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077B1 -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077B1
KR100540077B1 KR1020030077907A KR20030077907A KR100540077B1 KR 100540077 B1 KR100540077 B1 KR 100540077B1 KR 1020030077907 A KR1020030077907 A KR 1020030077907A KR 20030077907 A KR20030077907 A KR 20030077907A KR 100540077 B1 KR100540077 B1 KR 10054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al
floating roof
storage tank
suppress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120A (ko
Inventor
탁구현
Original Assignee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077B1/ko
Publication of KR2005004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8Means for reducing the vapour space or for reducing the formation of vapour with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34Large containers having floating covers, e.g. floating roofs or blankets
    • B65D88/36Large containers having floating covers, e.g. floating roofs or blankets with relatively movabl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저장탱크 내 부유지붕과 탱크 내벽 간에 기밀을 유지시켜 유류가스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한 부유지붕과 탱크 내벽간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탱크 내부의 유면 상에 뷰유되는 부유지붕; 부유지붕의 선단에 고정된 림 플레이트; 림플레이트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중첩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분할판을 가지는 슈씰; 상기 분할판 간에 연결상태를 지지하며, 이들 간에 자유로운 겹침이 가능하도록 슈씰의 원주방향으로 천공된 나사공; 림 플레이트(120)의 외면과 각 분할판의 내면을 연결하며 상기 분할판을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된 가압수단; 상기 림 플레이트의 외면과 슈씰의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상호 연결하며 상기 슈씰을 지지하는 행거암; 및 상기 림 플레이트과 분할판을 연결하며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슈씰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 분할판 간 겹침이 순조하게 이루어지면서 탱크 벽면과 슈씰 간에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씰의 일그러짐을 최소화하여 이를 통한 저장유류의 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류저장탱크, 유류증발억제, 부유지붕, 유류가스, 슈씰, 커버씰, 드레인

Description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Oil evaporating suppression system for intercepting evaporation of oil in oil storage tank}
도 1은 유류저장탱크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유류저장탱크에 구비되는 종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종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a는 도 1의 유류저장탱크에 구비되는 종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다른 일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종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5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분인 드레인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9b는 도 9a에 따른 드레인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분인 안내기둥 주변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b는 도 10a에 따른 안내기둥 주변부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a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부유지붕 130 : 슈씰
131 : 분할판 210 : 조인트부재
140 : 가압수단 180 : 안내기둥
181 : 평판부재 183 : 차폐벽
184 : 탄력스프링 212 : 고정부
211 : 이음부 213 : 스프링부재
220 : 드레인 장치 221 : 드레인 파이프
222 : 헤드부 223 : 여과부
224 : 볼 231 : 평판부재
233,234 : 경계씰 235 : 지지판
236 : 압지수단 237 : 커튼씰
본 발명은 유류저장탱크 내 부유지붕과 탱크 내벽 간에 기밀을 유지시켜 유류가스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한 부유지붕과 탱크 내벽간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지붕의 유동으로 인한 틈새 형성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유류가스의 증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산업에서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유류 등의 석유화학물을 보관하는 수단으로 저장탱크를 이용하고 있다. 유류 저장탱크의 경우, 저장된 유류의 증발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과 증발 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아울러 외부로부터 불순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통상 부유지붕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유지붕은 탱크 내 유류의 상부에 부양하며 유류의 사용과 보충에 의한 유류 저장량의 변화에 따라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부유지붕은 저장탱크 내 유류의 각 지점에서의 진원도가 다르거나 유류의 비정상적인 유동이 발생할 경우에는 부유지붕의 양단이 상하 요동하거나 또는 부유지붕이 지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저장탱크 내부의 한쪽으로 쏠리게 되면서 부유지붕의 외측 선단부와 탱크 내벽면 간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이때, 부유지붕과 탱크 내벽 간에 벌어진 간격을 통해 유류가스가 증발하거나 외부의 불순 물이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종래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탱크 내벽과 부유지붕 간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한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을 장착하였는데, 그 일례가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일반적인 유류저장탱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류저장탱크에 구비되는 종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 확대 사시도로서, 유류저장탱크의 내벽과 부유지붕 간에 설치된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따른 종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은 부유지붕(110)의 외측 선단과 저장탱크(100)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부유지붕(110) 선단에 고정된 림 플레이트(120)와, 이 림플레이트(120)의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저장탱크(100)의 내벽면에 밀착하도록 된 슈씰(130)을 포함한다. 슈씰(130)은 저장탱크(100) 내벽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할판(131)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분할판(131)의 끝단 간에 상호 겹쳐져서 이들 겹쳐진 분할판(131)이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다. 나사(132)가 끼워지는 상기 각 분할판(131)의 나사공(133)은 분할판(131) 간에 자유로운 겹침이 가능하도록 슈씰(13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슬롯(slot) 형상으로 천공되어 있다.
림 플레이트(120)의 외면과 상기 분할판(131)의 내면은 소정의 가압수단(140)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 가압수단(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00)의 내벽 방향으로 일정한 탄발력을 작용하도록 된 판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분할판(131)을 외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 림 플레이트(120)와 슈씰(130) 간에 이러한 연결은 탱크 내 유류의 사용이나 보충시 유면의 높이변화로 인한 부유지붕(110)의 상하 유동이나 또는 유면의 흔들림으로 인해 부유지붕(110)이 한쪽으로 쏠리는 등의 비정상적인 유동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분할판(131)에 작용하는 가압수단(140)의 탄발력으로 인해 부유지붕(110)의 유동력이 흡수되어 부유지붕(110)의 유동이 억제됨과 동시에, 슈씰(130)이 저장탱크(100)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저장탱크(100)의 내벽과 부유지붕(110) 간에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림 플레이트(120)의 외면과 슈씰(130)의 내벽은 행거암(150)으로 상호 연결되어 이 행거암(150)에 의해 슈씰(130)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행거암(150)은 분할판(131)의 겹침 정도에 따른 림 플레이트(120)와 슈씰(130)간 이격거리의 변화를 수용하도록 이의 양단이 각각 림 플레이트(120)와 슈씰(130)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림 플레이트(120)과 분할판(131)은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해 커버씰(cover seal;16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커버씰(160)은 림 플레이트(120)와 슈씰(130) 사이의 간극을 따라 상기 저장탱크(100)내 유류가스가 상승,증발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커버씰(160)은 재질은 통상 유류가스에 견디는 가요성 재질의 막으로 구성된다.
도 1의 미설명된 부호 "170"은 '드레인 관'을 나타낸다.
드레인 관(170)은 저장탱크(100) 내부, 즉 부유지붕(110)의 상부 공간에 발생된 습기가 응축되어 형성되는 물방울과, 상기 부유지붕(110)의 상부에 형성된 물방울과 탱크 외부로부터 유입된 불순물 등이 혼합하여 축적된 찌꺼기, 및 저장탱크(100) 내에서 부유지붕(110)의 상부로 오버플로우(over flow)된 유류 등을 저장탱크(100) 내부 세척시 사용된 물과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부유지붕(110)의 상,하부를 연통시키면서 상기 부유지붕(110)의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 관(170)을 통해 부유지붕(110)에서 저장탱크(100)의 바닥면(102)으로 하강된 각종 찌꺼기와 물, 유류 등은 저장탱크(100)의 단부에 구비된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탱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종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서, 상기 분할판(131)을 연결하는 나사공(133)은 슬롯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부유지붕(110)의 유동시 탱크 벽면에 접하는 슈씰(130)의 원주길이가 변하게 될 때 상기 분할판(131) 간에 겹침(overlap)을 통한 슈씰(130)의 원주 길이변화를 흡수하게 되지만, 커버씰(160)의 경우에는 겹침 구조가 아닌 단지 슈씰(130)면과 림 플레이트(120)에 나합 고정되어 있고, 통상 슈씰(13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슈씰의 겹침에 의한 원주길이 축소시 그 형상이 일그러지면서 곳곳에 벌어진 틈새가 형성되어 이들 틈새를 통해 저장탱크 내 유류가스가 증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서, 슈씰은 판상의 금속재로 구성되므로 분할판 간에 겹침상태가 해제되어 그 원주길이가 길어질 경우, 슈씰의 부피가 커지므로 이를 지지하는 상기 가압수단이나 슈암에 과부하가 걸려 이들 가압수단 및 슈암의 끝단에서 슈씰의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처짐 현상은 탱크 벽면과 슈씰 간에 공간을 발생시켜 이 공간을 통한 저장유류의 증발을 초래하게 될 뿐 아니라, 슈씰의 겹침에 의한 원주길이의 변화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서, 드레인 관은 부유지붕의 상부 및 하부를 상호 연통시키며 상하 관통된 구조로 제공되는 바, 부유지붕으로부터 각종 이물질과 찌꺼기들이 물과 함께 배출되면서 탱크 바닥부로부터 탱크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측에 누적되어 배관 막힘이 초래될 수 있었다. 아울러, 저장탱크 내에 유류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드레인 관을 통해 유류가스가 쉽게 증발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드레인 관의 상단에 덮개를 장착하였다 할지라도 저장탱크 내부 세척시에는 모든 덮개를 일일이 열어주고 다시 닫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첨부도면 도 4a는 도 1의 유류 저장탱크에 구비되는 종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다른 일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로서, 저장탱크(100)내 부유지붕(110)의 불규칙한 유동을 저지하고 상하 유동을 가이드하는 안내기둥(180) 주변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도 4a에 따른 종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다른 일부 구성인 안내기둥 주변부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장탱크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저장탱크의 천장(101) 과 바닥(102)을 잇는 안내기둥(18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안내기둥(180)은 저장탱크 내 유면의 높이변화에 따른 부유지붕의 승강을 안내하고, 아울러 부유지붕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안내기둥(180)은 부유지붕(110)을 상하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부유지붕(110)과 안내기둥(180)의 경계 부분에서 새어나오는 유류가스의 증발을 막기 위해 상기 부유지붕(110)의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안내기둥(180)의 단부 둘레면에 일정 크기의 평판부재(181)를 밀착시키고, 이 평판부재(181)에는 상기 평판부재(181)와 안내기둥(180) 사이의 경계부분을 커버하는 경계씰(18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평판부재(181)의 하부에는 안내기둥(18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져서 안내기둥(180) 주변을 일정 길이만큼 에워싸도록 된 차폐벽(183)이 위치되되, 이 차폐벽(183)은 부유지붕(110) 면에 고정된 상태로 그 상단이 평판부재(181)의 하부를 면밀착 상태로 지지하고, 그 하단은 부유지붕(110)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차폐벽(183)과 평판부재(181)는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소정의 탄력수단, 바람직하게는 탄력스프링(184)에 의해 상호 면밀착 상태로 유지되며, 그로부터 상기 차폐벽(183)은 부유지붕(110)의 유동 발생시 평판부재(181)의 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부유지붕(110)의 유동으로 인한 충격이 평판부재(181)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서, 상기 차폐벽(183)과 평판부재(181) 간에는 부유지붕(110)의 유동으로 인해 항상 동일한 장력상태를 유 지할 수가 없는 바, 이들 사이의 밀착부분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평판부재와 안내기둥 사이의 경계부분에서 유출된 유류가스가 증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력스프링의 경우, 상기 차폐벽과 평판부재 간에 밀착강도를 높이기 위해 이의 스프링 강도를 높이면 평판부재의 변형이 초래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스프링 강도를 낯추면 상기 차폐벽과 평판부재 간에 밀착강도가 약해져 밀폐효과를 누릴 수 없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 탄력스프링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일단이 부유지붕 하부의 상기 차폐벽 면에 고정되어 유면 위에 그대로 노출되는 바, 장기간 사용시 스프링 표면이 부식하여 저장탱크 내 유류가 오염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금속 슈씰의 양끝을 서로 고정하여 컨티뉴어스 씰의 벌어지는 면적이 최소가 되며 슈씰이 서로 지지되는 형태로 하여 탱크 벽면에 슈씰을 밀착시켜 유류가스의 증발을 억제시킴으로써 슈씰의 양끝단이 처지는 현상도 아울러 방지하도록 된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유지붕의 유동으로 인한 충격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종래의 시스템에서 스프링 등의 부식으로 인한 저장탱크 내 유류 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 있어서, 저장탱크 내부의 유면 상에 뷰유되는 부유지붕; 부유지붕의 선단에 고정된 림 플레이트; 림플레이트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중첩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분할판을 가지는 슈씰; 상기 분할판 간에 연결상태를 지지하며, 이들 간에 자유로운 겹침이 가능하도록 슈씰의 원주방향으로 천공된 나사공; 림 플레이트의 외면과 각 분할판의 내면을 연결하며 상기 분할판을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된 가압수단; 상기 림 플레이트의 외면과 슈씰의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상호 연결하며 상기 슈씰을 지지하는 행거암; 및 상기 림 플레이트과 분할판을 연결하며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 확대 사시도로서,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슈씰과 커버씰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국부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서 슈씰(130)의 각 분할판(131)은 이의 상단 및/또는 하단을 'ㄷ'자 형상의 절곡부(131a)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할판(131)끼리 중첩되어지는 각 분할판(131)의 상,하 양측 단부에 이들을 동시에 커버하며 상호 연결 및 지지하는 'ㄷ'자 형상의 지지부재(131b)를 결합시킨 상태로 제공한다. 이러한 지지부재(131b)는 분할판(131)의 절곡부(131a) 간에 중첩된 상태를 지지해주게 되므로 슈씰(130) 주연부의 하방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서 슈씰(130)은 각 분할판(131)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웃하는 분할판(131)의 내면이 이들 간에 소정 길이의 조인트부재(21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조인트부재(210)는 가압수단(140)의 기능을 보충하는 것으로, 부유지붕의 유동으로 인한 슈씰(130)의 각 분할판(131) 간에 겹침이 발생하더라도 슈씰(130)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저장탱크(미도시)의 내벽면과 슈씰(130)을 최대한 밀착시켜 저장탱크의 내벽면과 슈씰 간에 이격되는 거리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인트부재(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할판(131)의 내면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부(212)와, 이들 이웃하는 분할판(131)에 형성된 고정부(212)끼리 상호 연결시키는 이음부(211)로 구성된다. 상기 이음부(211)는 바아(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중간부분은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부재(213)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부재(213)는 슈씰(130)의 각 분할판(131) 간에 일정한 탄발력을 제공하여 슈씰(130)의 직경 변화를 억제하게 되며, 분할판(131) 간에 겹침이 일어나 슈씰(130)의 직경에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즉시 회복하도록 돕게 된다. 이는 종래의 문제점인 슈씰의 겹침 발생시 원주길이, 즉 직경 축소로 인한 커버씰의 일그러짐 현상을 즉시 제거하여 틈새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저장탱크 내 유류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조인트부재(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분할판(131)을 서로 연결시키고 있는 바, 슈씰(130)의 주연부가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상기 지지부재(131b)의 기능을 보충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분인 드레인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따른 드레인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서 드레인 장치(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지붕(110)의 상,하부를 연통시키면서 부유지붕(110)의 상부로부터 저장탱크(미도시)의 바닥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드레인 장치(220)는 부유지붕(110)의 상면에 장착되는 헤드부(222)와, 이 헤드부(222)의 하단에서 저장탱크의 바닥측으로 연장된 드레인 파이프(221)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222)는, 바람직하게는 중앙이 상하 관통된 구조로 제공되며, 드레인 파이프(221)는 상기 헤드부(222)의 중앙과 연통하도록 중공의 튜브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장치(220)에서 헤드부(222)의 중앙은 물 또는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주변부보다 낮게 형성하되, 드레인 파이프(221)와 연통하는 상기 헤드부(222)의 중앙에는 일정 하중을 가지는 볼(ball;224)이 설치된다. 상기 볼(224)은 드레인 파이프(221)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제공하되, 물이나 유류에 의해 부유하여 상기 드레인 파이프(221)의 입구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물 또는 유류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일례로서 코르크(cork) 재질이나 중공의 프라스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222)는 드레인 파이프(221)와의 사이에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 형태의 여과부(223)를 둘 수 있다. 이 여과부(223)는 볼(224)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물이나 유류 등과 함께 배출되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에 의해 드레인 파이프(221)에 관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드레인 장치(220)는 부유지붕(110) 상면으로부터 헤드부(222) 중앙으로 집결하게 되는 물이나 유류, 기타 이물질의 배출시, 볼(224)이 떠오르면서 드레인 파이프(221)의 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배출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드레인 파이프(221)의 입구를 폐쇄하여 저장탱크 내 유류의 증발을 막게 된다.
첨부도면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일부분인 안내기둥 주변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따른 안내기둥 주변부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은 부유지붕(110)의 상방으로 돌출된 안내기둥(180)의 둘레면에 평판부재(231)를 밀착시키고, 평판부재(231)와 안내기둥(180) 간에 경계부분에는 복수의 경계씰(233,234)이 부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 경계씰(233)의 상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제2 경계씰(234)이 구비되되, 제2 경계씰(234)은 안 내기둥(180)의 둘레면을 따라 상기 평판부재(2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판(235)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기둥(180)의 둘레면과 연결하는 구조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서는, 도 4a의 종래 기술에서 평판부재(181)와 차폐벽(183) 간에 연결 및 탄지하는 탄력스프링(184)을 제거하는 대신, 상기 평판부재(231)를 차폐벽(232)의 상단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압지수단(236)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압지수단(236)은 평판부재(231)의 각 방향 단부와 부유지붕(110)의 상면을 상호 연결시킨 상태로 제공되며, 외형상 바람직하게는 판상 구조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탄력스프링을 상기 압지수단(236)으로 대체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스프링의 부식으로 저장탱크 내 유류가 오염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지수단(236)은 평판부재(231)의 상부에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유류(S)가 저장된 저장탱크 내 밀폐성을 높임과 동시에, 부유지붕(110)의 불규칙한 유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경계씰(233)의 고정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커튼씰(curtain seal;237)이 더 구비된다. 상기 커튼씰(237)은, 저장탱크 내 유류(S)의 증발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하단부가 상기 저장 유류(S) 속에 잠기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 11a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 서, 도 2에 따른 가압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b는 도 11a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림 플레이트(120)의 외면과 슈실(130)의 내면은 가압수단(240)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도 2에서는 가압수단(240)이 판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결합된 2개의 아암(241,242) 구조로 제공된다.
제1 아암(241)은 이의 양단이 림 플레이트(120)의 외면 및 슈씰(130)의 각 분할판(131) 내면에 각각 힌지되고, 제2 아암(242)은 상기 제1 아암(241)과 엇갈린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또한, 제2 아암(242)의 일단은 림 플레이트(120)의 외면에 힌지되고 타단은 자유로운 상태로 제공되며, 슈씰(130)측으로 향한 상기 제1,2 아암(241,242)의 단부는 이들 간에 일정 강도의 인장스프링(244)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인장스프링(244)은 상기 1,2 아암(241,242)의 단부 사이에 탄성에 의한 일정 크기의 인장력을 제공하는 것인 바, 슈씰(130)면에 대한 제1 아암(241)의 지지각이 일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부유지붕(미도시)의 유동에 의해 림 플레이트(120)와 슈씰(130) 사이에 간격이 일시적으로 변화되더라도 다시 원상태를 회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림 플레이트(120)의 외면과 슈실(130)의 내면을 연결하는 가압수단(250)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수단(250)은 2개의 아암(251,252)이 상호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구조로서, 제1 아암(251)은 이의 양단이 림 플레이트(120)의 외면 및 슈씰(130)의 각 분할판(131) 내면에 각각 힌지된 상태로 제공된다.
제2 아암(252)은 이의 중간부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서 그 양측 단부가 림 플레이트(120)의 외면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제1 아암(2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아암(25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바람직하게는 절곡부(252a)에 결합된다.
상기 도 12에서 미설명된 부호 "253"은 '아암 지지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슈씰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 분할판 간에 겹침이 순조하게 이루어지면서 탱크 벽면과 슈씰 간에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씰의 일그러짐을 최소화하여 이를 통한 저장유류의 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벽면과 부유지붕간의 공간을 최소화시키고, 또 견고하게 밀착시켜 외부로의 가스유출을 최소화시켜 환경을 보존하고 경제적으로 이득을 취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저장 유류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한 저장탱크 내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에 있어서,
    저장탱크 내부의 유면 상에 뷰유되는 부유지붕;
    부유지붕의 선단에 고정된 림 플레이트;
    림플레이트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중첩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분할판을 가지는 슈씰;
    상기 분할판 간에 연결상태를 지지하며, 이들 간에 자유로운 겹침이 가능하도록 슈씰의 원주방향으로 천공된 나사공;
    림 플레이트의 외면과 각 분할판의 내면을 연결하며 상기 분할판을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된 가압수단;
    상기 림 플레이트의 외면과 슈씰의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상호 연결하며 상기 슈씰을 지지하는 행거암;
    상기 림 플레이트과 분할판을 연결하며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씰; 및
    상기 복수의 분할판을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가압수단의 기능을 보충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조인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부재는 각 분할판의 내면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와, 이들 고정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이음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저장 탱크의 내벽 방향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씰은 가요성 재질의 막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의 상단 및/또는 하단이 'ㄷ'자 형상의 절곡부로 형성되고, 상호 중첩되어지는 상기 분할판의 양측 단부에 이들을 동시에 커버하면서 상호 연결 및 지지하는 'ㄷ'자 형상의 지지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이의 중간부가 일정한 탄성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유지붕의 상부에 습기로 인해 형성되는 물방울, 상기 물방울과 탱크 외부로부터 유입된 불순물이 혼합하여 축적된 찌꺼기, 및 부유지붕의 상부로 오버플로우된 유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부유지붕의 상,하부를 연통시키면서 상기 부유지붕의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드레인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장치는 부유지붕의 상면에 장착되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의 하단에서 저장탱크의 바닥측으로 연장된 드레인 파이프로 구성되되, 헤드부는 중앙이 상하 관통된 구조로 제공되고 드레인 파이프는 상기 헤드부의 중앙과 연통하도록 중공의 튜브로 제공되며, 상기 헤드부의 중앙은 물 또는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주변부보다 낮게 형성하고 드레인 파이프의 입구에는 물 또는 유류에 의해 부유되는 일정 재질의 볼을 설치하여 상기 드레인 파이프를 개폐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헤드부와 드레인 파이프의 사이에 망사 형태의 여과부를 설치하여 상기 볼의 이탈 및 드레인 파이프에 관 막힘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지붕의 상방으로 돌출된 안내기둥의 둘레면에 평판부재를 밀착시키고, 상기 평판부재와 안내기둥 간에 경계부분에 제1,2 경계씰이 각각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며, 제1 경계씰의 상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제2 경계씰이 구비되되, 제2 경계씰은 안내기둥의 둘레면을 따라 상기 평판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기둥의 둘레면과 연결하는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평판부재를 차폐벽의 상단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압지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제1 경계씰의 고정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커튼씰이 더 구비되되, 상기 커튼씰은 저장탱크 내 유류의 증발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하단부가 저장탱크 내 유류 속에 잠기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림 플레이트의 외면과 슈실의 내면은 가압수단으로 상호 연결되되, 상기 가압수단은 힌지결합된 2개의 아암 구조로 제공되고, 제1 아암은 이의 양단이 림 플레이트의 외면 및 슈씰의 각 분할판 내면에 각각 힌지되고, 제2 아암은 상기 제1 아암과 엇갈린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제2 아암의 일단은 림 플레이트의 외면에 힌지되고 타단은 자유로운 상태로 제공되며, 각 분할판 측에 위치한 상기 제1,2 아암의 단부는 이들 간에 일정 강도의 인장스프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KR1020030077907A 2003-11-05 2003-11-05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KR100540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907A KR100540077B1 (ko) 2003-11-05 2003-11-05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907A KR100540077B1 (ko) 2003-11-05 2003-11-05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663U Division KR200339488Y1 (ko) 2003-11-05 2003-11-05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120A KR20050043120A (ko) 2005-05-11
KR100540077B1 true KR100540077B1 (ko) 2006-01-11

Family

ID=3724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907A KR100540077B1 (ko) 2003-11-05 2003-11-05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40Y1 (ko) * 2009-09-10 2010-01-20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외부부상지붕형 원유저장탱크의 2차 유류 증발방지장치
KR102431674B1 (ko) 2018-01-29 2022-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N110194331B (zh) * 2019-06-27 2024-04-12 华陆工程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钢制单盘浮顶用多功能呼吸系统
KR102295700B1 (ko) * 2020-03-18 2021-08-31 탁원준 유류 저장탱크 부유지붕 레그 시스템
KR102240384B1 (ko) * 2020-03-18 2021-04-15 탁원준 이동식 씰 웰 박스 커버
CN116374439B (zh) * 2023-04-06 2023-10-10 安徽美祥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石油储罐的柔性密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120A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2546A (en) Drain guard
KR100540077B1 (ko)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JPS62210019A (ja) 液体用フイルタ及びフイルタ取付装置
KR200339488Y1 (ko)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KR101237375B1 (ko) 돔 커버의 결합구조
KR102259534B1 (ko) 바닥 습기 배출 탈기구 및 그 탈기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75084B1 (ko) 해양구조물의 장비 스키드용 드레인구조
KR100739875B1 (ko) 공공배수로의 퇴적물 제거형 하수구조
CN108755465B (zh) 下水道结构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CN208565806U (zh) 一种建筑施工工地用废水排放管道
JP2010221124A (ja) 排水槽および油検知方法
KR102382166B1 (ko) 드레인 밸브 조립체
JPH07213822A (ja) 流水管の夾雑物除去装置
KR100683123B1 (ko)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CN220736526U (zh) 一种过滤芯可拆卸的雨水弃流装置
CN115822062A (zh) 双封地漏
JP2020059992A (ja) シンク
JP6353297B2 (ja) 貯油設備用水抜き装置
KR102023957B1 (ko) 하수구 내부 오염을 막아주는 하수구 뚜껑
JPH11321979A (ja) 浮屋根式貯蔵タンクの浮屋根
CN209384346U (zh) 一种能够快速漏水的地漏
KR100706034B1 (ko) 주유소용 유수분리장치
JP6768169B1 (ja) 水排出機構及び水はね逆流防止カバー
CN217870318U (zh) 一种适用于潜孔闸门的防杂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