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357B1 -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357B1
KR100539357B1 KR1020050029829A KR20050029829A KR100539357B1 KR 100539357 B1 KR100539357 B1 KR 100539357B1 KR 1020050029829 A KR1020050029829 A KR 1020050029829A KR 20050029829 A KR20050029829 A KR 20050029829A KR 100539357 B1 KR100539357 B1 KR 100539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acid
urea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순기
이정규
이성권
Original Assignee
동부한농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한농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한농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357B1/ko
Priority to US11/388,416 priority patent/US20060229461A1/en
Priority to CNA2006100732289A priority patent/CN101050171A/zh
Priority to JP2006105128A priority patent/JP2006291204A/ja
Priority to EP06007512A priority patent/EP1712609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87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 giving rise to 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3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of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1/00Preparation of fatty acids from fats, fatty oils, or waxes; Refining the fatty acids
    • C11C1/007Preparation of fatty acids from fats, fatty oils, or waxes; Refining the fatty acids using organic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14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isome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을 이용한 2차 핵 생성 메커니즘으로 지방산을 분리 정제함으로써 순도가 99% 이상 되는 고순도의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
본 발명은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을 이용한 2차 핵 생성 메커니즘으로 지방산을 분리 정제함으로써 순도가 99% 이상 되는 고순도의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화유, 해바라기유 및 올리브유 등의 식물유 및 정어리유 등의 어유와 같은 여러 가지 동식물성 유지는 식품이나 의약학적 목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갖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특히, 이들 유지 지방산 중에서 불포화 지방산은 식품이나 의약학적으로 유용한 여러 가지 효과를 갖고 있어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방산으로의 전환은 효소방법과 유기합성방법으로 대별되고 있다. 그러나, 효소방법은 지방산으로의 전환률이 대략 70~80% 수준에 머무르며, 식품이나 의약학적으로 유용한 유효 지방산으로의 전환을 기대하기 어렵다. 공액리놀레인산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또한, 유기합성방법은 전환율이 98% 정도이나 합성과정중 형성되는 트랜스-9,트랜스-11 지방산의 발암 유해성으로 인해 이를 분리 정제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는 유기합성방법이 단지 고온에서 이성화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후처리 과정의 냉각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발암유해물질인 트랜스-9,트랜스-11 지방산의 형성을 피할 수 없고, 또한 미반응 지방산도 잔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불포화 지방산을 식품이나 의약품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동식물성 유지 지방산으로부터 불포화 지방산을 고순도로 분리 정제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으며, 상기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분리 정제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동식물성 유지 지방산으로부터 불포화 지방산을 고순도로 분리 정제하는 방법 중 요소포접화합물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지방산과 요소를 동시에 용해시키는 알콜액상 냉각법 (미국 특허 제 1,240,513호; Haagsma, JAOCS, 59, 117(1982) ; Ratnayake, Fatsci. Technol. 90, 381(1988))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요소의 분자군 크기를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에 냉각시 요소와 요소포접화합물이 동시에 결정으로 석출되어 요소의 활용도가 크게 저하되므로 불필요한 지방산을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고순도가 아닌 중순도 분리에만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이들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냉각시 그 냉각속도를 매우 느리게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냉각속도를 느리게 하는 방법은 공정시간이 매우 느리고, 불포화 지방산이 고온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져서 산패가 빠르게 진행되어 산화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대량 생산공정에서 응용이 어렵고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2-42432호에서는 지방산을 분할주입하여 요소부가결정화 단계를 수행하고, 이어서 냉각결정화법 또는 고액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고순도의 불포화 지방산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경제적 공정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냉각에 의한 요소분자군 거동만을 제어하려 하기 때문에 완벽한 분리능을 가져올 수 없고, 요소의 결정석출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요소부가결정화 기술 이외에 냉각결정화법 또는 고액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사용함으로써 공정시간이 다소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지 지방산으로부터 불포화 지방산을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요소포접결정화 기술만을 이용하여 고온에서 체류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산화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을 이용한 2차 핵 생성 메커니즘으로 요소의 분자군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요소 결정의 석출없이 원하는 지방산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정제함으로써 지방산의 순도가 99% 이상 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을 이용한 2차 핵 생성 메커니즘으로 지방산을 분리 정제함으로써 순도가 99% 이상 되는 고순도의 불포화 지방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은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을 이용한 2차 핵 생성 메커니즘으로 지방산을 분리 정제함으로써 순도가 99% 이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은
1) 프로필렌글리콜에 NaOH를 넣어 완전 용해시키고, 유지 지방산을 가하여 반응시킨 후 방냉시켜 지방산으로 전환하는 단계,
2) 70% 에탄올 수용액에 요소를 넣고 완전 용해시킨 후, 여기에 상기 1)단계에서 얻은 지방산을 주입하여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3) 70% 에탄올 수용액, 요소, 지방산을 혼합하여 완전 용해시킨 후, 냉각시키면서 상기 2)단계에서 얻은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주입하고 반응시켜 지방산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1) 단계에서,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에 NaOH 0.25~0.5 중량부를 넣어 완전 용해시키고, 170~180℃를 유지하면서 유지 지방산 1~2 중량부를 가하여 1.5~2시간 고온에서 이성화 반응을 시킨다. 이후 50~60℃로 방냉시키면서 이성화 반응을 종결시킨다. 이와 같이 방냉함으로써 미반응된 지방산이 99% 이상 전환되고 발암유해물질인 트랜스-9,트랜스-11-지방산의 형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만일 급격한 냉각 방법을 수행할 경우, 트랜스-9,트랜스-11-지방산의 형성은 억제할 수 있지만 미반응 지방산의 전환을 더 이상 진행시킬 수 없으며, 만일 천천히 냉각하거나 제어냉각을 할 경우, 완전한 미반응 지방산의 전환을 가져올 수는 있지만 지속적인 열에 의해 트랜스-9,트랜스-11-지방산의 형성을 피할 수가 없다. 따라서 방냉의 조건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임을 알 수 있다.
50~60℃에 도달하면 인산을 서서히 주입하여 pH가 1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 상태에서 정치후 하층부를 제거하고, 상층부의 지방산층에 증류수를 넣고 세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2~3회 수행함으로써 물에 용해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때 얻어지는 지방산에는 미반응 지방산 0.2~0.5%, 트랜스-9,트랜스-11-지방산 1.0% 이하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유지 지방산은 홍화유, 해바라기유 및 올리브유 등의 식물유 및 정어리유 등의 어유와 같은 여러 가지 동식물성 유지를 포함한다.
상기 1)단계에서 얻어지는 지방산은 탄소수 10 내지 30이고, 결합수가 1 내지 6개인 불포화 지방산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리스톨레인산(myristoleic acid), 팔미톨레인산(palmitoleic acid), 감마-리놀레닌산(γ-linolenic acid), 알파-리놀레닌산(α-linolen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 리놀레인산(linoleic acid), 공액 리놀레인산(conjugated linoleic acid), DHA(docosahexaenoic acid), 및 EPA(eicosapentaeno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2) 단계에서, 70% 에탄올 수용액 3~5 중량부에 요소 1 중량부를 혼합시키고 25~30℃의 온도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이 온도를 유지하며 여기에 상기 1)단계에서 얻은 지방산 0.2~0.4 중량부를 주입하여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형성시킨다. 생성된 결정체를 여과하고, 결정체 부분을 건조하여 다음 단계의 2차 핵생성 메카니즘의 핵으로서 사용한다.
상기 3) 단계에서, 70% 에탄올 수용액 9~12 중량부, 요소 3~4 중량부, 지방산 1 중량부를 혼합하여 60~70℃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냉각속도 0.5~1℃/min으로 냉각시키면서 45~50℃에서 상기 2)단계에서 얻은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 0.01~0.05 중량부를 주입한다. 이때 결정체가 완전용해되지 않고 결정 상태를 유지 하는 것이 공정상 매우 바람직하다. 이후 결정체가 용해되지 않고 존재하는 상태에서 10~15℃까지 냉각 후 여과한다. 결정체 부분과 용액 부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확인한 후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이 존재하는 부분을 사용한다. 결정체(또는 용액 부분)에 물 : 헥산 = 1 : 1의 중량비로 넣고 소량의 염산을 넣어 교반시키면 상층부에는 헥산이 포함된 지방산을 얻을 수 있고 이로부터 헥산을 제거시키면 농축된 지방산을 60~99%로 얻게 된다.
만일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2차 핵으로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순도, 회수율 등 품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2차 핵으로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냉각에 의한 결정화시 미시적 분자수준 측면에서 결정으로 성장되기까지 상당한 유도기간을 갖게 되어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낮은 온도에서 결정으로 석출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요소포접화합물 결정과 요소 결정의 석출온도가 대략 5℃의 차이가 나지 않는 시스템에서 2차 핵으로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요소의 결정석출을 피할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이용한 2차 핵 생성 메커니즘은 분리능, 회수율, 요소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빠른 냉각속도(0.5~1℃/min)에서도 요소포접화합물 결정의 석출없이 고순도로 분리정제가 가능하므로, 상업생산시 공정시간의 단축 및 산화안정성을 증대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은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을 이용한 2차 핵 생성 메커니즘으로 지방산을 분리 정제함으로써 순도가 99% 이상 되므로, 식품, 화장품, 및 의학분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공액 리놀레인산의 제조
1. 공액 리놀레인산의 전환
프로필렌글리콜 500㎖를 175℃로 유지되는 합성반응기에 넣고 130℃에 도달 되면 NaOH 250g을 넣어 완전용해시켰다. 이후 175℃에 도달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여기에 홍화유(리놀레인산 75%) 1㎏을 주입하고 1.5시간 동안 공액이성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후 50℃로 방냉시키면서 공액이성화 반응을 종결시켰다. 50℃에 도달하면 인산을 서서히 주입하여 pH가 1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 상태에서 정치후 하층부를 제거하고, 상층부의 공액 리놀레인산층에 증류수 1ℓ를 넣고 세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2~3회 수행함으로써 물에 용해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이때 얻어지는 공액 리놀레인산 952g(95.2%)에는 미반응 리놀레인산 0.5% 이하, 트랜스-9,트랜스-11-공액 리놀레인산을 0.8% 이하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지방산으로부터 불포화 지방산을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는 도 1에 나타내었고, 상기 1에 따라 제조된 전환된 공액 리놀레인산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환된 공액 리놀레인산은 팔미톨레인산 6.59%, 스테아린산 2.86%, 올레인산 14.20%, 시스-9,트랜스-11-공액 리놀레인산 37.36%, 트랜스-10,시스-12-공액 리놀레인산 38.91%, 트랜스-9,시스-11-공액 리놀레인산 0.08%를 함유하고 있어, 발암유해물질인 트랜스-9,트랜스-11-공액 리놀레인산의 형성을 최소화시킴을 알 수 있다.
2. 공액 리놀레인산 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의 제조
70% 에탄올 수용액 9ℓ에 요소 3㎏을 넣고 25~30℃의 온도에서 완전용해시킨 후, 이 온도를 유지하며 상기 1에서 얻은 공액 리놀레인산 952g을 주입하여 공액 리놀레인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형성시켰다. 이후 이 용액을 감압여과하여 결정체 부분을 50℃에서 건조하여 다음 반응의 2차 핵생성 메카니즘의 핵으로서 사용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정체는 SEM 및 XRD로 측정하여 각각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요소 자체는 사각형 구조이며,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는 육각형격자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JCPDS 카드(국제표준 X-ray 데이타)에 의하면 요소 자체는 사각형 구조를 갖는 반면,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는 육각형구조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가 육각형임이 확인되었으므로 결정체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공액 리놀레인산의 제조
70% 에탄올 수용액 12ℓ, 요소 4㎏, 공액 리놀레인산 1㎏을 혼합하여 70℃에서 완전용해한 다음, 냉각속도 0.7℃/min 으로 냉각시키면서 50℃에서 상기 2에서 제조한 공액 리놀레인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 200g을 주입하였다. 이때, 상기 결정체가 완전용해되지 않고 결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공정상 매우 바람직하다. 이후 결정체가 용해되지 않고 존재하는 상태에서 10℃까지 0.7℃/min 으로 냉각후 감압여과하여 결정체 부분을 회수하였다. 이 결정체에 물 5㎏, 헥산 2㎖ 및 소량의 염산을 넣고 교반시키면, 상층부에는 헥산이 포함된 공액 리놀레인산을 얻을 수 있고, 이로부터 헥산을 제거하면 농축된 공액 리놀레인산 930g(93.0%)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 감마 리놀레닌산의 제조
공액 리놀레인산 대신에 보라지유 지방산(감마 리놀레닌산 20%)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1 및 2의 방법으로 감마 리놀레닌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제조하였다.
70% 에탄올 수용액 12ℓ, 요소 4㎏, 보라지유 지방산(감마 리놀레닌산 20%) 1㎏을 혼합시키고 70℃에서 완전용해한 다음, 냉각속도 0.7℃/min 으로 냉각시키면서 50℃에서 상기에서 제조한 감마 리놀레닌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250g 주입하였다. 이후 결정체가 용해되지 않고 존재하는 상태에서 15℃까지 0.5℃/min 으로 냉각후 감압여과하여 결정체 부분은 버리고, 여액의 에탄올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상기 용액에 물 1㎏, 헥산 0.5㎖ 및 소량의 염산을 넣고 교반시키면, 상층부에는 헥산이 포함된 감마 리놀레닌산을 얻을 수 있고, 이로부터 헥산을 제거하면 농축된 감마 리놀레닌산 170g(99.3%)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 DHA의 제조
공액 리놀레인산 대신에 미생물 발효유(DHA 40%)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1 및 2의 방법으로 DHA-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제조하였다.
70% 에탄올 수용액 9ℓ, 요소 3㎏, 미생물 발효유(DHA 40%) 1㎏을 혼합시키고 70℃에서 완전용해한 다음, 냉각속도 0.6℃/min 으로 냉각시키면서 50℃에서 상기에서 제조한 DHA-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200g 주입하였다. 이후 결정체가 용해되지 않고 존재하는 상태에서 10℃까지 0.5℃/min 으로 냉각후 감압여과하여 결정체 부분은 버리고, 여액의 에탄올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에 물 1㎏, 헥산 0.5㎖ 및 소량의 염산을 넣고 교반시키면, 상층부에는 헥산이 포함된 DHA를 얻을 수 있고, 이로부터 헥산을 제거하면 농축된 DHA 150g(99.1%)을 얻을 수 있다.
실험예 : 지방산 조성 분석실험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의 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한 감마 리놀레닌산 및 DHA의 조성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시마쯔 cp 9001, Chrompack)로 분석하였다.
비교군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2-4243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한 감마 리놀레닌산 및 DHA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 비교군
실시예 2(감마 리놀레닌산) 실시예 3(DHA) 감마 리놀레닌산 DHA
사용기술 요소포접화합물법 올레인산 : 0.0%리놀레인산 : 0.7%감마 리놀레닌산 : 99.3% DPA : 0.9%DHA : 99.1% 올레인산 : 0.6%리놀레인산 : 12.3%감마 리놀레닌산 : 87.1% 감마 리놀레닌산 : 6.3%DPA : 8.1%DHA : 85.6%
냉각결정화법 사용 안함 사용 안함 리놀레인산 : 1.8%감마 리놀레닌산 : 98.2% 감마 리놀레닌산 : 1.5%DPA : 2.3%DHA : 96.2%
크로마토그래피법 사용 안함 사용 안함 리놀레인산 : 0.9%감마 리놀레닌산 : 99.1% DPA : 0.9%DHA : 99.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요소포접화합물법을 이용한 경우, 본 발명의 감마 리놀레닌산은 99.3%, DHA는 99.1% 인 반면, 비교군의 감마 리놀레닌산은 87.1%, DHA는 85.6%로 나타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방산들은 오직 요소포접화합물법만을 이용하여도 99% 이상의 고순도로 지방산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비교군에서는 냉각결정화법 및 크로마토그래피법을 같이 사용해야만 99% 이상의 고순도의 지방산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종래에 요소포접화합물을 1일 이상 서서히 냉각시킴으로 산패가 빠르게 진행되어 산화 안정성이 저하되었기 때문에, 비교군에서는 산패를 개선하기 위해 알콜과 요소의 혼합물에 지방산 자체를 5~6시간 분할 주입하였으나 요소와 요소포접화합물이 동시에 결정으로 석출됨으로써 고순도의 지방산을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용액구조(cluster) 내에 요소와 요소포접화합물이 공존하기 때문에, 작은 입자에서 큰 입자로 변하는 원리인 오스트왈드 라이프닝법(ostwald ripening)을 이용하여 요소 분자군들이 결정을 형성하려는 것을 제어하여 작은 원자상태로 되돌아가게 하여 요소들이 지방산 주위에 붙어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을 형성하게 한다. 여기에 물:헥산 = 1:1의 중량비로 넣고 소량의 염산을 넣어 교반시켜 정제하면 고순도의 지방산을 얻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은 냉각결정화법 및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사용하지 않고 오직 요소포접화합물법만 이용하여 고순도의 지방산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은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을 이용한 2차 핵생성 메커니즘에 의한 요소 분자군의 거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빠른 냉각속도에서도 요소의 결정석출 없이 원하는 지방산들을 완전히 요소포접화합물로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체류시간 단축을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산화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분리의 선택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지방산으로부터 불포화 지방산을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전환된 공액 리놀레인산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SEM으로 측정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XRD로 측정한 도이다.

Claims (7)

1) 프로필렌글리콜에 NaOH를 넣어 완전 용해시키고, 유지 지방산을 가하여 반응시킨 후 방냉시켜 지방산으로 전환하는 단계,
2) 70% 에탄올 수용액에 요소를 넣고 완전 용해시킨 후, 여기에 상기 1)단계에서 얻은 지방산을 주입하여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3) 70% 에탄올 수용액, 요소, 지방산을 혼합하여 완전 용해시킨 후, 냉각시키면서 상기 2)단계에서 얻은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주입하고 반응시켜 지방산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유지 지방산은 홍화유, 해바라기유 및 올리브유 및 정어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동식물성 유지 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미리스톨레인산(myristoleic acid), 팔미톨레인산(palmitoleic acid), 감마-리놀레닌산(γ-linolenic acid), 알파-리놀레닌산(α-linolen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 리놀레인산(linoleic acid), 공액 리놀레인산(conjugated linoleic acid), DHA(docosahexaenoic acid), 및 EPA(eicosapentaeno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에 NaOH 0.25~0.5 중량부를 넣어 완전 용해시키고, 유지 지방산 1~2 중량부를 가하여 반응시킨 후 50~60℃로 방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미반응 지방산이 0.2~0.5%, 트랜스-9,트랜스-11-지방산이 1.0% 이하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에탄올 수용액 3~5 중량부에 요소 1 중량부를 혼합시키고, 여기에 상기 1)단계에서 얻은 지방산 0.2~0.4 중량부를 주입하여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70% 에탄올 수용액 9~12 중량부, 요소 3~4 중량부, 지방산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전 용해시킨 후, 냉각속도 0.5~1℃/min으로 냉각시키면서 상기 2)단계에서 얻은 지방산-요소포접화합물 결정체 0.01~0.05 중량부를 주입하고 반응시켜 지방산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KR1020050029829A 2005-04-11 2005-04-11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KR100539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29A KR100539357B1 (ko) 2005-04-11 2005-04-11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US11/388,416 US20060229461A1 (en) 2005-04-11 2006-03-24 Method for preparing unsaturated fatty acids
CNA2006100732289A CN101050171A (zh) 2005-04-11 2006-04-05 制备不饱和脂肪酸的方法
JP2006105128A JP2006291204A (ja) 2005-04-11 2006-04-06 不飽和脂肪酸の製造方法
EP06007512A EP1712609A1 (en) 2005-04-11 2006-04-10 Method for preparing unsaturated fatty aci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29A KR100539357B1 (ko) 2005-04-11 2005-04-11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9357B1 true KR100539357B1 (ko) 2005-12-28

Family

ID=3658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829A KR100539357B1 (ko) 2005-04-11 2005-04-11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29461A1 (ko)
EP (1) EP1712609A1 (ko)
JP (1) JP2006291204A (ko)
KR (1) KR100539357B1 (ko)
CN (1) CN1010501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30B1 (ko) 2007-10-05 2009-06-01 주식회사 리포젠 고순도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53612B (zh) * 2008-08-22 2010-11-17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从松毛虫中富集多不饱和脂肪酸的方法
CN106978260A (zh) 2010-12-31 2017-07-25 斯泰潘专业产品有限责任公司 共轭亚油酸的制备方法
CN102311882B (zh) * 2011-08-11 2012-12-26 青岛农业大学 一种不饱和脂肪酸的提取方法
BR112014016788A8 (pt) 2012-01-06 2017-07-04 Chrysalis Pharma Ag composições de ácidos graxos poli-insaturados ômega-3 em forma de ácido livre, enriquecidas com dpa
EP2846779A4 (en) 2012-05-07 2015-12-16 Omthera Pharmaceuticals Inc STATIN AND OMEGA-3 FATTY ACID COMPOSITIONS
CN104418726A (zh) * 2013-08-20 2015-03-18 陕西中鼎华盛农业发展有限公司 α—亚麻酸的提取方法
CN103451025A (zh) * 2013-09-11 2013-12-18 江苏丘陵地区镇江农业科学研究所 一种分离不饱和脂肪酸的方法
CN106336354B (zh) * 2016-08-24 2017-10-13 黄山科宏生物香料股份有限公司 一种低碳脂肪酸的制备方法
CN107418737A (zh) * 2017-06-06 2017-12-01 江苏天晟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水飞蓟油中不饱和脂肪酸的制备方法
CN107090357A (zh) * 2017-06-21 2017-08-25 江苏中兴药业有限公司 一种在水飞蓟油中提取纯化不饱和脂肪酸的方法
CN108558644B (zh) * 2018-04-04 2021-12-03 赞宇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油酸的生产工艺及装置
CN108251221A (zh) * 2018-04-26 2018-07-06 孙万成 一种从牦牛酥油中纯化支链脂肪酸的方法
CN108774580B (zh) * 2018-06-20 2022-03-22 张建春 一种汉麻籽中不饱和脂肪酸的提取方法
CN114853593B (zh) * 2022-05-12 2023-08-29 北京化工大学 一种从元宝枫油中提取高纯神经酸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1039A (en) * 1975-09-02 1977-03-09 Mitsui Petrochem Ind Ltd Process for separation of m-cresol and p-cresol
JPS61297A (ja) * 1984-06-12 1986-01-06 日本油脂株式会社 オレイン酸の製造法
CH663951A5 (fr) * 1984-10-10 1988-01-29 Nestle Sa Procede d'enrichissement selectif en acides gras polyinsatures d'un melange contenant des acides gras fractions enrichies obtenues et compositions les contenant.
JPH0662470B2 (ja) * 1986-08-25 1994-08-17 宇部興産株式会社 光学活性ヘキサ−2,4−ジイン−1,6−ジオ−ル類の製法
JPH0913072A (ja) * 1995-06-30 1997-01-14 Sairaido Koryo Kk トリグリセライドの様な鹸化可能の常温で液状の油脂を一部鹸化して固化処理が可能である処理剤とその製造法
US6015833A (en) * 1998-03-17 2000-01-18 Conlinco., Inc. Conjugated linoleic acid compositions
KR20010008387A (ko) * 2000-11-30 2001-02-05 이성권 결정화방법을 이용한 고순도 불포화지방산의 분리 정제 방법
JP4213906B2 (ja) * 2002-04-12 2009-01-28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共役リノール酸の製造法
KR101282098B1 (ko) * 2005-02-04 2013-07-04 안칭 중창 바이오테크놀로지 컴파니 리미티드 지방산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30B1 (ko) 2007-10-05 2009-06-01 주식회사 리포젠 고순도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91204A (ja) 2006-10-26
US20060229461A1 (en) 2006-10-12
EP1712609A1 (en) 2006-10-18
CN101050171A (zh)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357B1 (ko)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EP1844131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fatty acids
US6664405B2 (en) Method for isolating high-purified unsaturated fatty acids using crystallization
KR101815110B1 (ko) 오메가-7계 불포화 지방산의 정제공정
CN109574826B (zh) 一种高纯油酸的制备方法
DE10200500362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HA-haltigen Fettsäure-Zusammensetzung
AU2009290334B2 (en) Method for acquiring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derivatives
EP2659780A2 (en) Omega 3 concentrate
CN111777513B (zh) 一种高纯度油酸甲酯的制备方法
EP2332901B1 (en) Process for preparing conjugated fatty acids and esters thereof
CN106590939A (zh) 一种以植物油为原料纯化制备高含量亚油酸的方法
CN107162910B (zh) 从鱼油中制备高纯度epa-ee的方法
KR100900030B1 (ko) 고순도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EP2658956B1 (en) Method for producing conjugated linoleic acid
CN106748780B (zh) 一种注射用合成油脂金属残留的脱除方法
WO1994021766A1 (en) Process for separating docosahexaenoic acid or ester thereof from marine microalgae
JPS62142141A (ja) ソルビタンオレエ−トの製造法
JPH01117845A (ja) モノグリセリドの精製法
KR20000024616A (ko) 결정화 방법을 이용한 고순도 공역화 리놀레인산의 분리정제방법
KR100256827B1 (ko) 요소부가체 상전이를 이용한 고순도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분리정제방법
CN113574154A (zh) 含二十碳五烯酸烷基酯的组合物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