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041B1 - 골반교정장치 - Google Patents

골반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041B1
KR100541041B1 KR1020040048597A KR20040048597A KR100541041B1 KR 100541041 B1 KR100541041 B1 KR 100541041B1 KR 1020040048597 A KR1020040048597 A KR 1020040048597A KR 20040048597 A KR20040048597 A KR 20040048597A KR 100541041 B1 KR100541041 B1 KR 100541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vis
seat
compression
user
pelvic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920A (ko
Inventor
강서익
Original Assignee
정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일 filed Critical 정지일
Priority to KR102004004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041B1/ko
Priority to PCT/KR2005/001938 priority patent/WO2006001634A1/en
Publication of KR2005012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6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for compressive stressing of a part of the skeletal structure, e.g.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6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8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깔고 앉을 수 있는 좌대와; 상기 좌대에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부위를 압박 가능하도록 이격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여 상기 좌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1쌍 이상의 좌우 압박구와; 상기 좌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우터와; 상기 구동모우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1쌍의 압박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구가 골반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나머지 하나의 압박구도 골반을 향하여 동시에 이동토록 하고, 또 어느 하나의 압박구가 골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나머지 하나의 압박구도 골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압박구이동수단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성의 골반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벌어진 골반을 다시 제자리로 교정하여 줌으로써 둔부의 비만을 억제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좌대, 골반, 압박구, 구동모우터, 공기주머니

Description

골반교정장치{Pelvis Correc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에서 좌대를 제거한 상태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주요 작동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주요 작동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압박구이송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제어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고,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압박구에 완충재가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좌대 2 : 구동모우터
9 : 지지프레임 10a, 10b : 압박구
20 : 압박구이동수단 21 : 치차
30 : 스위치부 40 : 제어장치
본 발명은 골반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성의 골반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미 벌어진 골반을 다시 제자리로 교정하여 주기 위한 골반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골반을 교정하는 장치가 대수 개발되고 있으며, 그 일예를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20-0296879호의 골반교정장치가 있다.
이러한 골반교정장치는 사람이 깔고 앉는 좌판부와 이 좌판부의 양측 단부에서 상부로 세워지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좌대와, 상기 지지대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그 내부로 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수축, 팽창하는 좌우 1쌍의 에어백과, 상기 1쌍의 에어백에 공기압을 제공하는 공기주입수단으로 구성되어, 에어백의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압을 통해 착석자의 골반부위를 압박하여 주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골반교정장치는 에어백의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압을 통해서 착석자의 골반부위를 압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골반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압박 예를 들면, 지압이나 두드림 또는 떨림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압박동작을 적절하게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위와 같은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위의 발명에서는 좌대의 내부에 형성한 공간에 진동모터와 저주파발진기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골반근육을 이완토록 하고 있으나, 위와 같은 진동모터나 저주파발진기는 골반에 직접적인 자극을 주는 것이 아니라 착용자의 엉덩이를 자극하는데 불과한 것이어서 그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여성의 골반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미 벌어진 골반을 다시 제자리로 교정하여 줌으로써 둔부의 비만을 억제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골반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반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압박 예를 들면, 지압이나 두드림 또는 떨림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압박동작을 적절하게 구현토록 하여 골반의 교정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골반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는 사용자가 깔고 앉을 수 있는 좌대와; 상기 좌대에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부위를 압박 가능하도록 이격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여 상기 좌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1쌍 이상의 좌우 압박구와; 상기 좌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우터와; 상기 구동모우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1쌍의 압박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구가 골반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나머지 하나의 압박구도 골반을 향하여 동시에 이동토록 하고, 또 어느 하나의 압박구가 골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나머지 하나의 압박구도 골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압박구이동수단과;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스위치에 따라 해당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서 발생된 해당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우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장치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압박구이동수단은, 상기 구동모우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치차와, 상기 치차에 각각 고정 삽입되며 내부에는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회전공봉과, 상기 제1회전공봉의 내부에 형성한 나사산을 따라 직선운동을 수행하도록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압박구가 연결되는 제1이송축과, 상기 제2회전공봉의 내부에 형성한 나사산을 따라 직선운동을 수행하도록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압박구가 연결되는 제2이송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잇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압박구는 사용자의 골반이 접촉하는 쪽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압박구는 사용자의 골반이 접촉하는 쪽의 표면에 완충재가 부착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완충재는 그 내부로 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공기주머니로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에서 좌대를 제거한 상태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주요 작동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주요 작동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압박구이송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제어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깔고 앉을 수 있는 좌대(1)와; 상기 좌대(1)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1쌍 이상의 좌우 압박구(10a,10b)와; 상기 좌대(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우터(2)와; 상기 구동모우터(2)의 구동에 따라 동작되는 압박구이동수단(20)과;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30)와; 상기 스위치부(30)에 의해서 발생된 해당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우터(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장치(40)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대(1)는 사용자가 깔고 앉을 수 있는 판상의 부재로서, 그 하부에는 후술하는 구동모우터(2)와 압박구이동수단(20)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프레임(9)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압박구(10a,10b)는 상기 좌대(1)에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부위를 압박 가능하도록 이격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여 상기 좌대(1)의 양측면에 적어도 1쌍 이상이 배치되어 있고, 골반부위에 대한 압박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골반이 접촉하는 쪽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11)를 부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우터(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대(1)의 하부에 부착된 지지프레임(9)의 중간에 형성한 격판(9a)에 정역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구동모우터(2)의 중심축(2a)과 동축으로 연장축(3)이 부싱(6)을 개재하여 지지프레임(9)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연장축(3)의 외측에는 외부로 타이 밍벨트(4)에 의해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치차(5)가 끼워져 있다.
상기 압박구이동수단(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우터(2)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치차(21)와, 상기 치차(21)의 좌우측에서 각각 고정 삽입되며 내부에는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회전공봉(22a),(22b)과, 상기 제1회전공봉(22a)의 내부에 형성한 나사산을 따라 직선운동을 수행하도록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압박구(10a)가 연결되는 제1이송축(23a)과, 상기 제2회전공봉(22b)의 내부에 형성한 나사산을 따라 직선운동을 수행하도록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압박구(10b)가 연결되는 제2이송축 (2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24a, 24b, 24c, 24d는 지지프레임(9)에 끼워지는 부싱들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압박구이동수단(20)은 지지프레임 (9)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우터(2)의 구동력이 타이밍벨트(4)를 거쳐 치차(21)에 전달되게 되고, 상기 치차(21)가 회전하게 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치차(21)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회전공봉(22a),(22b)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공봉(22a),(22b)이 회전하게 되면, 그에 맞물리는 제1 및 제2이송축(23a),(23b)들도 제1 및 제2회전공봉(22a),(22b)의 내부에서 나사산을 따라 수평이송을 하게 된다. 그런데, 제1 및 제2회전공봉(22a),(22b)의 내부에 형성한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이송축(23a),(23b)들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거나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박구이동수단(20)은 지지프레임(9)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우터(2)의 구동에 따라, 상기 1쌍의 압박구(10a),(10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구(10a)가 골반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나머지 하나의 압박구(10b)도 골반을 향하여 동시에 이동되게 되고, 또 어느 하나의 압박구(10a)가 골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나머지 하나의 압박구(10b)도 골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압박구이동수단(20)은 위에서 예시한 세부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치차(21)의 좌우측에서 각각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회전공봉(22a),(22b)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제1 및 제2회 전공봉(22a),(22b)을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서 일정부분 만큼을 나사산의 방향이 반대되도록 형성하는 것과 같은 세부적인 변형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압박구이동수단(2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우터(2)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기(100)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조작기(10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한 제어장치(40), 스위치부(30) 및 표시부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부(30)는 골반을 눌러주는 기능을 선택하는 누름스위치, 안마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안마스위치, 진동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진동스위치와, 상기 누름, 안마, 및 진동스위치들에 의해 선택된 기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강약스위치와, 상기 선택된 기능의 지속시간을 선택하는 타이머스위치와, 전원을 온/오프하 는 전원스위치를 구비하며, 위와 같은 스위치들은 통상적인 것들로서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표시부는 시간을 표시하는 타이머표시창과,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창과, 선택된 기능의 강약을 표시하는 강약표시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40)는 상기 스위치부(30)에 의해서 발생된 해당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우터(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는 스위치부(30)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 입력되는 해당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장치(40)에서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구동모우터(2)에 보내어 구동모우터(2)를 제어함으로써 골반부에 대하여 눌러주거나 안마를 수행하거나 또는 진동을 주도록 하는 기능과, 그 강약의 정도를 바로 골반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골반교정에 대한 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압박구(10a),(10b)에서 사용자의 골반이 접촉하는 쪽의 표면에 완충재(12)가 부착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위와 같은 완충재(12)를 압박구의 표면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압박구가 사용자의 골반에 딱딱하게 접촉되는 것을 어느 정도 완충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위의 완충재로서는 여러가지 형식의 완충재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서는 겔, 고무풍선, 쿠션재 및 공기주머니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위의 완충재로서 공기주머니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공기주머니의 내부로 공기주입수단에 의해서 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공기주머니가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주머니를 사용할 때에는 압박구를 사용자의 골반 쪽으로 진행시켜 골반에 압박을 가하기 전에 에어펌프와 같은 통상의 공기주입수단에 의해서 미리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완전히 주입시켜 팽창을 시키고, 그러한 팽창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압박구를 사용자의 골반쪽으로 진행시키거나 후퇴시킴으로써 골반에 대한 교정을 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는 여성의 골반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벌어진 골반을 다시 제자리로 교정하여 줌으로써 둔부의 비만을 억제하거나 치료할 수 있고, 또 골반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압박 예를 들면, 지압이나 두드림 또는 떨림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압박동작을 적절하게 구현토록 하여 골반의 교정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사용자가 깔고 앉을 수 있는 좌대와;
    상기 좌대에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부위를 압박 가능하도록 이격된 상태로 서로 대향하여 상기 좌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1쌍 이상의 좌우 압박구와;
    상기 좌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우터와;
    상기 구동모우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1쌍의 압박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압박구가 골반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나머지 하나의 압박구도 골반을 향하여 동시에 이동토록 하고, 또 어느 하나의 압박구가 골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나머지 하나의 압박구도 골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압박구이동수단과;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스위치에 따라 해당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서 발생된 해당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우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장치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구이동수단은, 상기 구동모우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치차와, 상기 치차에 각각 고정 삽입되며 내부에는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회전공봉과, 상기 제1회전공봉의 내부에 형성한 나사산을 따라 직선운동을 수행하도록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압박구가 연결되는 제1이송축과, 상기 제2회전공봉의 내부에 형성한 나사산을 따라 직선운동을 수행하도록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압박구가 연결되는 제2이송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교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구는 사용자의 골반이 접촉하는 쪽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교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구는 사용자의 골반이 접촉하는 쪽의 표면에 완충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교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그 내부로 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공기주머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교정장치.
KR1020040048597A 2004-06-25 2004-06-25 골반교정장치 KR100541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597A KR100541041B1 (ko) 2004-06-25 2004-06-25 골반교정장치
PCT/KR2005/001938 WO2006001634A1 (en) 2004-06-25 2005-06-22 Pelvis corr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597A KR100541041B1 (ko) 2004-06-25 2004-06-25 골반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920A KR20050122920A (ko) 2005-12-29
KR100541041B1 true KR100541041B1 (ko) 2006-01-10

Family

ID=3578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597A KR100541041B1 (ko) 2004-06-25 2004-06-25 골반교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41041B1 (ko)
WO (1) WO200600163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29B1 (ko) 2007-02-27 2008-05-26 정지일 골반교정장치
KR101032694B1 (ko) * 2010-11-11 2011-05-06 이소정 장골과 치골의 벌어짐을 교정하는 골반교정기
KR101088186B1 (ko) * 2011-03-23 2011-12-05 이소정 장골과 천골을 동시에 교정하는 골반교정기
KR101104099B1 (ko) * 2009-04-17 2012-01-12 (주)대경산업 사용자 체형인식 골반 교정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933B1 (ko) 2006-04-26 2008-05-15 박경미 골반 운동장치
KR101023973B1 (ko) * 2009-06-02 2011-03-22 이영선 등판이 가변되는 회음부 온열안마용 좌식의자
KR101582552B1 (ko) * 2014-11-21 2016-01-05 고관평 골반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8186A (en) * 1986-01-17 1987-07-07 Isotechnologies, Inc. Pelvic restraint for exercise apparatus
WO1989010732A1 (en) * 1988-05-07 1989-11-16 Kenichi Okajima Apparatus for curing lumbago with air bag
JP2002360376A (ja) * 2001-06-06 2002-12-17 Keitaro Igawa 骨盤サポート椅子
KR100485651B1 (ko) * 2002-09-10 2005-04-27 하전호 좌대형 골반 교정장치
KR200338700Y1 (ko) * 2003-11-03 2004-01-16 서두석 요부마사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29B1 (ko) 2007-02-27 2008-05-26 정지일 골반교정장치
KR101104099B1 (ko) * 2009-04-17 2012-01-12 (주)대경산업 사용자 체형인식 골반 교정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032694B1 (ko) * 2010-11-11 2011-05-06 이소정 장골과 치골의 벌어짐을 교정하는 골반교정기
KR101088186B1 (ko) * 2011-03-23 2011-12-05 이소정 장골과 천골을 동시에 교정하는 골반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920A (ko) 2005-12-29
WO2006001634A1 (en)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1913B2 (ja) マッサージ機
KR101440088B1 (ko) 어깨걸이 안마기
KR102532928B1 (ko) 시료 유닛 및 마사지기
KR20060110740A (ko) 마사지벨트
KR100541041B1 (ko) 골반교정장치
KR101825676B1 (ko) 지압과 두드림이 가능한 마사지 장치
CN108186307A (zh) 一种眼部按摩仪及其按摩头组件、按摩装置
KR100831929B1 (ko) 골반교정장치
KR101871592B1 (ko) 확장모듈이 장착되는 마사지기
JP2002331009A (ja) 空圧式施療機
WO2003096960A2 (en) Massage cushion
JP2006263033A (ja) マッサージユニット
JPH10201807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3153970A (ja) 手揉機能付施療機
JP2001178791A (ja) 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2003180773A (ja) 手揉機能付施療機
JP3382577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3310685A (ja) マッサージ機
KR200288222Y1 (ko) 벨트 마사지 기구
JP3989050B2 (ja) マッサージ機
KR200194802Y1 (ko) 미진동 운동기
KR200293766Y1 (ko) 진동 마사지 벨트
WO2020241187A1 (ja) マッサージ装置
JP2003339807A (ja) 手揉機能付施療機
JP2002248146A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