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858B1 -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6858B1 KR100546858B1 KR1020010058833A KR20010058833A KR100546858B1 KR 100546858 B1 KR100546858 B1 KR 100546858B1 KR 1020010058833 A KR1020010058833 A KR 1020010058833A KR 20010058833 A KR20010058833 A KR 20010058833A KR 100546858 B1 KR100546858 B1 KR 1005468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article storage
- sheet
- storage space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84 sile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2—Box-shaped seats; Bench-type seats, e.g. dual or twin 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1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 B62J9/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under the sadd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46—Luggage carriers forming part of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200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supporting U-locks on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후부 커버에 드는 비용을 삭감함과 동시에 장척 물품을 실을 수 있는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를 제공한다.
물품 수납 공간(16)의 전후 개구부(21, 22)로부터 장척 물품으로서의 스케이트 보드(86)를 시트(12) 아래에 화살표 ①처럼 삽입한다. 이 때, 좌우의 개구부(23)로부터 물품 수납 공간(16)에 손을 넣어 스케이트 보드(86)를 보다 간단히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수납 공간(16)의 편리함은 대단히 높아진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물품 수납 공간(16)은 후부 커버로 둘러쌀 필요는 없어 후부 커버가 불필요하므로, 커버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핸들 홀더의 구조 설명도 겸 종래 구조와의 비교도,
도 4는 도 2의 4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후부 프레임의 요부의 제조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분할 부싱의 부착 요령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시트 힌지의 부착 요령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시트 하부 트레이의 부착 요령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시트 및 시트 하부 트레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차량의 작용 설명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자동 이륜차에 화장 커버를 부착했을 때의 외관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 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 부재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 부재의 측면도,
도 17은 도 16의 17-17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18-18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트의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20화살표 방향도(시트의 저면도),
도 21은 도 20의 21-21선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트 힌지의 단품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트 개방한계 위치의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트의 지지 부재로의 부착도,
도 25는 본 발명의 U자 록의 분해도 겸 시트 저판부로의 부착 요령도,
도 26은 본 발명에서의 각종 U자 록의 부착 요령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시트 록 부재의 작용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요부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축받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1은 도 29의 31-31선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 1 장착 공정도,
도 33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 2 장착 공정도,
도 34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 3 장착 공정도,
도 35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 1 작용 설명도,
도 36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 2 작용 설명도,
도 37은 본 발명의 물품 수납부 구조를 구비한 차량의 다른 핸들 주변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자동 이륜차) 11 … 핸들
12, 125 … 시트 13 … 스텝 플로어
14 … 후부 프레임 15, 110 …지지 부재
16 … 물품 수납 공간 17 … 물품 수납 공간의 전면
18 … 물품 수납 공간의 후면 19 … 물품 수납 공간의 측면
21 ∼ 23 … 물품 수납 공간의 개구부 86, 87 … 장척 물품
111 … 파이프 프레임 116R …지지 부재의 일부(받침 피스)
116a … 받침 피스의 오목부
66L, 111L … 좌측 수평부(좌측 지지 부재)
66R, 111R … 우측 수평부(우측 지지 부재)
117 … 소물(小物) 부착 브라켓 119 … 시트 록 부재
130 … 시트 저판부
131 … 시트 저판부에 형성한 결합부(コ자 결합부)
133, 134, 137, 138 … U자 록의 유지부
142 … 시트 힌지 150 … U자 록
151 … U자 록의 U자부 152 … U자 록의 봉부
160 … 분할 부싱(축받이) 175 … 회전 멈춤부
본 발명은 장척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차량의 수납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트 아래에 헬멧 등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구비한 스쿠터형 차량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수납부에는 낚시대나 스케이트 보드와 같은 장척 물품을 수납할 수는 없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발명으로서, 예를 들면 특공평 7-35151호 공보 「자동 이륜차의 후부 박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 발명은 동 공보의 제 2도에서, 승원(乘員) 시트(18)의 아래에 후부 커버(6)로 둘러싼 후부 박스(10)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동 공보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부 커버(6)의 전후에 개폐 뚜껑(13, 16)을 구비하고, 낚시대(32)를 수납할 때만 상기 개폐 뚜껑(13, 16)을 여는 것이다.
즉, 상기 공보의 자동 이륜차는 외관은 통상의 스쿠터형 차량과 동일하며 승원 시트(18) 아래를 후부 커버(6)로 한 바퀴 둘러싼 후부 커버(6)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후부 커버(6)는 통상 수지 성형품이 채용되나, 전체적으로 만곡(灣曲)형상을 나타내고, 수지 성형에 형상이 복잡한 캐비티를 구비한 금형이 필요하므로, 제 조 비용이 늘어난다. 차량의 비용을 억제하는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후부 커버는 비용 저감에 방해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부 커버에 드는 비용을 삭감함과 동시에 장척 물품을 실을 수 있는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은, 핸들과 시트 사이에 평탄한 스텝 플로어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스텝 플로어로부터 후방 비스듬하게 위로 후부 프레임을 이어지게 하고, 상기 후부 프레임으로부터 좌우의 지지 부재를 세워, 이들 지지 부재의 상단에 상기 시트를 걸치듯이 놓음으로써, 시트와 좌우의 지지 부재로 둘러싼 물품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물품 수납 공간의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시트 아래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장척 물품을 관통하여 수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의 지지 부재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판 또는 벽이어도 된다.
시트 아래에 형성한 물품 수납 공간으로는 스케이트 보드나 낚시대와 같은 장척 물품을 관통시킴으로써 적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물품 수납 공간은 후부 커버로 둘러 쌀 필요는 없어, 후부 커버가 불필요하므로, 커버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2는, 핸들과 시트 사이에 평탄한 스텝 플로어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스텝 플로어로부터 후방 비스듬하게 위로 후부 프레임을 이어지게 하고, 상기 후부 프레임으로부터 좌우의 지지 부재를 세워, 이들 지지 부재의 상단에 시트를 걸치듯이 놓음으로써, 시트와 좌우의 지지 부재로 둘러싼 물품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물품 수납 공간의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시트 아래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장척 물품을 관통하여 수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상기 물품 수납 공간의 좌우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 아래에 형성한 물품 수납 공간으로는 스케이트 보드나 낚시대와 같은 장척 물품을 관통시킴으로써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수납 공간의 좌우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좌우의 개구부로부터 물품 수납 공간에 손을 넣어 장척 물품을 보다 간단하게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수납 공간의 편리함은 매우 높아진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물품 수납 공간은 후부 커버로 둘러쌀 필요는 없어 후부 커버가 불필요하므로, 커버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에서는, 시트는 좌 또는 우측부를 지지 부재에 시트 힌지로 연결함으로써 개방 가능하게 하고, 시트 힌지 근방의 시트 저판부에, 시트 개방시에 지지 부재의 일부에 결합하여 시트 개방한계 위치를 정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측의 결합부를 지지 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개방시에 시트를 유지시킬 수 있다. 결합부는 시트 저판부와 일체 성형 가능하여, 구조가 심플해져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별도 부재의 스토퍼 기구를 불필요로 할 수 있어, 시 트 주변의 심플화와 저비용화 양쪽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에서는, 시트는 U자 록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시트 저판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자 록은 시트 저판부에 수납한다. 종래는 대부분은 시트 아래의 수납부에 U자 록을 수납하고 있었으므로, 수납부의 유효 스페이스가 감소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측에 U자 록을 수납하므로, 시트 아래에 수납부가 있는 경우, 수납부의 유효 스페이스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종래는 시트 후방의 후부 캐리어에 U자 록을 수납하고 있었으나, 이것으로는 U자 록이 밖에서 보인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U자 록을 시트로 덮을 수 있어, 후부 캐리어 주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는, 핸들과 시트 사이에 평탄한 스텝 플로어를 구비하고, 상기 스텝 플로어로부터 후방 비스듬하게 위로 후부 프레임을 이어지게 하고, 상기 후부 프레임으로부터 좌우의 지지 부재를 세워, 이들 지지 부재의 상단에 상기 시트를 걸치듯이 놓음으로써, 상기 시트와 좌우의 지지 부재로 둘러싼 물품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물품 수납 공간의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시트 아래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장척 물품을 관통하여 수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에 있어서,
좌우의 지지 부재의 한쪽에, 축받이를 씌우고, 상기 축받이가 지지 부재에 대해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멈춤부를 축받이로부터 이어지게 해 지지 부재 측에 걸고, 이러한 축받이에 시트 힌지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시트 힌지에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시트를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의 지지 부재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판 또는 벽이어도 된다.
시트 아래에 형성한 물품 수납 공간으로는 스케이트 보드나 낚시대와 같은 장척 물품을 관통시킴으로써 적재할 수 있다.
또, 시트를 지지 부재를 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했다. 그 때문에, 스케이트 보드나 낚시대와 같은 장척 물품을 물품 수납 공간으로 적재할 때, 시트를 개방함으로써 물품 수납 공간에 장척 물품을 더욱 간단히 적재할 수 있고, 또한 물품 수납 공간으로부터 장척 물품을 더욱 간단히 꺼낼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물품 수납 공간은 후부 커버로 둘러쌀 필요는 없어 후부 커버가 불필요하므로, 커버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에 대해 축받이가 공회전하면 지지 부재에 쒸운 도료가 벗겨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청구항 5에서는 회전 멈춤부를 축받이로부터 이어지게 해, 이 회전 멈춤부를 지지 부재측에 걸었다.
이에 의해, 회전 멈춤부로 축받이의 공회전을 저지하여, 도장(塗裝)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지지 부재에 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전」, 「후」, 「좌」, 「우」는 운전자로부터 본 방향에 따라, 도면은 부호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륜차, 삼륜차 및 사륜차에 널리 적용 가능하나, 편의상 차 량으로서 자동 이륜차를 예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의 사시도이며, 차량으로서 자동 이륜차(10)는 핸들(11)과, 화살표처럼 튀어오르는 것이 가능(즉, 개방 가능)한 시트(12)와, 시트(12)에 의해 개방되어 시트 아래에 설치되는 시트 하부 트레이(80)와, 핸들(11)과 시트(12) 사이에 배치한 평탄한 스텝 플로어(13)를 구비하고, 이 스텝 플로어(13)로부터 후방 비스듬한 위로 후부 프레임(14)을 이어지게 하고, 이 후부 프레임(14)으로부터 지지 부재(15)를 세우고, 이 지지 부재(15)의 상단에 시트(12)를 걸치듯이 놓음으로써, 시트(12)와 지지 부재(15)로 둘러싼 물품 수납 공간(16)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물품 수납 공간(16)의 전면(17)과 후면(18)(이 예에서는 좌우의 측면(19)도 도시한다)에 개구부(21, 22, 2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24는 스텝 플로어(13)의 전단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이어짐과 동시에 세운 레그 실드, 25는 스텝 플로어(13)의 후단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이어진 수납부 저판이다. 상술한 특징을 포함해 자동 이륜차(10)의 상세한 구조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측면도이며, 차량으로서의 자동 이륜차(10)는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메인 프레임(27)의 후단으로부터 후부 프레임(14)을 이어지게 하고, 이 후부 프레임(14)에 실린더(28)를 앞으로 기울인 4사이클 엔진(29)을 포함하는 파워 유닛(30)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파워 유닛(30)으로 후륜(31)을 구동하게 함과 동시에, 메인 프레임(27)의 전단의 도시하지 않은 헤 드 파이프에 스티어링 샤프트(32)를 선회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티어링 샤프트(32)의 상단에 전후 둘로 분할 가능한 핸들 홀더(33)를 개재하여 핸들(11)을 부착하고,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32)의 하단에 전부 포크(34)를 통해 전륜(35)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이륜차이다.
또한, 레그 실드(24)의 상단은 선 L1으로 연결한 것처럼 전륜(35)의 상단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 레벨로 했다. 전륜(35)이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레그 실드(24)를 콤팩트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 발 올림부로서의 스페이스로서도 유용해진다.
또한, 후부 프레임(14)의 연장선 L2보다 아래에 테일 램프(36)를 배치함으로써, 연장선 L2보다 위에 방해물을 돌출시키지 않도록 했으므로, 개구부(22)로부터 물품 수납 공간(16) 내로 장척 물품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38은 전장품(電裝品) 박스, 39는 연료계, 41은 전부 캐리어 겸용의 헤드 램프지지 파이프, 42는 헤드 램프, 43은 전부 펜더, 44는 연료 탱크, 45는 개폐 가능한 리드(연료 공급구), 46은 에어 클리너, 47은 사일렌서, 48은 후부 쿠션, 49는 후부 펜더이다.
또, 후부 프레임(14)에 세운 지지 부재(15)는 볼트(51, 51)에 의해 후부 프레임(14)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도 3(a), (b)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핸들 홀더의 구조 설명도 겸 종래 구조와의 비교도이다.
(a)는 널리 채용되어 있는 종래의 핸들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며, 홀더 본체(101)의 상부에 반원 오목부(102, 102)를 구비하고, 이들 반원 오목부(102, 102)에 핸들(103)을 끼워, 위로부터 가압 블록(104, 104)을 대어, 이들 가압 블록(104, 104)을 볼트(105…)(…는 복수를 나타낸다. 이하 동일)로 홀더 본체(101)에 결합하는 것이 널리 채용되어 있으며, 분할면(106)이 수평면(포함하는 대략 수평면)이므로, 조립은 용이하나, 전후 폭은 필연적으로 커진다.
(b)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핸들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며, 홀더 본체(52)의 전면에 반원 오목부(53, 53)를 형성하고, 이들 반원 오목부(53, 53)에 핸들(11)을 끼우고, 앞으로부터 가압 블록(54, 54)을 대어, 이들 가압 블록(54, 54)을 볼트(55…)로 홀더 본체(52)에 결합하는 것이 널리 채용되어 있으며, 분할면(56)이 대략 연직면이므로, 세로로 길어지기는 하나, 전후 폭은 필연적으로 작아져 전체적으로 슬림한 인상을 준다. 또, 운전자로부터는 볼트가 보이지 않는 것과 더불어, (b)쪽이 (a)보다 더 보기 좋다고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4부 확대도이며, 후부 프레임(14)을 전방 프레임(57)과 후방 프레임(58)으로 구성하고, 이들 전방·후방 프레임(57, 58) 사이에 차체측 피벗부를 구성하는 소켓(59)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체측 피벗부를 구성하는 소켓(59)에 도시 생략한 레버 부싱을 내장하고, 거기에 볼트(61)를 통과시켜 이 볼트(61)에 삼각형 링크(62)를 고정하고, 이 삼각형 링크(62)를 볼트(61)를 중심으로 레버 부싱의 탄성 범위에서 스윙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삼각형 링크(62)의 후단에 파워 유닛(30)을 볼트(63)로 고정한다. 이것으로 파워 유닛(30)은 볼트(61) 및 볼트(63)를 스윙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그 때문에, 소켓(59)에는 큰 힘이 가해진다.
도 5(a), (b)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후부 프레임의 요부의 제조 설명도이다.
(a)에서 두꺼운 소켓(59)에 전방 프레임(57)과 후방 프레임(58)을 맞댄다.
(b)에서 두꺼운 소켓(59)에 전방 프레임(57) 및 후방 프레임(58)을 용접한다. 이어서, 삼각형의 브라켓(64)(이 브라켓(64)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지지 부재(15)의 부착 부재이다)을 상상선 부분에 대어 브라켓(64)을 소켓(59) 및 전방·후방 프레임(57, 58)에 용접한다. 이것으로, 튼튼한 후부 프레임(14)을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체측 피벗부가 되는 소켓(59)을 간단히 후부 프레임(14)에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및 그것에 부착하는 개폐 가능한 시트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며, 지지 부재(15)는 좌측 전방 각부(脚部)(65L)(L은 좌측을 나타내는 첨자, R은 우측을 나타내는 첨자이다), 좌측 수평부(좌측 지지 부재)(66L), U자 크로스부(67), 우측 수평부(우측 지지 부재)(66R), 우측 전방 각부(65R)를 1개의 파이프 또는 바(bar)로 굽힘 형성하고, 전부에 크로스 멤버(78)를 걸친 것에 좌측 후방 각부(68L) 및 우측 후방 각부(68R)를 내림으로써, 전체적으로 4각대(脚臺)를 나타내는 것이며, 좌우의 수평부(66L, 66R)에 각각 2개, 합계 4개의 받침 피스(69…)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 부재(15)를 후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로 부착하는 것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분할 부싱의 부착 요령도이며, 좌측 수평부(66R)에 분할 부싱(71)을 부착한다. 정확하게는 소정 피치로 합계 2개 부착한다. 분할 부싱(71)의 외주에는 플랜지(71a…)를 구비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시트 힌지의 부착 요령도이며, 만곡부(73)의 양단으로부터 짧은 직선부(74, 74)를 이어지게 해, 이들 짧은 직선부(74, 74)로부터 긴 직선부(75, 75)를 이어지게 해 이루어지는 금속제 시트 힌지(72)를 준비하여, 분할 부싱(71)에 감고, 짧은 직선부(74, 74)끼리를 합쳐 비스(76)로 고정하고, 또한 긴 직선부(75, 75)끼리를 합친다. 만곡부(73)는 분할 부싱(7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원이 되므로, 분할 부싱(71)에 대해 회전은 가능해진다. 즉, 분할 부싱(71)은 시트 힌지(72)의 베어링 작용을 발휘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시트 하부 트레이의 부착 요령도이며, 시트 하부 트레이(80)는 공구 등의 소물(小物)을 수납하는 데 적합한 접시형상의 소물 수납부이며, 일측에 고리부(81), 다른 측에 테라스부(82)를 구비한다.
그리고, 고리부(81)를 우측 수평부(66R)에 걸면서, 테라스부(82)를 좌측 수평부(66L)의 받침 피스(69)에 놓음으로써, 지지 부재(15)에 트레이(80)를 실을 수 있다.
실은 후에는 고리부(8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면 반시계 방향으로 트레이(80)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 또는 똑바로 위로 떼어내는 것의 2가지가 가능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트 및 시트 하부 트레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시트 힌지(72)에 시트(12)를 비스(77, 77)로 고정함으로써, 시트(12)는 화살표처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다. 이 시트(12)의 개폐는 시트 하부 트레이(80)를 부착한 채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시트(12)를 개방하면 시트 하부 트레이(8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 또는 끌어 올리는 것 모두 가능하다. 이에 의해, 트레이 하부로의 물품 수납이 극히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트레이(80)에 물품을 넣은 상태로 시트 하부 공간을 개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83은 시트 록편(片)이며, 트레이(80)를 위에서 아래로 관통시킨 후에 도시 생략한 자물쇠 구조에 록/언록시킬 수 있다. 또, 84는 개도 규제 끈형상 부재이며, 시트(12)의 전개(全開) 개도를 규제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이륜차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차량의 작용 설명도이며, 도 1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부호를 동일하게 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물품 수납 공간(16)의 전후 개구부(21, 22)로부터 장척 물품으로서의 스케이드 보드(장척 물품)(86)를 시트(12)의 아래에 화살표 ①과 같이 넣는다. 이 때, 좌우의 개구부(23)로부터 물품 수납 공간(16)에 손을 넣어 스케이트 보드(86)를 보다 간단하게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수납 공간(16)의 편리함은 대단히 높아진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물품 수납 공간(16)은 후부 커버로 둘러쌀 필요는 없어 후부 커버가 불필요하므로, 커버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좌우 개구부(23)로부터 물품 수납 공간(16)에 운동화, 장갑 등의 도구를 넣은 도구상자(도시 생략)를 스케이트 보드(86)에 실어, 적당한 끈(도시 생략)으로 고정하면, 이 상태로 노상을 주행할 수 있다.
좌우 측면의 개구부(23)를 갖고 있으므로, 개구부(23)를 통해 도구상자를 간단히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측면의 개구부(23)는 없애도 되고, 또는 어느 한쪽만 있어도 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며, 도 1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부호를 동일하게 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이 예의 특징은 후부 프레임(14) 및 지지 부재(15)에 주조품, 바람직하게는 다이캐스트품을 채용한 것에 있다. 주조품이면 측면을 평탄면으로 하는 것은 용이하다.
그리고, 화장(化粧) 커버(91, 92, 93)(93은 좌우 2장)를 준비하여, 비스(94…)로 지지 부재(15)에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12의 자동 이륜차에 화장 커버를 부착했을 때의 외관도이며, 화장 커버(91, 92, 93)를 부착함으로써, 외관성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시트(1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5)의 형상은 전후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 또는 전후 좌우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이다.
다음으로, 지지 부재 및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 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동일 지지 부재의 평면도, 도 16은 동일 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지지 부재(110)는 강관을 U자 루프형상으로 또한 소정 형상으로 굽힘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프레임(111)의 양단을 눌러 후부 프레임에 볼트 결합하는 좌우의 플랜지부(112L, 112R)를 설치하고, 전부에 크로스 멤버(113)를 걸치고, 이 크로스 멤버(113)의 도중에 후크(114)를 설치하고, 프레임(111)의 후부로부터 좌우의 각부(115L, 115R)를 내림과 동시에, 프레임(111)의 좌측 수평부(111L)로부터 시트를 지지하는 좌측 받침 피스(116L, 116L)를 일체적으로 부착하고, 프레임(111)의 우측 수평부(111R)로부터 시트를 지지하는 우측 받침 피스(116R, 116R)를 일체적으로 부착하여, 좌측 받침 피스(116L, 116L)의 거의 중간 위치에 소물 부착 브라켓(117)을 아래로 이어지게 하여 이루어진다.
도 15, 16에 나타낸 소물 부착 브라켓(117)의 일단에 결합하는 상상선으로 나타낸 부재는 시트 록 부재(119)이며, 이 시트 록 부재(119)의 형상, 작용은 후술한다.
도 17은 도 16의 17-17단면도이며, 좌측 받침 피스(116L)를 파이프 프레임(111)에 용접으로 일체화함과 동시에, 상부에 수평 시트 받침면(121)을 구비한 것을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우측 받침 피스(116R)도 좌측 받침 피스(116L)와 동일하며, 상부에 수평 시트 받침면(121)(도 14 및 도 23 참조)을 구비한다.
도 18은 도 16의 18-18 단면도이며, 파이프 프레임(111)에 용접으로 일체화한 소물 부착 브라켓(117)의 일단으로부터 차체 중심측(도면에서는 좌측)으로 굽힘으로써, 시트 록 걸림부(112)를 설치하여, 이 시트 록 걸림부(122)에 시트 록 부재(119)를 걸 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낸다. 123은 일례로서 도 26에 나타낸 헬멧 홀더(155)를 부착하기 위한 볼트구멍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트의 단면도이며, 시트(125)는 시트 저판부(130)에 쿠션재(126)를 실어, 시트 표피(127)로 덮어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 시트 저판부(130)는 본 발명의 결합부로서의 コ자 결합부(131, 131)나, 상기 크로스 멤버(도 14 및 도 15의 부호 113)에 싣는 각부(132)나, U자 록(상세한 것은 후술하나 U자부와 봉부로 이루어진다)의 봉부를 지지하는 봉부 받침부(133)나, U자 록의 U자부를 통과하는 U자부 통과 바퀴부(134, 134) 등을 일체 형성한 수지 성형품이며, 그 구조를 다음 도면에서 보충 설명한다.
도 20은 도 19의 20 화살표 방향도(시트의 저면도)이며, 시트 저판부(130)는 도 2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コ자 결합부(131, 131)나, 크로스 멤버에 싣는 각부(132, 132)나, U자 록의 봉부를 지지하는 봉부 받침부(133)나, U자부를 통과하는 U자부 통과 바퀴부(134, 134)를 일체적으로 구비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도 24에서도 설명하나, 소책자를 넣을 수 있는 수납 오목부(135)나, 힌지 고정 볼트(136, 136)나, 봉부 받침부(133)에 나란히 설치한 J자 받침부(137)나, U자부 통과 바퀴부(134, 134)에 나란히 설치하여 장공형 통과 바퀴부(138, 138)를 일체 형성한 것이다.
도 21은 도 20의 21-21선 단면도이며, 시트 록 부재(119)는 탄성을 갖는 강선을 굽혀 도중에 손가락 걸림부(139)를 팽출 형성함과 동시에, 기부(基部)를 볼트(140)로 시트 저판부(130)에 고정함으로써, 시트 저판부(130)에 떼어냄 가능하 도록 부착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트 힌지의 단품도이며, 기본 구조는 도 8에서 설명한 시트 힌지와 동일 구조물이며, 시트 힌지(142)는 만곡부(143)로부터 1쌍의 제 1 직선부(144, 144) 및 이들에 이어지는 제 2 직선부(145, 145)를 빼내어, 제 1 직선부(144, 144)끼리를 겹치고, 제 2 직선부(145, 145)를 겹침으로써 완성하는 극히 단순한 힌지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트 개방한계 위치의 설명도이며, 파이프 프레임(111)에 분할 부싱(71)(도 7, 도 8의 분할 부싱(71)으로부터 중앙의 플랜지(71a)를 제외한 것)을 씌워, 이 부싱(71)에 시트 힌지(142)를 부착하고, 이 시트 힌지(142)의 제 2 직선부(145)를 시트측으로부터 이어지게 한 힌지 고정 볼트(136)에 너트(146)로 결합함으로써, 시트(125)를 우측 개방 가능하게 파이프 프레임(111)에 부착한 것을 나타낸다.
도면은 시트(125)가 개방한계 위치까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즉, 시트 저판부(130)로부터 이어지게 한 コ자 결합부(131)가, 지지 부재의 일부인 우측 받침 피스(116R)에 결합하여 스토퍼 작용을 발휘하고 있으므로, 시트(125)는 그 이상은 도면 우측으로는 회전하지 않는다. 반대로, 도면 좌측으로 스윙시키는 것은 가능하며, 그 결과 시트(125)를 닫을 수 있다.
즉, 시트(125)는 좌 또는 우측부(도 23에서는 우측부)를 지지 부재(파이프 프레임(111))에 시트 힌지(142)로 연결함으로써 개방 가능하게 하고, 시트 힌지(142) 근방의 시트 저판부(130)에, 시트 개방시에 지지 부재의 일부(우측 받침 피스(116R))에 결합하여 시트 개방한계 위치를 정하는 결합부(コ자 결합부(1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우측 받침 피스(116R)는 그 시트 받침면(121)으로 시트(125)를 지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 받침 피스이며, 이러한 받침 피스(116R)에 스토퍼편을 겸하게 함으로써, 스토퍼 부품을 대폭 절약 또는 폐지할 수 있었다.
또한, 시트측 결합부(コ자 결합부(131))는 시트 저판부(130)와 일체 성형 가능하여, 구조가 심플해져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다른 부재의 스토퍼 구조를 불필요로 할 수 있어, 시트 주변의 심플화와 저비용화 양쪽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트의 지지 부재로의 부착도이며, 시트(125)를 시트 힌지(142, 142)로 파이프 프레임(111)에 부착하고, コ자 결합부(131, 131)가 우측 받침 피스(116R, 116R)에 결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시트 저판부(130)에 コ자부 결합부(131, 131), 각부(132, 132), 봉부 받침부(133), U자부 통과 바퀴부(134, 134), 수납 오목부(135), J자 받침부(137), 장공형 통과 바퀴부(138, 138)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U자 록의 분해도 겸 시트 저판부로의 부착 요령도이며, 수납 오목부(135)의 개구는 리드(147) 및 비스(148)로 막을 수 있으며, 리드(147)의 일단에 설치한 설편(舌片)(149, 149)을 수납 오목부(135)의 가장자리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설편(149, 149)의 힌지 작용으로 리드(147)를 한쪽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은 리드(147)는 시트 저판부(130)에 걸어 둔 채가 되어, 리드(147)의 분실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U자 록(150)은 U자부(151)와 봉부(152)로 이루어지며, 봉부(152)의 일단으로부터 키(153)를 삽입하여 돌림으로써 봉부(152)로부터 U자부(151)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분리 상태의 봉부(152)를 J자 받침부(137) 및 봉부 받침부(133)에 삽입함으로써, 봉부(152)를 J자 받침부(137) 및 봉부 받침부(133)로 시트 저판부(130)에 건다.
다음으로, U자부(151)를 U자부 통과 바퀴부(134, 134) 및 장공형 통과 바퀴부(138, 138)에 삽입하고, 그 선단을 봉부(152)에 끼운다. 이어서, 키(153A)(시기적으로 구별하기 위해 A를 붙였다)를 돌려, U자 록(150)을 록 상태로 한다. 이후, 키(153A)는 뽑아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원칙적으로 키(153A)를 봉부(152)로부터 떼내어 보관한다.
이상에 기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시트(125)는 U자 록(150)을 유지하는 유지부(예를 들면 J자 받침부(137), 봉부 받침부(133), U자부 통과 바퀴부(134, 134) 및 장공형 통과 바퀴부(138, 138)로 이루어진다)를 시트 저판부(130)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종래는 대부분은 시트 아래의 수납부에 U자 록을 수납하고 있었으므로, 수납부의 유효 스페이스가 감소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측에 U자 록을 수납하므로, 시트 아래에 수납부가 있는 경우, 수납부의 유효 스페이스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종래는 시트 후방의 후부 캐리어에 U자 록을 수납하고 있었으나, 이것으로는 U자 록이 밖에서 보인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U자 록을 시트로 덮을 수 있어, 후부 캐리어 주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서의 각종 U자 록의 부착 요령도이며, U자 록은 기본적으로 자동 이륜차의 차륜의 타이어에 거는 것이며, 차륜의 타이어직경은 차종이나 배기량 등에 따라 사이즈가 다르다. 그 때문에, U자 록은 대소 각 사이즈의 것이 제공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소 사이즈의 U자 록(150)이어도 대 사이즈의 U자 록(150B)이어도 수납 가능하도록, 장공형 통과 바퀴부(138, 138)를 채용하여, 그 장공 부분으로 대응시키도록 했다.
또, 소물 부착 브라켓(117)에는 예를 들면 헬멧 홀더(155)를 부착한다. 단, 소물 부착 브라켓(117)은 다음 작용을 겸한다.
도 27(a) ∼ (c)는 본 발명의 시트 록 부재의 작용 설명도이다.
(a)는 시트를 닫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시트 록 부재(119)는 화살표와 같이 하강하고, 시트 록 걸림부(122)의 뒷면 비스듬한 면(156)에 닿아 도면 좌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그 결과, 시트 록 부재(119)(도 26도 참조)는 더욱 하강 가능해진다.
(b)에서, 끝까지 하강한 시트 록 부재(119)는 직선형상으로 복귀하여 시트 록 걸림부(122)에 걸린다. 그 결과, 닫힌 상태의 시트가 열릴 염려는 없다.
(c)는 (b)의 우측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며, 록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시트 록 부재(119)에 팽출 형성한 손가락 걸림부(139)에 손가락(157)을 걸어 도면 안쪽으로 밀어, 시트 록 부재(119)를 시트 록 걸림부(122)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종래는 시트 록 기구는 자물쇠 기구를 포함하는 대형의 복잡한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가는 스프링 와이어형상의 시트 록 부재(119)만으로 시트 록을 완성할 수 있다. 즉, 상대 부품은 다른 목적의 소물 부착 브라켓(117)을 능숙하게 이용함으로써 해결했으므로, 시트 록 기구를 위한 부품은 스프링 와이어형상의 시트 록 부재(119)만으로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 28 ∼ 도 3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며, 시트(125)를 개방한계 위치까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시트(125)를 지지 부재(10)로 지지하기 위해, 지지 부재(110)를 구성하는 파이프 프레임(111)의 우측 수평부(111R)에 일정 간격을 두고 축받이(분할 부싱)(160, 160)를 씌우고, 이들 분할 부싱(160, 160)에 각각 시트 힌지(142, 142)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들 시트 힌지(142, 142)에 볼트(136) 및 너트(146)로 시트(125)를 부착한다.
시트 힌지(142, 142)를 회전시킴으로써 시트(125)를 개폐할 수 있다.
이 분할 부싱(160, 160)을 구비한 자동 이륜차는 도 1에 나타낸 자동 이륜차(10)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이 자동 이륜차를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자동 이륜차는 핸들(11)과 시트(12) 사이에 평탄한 스텝 플로어(13)를 구비하고, 이 스텝 플로어(13)로부터 후방 비스듬한 위로 후부 프레임(14)을 이어지게 하고, 이 후부 프레임(14)으로부터 지지 부재(110)(도 28에 나타낸다)를 세우고, 이 지지 부재(110)의 상단에 시트(125)(도 28에 나타낸다)를 걸치듯이 놓음으로써, 시트(12)와 지지 부재(110)로 둘러싼 물품 수납 공간(16)을 형성하고, 또한 물품 수납 공간(16)의 전면(17)과 후면(18)과 좌우의 측면(19)에 개구부(21, 22, 23)를 형성한다.
물품 수납 공간(16)의 전면(17)과 후면(18)에 개구부(21, 22)를 형성함으로써, 시트(125) 아래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장척 물품(일례로서 스케이트 보드(86)(도 11에 나타낸다)를 관통하여 수납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10)는 도 1에 나타낸 지지 부재(15)와 대략 동일한 부재이며, 시트(15)는 도 1에 나타낸 시트(12)와 대략 동일한 부재이다.
이 자동 이륜차는 도 11과 동일하게 시트(125)와 지지 부재(110)로 둘러싼 물품 수납 공간(16)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물품 수납 공간(16)의 전면(17)과 후면(18)과 좌우 측면(19)에 개구부(21, 22, 23)를 형성함으로써, 도 11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125)를 우측 수평부(111R)를 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스케이트 보드나 낚시대와 같은 장척 물품을 물품 수납 공간(16)으로 적재 할 때, 시트(125)를 개방한 후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트 하부 트레이(80)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것 또는 끌어 올려 떼어냄으로써, 물품 수납 공간(16)에 장척 물품을 간단히 적재할 수 있고, 또한 물품 수납 공간(16)으로부터 장척 물품을 간단히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이륜차의 편리함을 대단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시트 하부 트레이(8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자동 이륜차의 경우에는, 시트(125)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물품 수납 공간(16)에 장척 물품을 적재하는 작업이나, 물품 수납 공간(16)으로부터 장척 물품을 간단히 꺼낼 수 있다.
또, 이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기본적으로는 물품 수납 공간(16)을 후부 커버로 둘러쌀 필요는 없어 후부 커버가 불필요하므로, 커버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요부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우측 수평부(111R)에 씌운 분할 부싱(160)이 우측 수평부(111R)에 대해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멈춤부(175)를 분할 부싱(160)에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회전 멈춤부(175)를 우측 수평부(111R)를 따라 후방으로 이어지게 해, 우측 수평부(111R)에 부착한 우측 받침 피스(116R)에 걸리게 함으로써, 분할 부싱(160)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멈춤부(175)를 우측 받침 피스(116R)에 거는 내용은 도 30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0(a), (b)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축받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우측 수평부(111R)로부터 분할 부싱(160)을 떼낸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b)는 (a)의 화살표 방향도이다.
분할 부싱(160)은 수지제의 부재로서, 만곡형상으로 형성한 상하의 개폐부(163, 164)와, 이들 상하 개폐부(163, 164) 사이에 배치한 연결부(165)와의 3개의 피스를 갖고, 상하 개폐부(163, 164)를 상하 힌지(166, 167)로 연결부(165)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통체를 구성하고, 이 통체의 전후단에 전후의 플랜지(161, 162)를 구비한 것이다.
상부 힌지(166)는 분할 부싱(160)의 내주(160a)에 홈(168a)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후 플랜지(161, 162)에 절결(169a, 169a)을 형성하여 박육부로 함으로써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한 것이다.
하부 힌지(166)는 분할 부싱(160)의 내주(160a)에 홈(168b)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후 플랜지(161, 162)에 절결(169b, 169b)을 형성하여 박육부로 함으로써, 상부 힌지(166)와 동일하게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하 힌지(166, 167)를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하 개폐부(163, 164)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분할 부싱(160)은 전후 플랜지(161, 162)에 각각 조임부(170, 170)를 구비한다. 조임부(170)는 상부 개폐부측에 물림부(171)를 구비하고, 하부 개폐부(164)측에 대략 コ자형의 걸림편(172)을 구비한다.
걸림편(172)을 물림부(171)에 걸어 상하 개폐부(163, 164)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고, 분할 부싱(160)을 우측 수평부(111R)에 단단히 씌울 수 있다.
또한, 분할 부싱(160)은 후부 플랜지(162)의 연결부(165)에 상당하는 위치에 회전 멈춤부(175)를 구비한다. 이 회전 멈춤부(175)는 수평부(111R)를 따라 돌출편(176)을 후방으로 이어지게 하고, 이 돌출편(176)의 상측에 보강편(177)을 구비함으로써 단면 대략 T자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돌출편(176)에 보강편(177)을 구비함으로써 돌출편(176)을 강고하게 보강할 수 있다.
회전 멈춤부(175)의 돌출편(176)을 받침 피스(116R)의 오목부(116a)에 화살표와 같이 삽입함으로써, 시트(125)(도 29에 나타낸다)를 개폐할 때, 분할 부싱(160)이 우측 수평부(111R)에 대해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1은 도 29의 31-31선 단면도이며, 조임부(170)의 걸림편(172)을 물림부(171)에 걸리게 함과 동시에, 상하 개폐부(163, 164) 사이에 간극(S1)(도 30도 참조)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하 개폐부(163, 164) 사이에 간극(S1)을 형성함으로써, 상부 개폐부(163)의 내주(163a), 하부 개폐부(164)의 내주(164a) 및 연결부(165)의 내주(165a)를 우측 수평부(111R)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분할 부싱(160)을 우측 수평부(111R)에 단단히 씌울 수 있다.
또한, 전후 플랜지(161, 162)에 절결(169a, 169b)을 형성함으로써, 상하 힌지(166, 167)를 탄성 변형시켜 상하 개폐부(163, 164)를 열었을 때, 상부 개폐부(163)측의 플랜지와 연결부(165)측의 플랜지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부 개폐부(164)측의 플랜지와 연결부(165)측의 플랜지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변형예의 장착 공정을 설명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 1 장착 공정도이다.
분할 부싱(160)의 상하 힌지(166, 167)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상하 개폐부(163, 164)를 열어, 분할 부싱(160)을 화살표 ③처럼 우측 수평부(111R)를 향해 이동시킨다.
우측 수평부(111R)에 연결부(165)의 내주(165a)를 접하게 한 후, 상하 개폐부(163, 164)를 화살표 ④처럼 닫는다. 이 때, 회전 멈춤부(175)의 돌출편(176)을 도 30(a)에 나타낸 받침 피스(116R)의 오목부(116a)에 끼운다.
도 33(a) ∼ (c)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 2 장착 공정도이다.
(a)에 있어서, 상하 개폐부(163, 164)를 닫음으로써, 물림부(171)의 경사면(171a)에 걸림편(172)이 화살표처럼 가까워진다.
(b)에 있어서, 걸림편(172)이 탄성 변형하여 물림부(171)의 경사면(171a)((a)에 나타낸다)에 올라간다.
(c)에 있어서, 걸림편(172)은 물림부(171)를 뛰어넘음으로써 탄성 변형 전의 상태로 돌아가 물림부(171)에 걸리게 된다. 걸림편(172)이 물림부(171)에 걸림으로써, 상하 개폐부(163, 164)를 닫은 상태로 유지한다.
상하 개폐부(163, 164)를 닫는 것만으로, 걸림편(172)을 물림부(171)에 간단히 걸 수 있으므로, 우측 수평부(111R)에 분할 부싱(160)을 간단히 씌울 수 있다.
도 34(a) ∼ (b)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 3 장착 공정도이다.
(a)에 있어서, 분할 부싱(160)의 우측 수평부(111R)에 단단히 씌운 후, 시트 힌지(142)를 연 상태로 유지하면서 화살표 ⑤처럼 이동하여, 시트 힌지(142)의 만곡부(143)를 분할 부싱(160)의 외주(160b)에 끼운다.
만곡부(143)를 분할 부싱(160)에 끼운 후, 시트 힌지(142)를 화살표 ⑥처럼 닫음으로써, 시트 힌지(142)의 제 1 직선부(144, 144)끼리 및 제 2 직선부(145, 145)끼리를 겹친다.
(b)에 있어서, 겹친 제 1 직선부(144, 144)끼리를 비스(76) 및 너트(76a)로 조임으로써, 시트 힌지(142)의 만곡부(143)를 분할 부싱(16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다.
다음으로, 겹친 제 2 직선부(145, 145)끼리의 부착구멍(145a)을 볼트(136)에 끼워 넣어, 볼트(136)에 너트(146)를 조임으로써 시트 힌지(142)를 시트(125)의 시트 저판부(130)에 부착한다.
이에 의해, 시트 힌지(142)의 만곡부(143)를 분할 부싱(16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시트(125)를 개폐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변형예의 작용, 특히 도 30에 나타낸 회전 멈춤부(175) 및 조임부(17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 1 작용 설명도이며, 특히 회전 멈춤부(175)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시트(125)를 사용 위치부터 개방 위치까지 개방할 때, 시트 힌지(142)의 만곡부(143)가 분할 부싱(160)의 표면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시트 힌지(142)는 상상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화살표 ⑦처럼 스윙한다.
회전 멈춤부(175)의 돌출편(176)이 도 30(a)에 나타낸 받침 피스(116R)의 오목부(116a)에 끼워져 있으므로, 분할 부싱(160)이 우측 수평부(111R)에 대해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할 부싱(160)의 공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분할 부싱(160)으로 우측 수평부(111R)로부터 도장을 박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우측 수평부(111R)의 도료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6(a), (b)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 2 작용 설명도이며, 특히 조임부(17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또한, (a)는 조임부가 없는 분할 부싱을 비교예로서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a)는 우측 수평부(111R)에 분할 부싱(200)을 씌우고, 분할 부싱(200)에 시트 힌지(142)의 만곡부(143)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시트 힌지(142)를 볼트(136) 및 너트(146)로 시트(125)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분할 부싱(200)에 회전 멈춤부(175)(변형예와 동일한 부재)를 구비하고, 회전 멈춤부(175)의 돌출편(176)을 우측 수평부(111R)측에 걸리게 함으로써, 분할 부싱(200)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분할 부싱(200)은 상하의 개폐부(201, 202)의 단부(201a, 202a)에 조임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a)에 의하면, 시트(125)를 화살표처럼 개폐 위치부터 사용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 시트 힌지(142)의 만곡부(143)가 분할 부싱(200)의 외주에 접촉한 상태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만곡부(143)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분할 부싱(200)의 상부 개폐부(201)가 상부 힌지(203)를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⑧처럼 외측으로 열리고, 상부 개폐부(201)가 만곡부(143)에 강하게 압착되어, 상부 개폐부(201)가 만곡부(143)에 파고들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로 만곡부(143)를 화살표 방향으로 강인하게 회전시키므로, 만곡부(143)를 회전시킬 때 삐걱거리는 소리가 발생한다.
또한, 상부 개폐부(201)를 만곡부(143)에 강하게 압착한 상태에서, 만곡부(143)를 화살표 방향으로 강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분할 부싱(200)의 마모량도 많아져 내구성을 높이기 힘들다.
또한, 삐걱거리는 소리나 마모는 시트 힌지(142)가 화살표와 역방향으로 스윙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즉, 시트 힌지(142)가 화살표와 역방향으로 스윙한 경우에는, 분할 부싱(200)의 하부 개폐부(202)가 하부 힌지(204)를 지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열림으로써, 하부 개폐부(202)가 시트 힌지(142)의 만곡부(143)애 파고 들게 되어, 시트 힌지(142)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b)는 우측 수평부(111R)에 분할 부싱(160)을 씌우고, 분할 부싱(160)에 시트 힌지(142)의 만곡부(143)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시트 힌지(142)를 볼트(136) 및 너트(146)로 시트(125)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분할 부싱(160)에 구비한 회전 멈춤부(175)의 돌출편(176)을 우측 수평부(111R)측에 걸리게 함으로써, 분할 부싱(160)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b)에 의하면, 시트(125)를 화살표처럼 개폐 위치부터 사용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 시트 힌지(142)의 만곡부(143)가 분할 부싱(160)의 외주(160b)에 접촉한 상태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만곡부(143)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분할 부싱(160)의 상부 개폐부(163)에 상부 힌지(166)를 지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열리게 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상하 개폐부(163, 164)를 열지 않도록 조임부(170)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부 개폐부(163)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트 힌지(142)의 만곡부(143)를 분할 부싱(160)의 외주(160b)를 따라 원활하게 회전시켜, 삐걱거리는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힌지(142)의 만곡부(143)를 분할 부싱(160)의 외주(160b)를 따라 원활하게 회전시킴으로써, 분할 부싱(160)의 마모량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작용은 시트 힌지(142)가 화살표와 역방향으로 스윙하는 경우에도, 만곡부(143)를 분할 부싱(160)의 외주(160b)를 따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삐걱거리는 소리의 발생이나, 분할 부싱(160)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자동 이륜차(10)의 핸들 주변의 구성을 도 37과 같이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7(a), (b)는 본 발명의 물품 수납부 구조를 구비한 차량의 다른 핸들 주변을 나타낸 설명도이며,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 도면에 있어서 자동 이륜차(10)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자동 이륜차는 헤드 파이프(180)의 상단에 상측 외부 레이스(181a), 베어링 및 상측 내부 레이스(도시 생략)를 통해 스티어링 샤프트(32)를 선회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측 내부 레이스로부터 돌출시킨 스티어링 샤프트(32)에 스티어링 레이스(181b)를 나사결합시켜, 스티어링 레이스(181b)의 상측으로부터 돌출된 스티어링 샤프트(32)에 록 너트(182)를 나사결합하고, 록 너트(182)로부터 돌출된 스티어링 샤프트(32)에 칼라(183)를 볼트(184) 및 너트(185)로 부착하고, 너트(185)를 커버(191)로 덮고, 칼라(183)에 좌우 브라켓(186L, 186R)을 부착하고, 칼라(183) 및 좌우 브라켓(186L, 186R)에 핸들(11)을 부착한 것이다.
핸들(11)을 조작함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32)를 선회시켜, 스티어링 샤프트(32)의 선회력을 전륜에 전달함으로써, 자동 이륜차의 주행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또, 이 도면은 핸들(11) 및 우측 브라켓(186R)에 지지부(187)를 부착하고, 지지부(187)에 부착 플레이트(188)를 부착하고, 부착 플레이트(188)에 스피드 미터 등의 계기류를 배치한 계기부(189)를 부착하고, 록 너트(182)와 칼라(183) 사이의 간극(S2)에 고무제의 고리형상 시일(189)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록 너트(182)와 칼라(183) 사이의 간극(S2)에 고무제의 고리형상 시일(189)을 부착함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32)의 누출된 부위를 고리형상 시일(189)로 덮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록 너트(182)와 칼라(183) 사이의 간극(S2)으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의 노출된 부위를 고리상 시일로 덮음으로써, 자동 이 륜차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고리형상 시일(89)은 스티어링 샤프트(32)의 형상에 맞춰 내주에 단부(189a)를 구비한다.
또한, 청구항 3의 결합부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コ자 결합부(131)로 형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시트 개방시에 지지 부재의 일부에 결합하여 시트 개방한계 위치를 정하는 것이면, 형상의 변경에는 지장없다.
또, 청구항 4의 U자 록을 유지하는 유지부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시트 저판부에 U자 록 형상의 홈을 일체 형성하고, 이 홈에 넣은 U자 록을 탈락시키지 않도록, 뚜껑이나 물림부로 억제하도록 해도 되며, 중요한 것은 시트의 바닥에 U자 록의 유지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면 된다.
또한, 청구항 5에서는 시트(125)를 시트 힌지(142)를 통해 우측 수평부(111R)를 축으로 개폐시키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시트(125)를 좌측 수평부(111L)를 축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지지 부재(15) 및 도 14에 나타낸 지지 부재(110)에서는, 1개의 파이프 또는 바를 굽힘으로써 좌우의 수평부(즉, 지지 부재)를 형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좌우의 지지 부재를 다른 부재로 형성하고, 이들 지지 부재를 각가 후부 프레임에 세우도록 구성해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서는 회전 멈춤부(175)를 분할 부싱(160)에 구비하고, 이 회전 멈춤부(175)를 우측 수평부(111R)에 부착한 받침 피스(116R)에 오목부(116a)에 끼움으로써, 분할 부싱(160)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회전 멈춤부를 받침 피스에 구비하고, 오목부를 분할 부싱에 형성하도록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의 회전 멈춤부(175)를 돌출편(176) 및 보강편(177)으로 단면 대략 T자형으로 형성한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회전 멈춤부(175)의 형상은 받침 피스(116R)의 오목부(116a)에 맞춰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회전 멈춤부(175)는 보강편(177)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음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은, 후부 프레임으로부터 좌우의 지지 부재를 세워, 이들 지지 부재의 상단에 시트를 걸치듯이 놓음으로써, 시트와 좌우의 지지 부재로 둘러싼 물품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물품 수납 공간의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했으므로, 물품 수납 공간으로는 스케이트 보드나 낚시대와 같은 장척 물품을 관통시킴으로써 적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물품 수납 공간은 후부 커버로 둘러 쌀 필요는 없어 후부 커버가 불필요하므로, 커버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2는, 후부 프레임으로부터 좌우의 지지 부재를 세워, 이들 지지 부재의 상단에 시트를 걸치듯이 놓음으로써, 시트와 좌우의 지지 부재로 둘러싼 물품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물품 수납 공간의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했으므로, 물품 수납 공간으로는 스케이트 보드나 낚시대와 같은 장척 물품을 관 통시킴으로써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수납 공간의 좌우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좌우의 개구부로부터 물품 수납 공간에 손을 넣어 장척 물품을 보다 간단하게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수납 공간의 편리함은 매우 높아진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물품 수납 공간을 후부 커버로 둘러쌀 필요는 없어 후부 커버가 불필요하므로, 커버 비용을 삭감 또는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에서는, 시트는 좌 또는 우측부를 지지 부재에 시트 힌지로 연결함으로써 개방 가능하게 하고, 시트 힌지 근방의 시트 저판부에, 시트 개방시에 지지 부재의 일부에 결합하여 개방한계 위치를 정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시트측의 결합부를 지지 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개방시에 시트를 유지시킬 수 있다. 결합부는 시트 저판부와 일체 성형 가능하여, 구조가 심플해져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별도 부재의 스토퍼 기구를 불필요로 할 수 있어, 시트 주변의 심플화와 저비용화 양쪽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에서는, 시트는 U자 록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시트 저판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U자 록은 시트 저판부에 수납한다. 종래는 대부분은 시트 아래의 수납부에 U자 록을 수납하고 있었으므로, 수납부의 유효 스페이스가 감소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측에 U자 록을 수납하므로, 시트 아래에 수납부가 있는 경우, 수납부의 유효 스페이스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 전용 수납부가 불필요해진다.
또는, 종래는 시트 후방의 후부 캐리어에 U자 록을 수납하고 있었으나, 이것 으로는 U자 록이 밖에서 보인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U자 록을 시트로 덮을 수 있어, 후부 캐리어 주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는, 물품 수납 공간의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했으므로, 물품 수납 공간으로는 스케이트 보드나 낚시대와 같은 장척 물품을 관통시킴으로써 적재할 수 있다.
또, 시트를 지지 부재를 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했다. 그 때문에, 스케이트 보드나 낚시대와 같은 장척 물품을 물품 수납 공간으로 적재할 때, 시트를 개방함으로써 물품 수납 공간에 장척 물품을 더욱 간단히 적재할 수 있고, 또한 물품 수납 공간으로부터 장척 물품을 더욱 간단히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수납 공간의 편리함은 대단히 높아진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물품 수납 공간은 후부 커버로 둘러쌀 필요는 없어 후부 커버가 불필요하므로, 커버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에 대해 축받이가 공회전하면 지지 부재에 씌운 도료가 벗겨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회전 멈춤부를 축받이로부터 이어지게 해, 이 회전 멈춤부를 지지 부재측에 걸었다. 이에 의해, 회전 멈춤부로 축받이의 공회전을 저지하여, 도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지지 부재에 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 삭제
- 핸들과 시트 사이에 평탄한 스텝 플로어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상기 차량은 상기 스텝 플로어로부터 후방 비스듬하게 위로 후부 프레임을 이어지게 하고, 상기 후부 프레임으로부터 좌우의 지지 부재를 세워, 이들 지지 부재의 상단에 상기 시트를 걸치듯이 놓음으로써, 상기 시트와 좌우의 지지 부재로 둘러싼 물품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상기 물품 수납 공간의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시트 아래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장척 물품을 관통하여 수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상기 물품 수납 공간의 좌우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좌 또는 우측부를 지지 부재에 시트 힌지로 연결함으로써 개방 가능하게 하고, 상기 시트 힌지 근방의 시트 저판부에, 시트 개방시에 지지 부재의 일부에 결합하여 시트 개방 한계 위치를 정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U자 록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시트 저판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
- 핸들과 시트 사이에 평탄한 스텝 플로어를 구비하고, 상기 스텝 플로어로부터 후방 비스듬하게 위로 후부 프레임을 이어지게 하고, 상기 후부 프레임으로부터 좌우의 지지 부재를 세워, 이들 지지 부재의 상단에 상기 시트를 걸치듯이 놓음으로써, 상기 시트와 좌우의 지지 부재로 둘러싼 물품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상기 물품 수납 공간의 전면과 후면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시트 아래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장척 물품을 관통하여 수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에 있어서,상기 좌우의 지지 부재의 한쪽에, 축받이를 씌우고, 상기 축받이가 지지 부재에 대해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멈춤부를 축받이로부터 이어지게 해 지지 부재측에 걸고, 이러한 축받이에 시트 힌지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시트 힌지에 상기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시트를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289507 | 2000-09-22 | ||
JPJP-P-2000-00289507 | 2000-09-22 | ||
JPJP-P-2001-00012279 | 2001-01-19 | ||
JP2001012279 | 2001-01-19 | ||
JP2001144004A JP3701579B2 (ja) | 2000-09-22 | 2001-05-14 | 車両の物品収納部構造 |
JPJP-P-2001-00144004 | 2001-05-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3671A KR20020023671A (ko) | 2002-03-29 |
KR100546858B1 true KR100546858B1 (ko) | 2006-01-25 |
Family
ID=2734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8833A KR100546858B1 (ko) | 2000-09-22 | 2001-09-22 |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3701579B2 (ko) |
KR (1) | KR100546858B1 (ko) |
CN (1) | CN1177721C (ko) |
ES (1) | ES2215431B1 (ko) |
IT (1) | ITTO20010899A1 (ko) |
TW (1) | TW50964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01096B2 (ja) * | 2003-01-09 | 2007-04-04 | スズキ株式会社 |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
US7210550B2 (en) | 2003-05-30 | 2007-05-01 | Honda Motor Co., Ltd. | Under-seat structure for a motorcycle |
JP4501424B2 (ja) * | 2003-12-15 | 2010-07-14 | スズキ株式会社 | スクータ型車両の収納装置 |
JP4522923B2 (ja) * | 2005-07-29 | 2010-08-1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低床式車両 |
JP2011000962A (ja) | 2009-06-18 | 2011-01-06 | Honda Motor Co Ltd | 鞍乗型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
JP5460563B2 (ja) * | 2010-12-01 | 2014-04-0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鞍乗り型車両のシート |
JP5889048B2 (ja) * | 2012-03-08 | 2016-03-2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自動二輪車 |
JP5988623B2 (ja) * | 2012-03-08 | 2016-09-0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自動二輪車 |
MX2017010586A (es) * | 2015-02-20 | 2017-12-07 | Honda Motor Co Ltd | Estructura del bastidor de soporte del asiento para motocicleta. |
CN105105932A (zh) * | 2015-09-11 | 2015-12-02 | 北京可多科技有限公司 | 一种城市救援四轮电动车 |
CN105167924A (zh) * | 2015-09-11 | 2015-12-23 | 北京可多科技有限公司 | 一种城市救援四轮摩托车 |
CN105292336A (zh) * | 2015-09-11 | 2016-02-03 | 北京可多科技有限公司 | 一种城市救援三轮电动/摩托车 |
CN105151189A (zh) * | 2015-09-11 | 2015-12-16 | 北京可多科技有限公司 | 一种城市救援两轮电动/摩托车 |
JP6563993B2 (ja) | 2017-09-19 | 2019-08-2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鞍乗型車両 |
CN109969314B (zh) * | 2019-04-30 | 2024-03-12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一种电动车车架及该车架的制造方法 |
CN114616170A (zh) * | 2019-10-31 | 2022-06-10 | 扎普电动车有限公司 | 用于电动摩托车的储物箱及具有该储物箱的电动摩托车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13926A (en) * | 1968-01-23 | 1970-05-26 | Richard E Paget Jr | Two-wheeled foldable personnel transporter |
JPS4938851Y2 (ko) * | 1971-03-22 | 1974-10-24 | ||
US3987944A (en) * | 1973-08-09 | 1976-10-26 | Shearer Sr David | Bicycle-mounted baseball bat and ball carrier |
US3927727A (en) * | 1974-04-17 | 1975-12-23 | Corbin Gentry Inc | Vehicular seat and fairing assembly |
JPH0455181A (ja) * | 1990-06-22 | 1992-02-21 | Honda Motor Co Ltd | スクータ車両の物品収納装置 |
JP3492728B2 (ja) * | 1993-08-09 | 2004-02-03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自動二輪車の盗難防止用u字状ロックの収納構造 |
JPH11278335A (ja) * | 1998-03-30 | 1999-10-12 | Suzuki Motor Corp | 自動二輪車の盗難防止具収納装置 |
-
2001
- 2001-05-14 JP JP2001144004A patent/JP370157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9-03 TW TW090121748A patent/TW509647B/zh active
- 2001-09-20 ES ES200102105A patent/ES2215431B1/es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9-21 IT IT2001TO000899A patent/ITTO20010899A1/it unknown
- 2001-09-21 CN CNB011408065A patent/CN117772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9-22 KR KR1020010058833A patent/KR1005468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215431B1 (es) | 2006-01-16 |
ES2215431A1 (es) | 2004-10-01 |
JP3701579B2 (ja) | 2005-09-28 |
CN1177721C (zh) | 2004-12-01 |
KR20020023671A (ko) | 2002-03-29 |
TW509647B (en) | 2002-11-11 |
ITTO20010899A1 (it) | 2003-03-21 |
ITTO20010899A0 (it) | 2001-09-21 |
CN1346765A (zh) | 2002-05-01 |
JP2002284064A (ja) | 2002-10-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46858B1 (ko) | 차량의 물품 수납부 구조 | |
EP1369344B1 (en) | Structure for mounting a saddle bag on a motorcycle | |
JP4252876B2 (ja) | 自動二輪車 | |
JP5614047B2 (ja) | 電動式自動二輪車 | |
JP4119344B2 (ja) | 自動二輪車 | |
JP4176895B2 (ja) | 自動二・三輪車の前部収納構造 | |
JP4620539B2 (ja) | 自動二輪車のフレーム構造 | |
JP2720003B2 (ja) | 自動二・三輪車におけるスタンドストッパ構造 | |
JPH0769261A (ja) |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ボディカバー構造 | |
JPH11227658A (ja) |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 |
EP0726195B1 (en) | Scooter type vehicle with storing structure for antitheft tool | |
JP3476306B2 (ja) | 自動二輪車のスタンディングハンドル構造 | |
JP2004098989A (ja) | スクータ型車両の車体カバー・シートロック取付構造 | |
JPH09315364A (ja) |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構造 | |
KR20010091943A (ko) |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차체 커버를 가지는 차량 | |
JP2602728Y2 (ja) |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ューエルタンク | |
JPH107054A (ja) | スクータ型車両の収納装置 | |
JP3790578B2 (ja) |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車体フレーム | |
JPH0769257A (ja) | 自動二・三輪車におけるスタンドロック装置 | |
JP4083555B2 (ja) | スクータ型車両の燃料コック操作装置 | |
JP4479454B2 (ja) | 自動二輪車の盗難防止具取り付け構造 | |
JP3036097U (ja) | 自動二輪車のバッテリボックスの取付構造 | |
JP3575798B2 (ja) | 収納ボックスを有する自動二輪車 | |
JPH107056A (ja) | スクータ型車両 | |
JP3523756B2 (ja) | 収納ボックスを備えた自動二輪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