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947B1 -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롤러조립체 - Google Patents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롤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947B1
KR100538947B1 KR10-2003-0070842A KR20030070842A KR100538947B1 KR 100538947 B1 KR100538947 B1 KR 100538947B1 KR 20030070842 A KR20030070842 A KR 20030070842A KR 100538947 B1 KR100538947 B1 KR 10053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ixing
roller
fixing members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016A (ko
Inventor
홍종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947B1/ko
Priority to US10/899,135 priority patent/US7155139B2/en
Publication of KR2005003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사무자동화기기에 사용되는 픽업롤러와 같은 소모성 롤러를 교환이 용이하도록 샤프트에 고정하는 스냅피트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스냅피트는, 일측에는 샤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타측에는 누름부가 각각 구성된 대칭구조의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대략 중앙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가 상대적인 요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고정부 대응위치에는 환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홈부의 양쪽에서 삽입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롤러 조립체{SNAPFIT FOR FIXING ROLLER AND ROLLER ASSEMBLE OF OFFICE AUTOMATION MACHINE HAVINH THE SAME}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사무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픽업롤러와 같은 소모성 롤러를 교환이 용이하도록 샤프트에 고정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사무자동화기기에서 원고 또는 용지를 픽업하는데 이용되는 픽업롤러는 다른 롤러들에 비하여 마모 정도가 심하다. 픽업롤러가 마모되면 원고 또는 용지와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픽업 불량이 발생되기 때문에, 새것으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무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조립체는 마모시 교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픽업롤러 조립체는, 회전 가능한 샤프트에 픽업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단부측에는 상기 픽업롤러가 샤프트의 외측으로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피트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픽업롤러는 내측의 하우징부와 외측의 롤러부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축공 일부와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각각 D-컷(Cut) 처리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샤프트에 결합된다.
상기 스냅피트는 픽업롤러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픽업롤러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데, 보통 샤프트의 외주에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환상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의 E-링(Ring)이 많이 사용되나, 그외에도 상기 E-링과 유사한 구조의 탄성링 형태도 있고, 또한, 하우징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의 것도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상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스냅피트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면서 롤러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롤러를 샤프트에 고정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스냅피트를 구비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는, 일측에는 샤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타측에는 누름부가 각각 구성된 대칭구조의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대략 중앙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가 상대적인 요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의 상기 고정부 대응위치에는 환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홈부의 양쪽에서 삽입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는, 상기 탄성 힌지의 탄성력을 보조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누름부측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이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측에 설치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는, 일측에는 샤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타측에는 누름부가 각각 구성된 대칭구조의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대략 중앙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가 상대적인 요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무자동화기기의 롤러 조립체는, 사무자동화기기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이 샤프트와 함께 회전 하도록 결합된 롤러; 및 상기 롤러가 상기 샤프트의 외측으로 벗어나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샤프트의 단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는,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타측에는 누름부가 각각 구성된 대칭구조의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대략 중앙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가 상대적인 요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는,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타측에는 누름부가 각각 구성된 대칭구조의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대략 중앙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가 상대적인 요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참조부호 10 및 20은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30은 탄성 힌지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0)(20)는 대칭구조로 이루어지며, 탄성 힌지(30)에 의해 좌우 요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0)는 베이스판(11)의 양측에 측판(12)(13)이, 그리고, 후방측에 후판(14)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0)(20)가 대칭구조이므로 제 2 고정부재(20)도 제 1 고정부재(1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판(21), 측판(22)(23) 및 후판(24)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측판(12)(13) 및 측판(22)(23)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탄성 힌지(30)가 위치되며, 상기 측판(12)(13) 및 측판(22)(23)은 상기 탄성 힌지(30)을 중심으로 그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힌지(30)를 중심으로 한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0)(20)의 상대적인 요동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0)(20)는 상기 탄성 힌지(30)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고정부(25)가, 그리고, 타측에는 누름부(2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5)는 상기 후판(14)(24)을 대칭을 이루도록 반원형으로 절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26)는 베이스판(11)(21)의 전방에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 힌지(30)는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0)(20)의 고정부(25)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력을 가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스냅피트는 평상시 상기 고정부(25)가 오므라진 상태로 있다가 상기 누름부(26)를 누르면 상기 고정부(25)가 벌어진다. 따라서, 누름부(26)를 누른 상태로 예컨대, 후술되는 샤프트 등에 끼운 후 누름부(26)를 놓으면 상기 탄성 힌지(30)의 자체 탄성에 의해 고정부(25)가 다시 오므라지면서 샤프트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는 그 재질을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성형성 및 생산성 등을 고려해 볼 때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다.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는 상술한 바와 같은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에 의해 롤러가 샤프트에 결합된 본 발명에 의한 사무자동화기기의 롤러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은 샤프트, 200은 롤러, 그리고, 부호 30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이다.
상기 샤프트(100)는 도시되지 않은 본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정구간에는 D-커트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D-커트부(110)의 임의의 위치에는 소정 깊이의 환상 홈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200)는 내측의 하우징부(210)와 외측의 롤러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부(210)에는 D-커트부(211)를 가지는 축공(212)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100)에 이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 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스냅피트(300)는 반원형 고정부(25)가 상기 샤프트(100)의 환상 홈부(120)에 삽입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샤프트(100)에 장착되어, 샤프트(100)에서 상기 롤러(200)가 샤프트(100)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사무자동화기기의 롤러 조립체의 롤러(200)를 교체하고자 할 때, 먼저, 샤프트(100)에 장착된 스냅피트(300)의 누름부(26)를 누르면서 스냅피트(300)를 샤프트(100)로부터 분리한다. 그런다음 롤러(200)를 샤프트(100)로부터 빼내고, 새로운 롤러를 샤프트(100)에 끼운다. 그리고, 스냅피트(300)를 샤프트(100)에 끼우고 누름부(26)를 놓으면, 탄성 힌지(30)의 자체 탄성에 의해 고정부(25)가 오므라지면서 샤프트(100)의 홈부(1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첨부한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의한 스냅피트의 다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냅피트들은,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0A)(20A)를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비한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탄성부재로서 인장코일스프링(30A)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인장코일스프링(30A)은 고정부측에 설치되며,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0A)(20A)는 그의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다.
도 6b는 탄성부재로서 압축코일스프링(30B)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압축코일스프링(30B)은 누름부측에 설치되며,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0A)(20A)는 그의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다.
상기와 같은 도 6a 및 6b에 나타낸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0A)(20A)를 연결하는 힌지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같은 탄성 힌지(30)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일반적인 힌지로도 구성될 수 있다.
탄성 힌지(30)로 구성되는 경우, 탄성부재(30A)(30B)는 상기 탄성 힌지(30)의 탄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되고, 일반 힌지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0A)(20A)는 상기 탄성부재(30A)(30B)에 의해 탄력을 받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픽업롤러와 같은 사무자동화기기의 소모성 롤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무자동화기기 사용의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냅피트에 의해 롤러가 샤프트에 고정된 상태의 롤러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조립체에서 샤프트에 대한 스냅피트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laims (11)

  1. 샤프트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롤러가 샤프트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타측에는 누름부가 각각 구성된 대칭구조의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대략 중앙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가 상대적인 요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기 고정부 대응위치에는 환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홈부의 양쪽에서 삽입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탄성력을 보조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누름부측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측에 설치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6. 샤프트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롤러가 샤프트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타측에는 누름부가 각각 구성된 대칭구조의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대략 중앙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가 상대적인 요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기 고정부 대응위치에는 환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홈부의 양쪽에서 삽입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누름부측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측에 설치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10. 사무자동화기기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이 샤프트와 함께 회전 하도록 결합된 롤러; 및
    상기 롤러가 상기 샤프트의 외측으로 벗어나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샤프트의 단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를 포함하는 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는,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타측에는 누름부가 각각 구성된 대칭구조의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대략 중앙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가 상대적인 요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롤러 조립체.
  11. 사무자동화기기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이 샤프트와 함께 회전 하도록 결합된 롤러; 및
    상기 롤러가 상기 샤프트의 외측으로 벗어나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샤프트의 단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를 포함하는 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는,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타측에는 누름부가 각각 구성된 대칭구조의 제 1 및 제 2 고정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대략 중앙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가 상대적인 요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롤러 조립체.
KR10-2003-0070842A 2003-10-11 2003-10-11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롤러조립체 KR10053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42A KR100538947B1 (ko) 2003-10-11 2003-10-11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롤러조립체
US10/899,135 US7155139B2 (en) 2003-10-11 2004-07-27 Snapfit for fixing roller and roller assembly of office automation machi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42A KR100538947B1 (ko) 2003-10-11 2003-10-11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롤러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16A KR20050035016A (ko) 2005-04-15
KR100538947B1 true KR100538947B1 (ko) 2005-12-27

Family

ID=3442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842A KR100538947B1 (ko) 2003-10-11 2003-10-11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롤러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55139B2 (ko)
KR (1) KR100538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6814B2 (ja) * 2010-06-29 2013-06-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ユニット及び定着ユニットが組み込まれ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9909B (en) * 1991-09-11 1995-10-18 Xerox Corp Sheet feed apparatus
JPH05134495A (ja) * 1991-11-14 1993-05-28 Ricoh Co Ltd 原稿給紙装置
US5457520A (en) * 1994-07-14 1995-10-10 Xerox Corporation Dual snap fit bearing
KR19990005176A (ko)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전자렌지의 부저음 자동 조절방법
JP3478736B2 (ja) * 1997-09-16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259375B1 (ko) 1997-11-10 2000-06-15 윤종용 센서리스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289127B1 (ko) 1998-06-30 2001-10-27 윤종용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20000012305A (ko) 1999-11-22 2000-03-06 최금영 전자식 모니터 치솔
JP2002365939A (ja) 2001-06-08 2002-12-2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403161B1 (ko) 2001-07-24 2003-11-0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힌지
US6474639B1 (en) * 2001-10-09 2002-11-05 Xerox Corporation Snap fit bearin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78980A1 (en) 2005-04-14
KR20050035016A (ko) 2005-04-15
US7155139B2 (en)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7223B2 (en) Open/close switch mechanism for us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6601991B2 (en) Roller device for an image transferring device
KR100710878B1 (ko) 롤러장치
US9857733B2 (en) Sealing member having a seal portion and a supporting portion
KR20080084142A (ko) 현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장착방법과 탈착방법
KR100691718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538947B1 (ko)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롤러조립체
KR100984759B1 (ko) 감광체 드럼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US20040234295A1 (en) Protective mounting for roller
JP2001228662A (ja) 画像形成装置
JP3780800B2 (ja) 画像形成装置
JP4761168B2 (ja) 画像形成装置
JP5483017B2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71037A (ja) コロ取付装置
JP3583725B2 (ja) 画像形成装置
US9429896B2 (en) Cover movement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cover movement mechanism
JP4443295B2 (ja) 扉開放支持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682250B2 (ja) ペーパー解除機構付き軸受
JP2010055128A (ja) ベルトユニット
JP2009244894A (ja) 転写ベルトユニ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372219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5863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66613A (ja) 画像形成装置
KR200363994Y1 (ko) 사무기기의 용지 이송용 전자 클러치
KR200170333Y1 (ko) 배출롤러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