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808Y1 - 공기밸브장치 - Google Patents

공기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808Y1
KR200456808Y1 KR2020110005651U KR20110005651U KR200456808Y1 KR 200456808 Y1 KR200456808 Y1 KR 200456808Y1 KR 2020110005651 U KR2020110005651 U KR 2020110005651U KR 20110005651 U KR20110005651 U KR 20110005651U KR 200456808 Y1 KR200456808 Y1 KR 200456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valve body
air
out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Priority to KR2020110005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8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8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16K24/04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16K47/023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for preventing water-hammer, e.g. damping of the valv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밸브몸체의 내부에서 상측의 압력강하에 의해 부유구가 상승하여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해소하고, 부유구의 상승 시 가이드에 의한 끼임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상승작용이 발생하는 구조의 공기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는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여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공이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유출구의 둘레에 설치되는 밀폐패킹과, 상기 유동공에 위치하고 물속에서 부유함에 따라 상기 밀폐패킹과 접촉하여 상기 유출구를 밀폐할 수 있는 부유구와, 상기 밸브몸체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밸브몸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되 하부는 상기 부유구를 받치도록 모아져 부유구가 안착되고 상부는 상기 부유구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구가 상기 리브의 하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공에 형성되는 최소면적의 공기유동단면은 상기 부유구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밸브장치{Air release valve}
본 고안은 공기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수관 등에 설치되어 관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진공압력을 해소할 수 있는 공기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용 관로 등 송수관의 내부에는 여러 요인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송수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물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러한 내부의 공기(3)는 관로(2) 중 산을 이루는 부분에 모여 에어포켓(air pocket)을 형성하게 되는 바, 물(1)의 흐름을 방해하고 펌프(4)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수시로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관로(2)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예컨대 에어포켓이 형성되는 지점 등에 공기밸브가 설치된다. 그러한 공기밸브는 신속하게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배수 시에는 신속하게 외부공기를 관내로 유입시켜 진공압력에 의한 관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송수관에 설치되는 종래의 공기밸브의 구성 및 그 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밸브몸체(5)의 내부는 부유구(8)와 부유구(8)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7)가 중심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7)의 주면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구(6)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몸체(5)의 유출구에는 밀폐패킹(9)가 설치되어 부유구(8)가 상승할 때 접촉하여 유출구(5a)를 밀폐시킬 수 있다.
송수관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면 도2의 (a)와 같이 공기밸브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고,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반대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송수관(2)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간 후에는 물이 차올라 부유구(8)가 상승하게 되므로 밀폐패킹(9)과 함께 유출구(5a)를 밀폐시켜 물의 유출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밸브에서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내부로 유입될 때, 부유구의 상측에 있는 유출구(5a) 또는 가이드(7)의 통공(7a)의 단면적이 작아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면서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측의 낮은 압력에 의해 부유구(8)가 상승하게 되어 공기의 유출이나 유입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통로를 막아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밸브에서는 가이드(7) 내면 또는 부유구(8)의 외면의 가공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부유구(8)가 상승하면서 약간 기울어져 상기 가이드(7)의 내면에 끼이게 되어 차오르는 물과 함께 원활히 상승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밸브몸체의 내부에서 상측의 압력강하에 의해 부유구가 상승하여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해소한 공기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유구의 상승 시 가이드에 의한 끼임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상승작용이 발생하는 구조의 공기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는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여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공이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유출구의 둘레에 설치되는 밀폐패킹과, 상기 유동공에 위치하고 물속에서 부유함에 따라 상기 밀폐패킹과 접촉하여 상기 유출구를 밀폐할 수 있는 구(球)형상의 부유구와, 상기 밸브몸체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밸브몸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되 하부는 상기 부유구를 받치도록 모아져 상기 부유구가 안착되고 상부는 상기 부유구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구가 상기 리브의 하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공에 형성되는 최소면적의 공기유동단면은 상기 부유구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공기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유구의 표면에 용접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유구의 최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드가 접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밸브몸체에는 상기 가이드로드가 수직으로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로드안내수단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로드와 상기 부유구가 접합되는 위치는 상기 부유구의 상승 시 상기 용접부가 상기 밀폐패킹에 접촉되지 않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브몸체의 하측에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수격완충밸브가 더 설치되고, 상기 수격완충밸브는 그 중심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밸브몸체가 위치하는 방향의 충격이 흡수되도록 상기 완충스프링에 탄지되고 상기 밸브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벌어진 삿갓모양의 수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격판의 중심부 둘레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수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공기의 유동에 따라 부유구의 하측에서 공기속도가 가장 빠른 영역이 발생하여 압력이 가장 낮아지므로 부유구가 공기의 흐름속도 차이에 의해 상승하여 유출구를 막아버리는 문제를 해소 또는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은 부유구가 구형상이 됨으로써 리브와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승하므로 복수의 리브 사이에 끼여 상승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셋째, 본 고안은 표면에 용접부가 있는 부유구의 경우 가이드로드와 안내수단에 의해 부유구의 용접면이 밀폐수단에 접촉하지 않도록 항상 안내하여 밀폐작용이 확실히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부유구의 표면에 고무코팅층을 형성하여 용접부가 표면에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밀폐수단과의 밀폐작용을 양호하게 한다.
넷째, 본 고안은 수격완충밸브가 부가적으로 설치된 경우, 수격완충밸브 내부에 설치되는 수격판에 배수공이 구비됨으로써 그 상부에 물이나 이물질이 퇴적되어 부패하거나 침전물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도 1은 송수관 내에 발생하는 공기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공기밸브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구성 및 작용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에서 송수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에서 수격완충밸브에 수격이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에서 물이 유입됨에 따라 부유구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에서 송수관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됨에 따라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로서, 부유구의 표면에 고무코팅층이 형성된 구성의 단면도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는 상측의 공기밸브(10)와, 그 하측의 수격완충밸브(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격완충밸브(30)는 수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제거한 후 송수관(40)에 공기밸브(10)만 설치할 수 있고, 그 경우 본 고안의 공기밸브장치는 공기밸브(10)만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밸브장치는,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유입구(12)와 유출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2)와 상기 유출구(14)를 연결하여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공(13)이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11)와, 상기 유출구(14)의 둘레에 설치되는 밀폐패킹(15)과, 상기 유동공(13)에 위치하고 물속에서 부유함에 따라 상기 밀폐패킹(15)과 접촉하여 상기 유출구(14)를 밀폐할 수 있는 부유구(21)와, 상기 밸브몸체(11)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밸브몸체(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되 하부는 상기 부유구(21)를 받치도록 모아져 부유구(21)가 안착되고 상부는 상기 부유구(21)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리브(16)를 포함하되, 부유구(21)가 리브(16)의 하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공(13)에 형성되는 최소면적의 공기유동단면은 부유구(2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밸브몸체(11)는 공기밸브(10)의 하우징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유입구(12)와 유출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2)와 유출구(14)를 연결하는 유동공(13)이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내부를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밸브몸체(11)로 공기가 유입되는 하단의 경계부를 유입구(12)로 기재하고, 공기가 밸브몸체(11)로부터 상측으로 유출되는 밸브몸체(11)의 상단의 경계부를 유출구(14)로 기재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유동공(12)는 상부와 하부가 상기 유입구(12)와 유출구(14)에 각각 접하는 밸브몸체(11)의 내부공간으로 정의된다.
또한, 송수관(40)의 내부에 진공이 발생하여 외부에서 밸브몸체(1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출구(14)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게 되는 것이므로 작용과 기술용어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기준에서 본 명세서의 용어가 사용되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밀폐패킹(15)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출구(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밀폐패킹(15)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부유구(21)가 떠오르면 부유구(21)의 표면과 밀착되어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있다.
상기 부유구(21)는 밸브몸체(11)의 중심부에 수용되고, 부유구(21)의 내부는 빈공간인 공기실(211)이 형성되어 물에 떠오르도록 구성된다. 부유구(21)는 구(球)형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16)는 밸브몸체(11)의 내면에서 밸브몸체(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밸브몸체(11)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리브(16)가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쌍이 되도록 설치한다. 예컨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면부호 16a와 도면부호 16b의 리브(16)가 서로 마주보는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16)의 하부는 상기 부유구(21)를 받칠 수 있도록 모아져 부유구(21)의 하부와 접촉하고 있다.
상기 리브(16)의 상부는 수직으로 뻗어 있는 상태이고, 서로 마주보는 각 쌍의 리브(16) 사이에서 양측 리브(16)의 사이의 간격은 하부에서의 거리보다 넓어져 구형상 부유구(21)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밸브몸체(11) 내부에 물이 차올라 부유구(21)가 떠오르면 상방으로의 이동을 리브(16)가 안내하게 된다.
한편, 유동공(13)에 공기가 유동하고 부유구(21)가 밸브몸체(11)의 하부에 안착된 상태 즉, 상기 리브(16)의 하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부유구(21)의 중심부(도면에서 부유구 내부에 O점으로 표시)를 기준으로 하여 그 하측(h1)에서 최소 압력이 발생되는 영역이 존재하도록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설계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동공(13)에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부유구(21)의 상측(h2)에서 공기의 유동속도가 급속도로 빨라지는 부분이 존재하면 상측(h2)의 압력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공기가 빠져나가는 중에 부유구(21)가 상승하여 유출구(14) 측을 막아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유구(21)의 주위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거의 일치하고 있는 부유구(21)의 표면에 직각인 단면에 대하여, 상기 부유구(21)의 하부면과 상기 밸브몸체(11) 사이의 공간에서 가장 단면적이 작은 영역이 존재하도록 설계하여, 공기의 유동시 압력강하에 의해 부유구(21)를 하측으로 끌어내리는 힘이 존재하도록 한 것이다. 본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공기유동단면”은 유동공(13)을 형성하는 부유구(21)와 밸브본체(11) 사이의 공간에서 부유구(21)의 하부에서부터의 높이가 동일한 부유구(21)의 표면 둘레를 따라 그 표면에 직각으로 상기 공간을 절단한 단면으로 정의된다.
상기 부유구(21)의 하부면과 상기 밸브몸체(11) 사이의 공기유동단면 중 최소단면적을 가지는 부분은 도 3에서 A-A로 표시된 단면부분이다. 그 단면적(S1)은 부유구(21) 주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방향에 직각인 단면적 중 최소단면적을 가지는 공기유동단면이고, 부유구(2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측에서 발생하고 있다. 상기 단면적(S1)은 도 4에 표시되어 있다. 만일, 도 3에 표시된 밀폐패킹(15)과 부유구(21) 사이의 공기유동 단면적(S3)이 가장 좁은 경우,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여 부유구(21)를 상승시키는 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단면적(S3)은 부유구(21) 하측의 최소단면적(S1)보다 충분히 넓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부유구(2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측(h1)에서 공기흐름속도가 가장 빠른 영역이 발생하면, 그 영역은 압력이 가장 낮은 부분이 되어 공기가 빠져나가는 중에 부유구(21)가 상승하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유구(21)의 최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드(22)가 접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밸브몸체(11)에는 상기 가이드로드(22)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로드안내수단(24)이 밸브몸체(11)에 고정된 커버체(17)를 매개로 밸브몸체(1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로드(22)를 부유구(21)에 접합시키는 위치는 상기 부유구(21)의 상승 시 용접부(21a)가 상기 밀폐패킹(15)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구형상의 부유구(21)를 제작 시 반구를 합쳐 하나의 구형상을 제작함에 따라 용접부(21a)가 불가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접부(21a)가 밀폐패킹(15)과 접촉하면 밀폐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밸브몸체(11) 내부의 물이 유출되게 되므로, 상기 용접부(21a)가 밀폐패킹(15)과 접촉하지 않도록 부유구(21)가 상승하여야 한다. 상기 가이드로드(22)는 로드안내수단(24)에 의해 수직으로 안내되고 있으므로 부유구(21)는 항상 동일한 부분이 밀폐패킹(15)과 접촉하여 밀폐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부유구(21)의 표면 중 가이드로드(22)의 접합위치는 용접부(21a) 외의 부분이 상기 밀폐패킹(15)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이드되는 위치이다.
한편, 용접부(21a)가 설치된 부유구(21)의 표면에 상기 용접부(21a)를 덮는 두께의 고무코팅층(21b)이 전체면에 형성되면 상기와 같은 가이드로드(22) 및 로드안내수단(24)이 제거될 수 있다.
도 9는 그와 같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구형상의 부유구(21)에는 부유구(21)의 제작에 따라 형성되는 용접부(21a)가 설치되고, 고무코팅층(21b)은 상기 용접부(21a)를 덮는 두께로 형성되어 외표면에서는 용접부(21a)가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고무코팅층(21b)이 부유구(21)의 전체면에 형성될 때는 용접부(21a)를 그라인딩하여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무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무코팅층(21b)이 형성된 부유구(21)는 물이 차오르는 경우 회전하면서 상승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용접부(21a)가 형성된 부분이 밀폐패킹(15)과 접촉할 수 있으나, 고무코팅층(21b)이 용접부(21a)를 덮고 있어 고무코팅층(21b)과 밀폐패킹(15)이 접하게 되므로 원활한 밀폐작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공기밸브장치의 하부에는 밸브몸체(11)의 유입구(12)와 연통되도록 수격완충밸브(3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수격완충밸브(30)는 그 중심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스프링(33)과, 상기 밸브몸체(11)가 위치하는 방향의 충격이 흡수되도록 상기 완충스프링(33)에 탄지되고 상기 밸브몸체(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벌어진 삿갓모양의 수격판(35)과, 상기 수격판(35)의 중심부 둘레에 설치되는 배수공(352)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스프링(33)은 수격판(35)의 중심축(31)에 끼워져 수격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고 있고, 수격판(35)의 중심축(31)은 수격완충밸브(3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지지체(32,34)에 의해 지지되어 가이드되고 있다.
상기 수격판(35)은 상기 중심축(31)을 중심으로 밸브몸체(11)가 있는 방향으로 벌어져 있는 삿갓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삿갓모양은 송수관(40) 내의 공기가 배출될 때 삿갓형상의 후면을 타고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유동을 원활하게 하고, 송수관에 물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약간 경사진 삿갓형상의 후면을 타고 충격이 전달됨으로써 수격판(35)이 한꺼번에 큰 충격을 받아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격판(35)의 중심부 둘레 즉, 상기 중심축(31)의 둘레에는 배수공(352)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삿갓모양의 수격판(35)이 상측을 향해 설치됨으로써 상부에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어 물과 이물질이 고이게 된다. 이에 따라, 배수공(352)은 삿갓모양의 수격판(35) 상부에 고인 물과 이물질을 배출시킴으로써 이물질이 부패되거나 침전물이 생겨 차후 공기밸브로 차오르는 물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고하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공기층(3)이 송수관(40)에 발생하는 경우 공기가 밸브몸체(11)의 유동공(13)을 통해서 배출되게 된다. 이 때, 밸브몸체(11)에 수용된 부유구(21)는 자중에 의해 리브(16)의 하부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가 밸브몸체(11)의 주위를 유동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부유구(21)의 하부면과 밸브몸체(11)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한 최소단면적(S1)이 위치하여 가장 압력이 낮은 영역이 발생한다. 따라서, 부유구(21)는 압력이 낮은 쪽으로 끌리게 됨으로써 더욱 리브(16)의 하부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려 할 것이고, 상승하여 유출구(14)를 막는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부유구(21)가 구형상이 됨으로써 리브(16)와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승하므로 리브(16) 사이에 끼여 상승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6은 수격완충밸브에 수격이 작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펌핑이 중단되거나 개시되는 등의 갑작스런 변화에 의해 송수관 내부에는 수격이 발생하고 공기밸브(10)의 하부에 도달한다. 상기 수격은 수격완충밸브(30)의 수격판(35)에 먼저 작용하게 되고, 수격판(35)이 완충스프링(33)을 압축시키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밸브(10)를 보호하고 물이 외부로 넘치는 등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도 7은 송수관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고 물이 차오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부유구(21)가 물에 의해 부유하여 상승하게 되므로 부유구(21)는 밀폐수단(15)과 접촉하여 유출구(14)를 밀폐시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밸브몸체(11)까지 차오른 물은 펌핑작용이 중단될 때 하강하게 되고, 부유구(21)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삿갓모양의 수격판(35)의 상부에 물과 이물질이 잔류할 수 있으나, 배수공(352)에 의해 배출이 가능하므로 잔유물이 부패되거나 침전물이 생겨 차후 공기밸브(10)로 차오르는 물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한편, 펌핑작용이 갑자기 멈추는 등의 원인으로 도 1의 “A"와 같은 부분에는 진공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송수관(40) 내부에 발생하는 진공압력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송수관(4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송수관(40)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부압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공기의 유동속도가 가장 빠른 부분이 부유구(21)의 하부면과 밸브몸체(11) 사이의 공간(S1)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유구(21)가 압력차에 의해 상승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막는 작용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공기밸브 11; 밸브몸체
12; 유입구 13; 유동공
14; 유출구 15; 밀폐패킹
16,16a,16b; 리브 17; 커버체
21; 부유구 21a; 용접부
21b; 고무코팅층 22; 가이드로드
24; 로드안내수단 30; 수격완충밸브
31; 중심축 32; 지지체
33; 완충스프링 34; 지지체
35; 수격판 40; 송수관
211; 공기실 352; 배수공

Claims (6)

  1.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유입구(12)와 유출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2)와 상기 유출구(14)를 연결하여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공(13)이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11)와,
    상기 유출구(14)의 둘레에 설치되는 밀폐패킹(15)과,
    상기 유동공(13)에 위치하고 물속에서 부유함에 따라 상기 밀폐패킹(15)과 접촉하여 상기 유출구(14)를 밀폐할 수 있는 구(球)형상의 부유구(21)와,
    상기 밸브몸체(11)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밸브몸체(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되 하부는 상기 부유구(21)를 받치도록 모아져 상기 부유구(21)가 안착되고 상부는 상기 부유구(21)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리브(16)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구(21)가 상기 리브(16)의 하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공(13)에 형성되는 최소면적의 공기유동단면은 상기 부유구(2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공기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유구(21)의 표면에 용접부(21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유구(21)의 최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드(22)가 접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밸브몸체(11)에는 상기 가이드로드(22)가 수직으로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로드안내수단(24)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로드(22)와 상기 부유구(21)가 접합되는 위치는 상기 부유구(21)의 상승 시 상기 용접부(21a)가 상기 밀폐패킹(15)에 접촉되지 않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밸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11)의 하측에는 상기 유입구(12)와 연통되도록 수격완충밸브(3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수격완충밸브(30)는
    그 중심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스프링(33)과,
    상기 밸브몸체(11)가 위치하는 방향의 충격이 흡수되도록 상기 완충스프링(33)에 탄지되고 상기 밸브몸체(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벌어진 삿갓모양의 수격판(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밸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격판(35)의 중심부 둘레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수공(3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밸브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10005651U 2011-06-22 2011-06-22 공기밸브장치 KR200456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651U KR200456808Y1 (ko) 2011-06-22 2011-06-22 공기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651U KR200456808Y1 (ko) 2011-06-22 2011-06-22 공기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808Y1 true KR200456808Y1 (ko) 2011-11-21

Family

ID=4556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651U KR200456808Y1 (ko) 2011-06-22 2011-06-22 공기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80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9332A1 (zh) * 2011-08-30 2013-03-07 Chen Yifei 一种四功能防水锤空气阀组
CN103542138A (zh) * 2013-11-01 2014-01-29 深圳市华力大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气囊式通气泄水型正负压水击控制阀阀组
CN103672042A (zh) * 2013-10-21 2014-03-26 深圳市华力大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后置调节型三孔口复合式防水锤空气阀阀组
CN104913111A (zh) * 2015-06-05 2015-09-16 株洲南方阀门股份有限公司 防水锤空气阀及管道使用过程中的防水锤排气方法
KR102182743B1 (ko) * 2020-02-20 2020-11-25 주식회사 무릉 에어밸브장치
KR102519682B1 (ko) 2022-08-23 2023-04-19 주식회사 호산기업 공기방출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579B1 (ko) * 2006-11-02 2007-07-06 주식회사 삼진정밀 상수용 다기능 공기빼기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579B1 (ko) * 2006-11-02 2007-07-06 주식회사 삼진정밀 상수용 다기능 공기빼기밸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9332A1 (zh) * 2011-08-30 2013-03-07 Chen Yifei 一种四功能防水锤空气阀组
CN103672042A (zh) * 2013-10-21 2014-03-26 深圳市华力大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后置调节型三孔口复合式防水锤空气阀阀组
CN103542138A (zh) * 2013-11-01 2014-01-29 深圳市华力大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气囊式通气泄水型正负压水击控制阀阀组
CN104913111A (zh) * 2015-06-05 2015-09-16 株洲南方阀门股份有限公司 防水锤空气阀及管道使用过程中的防水锤排气方法
KR102182743B1 (ko) * 2020-02-20 2020-11-25 주식회사 무릉 에어밸브장치
KR102519682B1 (ko) 2022-08-23 2023-04-19 주식회사 호산기업 공기방출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808Y1 (ko) 공기밸브장치
WO2016192351A1 (zh) 自调式气体隔离器
US20190072058A1 (en) Air cleaner case
AU2013327419B2 (en) Combination air valve
JP5633079B2 (ja) 自動吸排気バルブ装置
KR101405016B1 (ko) 부력식 가동보 구조물
CN111503354A (zh) 一种防弥合水锤排气阀
KR101841621B1 (ko)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CN202109081U (zh) 球阀
CN202215795U (zh) 放水器
CN107044587A (zh) 防泄漏的水封排水器
JP7122747B2 (ja) 吸排気弁および吸排気弁の異物除去方法
JP7158167B2 (ja) フロート式逆止弁
CN210510493U (zh) 一种防水锤空气阀
KR101157464B1 (ko) 급속공기밸브
CN112128438A (zh) 一种筒式高压空气阀
CN113175040A (zh) 便器溢流装置、便器水箱及便器
KR20210098603A (ko) 수격흡수기의 구조
JP4448613B2 (ja) 空気弁
EP3385586B1 (en) Air-retention valve for pressurised water reservoir
JP2004068959A (ja) 空気弁
CN213451897U (zh) 一种筒式高压空气阀
KR200390712Y1 (ko) 저수압용 급속공기밸브
KR102519682B1 (ko) 공기방출밸브
JP2019183861A (ja) ドレン水排出装置における弁開閉方法、及び、ドレン水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