreckten Faserverbandes.
DE19838762B4 (de) * 1998-08-26 2009-04-16 Maschinenfabrik Rieter Ag Spinnmaschine mit einer Vielzahl von Spinnstel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8793A (zh) 2004-04-14
KR20040023523A (ko) 2004-03-18
JP3826291B2 (ja) 2006-09-27
TWI250232B (en) 2006-03-01
TW200416312A (en) 2004-09-01
CN100408734C (zh) 2008-08-06
JP2004100092A (ja) 200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6316B (zh) 用于熔纺和卷绕合成长丝的设备
JP2007211391A (ja) 仮撚りテクスチャード加工機
JP2011528756A (ja) 二重撚糸機またはケーブル撚り機のスピンドルを作動させる方法
CN106676690A (zh) 一种用于操作倍捻或并捻机的锭子的方法
EP3153614B1 (en) Spinning machine
CN101868570A (zh) 用于制造针织品的方法和装置
KR100554929B1 (ko) 방사 기계 및 방사 방법
CN101657574B (zh) 自由端纺纱机
EP3020854B1 (en) Drafting device and spinning unit
JP4821644B2 (ja) 紡績機械
US6402080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winding threads onto bobbins with random crosswinding
KR100551518B1 (ko) 섬유속 집속장치 및 방사기계
US20050071968A1 (en) Apparatus for guiding, treating, or conveying at least one yarn
EP3186419B1 (en) Device for producing cladded yarn
EP2975164B1 (en) Spinning machine comprising a core yarn supplying unit.
CN101634065A (zh) 假捻变形机
EP3153613A1 (en) Drafting device, spinning machine, and method of spinning technical field
KR20040025574A (ko)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링 방사 프레임
JP3826864B2 (ja)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CN108977945B (zh) 辊单元、牵伸装置以及纺纱机械
CN111441114A (zh) 用于将假捻导入到纱线中的方法和纺纱机以及用于将假捻导入到纱线中的装置
EP0342870B1 (en) Yarn texturing machine
CN220450376U (zh) 纺丝牵引装置
CN219929258U (zh) 一种限位导向机构纱线包覆机
JP2019007104A (ja) ドラフト装置、ドラフトシステム、紡績システム、及び紡績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