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745B1 -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 Google Patents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745B1
KR100550745B1 KR1020040002865A KR20040002865A KR100550745B1 KR 100550745 B1 KR100550745 B1 KR 100550745B1 KR 1020040002865 A KR1020040002865 A KR 1020040002865A KR 20040002865 A KR20040002865 A KR 20040002865A KR 100550745 B1 KR100550745 B1 KR 10055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inge
surface portion
footres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264A (ko
Inventor
카사이켄조우
오오니시이치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6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head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bein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육아 기구를 베드 형상의 형태로 한 때, 베드면 전체에 대해 매끈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좌석 심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좌석 심재(20)는 아기의 등을 등뒤로부터 받치는 등받이면부(21)와, 아기의 엉덩이를 아래로부터 받치는 좌면부(22)와,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아기의 다리를 아래로부터 받치는 발받침면부(23)와, 등받이면부(21)와 좌면부(22)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1 힌지부(24)와, 좌면부(22)와 발받침면부(23)과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2 힌지부(25)를 연속적으로 구비한다.
육아 기구, 좌석 심재

Description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SEAT CORE OF CHILD-CARE INSTRUMENT}
도 1은 특개평8-175395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모차를 베드 형상의 형태로 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좌석 해먹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선 4-4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선 6-6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7은 의자 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는 좌석 심재의 사시도.
도 8은 베드 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는 좌석 심재의 사시도.
<도면 부호의 설명>
2O : 좌석 심재 21 : 등받이면부
22 : 좌면부 22a : 중앙 좌면부
22b : 측방 좌면부 23 : 발받침면부
23a : 중앙 발받침면부 23b : 측방 발받침면부
24 : 제 1 힌지부 25 : 제 2 힌지부
26 : 헤드 가드면부 27 : 제 3 힌지부
28 : 상방 측면부 29 : 제 4 힌지부
3O : 제 5 힌지부 31 : 제 6 힌지부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모차, 차일드 시트, 베이비 래크 등의 육아 기구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하는 좌석 심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 형상의 형태와 베드 형상의 형태로 전환 가능한 육아 기구에 부착되는 좌석 심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도 1 및 도 2는 일본특개 평8-175395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유모차(1)는 차체(2)와, 상기 차체(2)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하는 좌석 해먹(3)을 구비하고 있다.
유모차(1)는 도 1에 도시한 의자 형상의 형태와, 도 2에 도시한 베드 형상의 형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유모차(1)는 접어개는식 상태에서는 전후의 차륜이 근접하고, 또한 폭치수가 축소하여 좌우의 차륜이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좌석 해먹(3)을 도시하고 있다. 좌석 해먹(3)은 아기의 등을 등뒤로부터 받치는 등받이면부(4)와, 아기의 엉덩이를 아래로부터 받치는 좌면부(5)와,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등받이면부(4)의 상단연으로부터 세우는 헤드 가드면부(8)와, 특히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등받이면부(4)의 양 측연으로부터 세우는 1쌍의 상방 측면부(7)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를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유모차(1)는 베드 형상의 형태로 되었을 때에, 좌면을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기의 다리는 상기 좌면 연장부에 의해 아래로부터 받치여진다. 좌석 해먹(3)은 상기 좌면 연장부를 형성하는 발받침면부(6)을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의자 형상의 형태에서는 좌면 연장부를 형성하고 있던 좌석 해먹(3)의 발받침면부(6)는 하방으로 처져내린다.
도 4는 도 3의 선 4-4에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 해먹(3)의 헤드 가드면부(8), 등받이면부(4) 및 좌면부(5)에는 각각, 헤드 가드면 심재(8a), 등받이면 심재(4a) 및 좌면 심재(5a)가 수납되어 있다. 한편, 좌석 해먹(3)의 발받침면부(6)에는 심재가 들어가 있지 않고, 헝겁제의 봉제 원단만이 존재하고 있다. 좌면부(5)와 등받이면부(4)와의 경계 부분, 및 등받이면부(4)와 헤드 가드면부(8)와의 경계 부분에는 봉제 원단에 의한 힌지부(9, 10)가 형성된다.
[특허 문헌 1]
일본특개 평8-175395호 공보
유모차(1)의 차체(2)는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좌면을 전방으로 연장하기 위해, 좌면 지지 부재로부터 전방으로 끌어내여질 수 있는 연장 부재를 갖고 있다. 좌면 연장 부재의 하나의 예는 수지제의 평판 형상의 형태의 것이다. 상기 수지제 평판 형상 좌면 연장 부재에는 리브나 도려냄 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표면에는 요철 형상이 나타나고 있다.
좌면 연장 부재의 다른 예는 좌면 지지 부재의 양 측부로부터 전방으로 끌어 내여지는 1쌍의 측부 인출봉과, 상기 1쌍의 측부 인출봉 사이에 걸쳐지는 유연한 벨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유모차(1)를 베드 형상의 형태로 한 경우, 좌석 해먹(3)의 발받침면부(6)를 상기한 좌면 연장 부재상에 펼치게 된다. 발받침면부(6)는 헝겁제의 봉제 원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제 평판 형상 좌면 연장 부재의 요철 형상의 감촉이 그대로 아기의 발 또는 다리부에 전하여져 버린다. 또한, 유연한 벨트에 의해 발받침면부(6)를 아래로부터 받친 것에서는 하방으로 움푹패여짐이 있기 때문에, 아기의 발 또는 다리부를 안정되게 받칠 수가 없다.
또한, 도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좌면 심재(5a)를 갖는 좌면부(5)와, 헝겁제의 봉제 원단만으로 이루어지는 발받침면부(6)와의 사이에는 심재의 두께에 상당하는 단차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의 존재는 아기에게 불쾌감을 준다. 마찬가지로, 봉제 원단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힌지부(9)는 비교적 큰 오목부를 형성하게 되기 때문에, 아기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육아 기구를 베드 형상의 형태로 한 때, 베드면 전체에 대해 매끈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좌석 심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는 의자 형상의 형태와 베드 형상의 형태로 전환 가능한 육아 기구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육아 기구 본체와는 분리하여 마련된다. 상기 좌석 심재는 아기의 등을 등뒤로부터 받치는 등받이면부와, 아기의 엉덩이를 아래로부터 받치는 좌면부와,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아기의 다리를 아래로부터 받치는 발받침면부와, 등받이면부의 경사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등받이면부와 좌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1 힌지부와, 좌면부에 대해 발받침면부를 굴곡 가능하게 하기 위해, 좌면부와 발받침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2 힌지부를 연속적으로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좌석 심재가, 좌면부로부터 이여지는 발받침면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좌면부와 발받침면부 사이에 단차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심재에 의해 발받침면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좌면 연장 부재가 요철을 갖는 것이거나, 벨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 하더라도, 요철 형상의 감촉이 아기에게 전해지지 않고, 또한 발받침면부의 움푹패여짐도 없다. 또한, 등받이면부의 심재와 좌면부의 심재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경계 부분에서 큰 오목부는 형성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등받이면부와, 좌면부와, 발받침면부와, 제 1 힌지부와, 제 2 힌지부를, 공통의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경우, 제 1 힌지부 및 제 2 힌지부는 예를 들면, 해당 심재의 두께를 줄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석 심재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1장의 판형상체이다. 이와 같이 하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아기에 대해 쾌적한 베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힌지부가, 등받이면부와 좌면부와의 맞닿는 부분상에 붙이여진 제 1 힌지 테이프를 포함하고, 제 2 힌지부가, 좌면부와 발받침면부와의 맞닿는 부분상에 붙이여진 제 2 힌지 테이프를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경우에도, 등받이면부를 형성하는 심재와 좌면부를 형성하는 심재와 발받침면부를 형성 하는 심재와의 연속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매끈한 베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좌석 심재는 또한,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등받이면부의 상단연으로부터 세우는 헤드 가드면부와, 헤드 가드면부의 세우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등받이면부와 헤드 가드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3 힌지부를 연속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등받이면부로부터 이어져 있는 헤드 가드면부의 심재가 아기의 머리 정수리부를 보호하기 때문에, 안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좌석 심재는 또한,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등받이면부의 양 측연으로부터 세우는 1쌍의 상방 측면부와, 상방 측면부의 세우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등받이면부와 각 상방 측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4 힌지부를 연속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등받이면부로부터 이여져 있는 상방 측면부의 심재가 아기의 옆머리부를 보호하기 때문에, 안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폭방향의 치수를 축소하여 접어개여지는 육아 기구의 경우, 폭방향 사이즈의 축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좌면부는 중앙 좌면부와, 중앙 좌면부의 양 측연에 접속된 1쌍의 측방 좌면부와, 중앙 좌면부에 대한 각 측방 좌면부의 굴곡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앙 좌면부와 각 측방 좌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5 힌지부를 연속적으로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 상태에서는 넓은 면적의 좌면부를 형성하면서, 접어개는 때에는 폭방향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 관점에서, 하나의 실시 형에서는 발받침면부는 중앙 발받침면부와, 중앙 발받침면부의 양 측연에 접속된 1쌍의 측방 발받침면부와, 중앙 발받침면부에 대한 각 측방 발받침면부의 굴곡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앙 발받침면부와 각 측방 발받침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6 힌지부를 연속적으로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 상태에서는 넓은 면적의 발받침면부를 형성하면서, 접어개는 때에는 폭방향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육아 기구로서는 유모차, 차일드 시트, 베이비 래크 등을 들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좌석 심재는 유모차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경우, 좌석 심재는 예를 들면, 유모차의 좌석 해먹에 넣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좌석 심재를 유모차의 차체에 부착하고, 상기 좌석 심재의 위에 좌석 해먹을 장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좌석 심재(20)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선 6-6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7은 의자 형상의 형태로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베드 상태에서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좌석 심재(20)는 예를 들면, 유모차의 좌석 해먹에 넣어지는 심재이다. 다른 사용 형태로서, 유모차의 차체에 부착되고, 그 위에 좌석 해먹을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유모차는 의자 형상의 형태와 베드 형상의 형태로 전환 가능한 것이다. 좌석 심재(20)는 유모차의 차체와는 별개로 분리하여 마련되는 것이며, 좌석 해먹에 넣어져서, 또는 차체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한다.
좌석 심재(20)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1장의 평판으로서, 등받이면부(21)와, 좌면부(22)와, 발받침면부(23)와, 제 1 힌지부(24)와, 제 2 힌지부(25)와, 헤드 가드면부(26)와, 제 3 힌지부(27)와, 1쌍의 상방 측면부(28)와, 제 4 힌지부(29)를 연속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등받이면부(21)는 아기의 등을 등뒤로부터 받치는 부분을 형성하고, 좌면부(22)는 아기의 엉덩이를 아래로부터 받치는 부분을 형성한다. 등받이면부(21)는 예를 들면 수지의 두께를 줄임에 의해 형성된 얇은 제 1 힌지부(24)를 통하여 좌면부(22)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 형상의 형태로의 사용시에는 등받이면부(21)가 좌면부(22)의 후단연으로부터 세워지고, 도 8에 도시한 베드 형상의 형태로의 사용시에는 등받이면부(21)와 좌면부(22)는 거의 수평으로 연장된다.
발받침면부(23)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드 형상의 형태로의 사용시에, 아기의 다리를 아래로부터 받치는 부분을 형성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 형상으로의 사용시에는 좌면부(22)의 전방 단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다. 제 2 힌지부(25)는 발받침면부(23)의 굴곡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의 두께를 줄임에 의해 형성된 박육부로 구성된다.
헤드 가드면부(26)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 형상의 형태로의 사용시에는 등받이면부(21)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에 늘어나는 평면을 형성하고, 도 8 에 도시한 베드 형상 형태로의 사용시에는 등받이면부(21)의 상단연으로부터 세워서 아기의 머리 정수리부를 보호한다. 제 3 힌지부(27)는 헤드 가드면부(26)의 세우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의 두께를 줄임에 의해 형성된 박육부로 구성된다.
1쌍의 상방 측면부(28)는 특히 베드 형상 형태로의 사용시에, 등받이면부(21)의 양 측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아기의 옆머리부를 보호한다. 제 4 힌지부(29)는 상방 측면부(28)의 세우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의 두께를 줄임에 의해 형성된 박육부로 구성된다.
도시한 좌석 심재(20)는 예를 들면, 폭방향 치수가 축소하도록 접어개여진 유모차에 적용되는 것이다. 폭방향으로의 축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좌면부(22)는 중앙 좌면부(22a)와, 중앙 좌면부(22a)의 양 측연에 제 5 힌지부(30)를 통하여 접속된 1쌍의 측방 좌면부(22b)를 구비한다. 제 5 힌지부(30)는 유모차의 접어개는 때에 중앙 좌면부(22a)에 대한 각 측방 좌면부(22b)의 굴곡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의 두께를 줄임에 의해 형성된 박육부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발받침면부(23)도, 폭방향으로의 축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앙 발받침면부(23a)와, 상기 중앙 발받침면부(23a)의 양 측연에 제 6 힌지부(31)를 통하여 접속된 1쌍의 측방 발받침면부(23b)를 구비한다. 제 6 힌지부(31)는 유모차의 접어개는 때에 중앙 발받침면부(23a)에 대한 각 측방 발받침면부(23b)의 굴곡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의 두께를 줄임에 의해 형성된 박육부로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6 힌지부는 전부 수지의 박육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경우, 소망하는 굴곡 방향을 실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힌지부(24) 및 제 3 힌지부(27)에 대해서는 좌석 심재(20)의 이면측으로부터 노치가 넣어지고, 제 2 힌지부(25)에 대해서는 표면측으로부터 노치가 넣어진다. 도시하지 않지만, 제 4 힌지부(29)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좌석 심재(20)의 이면측으로부터 노치가 넣어진다. 제 5 힌지부(30) 및 제 6 힌지부(31)에 대해서는 어떠한 접어개는식 기구를 채용하는지에 따라 노치부의 위치가 변한다. 예를 들면, 측방 좌면부(22b) 및 측방 발받침면부(23b)가 접어개는 때에 후방을 향하여 굴곡하는 것이라면, 노치부는 좌석 심재의 표면측에 넣어진다.
이상 설명과 또한 도시한 좌석 심재에 의하면, 베드 형상 형태로의 사용시에, 등받이면부를 형성하는 심재와 좌면부를 형성하는 심재와 발받침면부를 형성하는 심재가 일체면서 또한 연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베드면 전체에 대해 매끈한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환언하면, 아기에 대해, 쾌적한 베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몇가지를 이하에 예시적으로 열거하여 설명한다.
(1) 좌석 심재는 유모차의 좌석 해먹에 넣어지는 심재라도 좋고, 유모차의 차체에 직접 부착되는 심재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면 좌석 해먹이 좌석 심재의 위에 장착된다.
(2) 도시한 실시 형에서는 좌석 심재는 1장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심재를 이용하고, 그들의 심재의 맞닿는 부분에 힌지 테이프를 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등받이면부를 형성하는 심재와 좌면부를 형성하는 심재를 단면(端面)에서 맞대고, 상기 맞닿는 부분에 제 1 힌지 테이프를 붙인다. 또한, 좌면부를 형성하는 심재와 발받침면부를 형성하는 심재를 단면에서 맞대고, 상기 맞닿는 부분에 제 2 힌지 테이프를 붙인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도, 베드면 전체에 대해 매끈한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3) 좌석 심재가, 헤드 가드면부(26) 및 1쌍의 상방 측면부(28)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4) 유모차가 접어개는 때에 폭방향으로 축소하지 않는 것이라면, 좌면부 및 발받침면부의 힌지부(30 및 31)를 생략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좌석 심재가 적용되는 육아 기구로서는 유모차에 한정되지 않고, 차일드 시트, 베이비 래크 등도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은 의자 형상의 형태와 베드 형상의 형태로 전환 가능한 육아 기구에 대해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좌석 심재가, 좌면부로부터 이여지는 발받침면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좌면부와 발받침면부 사이에 단차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심재에 의해 발받침면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좌면 연장 부재가 요철을 갖는 것이거나, 벨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 하더라도, 요철 형상의 감촉이 아기에게 전해 지지 않고, 또한 발받침면부의 움푹패여짐도 없다. 또한, 등받이면부의 심재와 좌면부의 심재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경계 부분에서 큰 오목부는 형성되지 않는다.

Claims (10)

  1. 의자 형상의 형태와 베드 형상의 형태로 전환 가능한 육아 기구에 부착되고 좌석을 형성하는 것이며, 육아 기구 본체와는 분리하여 마련되는 좌석 심재로서,
    해당 좌석 심재는 육아 기구 본체와는 분리하여 마련된 좌석 해먹의 안에 넣어지는 심재이며,
    아기의 등을 등 뒤로부터 받치는 등받이면부와,
    아기의 엉덩이를 아래로부터 받치는 좌면부와,
    상기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아기의 다리를 아래로부터 받치는 발받침면부와,
    상기 등받이면부의 경사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면부와 상기 좌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1 힌지부와,
    상기 좌면부에 대해 상기 발받침면부를 굴곡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좌면부와 상기 발받침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2 힌지부를 연속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면부와, 상기 좌면부와, 상기 발받침면부와, 상기 제 1 힌지부와, 상기 제 2 힌지부는 공통의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힌지부 및 제 2 힌지부는 해당 심재의 두께를 줄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부는 상기 등받이면부와 상기 좌면부와의 맞닿는 부분상에 붙여진 제 1 힌지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힌지부는 상기 좌면부와 상기 발받침면부와의 맞닿는 부분상에 붙여진 제 2 힌지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상기 등받이면부의 상단연으로부터 세우는 헤드 가드면부와,
    상기 헤드 가드면부의 세우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면부와 상기 헤드 가드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3 힌지부를 연속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상기 등받이면부의 양 측연으로부터 세우는 1쌍의 상방 측면부와,
    상기 상방 측면부의 세우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면부와 상기 각 상방 측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4 힌지부를 연속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부는,
    중앙 좌면부와,
    상기 중앙 좌면부의 양 측연에 접속된 1쌍의 측방 좌면부와,
    상기 중앙 좌면부에 대한 상기 각 측방 좌면부의 굴곡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중앙 좌면부와 상기 각 측방 좌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5 힌지부를 연속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면부는,
    중앙 발받침면부와, 상기 중앙 발받침면부의 양 측연에 접속된 1쌍의 측방 발받침면부와,
    상기 중앙 발받침면부에 대한 상기 각 측방 발받침면부의 굴곡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중앙 발받침면부와 상기 각 측방 발받침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 6 힌지부를 연속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9. 제 1항에 있어서,
    해당 좌석 심재는 유모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10. 삭제
KR1020040002865A 2003-01-28 2004-01-15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KR100550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8217 2003-01-28
JP2003018217A JP3981023B2 (ja) 2003-01-28 2003-01-28 乳母車の座席ハンモ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264A KR20040069264A (ko) 2004-08-05
KR100550745B1 true KR100550745B1 (ko) 2006-02-08

Family

ID=3265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865A KR100550745B1 (ko) 2003-01-28 2004-01-15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45224A1 (ko)
EP (1) EP1442956A1 (ko)
JP (1) JP3981023B2 (ko)
KR (1) KR100550745B1 (ko)
CN (1) CN100386231C (ko)
TW (1) TWI2477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0913B2 (ja) * 2003-03-03 2008-12-03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育児器具の座席形成部材
JP4823592B2 (ja) * 2005-07-12 2011-11-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用クッション
JP4758699B2 (ja) * 2005-07-21 2011-08-3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ラック用クッション
US7410213B1 (en) * 2005-08-05 2008-08-12 Brigitte Ferrari-Cicero Absorbent pad for child safety seat
US7677661B1 (en) * 2005-08-05 2010-03-16 Brigitte Ferrari-Cicero Pad for child safety seat
EP1772308A3 (en) * 2005-10-07 2010-06-30 Combi Corporation Cushion for retaining posture of child and structure using same cushion
JP5194294B2 (ja) * 2007-04-27 2013-05-08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乳幼児用ベッドの支持構造
US8042869B2 (en) 2007-07-13 2011-10-25 Kids Ii, Inc. Child seat liner
DE102012108054A1 (de) * 2011-12-21 2013-06-27 Recaro Child Safety Gmbh & Co. Kg Fahrzeugsitzvorrichtung
US20160096456A1 (en) * 2014-10-07 2016-04-07 Artsana Usa, Inc. Removable calf support for a child safety seat
CN211765815U (zh) * 2020-01-13 2020-10-27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支撑件防折断结构及具有该结构的婴儿车
CN113954947A (zh) * 2020-07-21 2022-01-21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背靠可联动收合的婴儿车
CN216269477U (zh) 2021-08-31 2022-04-12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推车及其座布组件
US11820416B1 (en) * 2023-04-28 2023-11-21 Jenny Heckler Convertible stroller assembly with pop-up privacy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908A (en) * 1896-06-09 Combined baby-jumper and chasr
US175395A (en) * 1876-03-28 Improvement in valve-couplers for oil-wells
US2709478A (en) * 1955-05-31 Baby bed and chair combination
US2027947A (en) * 1932-10-19 1936-01-14 Evr Klean Seat Pad Co Seat cover
US2254466A (en) * 1938-04-15 1941-09-02 Albert Lisa High-chair pad
US3078101A (en) * 1961-05-26 1963-02-19 George Lynn Garff Child's convertible furniture article
US4181356A (en) * 1977-01-13 1980-01-01 Henry Fleischer Folding baby carriers
US4265481A (en) * 1977-01-13 1981-05-05 Henry Fleischer Folding baby carriers
US4457032A (en) * 1981-05-21 1984-07-03 Clarke Edwin B Seat cushion
US4416462A (en) * 1982-04-15 1983-11-22 Thompson Judith D Removeable cushion for a shopping cart
JPS59160662A (ja) * 1983-03-02 1984-09-11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用ベツド
AU563327B2 (en) * 1983-08-22 1987-07-02 Aprica Kassai Kabushiki Kaisha Baby carriage bed
US4840841A (en) * 1988-03-15 1989-06-20 Madsen John J Disposable one-piece seat liner
US5086529A (en) * 1990-07-25 1992-02-11 Degroot Linda J Segmented support article
US5584422A (en) * 1993-04-05 1996-12-17 Bond-Madsen; Winnie Combination backpack and chair cover
US5547250A (en) * 1994-10-21 1996-08-20 Childers; Shirley A. Cart caddy for shopping carts
TW280801B (ko) * 1994-12-26 1996-07-11 Aprica Kassai Kk
JP3385120B2 (ja) * 1994-12-27 2003-03-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US5918933A (en) * 1995-09-21 1999-07-0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Body support
USD383636S (en) * 1996-04-19 1997-09-16 Harris Michael B High chair cushion
US6543844B1 (en) * 2000-02-15 2003-04-08 Bloorview Macmillan Centre Seating furniture for child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2956A1 (en) 2004-08-04
TWI247702B (en) 2006-01-21
KR20040069264A (ko) 2004-08-05
JP3981023B2 (ja) 2007-09-26
TW200417486A (en) 2004-09-16
CN1517257A (zh) 2004-08-04
US20040145224A1 (en) 2004-07-29
CN100386231C (zh) 2008-05-07
JP2004230915A (ja)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745B1 (ko) 육아 기구의 좌석 심재
US5735570A (en) Foldable chair frame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US6880850B2 (en) Stroller suitable for seating and reclining of a baby
US8231171B2 (en) Foldable chair
EP1442680B1 (en) Seat hammock for a child
US20040164523A1 (en) Foldable baby carriage
US11096493B1 (en) Folding chair
US4008918A (en) Chairs
GB2380401A (en) Infant retention member for a stroller
US5992929A (en) Folding collapsible rocking chair
US20060138827A1 (en) Swing chair and child-care chair
JP3994036B2 (ja) 親子ベッド
US7213875B2 (en) Foldable chair
JP6799999B2 (ja) 椅子用荷重支持部材、椅子
JP7001339B2 (ja) 育児器具の座席マット
JP5098110B2 (ja) ヘッドサポート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ショッピングカート
US3178220A (en) Portable desk chair
JP4188016B2 (ja) ベビーカー
JP3519827B2 (ja) 椅 子
CN215322804U (zh) 婴儿推车
US6517152B1 (en) Folding chair enabling reduced collapse height and volume
JP2004210185A (ja) ベビーカー
JPS6017153Y2 (ja) 操作把手を備えたベツド
JP6822821B2 (ja) 椅子用荷重支持部材、椅子、張材、及び椅子用荷重支持部材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