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166B1 - 드레인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드레인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166B1
KR102382166B1 KR1020200147543A KR20200147543A KR102382166B1 KR 102382166 B1 KR102382166 B1 KR 102382166B1 KR 1020200147543 A KR1020200147543 A KR 1020200147543A KR 20200147543 A KR20200147543 A KR 20200147543A KR 102382166 B1 KR102382166 B1 KR 10238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rain valve
valve assembly
condensed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인기
Original Assignee
엄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인기 filed Critical 엄인기
Priority to KR102020014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드레인 밸브 조립체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레인 밸브 조립체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 하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 내부로 응축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구(200),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볼플로트(300), 상기 볼플로트(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볼플로트(300)의 위치변화에 의해 일측이 개폐되어 상기 몸체(100) 외부로 응축수를 토출하는 개폐부재(400), 상기 몸체(100) 상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400)에 의해 토출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구(50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토출구(500)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구(500)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토출홀(415)이 구비된 고정체(410)와 상기 고정체(41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체(410)와 연결된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내측에 돌출형성된 개폐볼(435)로 상기 토출홀(415)을 개구 또는 폐구시키는 작동체(430)와 상기 작동체(430)를 상기 볼플로트(300)와 연결시키는 연결부(4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레인 밸브 조립체{DRAIN VALVE ASSEMBLY}
본 발명은 드레인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 하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 내부로 응축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구(200),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볼플로트(300), 상기 볼플로트(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볼플로트(300)의 위치변화에 의해 일측이 개폐되어 상기 몸체(100) 외부로 응축수를 토출하는 개폐부재(400), 상기 몸체(100) 상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400)에 의해 토출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63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배출구(630)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배출구(630)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토출홀(415)이 구비된 고정체(410)와, 상기 고정체(41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체(410)와 연결된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내측에 돌출형성된 개폐볼(435)로 상기 토출홀(415)을 개구 또는 폐구시키는 작동체(430)와, 상기 작동체(430)를 상기 볼플로트(300)와 연결시키는 연결부(4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드레인 밸브(Drain valve)는 상수도관이나 각종 배관 내에 잔존하는 유체나 찌꺼기를 배출하여 배관 내 부식 또는 훼손을 방지하고 물의 결빙으로 인한 배관의 동파 방지 등을 수행한다. 통상의 드레인 밸브는 조작에 의해 드레인관을 개방시켜 드레인관 내의 유체나 찌꺼기를 배출시키고 다시 드레인관을 폐쇄하도록 작동된다.
특히, 에어컴프레셔, 에어탱크 등 에어라인이 가동되는 동안 에어배관을 통과하는 고압의 압축공기가 외부와의 온도차이에 생성된 수분이나 압축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유분 등을 정기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드레인 밸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드레인 밸브는 응축수 배출시 외부 공기가 에어배관 내에 유입될 위험이 있으며, 드레인관 개방시 에어라인의 가동을 일시 중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응축수의 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볼플로트(300)를 이용하여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출하고 에어배관의 가동을 유지할 수 있는 드레인 밸브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0433호)에는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볼플로트에 의해 회전하는 볼밸브를 통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볼플로트 트랩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선행기술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0317호)에는 응축수에 의해 부유되는 플로우트와 연결된 오리피스가 작동되어 응축수가 자동배출되는 프리플로우트 스팀트랩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과 같이 볼밸브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유로를 따라 응축수가 배출되는 경우 일정기간 사용시 내부유로 내에 응축수에 포함된 유지류, 산성물질 및 각종 찌꺼기 등이 내부유로에 쌓이면서 내부유로가 막혀 응축수 배출효율이 저하되었다. 또한, 잦은 고장으로 인한 볼밸브의 교체가 수반되어 드레인 밸브의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특허번호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0433호 (특허번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0317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응축수의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드레인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수 배출로 인해 내부유로에 축적되는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드레인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응축수를 모으는 공간과 토출구를 분리하여 응축수로 인한 이물질 축적 및 부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드레인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 하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 내부로 응축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구(200),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볼플로트(300), 상기 볼플로트(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볼플로트(300)의 위치변화에 의해 일측이 개폐되어 상기 몸체(100) 외부로 응축수를 토출하는 개폐부재(400), 상기 몸체(100) 상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400)에 의해 토출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구(500)를 포함하는 드레인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토출구(500)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구(500)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토출홀(415)이 구비된 고정체(410)와, 상기 고정체(41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체(410)와 연결된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내측에 돌출형성된 개폐볼(435)로 상기 토출홀(415)을 개구 또는 폐구시키는 작동체(430)와, 상기 작동체(430)를 상기 볼플로트(300)와 연결시키는 연결부(450)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415)은 상기 고정체(410)의 하부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50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과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여 응축수를 수용하며,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630)를 통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로(6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200)를 폐구하고, 상기 배출구(630)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배출통로(600) 및 상기 토출홀(415)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는 일정 양의 응축수가 유입된 경우에 개폐부재가 일시적으로 개구되므로, 잦은 개폐로 인한 에어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응축수 배출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수의 배출유로인 토출홀, 토출 및 배출통로 내에 축적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반영구적인 사용을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는 토출구를 몸체의 상부에 배치하여 응축수를 모으는 영역과 분리될 수 있어, 산성을 띠며 이물질이 포함된 응축수로 인한 토출구 막힘, 부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는 배출통로를 구비하여 응축수의 배출강도를 조절하여 작업자 및 작업환경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을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실제 이미지.
도 3은 도 1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개폐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개폐부재를 확대한 실제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유입으로 상승된 볼플로트에 의해 개폐부재가 개구된 상태를 나타낸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개폐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조립체에서 응축수가 외부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배출구에 에어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실제 이미지이고, 도 3은 도 1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개폐부재(400)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개폐부재(400)를 확대한 실제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유입으로 상승된 볼플로트(300)에 의해 개폐부재(400)가 개구된 상태를 나타낸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개폐부재(400)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 조립체에서 응축수가 외부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배출구(630)에 에어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드레인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는 응축수가 생성되는 에어컴프레셔 또는 에어탱크 등의 에어배관과 연결되어 에어배관에서 형성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 하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 내부로 응축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구(200),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볼플로트(300), 상기 볼플로트(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볼플로트(300)의 위치변화에 의해 일측이 개폐되어 상기 몸체(100) 외부로 응축수를 토출하는 개폐부재(400), 상기 몸체(100) 상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400)에 의해 토출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63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토출구(500)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구(500)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토출홀(415)이 구비된 고정체(410)와, 상기 고정체(41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체(410)와 연결된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내측에 돌출형성된 개폐볼(435)로 상기 토출홀(415)을 개구 또는 폐구시키는 작동체(430)와, 상기 작동체(430)를 상기 볼플로트(300)와 연결시키는 연결부(4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에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에어배관(미도시)에서 유래된 응축수를 수용하여 모으는 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밀폐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의 압력이 상기 몸체(100)의 외부압력과 압력차이를 형성함으로써, 응축수가 상기 몸체(1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응축수 배출효율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에는 에어배관을 따라 응축수와 함께 압축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밀폐되도록 구비하여, 연결된 에어배관의 에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에서 상기 유입구(200)는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100)의 밀폐된 내부공간과 응축수가 생성된 에어배관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에어배관 내의 응축수는 상기 유입구(200)를 따라 상기 몸체(100)의 밀폐된 내부공간으로 수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입구(200)의 일측은 배관연결을 위한 배관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입구(200)와 에어배관 사이에 틈이 최대한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유입구(200)와 상기 에어배관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에서 상기 볼플로트(ball-float)(300)는 상기 몸체(100) 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응축수에 의해 부유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볼플로트(300)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응축수에 의해 부유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을 수 있으며, 가벼운 재질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볼플로트(300)는 통상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에 사용되는 볼플로트, 부구 또는 뜨개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에서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볼플로트(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볼플로트(300)가 응축수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면서 달라지는 위치변화에 의해 일측이 개구 또는 폐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400)의 일측이 개구되면 상기 개구된 개폐부재(400)를 통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응축수가 상기 몸체(10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토출구(500)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구(500)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토출홀(415)이 구비된 고정체(410)와, 상기 고정체(41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체(410)와 연결된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내측에 돌출형성된 개폐볼(435)로 상기 토출홀(415)을 개구 또는 폐구시키는 작동체(430)와, 상기 작동체(430)를 상기 볼플로트(300)와 연결시키는 연결부(450)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고정체(410), 상기 작동체(430) 및 상기 연결부(450)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체(410)는 상기 몸체(100)의 상단 일측에 구비된 토출구(500)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1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체(43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체(410)에는 응축수가 수용되고 이동하는 유로인 토출홀(415)이 상기 고정체(410)의 내부에 관통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토출홀(415)은 상기 고정체(410)의 하부면(415a)에서부터 시작되어 상기 고정체(410)의 중심영역인 상방향으로 관통되고 관통방향이 상기 고정체(410)가 고정된 토출구(500) 방향(415b)으로 꺽여 관통되어, 상기 고정체(410) 내부에 상기 토출홀(415)이'역ㄱ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체(410)의 타측에는 상기 작동체(430)를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축(431)을 장착시키기 위한 회전축장착홀(미도시)이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고정체(410) 일측과 상기 작동체(430) 일측이 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장착홀에 회전축(431)을 체결하여, 상기 고정체(410)와 상기 작동체(430)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작동체(430)는 상기 회전축(431)에 의해 상기 고정체(41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작동체(430)는 상방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410)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410)의 하부에 상기 고정체(410) 일측이 덮여지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체(430)는 상기 고정체(410)의 토출홀(415)을 선택적으로 개구 또는 폐구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410)의 하단 일부가 덮여지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작동체(430)는 상기 연결부(450)에 의해 상기 볼플로트(300)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도 5 내지 도 6rhk 같이, 상기 볼플로트(300)가 상승시 상기 작동체(430)의 일측이 상기 볼플로트(300)와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고정체(410)와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플로트(300)가 다시 하강하면 상기 볼플로트(300)와 함께 상승한 작동체(430)의 일측이 하강하면서 상기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작동체(430)는 상기 고정체(410)와 수평하게 원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작동체(430)의 내측에는 바닥면에서부터 돌출되도록 개폐볼(435)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체(430)가 상기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작동체(430) 일측에 형성된 상기 개폐볼(435)이 상기 고정체(410)의 토출홀(415)을 선택적으로 개구 또는 폐구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상기 작동체(430)가 상기 고정체(410)와 수평하게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개폐볼(435)의 상단부는 상기 고정체(410)의 하부면에 구비된 토출홀(415)과 접촉되어 상기 토출홀(415)을 폐구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작동체(430)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고정체(410)와 경사지게 위치되는 경우, 상기 토출홀(415)과 접촉되어 배치된 개폐볼(435)이 상기 토출홀(415)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토출홀(415)이 개구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볼(435)은 세라믹(ceramic) 재질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개폐볼(435)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의 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기 볼플로트(300)에 의해 상기 작동체(430)가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토출홀(415)과 반복적으로 접촉과 탈착이 반복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개폐볼(435)은 상기 토출홀(415)의 반복적인 접촉과 탈착으로 인해 파손되지 않는 세라믹 소재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볼(435)이 상기 토출홀(415)을 폐구시킬 때, 별도의 실링(sealing) 없이도 상기 개폐볼(435)에 의해 상기 토출홀(415)이 완벽하게 폐구되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작동체(430)가 상기 고정체(410)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개폐볼(435)이 상기 토출홀(415)의 하부면에서 상방향으로 착탈되면서 상기 토출홀(415)에 진동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상기 토출홀(415) 내부의 부착된 이물질들이 진동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상기 토출홀(415)은 상기 고정체(410)의 하부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홀(415)은 상기 고정체(410)의 하부면에서 일정 깊이까지는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토출홀(415)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기 개폐볼(435)이 상기 토출홀(415)을 완벽하게 폐구시키기 위한 것으로,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을 때 상기 몸체(100) 내에 유입된 공기 또는 압축공기 등이 손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홀(415)이 상기 고정체(410)의 하부면에서 일정깊이까지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토출홀(415)을 통해 상기 몸체(100) 외부로 토출되는 응축수의 배출효율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에서 상기 토출구(5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400)에 의해 토출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출구(630)의 외측에는 토출구마개(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상기 토출구(50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과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여 응축수를 수용하는 배출통로(6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배출통로(600)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격벽(610)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과 분리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배출통로(600)는 상기 토출구(500)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과 분리된 공간에 상기 개폐부재(400)를 통해 토출된 응축수를 수용시키고,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630)를 통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1 및 도 5와 같이, 상기 몸체(100) 방향에 위치한 배출구(630)의 일측은 폐구된 것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압력과 상기 몸체(100)의 외부압력의 압력차이로 상기 개폐부재(400)를 통해 토출되는 응축수를 바로 토출구(500)를 통해 토출시키면 토출시 응축수에 분사강도가 높아질 수 있고, 상황에 따라 토출되는 응축수가 많아지는 경우 배출구(630)에 압력이 가해질 있어, 작업자 및 작업환경에 위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는 상기 개폐부재(400)를 통해 토출된 응축수를 상기 배출통로(600)에 임시로 수용한 후, 상기 배출구(630)를 통해 배출시켜 응축수의 토출강도 및 배출구(630)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춰 응축수의 외부 배출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 조립체에서 응축수가 외부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는 상기 볼플로트(300) 상단에 개폐부재(400)를 구비시켜 상기 몸체(100)의 내부압력 및 상기 몸체(100)의 외부압력간의 압력차이에 의해 응축수(C, condensate)가 상기 개폐부재(400)의 토출홀(415)을 따라 상기 토출구(500)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400)와 응축수가 접촉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드레인 밸브의 개폐부재(400)가 응축수가 모아지는 몸채 내부공간 하부에 구비되어, 산성을 띠는 응축수에 계속 노출되어 개폐밸브가 부식되거나 파손되었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토출이 요구될 정도로 상기 몸체(100) 내에 응축수가 모인 경우에만 상기 개폐부재(400)가 일시적으로 개구되어 응축수를 토출시키고, 토출이 요구되지 않을 정도로 응축수 양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재(400)가 폐구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드레인 밸브에 있어서 개폐부재(400)의 잦은 개폐에 따른 에어손실과, 사용자의 직접 조작이 수반되었던 한계점 또한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배출구(630)에 에어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구(200)를 폐구하고, 상기 배출구(630)에 에어(air)를 주입하여 상기 배출통로(600) 및 상기 토출홀(415)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구(200)를 폐구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630)를 에어배관과 연결하거나 에어를 일시적으로 주입하게 되면, 도 8의 붉은 화살표와 같이 주입된 에어는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배출구(630), 상기 배출통로(600) 및 상기 토출홀(41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몸체(100) 내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하는 에어에 의해 상기 배출구(630), 상기 배출통로(600) 및 상기 토출홀(415) 내벽에 부착되어 있거나 잔류된 응축수의 이물질들이 탈착/제거되면서 응축수가 배출되는 유로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조립체는 별도의 청소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토출홀(415) 내부에 축적된 응축수에서 유래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개폐부재(400)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400) 및 드레인 밸브 조립체의 정기적인 교체가 수반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관련분야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몸체 200: 유입구
300: 볼플로트 400: 개폐부재
410: 고정체 415: 토출홀
430: 작동체 431: 회전축
435: 개폐볼 500: 토출구
600: 배출통로 610: 격벽
630: 배출구

Claims (4)

  1.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 하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 내부로 응축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구(200);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볼플로트(300);
    상기 볼플로트(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볼플로트(300)의 위치변화에 의해 일측이 개폐되어 상기 몸체(100) 외부로 응축수를 토출하는 개폐부재(400);
    상기 몸체(100) 상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400)에 의해 토출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구(50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토출구(500)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구(500)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토출홀(415)이 구비된 고정체(410)와,
    상기 고정체(41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체(410)와 연결된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내측에 돌출형성된 개폐볼(435)로 상기 토출홀(415)을 개구 또는 폐구시키는 작동체(430)와,
    상기 작동체(430)를 상기 볼플로트(300)와 연결시키는 연결부(450)로 구성되며,
    상기 토출구(50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과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여 응축수를 수용하며,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630)를 통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로(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415)은 상기 고정체(410)의 하부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조립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200)를 폐구하고,
    상기 배출구(630)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배출통로(600) 및 상기 토출홀(415)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조립체.
KR1020200147543A 2020-11-06 2020-11-06 드레인 밸브 조립체 KR10238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543A KR102382166B1 (ko) 2020-11-06 2020-11-06 드레인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543A KR102382166B1 (ko) 2020-11-06 2020-11-06 드레인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166B1 true KR102382166B1 (ko) 2022-04-01

Family

ID=8118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543A KR102382166B1 (ko) 2020-11-06 2020-11-06 드레인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1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768B2 (ja) * 1993-09-30 2002-03-25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オートドレン装置
KR101430433B1 (ko) 2013-01-14 2014-08-14 조운제 볼 플로트 트랩
KR101468794B1 (ko) * 2013-01-25 2014-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응축수 배출기
KR101790317B1 (ko) 2015-10-23 2017-10-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플로우트 스팀 트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768B2 (ja) * 1993-09-30 2002-03-25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オートドレン装置
KR101430433B1 (ko) 2013-01-14 2014-08-14 조운제 볼 플로트 트랩
KR101468794B1 (ko) * 2013-01-25 2014-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응축수 배출기
KR101790317B1 (ko) 2015-10-23 2017-10-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플로우트 스팀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44921B (da) Tilbageloebs- og lugtforhindrende lukke for vaesker
KR102000229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US20050199269A1 (en) Cleaning tanks
US5372621A (en) Condensate trap for vapor extraction system
CA1152858A (en) Sewage pumping station
KR102382166B1 (ko) 드레인 밸브 조립체
KR200456808Y1 (ko) 공기밸브장치
JP5189026B2 (ja) レバー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KR101773021B1 (ko) 복합 사이클론 집진기
CN108730603A (zh) 一种自动蒸汽排水器
KR100540077B1 (ko)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JP5505239B2 (ja) 上昇管トップカバーの水封装置
KR102326266B1 (ko)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US4676265A (en) Vacuum pump drain device
CN208605712U (zh) 一种自动蒸汽排水器
JP7041000B2 (ja) 浮動式流体トラップ
EP0918709B1 (en) Tank for storing liquid products
RU213941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в скважине
RU22620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сорения механизмов электроцентробежных насосов в скважинах
JPS645043Y2 (ko)
KR200339488Y1 (ko) 유류 증발 억제 시스템
CA2500280A1 (en) Cleaning tanks
JP7482514B2 (ja) 捕捉手段を有する逆止弁
KR960002869Y1 (ko) 분진 배출 장치
RU57629U1 (ru)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