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879B1 -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를 이용한 포장부재 - Google Patents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를 이용한 포장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879B1
KR100552879B1 KR1020037008648A KR20037008648A KR100552879B1 KR 100552879 B1 KR100552879 B1 KR 100552879B1 KR 1020037008648 A KR1020037008648 A KR 1020037008648A KR 20037008648 A KR20037008648 A KR 20037008648A KR 100552879 B1 KR100552879 B1 KR 100552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bstrate
buffer member
substrate
glas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192A (ko
Inventor
우에다야스시
하마다이쯔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 B65D81/054Protectors contacting two generally perpendicular surfaces of the packaged article, e.g. edge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2Arrangements of flexible binders
    • B65D71/04Arrangements of flexible binders with protecting or supporting elements arranged between binder and articles or materials, e.g. for preventing chafing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25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1Details of packaging elements for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2Materials
    • B65D2581/055Plastic in general, e.g. foamed plastic, molded plastic, extruded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자형의 단면을 갖고, L자 단부의 두께가 모서리부보다도 두꺼운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에 관한 것이다. 두께에 관한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이하의 것을 포함한다. (1) 고정구 안내 홈의 깊이를 L자 단부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깊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구 안내 홈의 바닥부를 기준으로 한 완충 부재의 두께를 L자 단부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점감시킨다. (2) 고정구 안내 홈을 형성하지 않고, 완충 부재 자체의 두께가 L자 양단부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점감하도록 완충 부재를 성형한다. (3) 완충 부재의 L자 외측의 양단부에 볼록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완충 부재에 따르면 고정구로 체결하였을 때에 고정구 체결력의 모서리부에의 집중이 방지된다.
완충 부재, 고정구 안내 홈, 모따기부, 절결 홈, 고정구, 유리 기판, 볼록부

Description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를 이용한 포장 부재{CUSHIONING BODY FOR GLASS SUBSTRATE AND PACKING BODY USING THE CUSHIONING BODY}
본 발명은, 유리 베이스 상에 반도체 장치 등 전자 부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을 수송시의 진동 등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반송용 완충 부재와, 상기 완충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유리 기판을 복수매 동시에 곤포한 포장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및 전기 관련 기기, 특히 퍼스널 컴퓨터의 주변 기기 중 하나인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휴대 전화로 대표되는 휴대 단말 등은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정보 기술 산업의 발달과 함께 생산량이 급격한 기세로 신장하고 있는 기기이고, 그 곤포나 반송 등에 이용되는 완충 부재 관련 기술의 개발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반도체 장치 등의 전자 부품을 조립한 유리 기판, 예를 들어 컬러 필터나 TFT 액정 셀(박막 트랜지스터를 조립한 회로가 형성된 기판) 및 액정 패널 등에 이용되고 있는 유리 기판은 그 두께가 얇고, 수송 중에 있어서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 약한 데다가 그 구성이 매우 미세하므로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받기 쉬워 취급이 어렵다. 특히, 가공 전의 유리 기판이나 최종 제품이 되기 전의 반완성품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 부품이 노출된 상태에서 취급되므로 정전기나 먼지, 이물질 등의 영향을 보다 강하게 받아 그 기능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유리 기판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안전하게 반송하기 위한 곤포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그 일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5-319456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들 수 있다. 그 요점은 단면이 대략 L자형을 이루고, 상기 L자에 따라서 내측에는 기판 삽입 홈을 복수 설치한, 특정한 특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이다. 유리 기판의 곤포에 있어서는 복수의 유리 기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 배치하여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각 기판의 모서리부를 각각 상기 완충 부재의 기판 삽입 홈에 삽입하여 상기 기판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상기 직육면체의 4변을 상기 완충 부재에 의해 끼워 맞추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고무나 테이프 등의 고정구로 고정한다.
그러나, 완충 부재의 외측에 고무나 테이프 등의 고정구를 걸어 고정한 경우, 그 체결력이 상기 완충 부재의 모서리부에 집중하므로, L자가 개방되어 그 양단부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이 기판 삽입 홈으로부터 벗어나 버려 보호 기능이 충분하게 작용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L자형의 완충 부재는 기판 삽입 홈의 홈 폭이 유리 기판의 두께와 동등하거나, 혹은 약간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의 특성인 압축시의 탄성 회복성의 높이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을 고정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반송 중인 유리 기판과의 진동 마찰에 의한 내발진성에는 효과적이지만, 본 래의 목적인 유리 기판의 곤포시에는 유리 기판과의 마찰 저항이 역효과가 되어, 무리하게 유리 기판을 기판 삽입 홈에 끼워 넣고자 하면 0.4 내지 1.0 ㎜ 정도로 매우 얇은 유리 기판이 쉽게 휘어져 파손되기 쉽고, 파손을 피하기 위해 신중하게 작업을 행하면 너무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이는 유리 기판의 취출시에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화의 관점에서 유리 기판의 자동 수납 장치, 취출 장치의 도입이 진행되고 있지만, 상기한 문제로부터 트러블이 발생하기 쉬워 현실 문제로서 자동화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지적도 있다.
또한, 유리 기판을 기판 삽입 홈에 삽입할 때에 마찰 저항력으로부터 유리 기판 표면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유리 기판 곤포시에 완충 부재의 L자 단부에 있어서의 유리 기판의 홈은 벗어남이 없어 반송 중이나 취급시에 진동이나 낙하 충격 등의 외력이 가해져도 유리 기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고, 또는 유리 기판의 수납, 취출의 자동화에 적합하여 유리 기판과 미끄럼 마찰해도 쉽게 분진을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여 복수회의 사용이 가능한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를 제공하고, 이들 완충 부재를 이용하여 곤포한 포장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는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이며,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의 형상에 따라서 대략 L자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L자에 따라서 내측 표면에는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기판 삽입 홈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외측 표면에는 상기 L자에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고정구 안내 홈을 갖고, 상기 고정구 안내 홈의 바닥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완충 부재의 두께가 L자의 양단부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점감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는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고정구 안내 홈의 바닥부가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는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이며,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의 형상에 따라서 대략 L자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L자에 따라서 내측 표면에는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기판 삽입 홈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완충 부재의 두께가 L자의 양단부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점감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는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이며,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의 형상에 따라서 대략 L자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L자에 따라서 내측 표면에는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기판 삽입 홈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상기 L자 외측의 양단부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는 외측 모서리부가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는 내측에 기판 삽입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결 홈을 갖는 것, 완충 부재의 최대 두께가 10 내지 60 ㎜, L자의 2변의 비가 짧은 변 기준으로 1.0 내지 3.0이고, 기판 삽입 홈의 홈 폭이 유리 기판의 두께의 1.0 내지 4.0배, 홈 깊이가 3 내지 15 ㎜, 홈 피치가 6 내지 100 ㎜인 것,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가 발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1.5 내지 5.0 ㎜, 융착률이 70 % 이상, 압축 탄성 지수가 3.9 내지 490, 회복률이 60 % 이상인 것을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포장 부재는 복수의 유리 기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 배치하여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각 기판의 모서리부를 각각 본 발명의 제1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의 기판 삽입 홈에 삽입하여 상기 기판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상기 직육면체의 4변을 상기 완충 부재에 의해 끼워 맞추어 상기 완충 부재의 고정구 안내 홈에 따라서 긴 고정구를 권취하여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포장 부재는 복수의 유리 기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 배치하여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각 기판의 모서리부를 각각 본 발명 제2 혹은 제3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의 기판 삽입 홈에 삽입하여 상기 기판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상기 직육면체의 4변을 상기 완충 부재에 의해 끼워 맞추어 상기 완충 부재의 외측에 L자에 따라서 긴 고정구를 권취하여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완충 부재의 일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포장 부재의 일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3a 내지 도3e는 본 발명의 완충 부재의 실시 형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완충 부재의 기판 삽입 홈의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또, 도면 중 부호 1은 완충 부재, 2는 기판 삽입 홈, 3은 고정구 안내 홈, 4는 볼록조, 21은 유리 기판, 22는 고정구, 31은 완충 부재의 외벽, 32는 기판 삽입 홈의 바닥부, 33은 L자 단부, 34, 34'는 L자 모서리부, 35는 고정구 안내 홈의 바닥부, 36은 모따기부, 37은 절결 홈, 38은 볼록부, 39는 오목부이다.
본 발명의 완충 부재는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대략 L자형인 완충 부재에 있어서, 상기 L자 단부의 두께를 모서리부에 비해 두껍게 형성한 것에 특징을 갖고, 이에 의해 유리 기판을 곤포하여 그 외측을 고정구에 의해 체결하였을 때에 상기 L자 단부에 있어서는 고정구가 모서리부보다도 외측을 통과하게 되어, 고정구의 체결력이 모서리부에 집중하는 것을 피하여 완충 부재 전체를 균등하게 압박하여 유리 기판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완충 부재의 L자 단부의 두께를 모서리부보다도 두껍게 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와 같다.
① 고정구 안내 홈의 깊이를 L자 단부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깊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구 안내 홈의 바닥부에 있어서 완충 부재의 두께를 L자 단부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점감시킨다.
② 고정구 안내 홈을 형성하지 않고, 완충 부재 자체의 두께가 L자인 양단부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점감하도록 완충 부재를 성형한다.
③ 완충 부재의 L자 외측의 양단부에 볼록부를 형성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리 기판을 일체로 곤포한 포장 부재에 대해 실시 형태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상기 ①의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완충 부재의 일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 부호 1은 완충 부재, 부호 2는 기판 삽입 홈, 부호 3은 고정구 안내 홈, 부호 4는 인접하는 기판 삽입 홈(2) 사이를 이격하는 볼록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를 4개 이용하여 복수의 유리 기판을 곤포한 본 발명의 포장 부재의 일실시 형태의 사시도를 도2에 도시한다. 도면 중, 부호 21은 유리 기판, 부호 22는 고정구이고, 도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완충 부재(1)는 유리 기판(21)의 모서리부를 보호하고, 또한 복수매를 일체 고정하는 것이지만,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 1세트로 곤포를 행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 부재(1)는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의 형상에 따라서 단면이 대략 L자형을 이루고,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L자에 따라서 기판 삽입 홈(2)이 복수개, 서로 볼록조(4)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①의 구성을 구비한 경우에는 L자에 따라서 고정구 안내 홈(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 안내 홈(3)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기판(21)을 곤포한 후, 고정구(22)를 상기 안내 홈(3)에 따라서 권취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안내 홈(3)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그 바닥부에 있어서 완충 부재(1)의 두께가 모서리부를 향해 점감하도록 깊이에 변화를 주었다. 도3a에 도1의 완충 부재(1)의 고정구 안내 홈(3) 및 기판 삽입 홈(2)에 따른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3에 있어서, 부호 31은 완충 부재(1)의 외벽, 부호 32는 기판 삽입 홈(2)의 바닥면, 부호 33은 완충 부재(1)의 L자 단부, 부호 34, 34'는 L자 모서리부, 부호 35는 고정구 안내 홈(3)의 바닥부, 부호 36은 모따기부, 부호 37은 절결 홈, 부호 38은 볼록부, 부호 39는 오목부이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모서리부(34 혹은 34')에 있어서의 두께라 함은, L자 내측의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완충 부재 짧은 변 및 긴 변의 두께를 나타낸다.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 안내 홈의 깊이를 L자 단부(33)에 있어서는 얕고, 모서리부(34')에 있어서는 깊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구 안내 홈의 바닥부(35)에 있어서의 완충 부재의 두께는 L자 단부(33)로부터 모서리부(34')를 향해 점감한다. 그 결과, 유리 기판을 곤포한 후에 고정구 안내 홈에 따라서 긴 고정구를 권취하였을 때에, 모서리부(34')보다도 단부(33)에 있어서 고정구로부터 유리 기판까지의 거리가 커져 고정구의 체결력이 모서리부(34')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의 체결력이 고정구 안내 홈의 바닥부(35)의 모서리부(34')에 집중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모따기를 하여 모따기부(36)를 형성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모따기부(36)를 형성함으로써 고정구가 완충 부재에 물려서 손상시킬 우려가 없어지고, 모서리부(34')에 있어서의 변형 왜곡이 작아져 완충 부재의 단부(33)가 외측으로 개방되기 어려워진다. 모따기부(36)는 평면 형상이라도 만곡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 부재의 내측에 기판 삽입 홈에 직교하는 방향(종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입, 절결 홈(37)을 1개 이상 마련함으로써, 고정구에 의한 체결시에 단부(33)가 외측으로 개방하고자 하는 변형 응력을 상기 절결 홈(37)이 흡수하여 단부(33)로 전파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절결 홈(37)의 형상으로서는 도3c에 도시되는 대략 V자형 외에, 대략 U자형 등이라도 좋다.
또한, 도3에 있어서는 짧은 변측의 모서리부(34) 내측에 있어서, 볼록조(4)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는 반송 중의 진동 충격이나 낙하 충격을 받은 경우에 가장 쉽게 손상되는 유리 기판 모서리부의 결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오목부(39)에 있어서는 볼록조(4)를 기판 삽입 홈의 바닥부(32)에 도달할 때까지 제거하면 된다. 또한, 유리 기판 모서리부의 결손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는 바닥부(32)보다도 더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완충 부재의 L자 단부(33)를 모서리부(34)보다도 두껍게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한 구성 (2)의 일예를 도3d에, 구성 ③의 일예를 도3e에 나타낸다. 도3d에 있어서는 완충 부재 자체의 두께를 L자 단부(33)로부터 모서리부(34)를 향해 점감하도록 성형하고 있다. 이 경우, 특히 고정구 안내 홈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고정구의 폭 및 권취 위치를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3e에 있어서는, 완충 부재의 두께는 균일하지만, L자 단부(33)의 외측에 볼록부(38)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단부(33)에 있어서의 완충 부재의 두께가 모서리부(34)보다도 두꺼워져 있다. 볼록부(38)는 본체와 일체 성형해도 좋지만, 별도 판형으로 성형한 것을 후방으로부터 열융착이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으로 본체에 부착해도 좋고, 그 경우에는 본체와 동일한 소재나 다른 소재라도 상관없다.
도3d, 도3e의 구성에 있어서도 도3b,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따기부(36)나 절결 홈(37)을 적절하게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완충 부재의 바람직한 외형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완충 부재에 있어서의 L자의 2변(유리 기판이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의 비는 짧은 변 기준으로 1.0 내지 3.0이 좋다. 이 범위이면, 긴 변과 짧은 변의 밸런스가 좋아 직사각형 유리 기판의 고정 안정성이 매우 좋아진다. 또한, 유리 기판이 휘어 손상될 확률도 보다 낮아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7 미만이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 있어서, 짧은 변의 길이는 곤포하는 유리 기판의 짧은 변 길이의 10 % 내지 45 %가 좋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40 % 이다. 완충 부재의 짧은 변의 길이가 상기 범위이면, 가령 낙하 충격 등을 받더라도 그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하는 완충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유리 기판이 손상되는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에 관한 응력(유리 기판의 자중)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반송 중인 진동에 의한 접촉 마찰에서의 발진이 억제되어 청정성도 만족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구체적인 외형 치수로서는, 짧은 변이 100 ㎜ 내지 500 ㎜가 좋다. 긴 변은 100 ㎜ 내지 1500 ㎜가 좋다. 또한, 상기 짧은 변, 긴 변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유리 기판의 수납 매수에도 따르지만, 150 ㎜ 내지 600 ㎜가 좋다.
본 발명의 완충 부재의 최대 두께는 유리 기판의 사이즈, 중량, 곤포 매수, 압축 탄성 지수 등을 감안하면 최대 두께가 10 ㎜ 내지 60 ㎜가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40 ㎜이다. 외형 치수 및 최대 두께가 상기한 범위이면, 가공 전의 유리 기판은 물론 각종 치수의 유리 기판 제품 모두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반송용 완충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반송시의 충격에도 충분히 견디는 유리 기판 보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3a와 같이 고정구 안내 홈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깊이가 단부(33)에 있어서 0.5 ㎜ 내지 5 ㎜, 또한 모서리부(34')에서는 2 ㎜ 내지 15 ㎜이다. 이 범위가 되도록 고정구 안내 홈의 깊이를 형성하면, 고정구의 위치 어긋남은 물론 없는 데다가 고정구로 체결 고정하였을 때에 체결력이 완충 부재의 짧은 변 및 긴 변의 전체면에 걸쳐서 균등하게 가해지므로 완충 부재의 다리 개방 변형을 방지하여 유리 기판 4군데의 모서리부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리 기판의 보호 기능을 충분히 만족한다. 또한, 도3a에서는 고정구 안내 홈은 단부(33)까지 형성되어 있지만, 단부(33) 부근에서는 완충 부재의 외벽(31)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고, 이 경우, 고정구 안내 홈은 단부(33)로부터 10 ㎜ 이상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부(33)로부터 100 ㎜ 이하의 위치로부터 모서리부(34')를 향해 서서히 깊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반송 중에도 고정구의 위치 어긋남이 없는 데다가 상기한 단부(33)로부터 상기 안내 홈을 형성한 것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3d와 같이 완충 부재 자체의 두께를 바꾸는 경우에는, 모서리부(34)의 두께가 단부(33)의 두께보다 1 ㎜ 내지 10 ㎜로 얇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내지 8 ㎜이다. 또한, 이 경우도 단부(33)로부터 모서리부(34) 방향으로 10 ㎜ 내지 100 ㎜의 위치까지는 단부(33)의 두께를 갖고 균일한 두께로 형성하여 상기 위치로부터 모서리부(34)까지의 두께를 점감적으로 변화시켜도 상기와 같은 효과는 얻을 수 있다.
또한, 도3e의 경우에는 모서리부(34)의 두께가 단부(33)의 두께보다 1 ㎜ 내지 10 ㎜ 얇게하는 것이 좋다. 모서리부(34)가 얇아지는 수단으로서는 도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33) 근방에 볼록부(38)를 형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볼록부(38)의 L자에 따른 방향의 폭은 10 ㎜ 내지 100 ㎜가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80 ㎜이다.
게다가 또한, 도3b에 도시한 모따기부(36)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완충 부재의 압축 탄성 지수, 최대 두께, 양 변의 길이 등을 감안하여 L자 단면에 있어서 원호형, 혹은 직선형으로 길이는 3 ㎜ 내지 60 ㎜로 형성한다.
모따기가 이 범위이면, 유리 기판을 곤포하여 그 외측을 고정구에 의해 체결하였을 때에 고정구의 체결력이 모서리부에 집중하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완충 부재 전체를 균등하게 압박하여 유리 기판 모서리부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기판의 고정, 보호 기능이 한층 높아지는 동시에 강한 체결력으로 고정구를 권취해도 완충 부재에 상기 고정구가 절입하여 물리는 등의 현상이 없어져 몇 회나 장기간에 걸쳐서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내구성이 현격하게 향상된다.
또한, 도3c의 절결 홈(37)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홈 깊이가 상기 절결 홈(37)을 형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완충 부재 두께의 1/20 내지 1/2가 좋다. 또한 상기 홈 폭은 2 ㎜ 내지 10 ㎜가 좋다. 또한, 절결 홈(37)의 위치 및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서리부(짧은 변 및 긴 변의 유리 기판이 접촉하는 부분의 접점)보다 변 길이(유리 기판이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의 1/8 내지 4/5의 부위에 1개 내지 3개가 좋다. 절결 홈(37)을 상기 범위에 형성하면 완충 부재의 강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유리 기판 삽입 홈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유리 기판의 삽입 고정성이 확실한 것이 되므로 기판의 보호 기능이 향상되고, 게다가 완충 부재의 마찰 발진성도 보다 낮아지는 효과가 파생한다.
또한, 도3의 오목부(39)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오목부(39)의 바닥부가 기판 삽입 홈의 바닥부(32)에 도달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기판의 크기나 두께, 완충 부재의 최대 두께를 감안하여 기판 삽입 홈의 바닥부(32)로부터 1 ㎜ 내지 8 ㎜의 깊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6 ㎜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 범위이면, 낙하 충격 등으로 완충 부재가 왜곡 변형이 생기더라도 가장 취약한 유리 기판 모서리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손상될 확률이 매우 낮아진다. 또한, 완충 부재의 구조 강도도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반복 사용해도 초기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기판의 고정, 보호 기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충 부재에 형성된 기판 삽입 홈의 홈 폭은 곤포하는 유리 기판의 두께 1.0배 내지 4.0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배 내지 3.5배가 좋다. 이 범위이면, 수동 혹은 자동 장치에서의 유리 기판의 삽입, 취출 작업을 빠르게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게다가 삽입 작업에서의 유리 기판의 파손 트러블이 격감한다. 또한, 기판 삽입 홈부에서의 유리 기판의 고정성도 충분하므로 반송 중에 진동 충격을 받아도 유리 기판과 완충 부재와의 마찰이 억제되어 발진 현상이 매우 낮아 유리 기판의 청정성이 유지된다.
또한, 기판 삽입 홈의 깊이는 유리 기판의 사이즈, 중량 및 완충 부재의 압축 탄성 지수, 기판 삽입 홈의 홈 폭 등을 감안하여 3 ㎜ 내지 15 ㎜가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10 ㎜이다. 이 범위이면, 반송 중에 진동 충격이나 취급에서의 낙하 충격을 받아도 유리 기판을 삽입 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리 기판이 삽입 홈으로부터 떨어져 인접한 기판과 접촉하는 등의 손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판이 기판 삽입 홈과 접촉하는 부분은 반송 중의 진동 충격으로 항상 완충 부재와 미끄럼 마찰하고 있으므로, 상기 유리 기판 표면에는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예를 들어 반송한 유리 기판을 액정 패널 등에 가공하는 경우는 미리 완충 부재의 기판 삽입 홈과 접촉하고 있던 상기 기판부를 절단 제거한 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기한 홈 깊이의 범위이면 그 부분은 매우 근소하므로, 수율 저하가 작게 억제되어 경제성이 높다. 또한, 유리 기판과 완충 부재의 마찰에 의한 발진량도 적어 청정성의 점으로부터도 바람직하다.
기판 삽입 홈의 피치는 유리 기판 등의 종류(예를 들어 유리 단일 부재나 컬러 필터, 액정 모듈 및 액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 및 그 사이즈, 중량 및 완충 부재의 압축 탄성 지수, 기판 삽입 홈 폭 그리고 유리 기판의 삽입, 취출의 자동화 적성 등을 감안하여 6 ㎜ 내지 100 ㎜가 좋다. 이 범위이면, 기판의 삽입, 취출 작업성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외에, 반송 중의 진동 충격이나 취급에서의 낙하 충격으로 유리 기판이 휘어 인접한 기판과 접촉함으로써 손상될 위험성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완충 부재에 있어서, 인접하는 기판 삽입 홈을 이격하는 볼록조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는 평면으로 한다. 그러나, 유리 기판의 삽입 작업성이나 삽입시의 발진을 고려하면, 산형(도4b)이나 사다리꼴(도4c)과 같이 볼록조의 상부에 안내부를 형성한 2단 형상이 바람직하고, 보 다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이 좋다. 사다리꼴은 수납홈 피치가 좁은 완충 부재라도 형 내 성형에 사용하는 금형을 정밀도 높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중 부호 t1은 완충 부재(1)의 최대 두께, t2는 기판 삽입 홈(2)의 깊이, t3은 홈 폭, t4는 홈 피치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완충 부재의 구성 소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완충 부재는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포체는 발포폴리올레핀 비드를 원하는 형상의 금형 내에 충전한 후, 수증기로 가열, 발포하고 냉각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상기 성형에 이용하는 금형으로서는 주물법으로 얻게 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주물법에 의한 금형은 복잡한 형상이라도 용이하게 정밀도 높게 제작할 수 있고, 게다가 사출 성형용 금형에 비해 제작비가 1/10 이하로 저렴하므로, 경제적이고, 대량 생산에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의 성형에 이용되는 폴리올레핀은 가교형, 무가교형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수지 소재로서 구체적으로는 저, 중,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타로센 촉매의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으로 대표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에틸렌, 부텐1, 4-메틸펜텐-1 등의 공중합성분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및 블럭 공중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한 메타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게 된 상기 랜덤 공중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상기 2종 이상이 배합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수지이고, 수지 밀도가 0.927 g/㎤ 내지 0.970 g/㎤인 것이나, 에틸렌이나 부텐-1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 수지 밀도가 상기 범위이면, 완충 부재는 적합한 강성이나 유연성 및 회복성 등의 특성을 겸비하여 유리 기판 반송용 완충 부재로서 충분한 실용 성능, 예를 들어 형상 안정성이나 낙하시의 충격 완충 성능, 반복 사용 내구성 그리고 내발진성이 매우 좋아진다. 또한, 특정한 압축 탄성 지수를 얻기 위해 완충 부재의 발포 배율을 비교적 높일 수 있어 경량성, 경제성의 관점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에틸렌이나 부텐-1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보다 탄성이 높으므로, 큰 사이즈의 유리 기판의 완충 부재에 적합하고, 특히 완충 부재의 형상 안정성은 장기간의 반복 사용에도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의 제1 요건은 상기 완충 부재를 구성하는 발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1.5 ㎜ 내지 5.0 ㎜가 좋다. 또한 2.0 ㎜ 내지 4.5 ㎜가 좋다. 평균 입자 직경이 이 범위이면, 발포 입자 1개의 체적당 표면적 비율이 작으므로, 형 내 성형에 있어서 수증기 가열시에 입자 내의 가스압(공기)이 곧바로 감소하는 비율이 매우 근소하므로, 충분한 가열 발포 팽창성이 발현된다. 그 결과, 얻게 되는 형 내 성형체 표면의 발포 입자 사이에는 미소한 공극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유리 기판의 반송용 완충 부재로서 이용한 경우에, 이 부분에 공기 속의 먼지가 침입하지 않아 청정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금형에의 발포 입자 충전에 있어서도 좁은 폭의 기판 삽입 홈의 세부까지 발포 입자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금형의 형상이나 치수에 따른 고정밀도의 완충 부재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라 함은, 형 내 성형체의 표면에 길이가 100 ㎜인 직선을 볼펜으로 3개 표시하고, 이 직선 상에 접촉하고 있는 발포 입자의 수를 계측하여 하기 수학식 A로부터 평균 입자 직경(C)〔㎜〕을 산출한다. 또한, 평가는 3개의 직선으로 평가한 평균치로 한다.
[수학식 A]
C = (1.626 × L)/N
L : 중심선 길이〔㎜〕, N : 입자수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의 제2 요건은 상기 완충 부재의 물리적 특성에 있다. 즉, 융착률이 70 % 이상, 압축 탄성 지수가 3.9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490 이하), 또한 회복률이 6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융착률이라 함은, 완충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깊이가 약 1 ㎜인 새김눈을 넣고, 그 새김눈을 외측으로 하여 절곡 파단하였을 때의 파단면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전체 길이와 약 75 ㎜의 길이에 걸친 면적에 있어서의 전발포 입자 개수와 입자 파괴(재료 파괴)하고 있는 발포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여 입자 파괴 개수를 전발포 입자 개수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융착률이 70 % 이상이면, 본래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가 구비하는 압축이나 인장 등의 기계적 강도에 관한 고유물성이 충분히 발현되는 것이 된다. 즉 완충 부재를 구성하는 무수의 발포 입자 서로가 견고하게 융착 일체화하고 있으므 로 내구성이나 회복성도 우수하고, 본 완충 부재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을 고정, 포장하는 경우, 고정구의 강한 체결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므로, 유리 기판을 높은 레벨로 고정, 포장이 가능해 유리 기판이 손상될 확률도 한층 낮아진다. 또한 완충 부재 표면의 발포 입자 사이에는 미소한 공극이 존재하지 않아 반복하여 사용할 때마다 행해지는 물세척에 있어서도 흡수성이 실제로 0이므로 건조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등의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완충 부재의 압축 탄성 지수가 상기 범위이면, 본래 폴리올레핀이 갖고 있는 우수한 완충 성능을 효율적으로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고, 게다가 적절한 강성과 유연성을 밸런스 좋게 겸비하여, 특히 유리 기판 치수가 500 ㎜ × 600 ㎜를 초과하는 대형 기판이라도 고정 안정성 나아가서는 보호 기능이 매우 고밀도인 것이 된다. 또한, 반송이나 취급시에 가하는 외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있으므로 변형이 근소하고, 장기간에 걸쳐서 반복 사용이 가능한 내구성을 갖는다. 또한, 특정한 압축 탄성 지수를 얻는 데 완충 부재의 발포 배율을 비교적 높일 수 있어 경량성 및 경제성의 면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압축 탄성 지수가 상기 범위 내이며, 또한 회복률이 60 % 이상이므로,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의 최대 특징이 되는 반복 내구성이 우수하여, 사용 빈도가 높아져도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 탄성 지수라 함은, 압축 탄성률(N/㎠)을 발포 배율로 나눈 값으로 한다.
상기 압축 탄성률이라 함은, 하기 발포 배율을 측정한 시료에 대해 JIS K7220에 준거하여 구한 값이고, 압축 속도는 10 ㎜/분으로 한다. 또한, 시료 두께가 20 ㎜ 미만인 경우는 약 20 ㎜가 되도록 복수매 포개어 측정한다.
발포 배율은 완충 부재보다 폭 50 ㎜, 길이가 50 ㎜, 두께가 20 ㎜인 평탄한 시험편을 잘라내어 중량(g)을 10 ㎎까지 측정한 후, 버니어 캘리퍼스로 폭, 길이, 두께를 측정하여 체적(㎤)을 산출하고, 다음 수학식 B로부터 발포 배율(E)〔㎤/g〕을 산출한다.
[수학식 B]
E = 체적/중량〔㎤/g〕
상기 회복률이라 함은, 완충 부재로부터 폭 50 ㎜, 길이가 50 ㎜, 두께가 20 ㎜인 평탄한 시험편을 잘라내어 시마쯔세이사꾸쇼샤제의 압축 시험 장치「오토그래프 AG-5000D」를 이용하여 10 ㎜/분의 압축 속도로 시험편 두께의 50 %까지 압축한 후, 바로 같은 속도로 하중이 0이 될 때까지 제거하고, 하중이 0이 된 순간의 두께를 측정하여 다음 수학식 C로부터 회복률 R〔%〕을 산출한다. 또한, 두께가 20 ㎜ 미만인 경우에는 약 20 ㎜가 되도록 복수매 포개어 측정한다.
[수학식 C]
R = (T1/T0) × 100〔%〕
T0 : 시험 전 두께〔㎜〕, T1 : 시험 후 두께(하중이 0일 때)〔㎜〕
다음에, 본 발명의 포장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장 부재는 상기한 본 발명의 완충 부재 2개 이상을 1세트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4개 1세트로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곤포한다. 즉,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 행 배치하여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각 기판의 모서리부를 각각 본 발명의 완충 부재의 기판 삽입 홈에 삽입하여 상기 기판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상기 직육면체의 4변을 상기 완충 부재에 의해 끼워 맞춘다. 그 후, 완충 부재의 L자에 따라서 긴 고정구를 권취하여 체결한다. 완충 부재가 고정구 안내 홈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 안내 홈에 따라서 고정구를 권취한다.
또한, 가장 외측의 유리 기판으로서는 더미의 유리 기판을 배치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완충 부재를 이용한 상기 유리 기판 포장 부재 이외의 실시 태양을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 배치하여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각 기판의 모서리부를 각각 본 발명의 완충 부재의 기판 삽입 홈에 삽입하여 상기 기판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상기 직사각형의 4변을 상기 완충 부재에 의해 끼워 맞춘다. 그 후, 완충 부재의 L자에 따라서 긴 고정구를 고정구 안내 홈에 따라서 권취, 체결하여 고정하고, 곤포 부재를 형성한 후 상기 곤포 부재를 열수축성 수지 필름으로 포장하고,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필름을 열수축시켜 수축 포장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열수축성 수지 필름으로 곤포 부재를 포장할 때, 주머니형 혹은 통형으로 형성한 필름에 곤포 부재를 수납한 후,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단부를 열 밀봉 방식으로 밀봉하고, 상기 필름을 열수축시켜 곤포 부재에 밀착시켜도 좋다.
상기한 포장 부재는 본 발명의 완충 부재를 이용하여 복수매의 유리 기판을 일체로 곤포한 곤포 부재를 열수축성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수축 포장하는 데 특징을 갖고, 이에 의해, 대형 유리 기판의 포장 부재라도 곤포 부재의 포장 작업이 용이해져 자동 포장이 가능해진다. 또한, 포장 후의 포장 부재에 있어서는 열수축한 필름에 늘어짐이 전혀 없으므로 곤포 부재의 가장 외측 기판에 상기 필름이 접촉하여 유리 기판이 오염되는 일이 전무하므로, 더미 기판을 이용할 필요 없이 완충 부재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효율이 좋다. 또한, 필름의 수축 응력에 의해 완충 부재 전체가 외측으로부터 압박되므로 완충 부재와 유리 기판이 양호하게 일체 고정화되어 있으므로, 유리 기판의 홈 벗어남이나 손상이 없으며, 또한 반송시의 진동에 의한 유리 기판과 완충 부재와의 미끄럼 마찰이 격감하여 유리 기판의 손상 발생이나 분진 부착이 방지되어 유리 기판의 청정성이 유지된다.
수축 포장에 이용되는 열수축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 등이 있지만,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그 특성으로부터 압출 성막시의 가공성 및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량의 가소제나 안정제 등이 다종류 첨가되어 있다. 이들 첨가제는 성막 후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필름 등의 표면으로 스며 나오거나, 혹은 상온 하에서도 극미량의 휘발 현상이 있으므로 유리 기판을 포장하는 작업장의 클린도를 악화시키거나, 또한 유리 기판의 포장 취급시에 손에 부착된 첨가제가 유리 기판에 간접 접촉하는 등의 치명적인 오염 상의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반송 중,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침입 방지를 위해서는 상기 필름을 열 밀봉하여 곤포 부재를 밀봉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열 밀봉 적성이 나빠 초음파나 고주파 밀봉 장치 등의 고가 의 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단층 혹은 복층품, 또한 가교형 혹은 무가교형 모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120 ℃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이 종, 횡방향 중 적어도 한 쪽에 있어서 15 % 내지 90 %가 좋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90% 가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종, 횡방향 모두 15 % 내지 90 %이다. 상기 범위에서 열수축시키면 포장 부재는 느슨함 없이 타이트하게 수축 포장되어 유리 기판과 상기 필름이 접촉하여 유리 기판이 오염될 우려가 없다. 또한, 이러한 열수축률은 ASTM D-2732의 방법으로 120 ℃에서 측정한 값이다.
또한, 120 ℃에 있어서의 최대 열수축 응력이 종, 횡방향 중 적어도 한 쪽에 있어서 0.15 N/㎣ 내지 5 N/㎣가 좋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N/㎣ 내지 4.5 N/㎣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종, 횡방향 모두 0.15 N/㎣ 내지 5 N/㎣이다.
120 ℃에 있어서의 최대 열수축 응력이 상기 범위이면, 포장 부재는 느슨함 없이 타이트하게 수축 포장되어 취급시에 필름이 압박되어도 상기 필름이 유리 기판과 쉽게 접촉하지 않아 유리 기판의 청정성이 유지된다. 또한, 열수축 응력이 적절하므로 포장시에 모서리부에서 상기 필름이 찢어지지 않고 밀봉 포장을 할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먼지 침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최대 열수축 응력은 ASTM D-2838로 120 ℃에 있어서 측정한 값 이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1O ㎛ 내지 200 ㎛가 좋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180 ㎛가 좋다. 상기 두께가 이 범위이면, 필름은 적절한 탄력성을 갖고 있으므로, 곤포 부재의 포장 작업성이 솜씨 있게 쉽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용착 강도가 높은 열 밀봉이 가능해지는 외에 반송이나 취급시의 충격에 견디는 파괴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고정구로서는 끈형, 테이프형의 긴 것이면 좋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제 테이프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완충 부재는 4개 1세트로 이용되지만, 상기 4개는 모두 동일해도, 서로 다른 구성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어 대형 유리 기판을 곤포하는 경우에는 하방에 위치하는 완충 부재를 크고, 두껍게 하여 유리 기판의 중량에 견디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완충 부재는 상기 4개 1세트로 이용하는 이외에, 예를 들어 상부가 개구하고 있는 플라스틱 컨테이너나 플라스틱 골판지 상자 등의 내부 바닥에 본 발명의 완충 부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정지구 등을 이용하여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2개 고정하여 상방 개구부로부터 유리 기판을 삽입 고정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 상부 개구부로부터 먼지가 침입하지 않도록 하우징으로 덮개를 하면 좋으며, 유리 기판의 보관용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유리 덮개에 본 발명의 완충 부재나 판형의 플라스틱 발포체를 부착함으로써 반송용 용기로서도 사용 할 수 있다.
<실시예>
(제1 실시예, 제1 참고 실시예)
〔유리 기판〕
액정 디스플레이용 마더 유리
치수 : 600 ㎜ × 720 ㎜
두께 : 0.7 ㎜
〔발포체〕
수지 소재 : 발포 배율이 20 ㎤/g인 에틸렌ㆍ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 발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 3.6 ㎜
융착률 : 86 %
압축 탄성률 : 549 N/㎠
압축 탄성 지수 : 27.5
〔완충 부재〕
유리 기판 수납 매수 : 26매
외형 치수 ;
짧은 변 : 250 ㎜
긴 변 : 350 ㎜
길이(짧은 변, 긴 변에 직교하는 길이) : 300 ㎜
최대 두께 : 32 ㎜
기판 삽입 홈 ;
폭 : 2.4 ㎜
깊이 : 12 ㎜
피치 : 20 ㎜
볼록조의 단면 형상 : 기판 삽입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6.5 ㎜의 벽면을 갖고, 정상부는 평면 부분의 폭이 8 ㎜, 높이가 5.5 ㎜인 사다리꼴(도4c의 형상)
〔고정구 안내 홈〕
양측부로부터 상기 완충 부재의 길이(300 ㎜)의 1/4 위치에 폭 30 ㎜로 합계 2개 설치하였다. 홈의 깊이는 L자 단부 1 ㎜로 하고, 모서리부에는 반경 20 ㎜의 원호형 모따기부를 형성하여 홈의 바닥부와 모따기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홈 깊이를 4 ㎜로 하였다.
〔자유 낙하 시험〕
상기 유리 기판을 상기 완충 부재를 4개 이용하여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하여, 포장 부재로 하였다. 이 포장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완충 부재의 완충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자유 낙하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제1 참고 실시예로서 융착률이 65 %인 이외에는 모두 동일한 완충 부재를 이용하여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조건
낙하 높이 : 30 ㎝
포장 부재 낙하면 : 포장 부재의 땅만
낙하 횟수 : 3회
제1 실시예의 포장 부재는 3회 낙하 후에도 유리 기판의 탈락이 전혀 없고, 시험 전의 유리 기판 곤포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유리 기판의 손상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유리 기판 표면에의 완충 부재 분진의 부착은 눈으로 확인 관찰할 수 있는 크기의 분진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제1 참고 실시예의 포장 부재는 유리 기판의 탈락은 없었지만, 땅에 배치한 완충 부재의 긴 변 방향의 홈부에 접촉하고 있던 유리 기판의 단부에 미소한 이지러짐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 이지러짐의 발생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상기 완충 부재를 상세하게 관찰한 결과, 발포 비드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고 있어 낙하 충격으로 유리 기판이 완충 부재에 물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한, 발포 비드가 탈락한 흔적도 인정되어 반복 사용에 견디는 내구성이 제1 실시예의 완충 부재에 비해 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완충 부재의 융착률이 70 % 미만이었으므로, 완충 부재가 본래 갖는 기계적 강도에 떨어져 낙하 충격을 받았을 때에 과도한 왜곡이 생겼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제2 실시예, 제1 비교예)
〔유리 기판〕
액정 디스플레이용 마더 유리
치수 : 550 ㎜ × 650 ㎜
두께 : 0.7 ㎜
〔발포체〕
수지 소재 : 발포 배율이 10 ㎤/g로 수지 밀도가 0.930 g/㎤인 가교형 폴리에틸렌
발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 2.8 ㎜
융착률 : 98 %
압축 탄성률 : 412 N/㎠
압축 탄성 지수 : 41.2
〔완충 부재〕
유리 기판 수납 매수 : 12매
외형 치수 ;
짧은 변 : 210 ㎜
긴 변 : 310 ㎜
길이(짧은 변, 긴 변에 직교하는 길이) : 240 ㎜
최대 두께 : 23 ㎜
기판 삽입 홈 ;
폭 : 1.5 ㎜
깊이 : 7 ㎜
피치 : 20 ㎜
볼록조의 단면 형상 : 기판 삽입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3.5 ㎜의 벽면을 갖고, 정상부는 높이가 3.5 ㎜인 산형(도4b의 형상)
〔고정구 안내 홈〕
양측부로부터 상기 완충 부재 길이(240 ㎜)의 1/4의 위치에 폭 25 ㎜로 합계 2개 설치하였다. L자 단부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50 ㎜의 위치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홈을 형성하고, 모서리부에는 반경 10 ㎜의 원호형의 모따기부를 형성하여 홈의 바닥부와 모따기부와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홈의 깊이를 3 ㎜로 하였다.
〔진동 시험〕
상기 유리 기판을 상기 완충 부재를 4개 이용하여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하여, 포장 부재로 하였다. 이 포장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완충 부재의 유리 기판 곤포 고정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진동 시험을 실시하였다. 진동 시험은 상기 포장 부재를 진동 시험 장치의 가진 테이블에 고정하고, JIS ZO232의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행하였다. 또한, 제1 비교예로서 고정구 안내 홈의 깊이를 모든 부위에서 1 ㎜로 한 것 이외는 모두 동일한 완충 부재를 이용하여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조건
진동 방향 : 상하
진동 파형 : 정현파
소인(掃引) : 로그 소인(주파수 5 내지 100 ㎐)
소인 속도 0.5 옥타브/분
진동 가속도 : ± 0.75 G
진동 시간 : 30분
진동 시험 종료 후에 유리 기판의 곤포 고정 상태를 눈으로 확인 관찰한 바, 제2 실시예의 포장 부재는 유리 기판에 약간 느슨함이 보이만, 기판 삽입 홈으로부터 탈락한 유리 기판은 1매도 없었다. 또한, 유리 기판 표면에의 완충 부재 분진의 부착은 눈으로 확인 관찰할 수 있는 크기의 분진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제1 비교예의 포장 부재는 진동 시험 개시 후 8분에서 상부 2개의 완충 부재의 긴 변의 기판 삽입 홈에 있어서 유리 기판의 탈락이 발생하고, 인접한 유리 기판과 접촉하였기 때문에 파손 위험이 있으므로 시험을 중지하였다.
본 발명을 상세하고 또한 특정한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0년 12월 27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2000-396934)에 의거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 부재는 고정구로 체결하였을 때에 고정구의 체결력의 모서리부에의 집중이 방지되므로, 단부에 있어서도 유리 기판을 양호하게 압박하여 유리 기판의 홈 벗어남이 없어 양호한 보호 효과를 발현한다. 특히 본 발명의 완충 부재는 그 치수를 조정하여 구성 소재인 발포체로서 특정한 특성을 구비한 것을 이용함으로써, 유리 기판의 곤포, 제거 작업이 용이해져 자동화에도 적합한 것이 된다. 또한, 발진성이나 내구성도 우수하여 클린룸 내에서의 작업에 적응하여 반복하여 다수회의 사용에도 견디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완충 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리 기판을 곤포한 본 발명의 포장 부재에 있어서는 반송시의 진동 충격이나 낙하 충격에 대해서도 내부의 유리 기판이 확실하게 보호되어 불량품의 발생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이며,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의 형상에 따라서 L자형의 단면을 갖고, 내측 표면에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유리 기판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기판 삽입 홈이 상기 L자를 따라서 마련되어 있고, 외측 표면에는 상기 L자를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1개의 고정구 안내 홈을 갖고, 상기 고정구 안내 홈의 바닥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완충 부재의 두께가 L자의 양단부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점감하고, 완충 부재는 기판 삽입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 안내 홈의 바닥부가 모서리부에서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3.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이며,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의 형상에 따라서 L자형의 단면을 갖고, 내측 표면에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유리 기판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기판 삽입 홈이 상기 L자를 따라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완충 부재의 두께가 L자의 양단부로부터 모서리부를 향해 점감하고, 완충 부재는 기판 삽입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4.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이며,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의 형상에 따라서 L자형의 단면을 갖고, 내측 표면에는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유리 기판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기판 삽입 홈이 상기 L자를 따라서 마련되어 있고, 상기 L자 외측의 양단부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외측 모서리부가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내측에, 기판 삽입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결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최대 두께가 10 내지 60 ㎜, L자를 형성하는 2변의 비가 짧은 변 기준으로 1.0 내지 3.0이고, 기판 삽입 홈의 홈 폭이 유리 기판 두께의 1.0 내지 4.0배, 홈 깊이가 3 내지 15 mm, 홈 피치가 6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가 발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1.5 내지 5.0 ㎜, 융착률이 70 % 이상, 압축 탄성 지수가 3.9 내지 490, 회복률이 6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용 완 충 부재.
  9. 복수의 유리 기판과,
    상기 유리 기판의 네 모서리를 기판 삽입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유리 기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 배치한 상태로 보유 지지한 제1항에 기재된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와,
    상기 완충 부재의 고정구 안내 홈을 따라서 체결하기 위해 권취된 긴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부재.
  10. 복수의 유리 기판과,
    상기 유리 기판의 네 모서리를 기판 삽입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유리 기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 배치한 상태로 보유 지지한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와,
    상기 완충 부재의 외측에 L자를 따라서 체결하기 위해 권취된 긴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부재.
KR1020037008648A 2000-12-27 2001-12-26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를 이용한 포장부재 KR100552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6934 2000-12-27
JPJP-P-2000-00396934 2000-12-27
PCT/JP2001/011472 WO2002053474A1 (fr) 2000-12-27 2001-12-26 Corps amortisseur pour substrat en verre, et corps d'emballage utilisant le corps amortis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192A KR20030093192A (ko) 2003-12-06
KR100552879B1 true KR100552879B1 (ko) 2006-02-20

Family

ID=1886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648A KR100552879B1 (ko) 2000-12-27 2001-12-26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를 이용한 포장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091432B2 (ko)
KR (1) KR100552879B1 (ko)
CN (1) CN1222449C (ko)
DE (1) DE10197125B3 (ko)
WO (1) WO20020534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1547B2 (en) * 2000-10-04 2008-10-07 Ppg Industries Ohio, Inc. Corner restraint for securing articles on a shipping and/or storage rack
CN100372744C (zh) * 2004-04-07 2008-03-0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缓冲包装材
KR100842819B1 (ko) * 2004-10-05 2008-07-03 토시로 후지와라 기판반송용 용기, 이 반송용기의 내벽구조 및 이 반송용용기에 사용되는 바닥올림부재
JP4569553B2 (ja) * 2006-10-27 2010-10-2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梱包体
CN101020509B (zh) * 2007-03-19 2010-04-2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承接基板的承接托盘及承接该托盘的包箱
JP4828574B2 (ja) * 2008-05-26 2011-11-3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搬送方法
EP2147869A1 (en) * 2008-07-22 2010-01-27 Hornos Industriales Pujol S.A. Corner protection element for glass
CN101811599A (zh) * 2010-04-01 2010-08-25 盐城市华鸥实业有限公司 玻璃制品的真空包装方法
KR101776962B1 (ko) * 2010-06-07 2017-09-08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CA2814275A1 (fr) * 2013-04-26 2014-10-26 Conception Impack Dtci Inc. Supports reutilisables pour l'emballage d'articles plats et methode correspondante
CN103331285B (zh) * 2013-06-24 2016-02-17 句容骏成电子有限公司 一种插篮
CN103482255A (zh) * 2013-09-27 2014-01-01 昆山迈致治具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放置托盘
CN103662265A (zh) * 2014-01-04 2014-03-26 徐存然 一种栅格式环形托架
BE1022506B1 (fr) * 2014-11-05 2016-05-12 Splifar Sa Ensemble comprenant un climbia et au moins un élément de support.
CN110949832A (zh) * 2019-10-30 2020-04-0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轻围壁专用放置托架
KR102586759B1 (ko) * 2020-04-22 2023-10-11 수창티피에스 주식회사 접이식 플라스틱 포장재
DE102020206886A1 (de) * 2020-06-03 2021-12-09 Felix Waldner Gmbh Anordnung zum sichern von plattenförmigen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0897U (ja) * 1982-04-01 1983-10-08 株式会社ゼネラル リサ−チ オブ エレクトロニツクス プリント基板保持装置
JPH0723164B2 (ja) * 1991-12-19 1995-03-15 中央紙器工業株式会社 段ボール製パッキン
JP2916836B2 (ja) * 1992-05-13 1999-07-05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ガラス基板用緩衝材及び該緩衝材を用いた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2449C (zh) 2005-10-12
JP4091432B2 (ja) 2008-05-28
KR20030093192A (ko) 2003-12-06
DE10197125B3 (de) 2005-08-18
WO2002053474A1 (fr) 2002-07-11
JPWO2002053474A1 (ja) 2004-04-30
CN1482985A (zh) 200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879B1 (ko) 유리 기판용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를 이용한 포장부재
US6296122B1 (en) Packaging tray
US20080251114A1 (en) Method For Packing Solar Battery Elements and Package For Solar Battery Elements
US9434509B2 (en) Package for metal-ceramic substrate and method for packing such substrates
JP2008030756A (ja)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JPH08301354A (ja) 板状ガラス部品搬送箱
KR100521298B1 (ko) 유리 기판용 완충체
KR20100068336A (ko) 유리 기판 곤포 상자
JP4758566B2 (ja) ガラス基板用緩衝体及び該緩衝体を用いた包装体
JP2916836B2 (ja) ガラス基板用緩衝材及び該緩衝材を用いた包装体
US9422097B1 (en) Package cushioning material for liquid crystal glass
JP4737940B2 (ja) 太陽電池素子の梱包方法
US20010025805A1 (en) Wafer Case
JP2002193340A (ja) ガラス基板の包装方法及び該方法によるガラス基板包装体
CN212767410U (zh) 一种分离式箱子
KR100740526B1 (ko)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TWI225026B (en) Cushioning body for glass substrates and packaged article using the cushioning body
JP5241285B2 (ja) 太陽電池素子の梱包体
JP2002225949A (ja) ガラス基板用緩衝材
JPH1149266A (ja) 板状物の収納用具
CN221294569U (zh) 一种陶瓷片包装盒
JPH1035774A (ja) 電子部品搬送箱
JP3407024B2 (ja) 包装体及び該包装体の梱包方法
JPH072281U (ja) 板状物の収納用具
JP2606760Y2 (ja) ガラス基板の収納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