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454B1 - 이물질 유입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454B1
KR100534454B1 KR10-2004-0006738A KR20040006738A KR100534454B1 KR 100534454 B1 KR100534454 B1 KR 100534454B1 KR 20040006738 A KR20040006738 A KR 20040006738A KR 100534454 B1 KR100534454 B1 KR 10053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le
rectangular frame
water
bus
bottom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567A (ko
Inventor
황태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454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38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by screws only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스텝(bus step)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 스텝의 바닥 패널에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을 통해 빠져나간 물이 고일 수 있는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는 한편, 그 사각형 틀의 측면으로는 고인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드레인 구멍을 형성하고, 더불어 상기 사각형 틀에는 바닥패널로부터 연장되는 밀폐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우천시나 기타 버스차량의 실내 세차 작업이 이루어질 때 버스 차량의 실내 바닥면에 고인 물이 스텝에 올려진 매트를 통해 사각형의 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드레인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실내 바닥면의 물 고임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사각형의 틀에 고인 물과 그 사각형 틀로 연장된 바닥패널의 밀폐형 플랜지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드레인 구멍 및 배수공을 통해 버스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Step structure of bus}
본 발명은 버스 스텝(bus step)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 스텝의 바닥 패널에 물이 고일 수 있는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는 한편, 그 사각형 틀의 측면으로는 고인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드레인 구멍을 형성하여 우천시나 기타 버스차량의 실내 세차 작업이 이루어질 때 버스 차량의 실내 바닥면에서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각형의 틀에 고인 물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버스 차량의 스텝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스틸 패널(1) 위에 매트(2)를 깔아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바닥패널에 구멍(3)을 가공한 후 그 구멍(3)의 밑에 가이드(4)를 장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상기 도 2의 경우에는 우천시나 물에 젖은 신발로 차에 올라설 때 버스차량의 매트(2)로 물이 고이면서 그 매트(2)의 오염이 심각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의 경우에는 물을 배출할 수는 있지만 먼지가 날리거나 또는 진흙등으로 노면이 지저분할 때 외부로부터 구멍(3)을 통해 버스차량의 실내로 먼지와 진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면서 버스차량의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 스텝의 바닥 패널에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을 통해 빠져나간 물이 고일 수 있는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는 한편, 그 사각형 틀의 측면으로는 고인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드레인 구멍을 형성하고, 더불어 상기 사각형 틀에는 바닥패널로부터 연장되는 밀폐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우천시나 기타 버스차량의 실내 세차 작업이 이루어질 때 버스 차량의 실내 바닥면에 고인 물이 스텝에 올려진 매트를 통해 사각형의 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드레인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실내 바닥면의 물 고임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사각형의 틀에 고인 물과 그 사각형 틀로 연장된 바닥패널의 밀폐형 플랜지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드레인 구멍 및 배수공을 통해 버스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이물질 유입 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의 바닥패널(11)에 매트(12)가 올려진 버스차량의 스텝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11)에는 버스차량의 실내에서 발생된 물이 매트(12)를 통해 흘러내릴 수 있도록 배수공(13)을 형성하며,상기 바닥패널(11) 하부에는 상기 배수공(13)을 통해 흘러내린 물이 고일 수 있도록 사각형의 틀(20)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형 틀(20)의 측면으로는 고인 물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드레인 구멍(30)을 형성하며,
상기 사각형 틀(20)의 내측으로는 바닥패널(11)로부터 상기 드레인 구멍(30)과 배수공(13)을 서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구멍(30) 위치까지 고인 물에 잠길 수 있도록 밀폐플랜지(40)를 연장 형성하되, 상기 밀폐플랜지(40)는 좌우 양단이 상기 사각형 틀(20)의 벽면에 밀착되게 형성되고,상기 사각형 틀(20)내의 고인 물과 함께 상기 밀폐플랜지(40)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차량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스차량 스텝의 바닥패널(11) 하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바닥패널(11) 중앙부에 천공된 배수공(13)을 통해 매트(12)로부터 흘러내린 소정량의 물이 고일 수 있도록 사각형의 틀(20)을 형성하는 한편, 그 사각형 틀(20)의 측면에는 그 틀(20)에 고인 물이 일정량 이상인 경우 넘침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드레인 구멍(30)을 형성하여 둔다.
그리고, 상기 사각형 틀(20)의 내측으로는 바닥패널(11)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된 밀폐플랜지(40)를 연장시켜 둔다. 이때, 상기 밀폐플랜지(40)는 상기 배수공(13)과 드레인 구멍(30)이 서로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공(13)과 드레인 구멍(40) 사이의 바닥패널(11) 위치에 설치하게 되며, 상기 밀폐플랜지(40)의 하단 높이는 상기 드레인 구멍(40)의 형성된 높이보다 낮게 구성한다.
그러면, 우천시 승객이 스텝의 바닥패널(11)을 밟고 탑승하고자 하는 경우, 승객이 지닌 우산이나 신발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은 매트(12)에 흡수된 후 바닥패널(11)에 형성된 배수공(13)을 통해 사각형의 틀(20)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틀(20) 내에 소정량이 고이게 된다.
이때, 상기 사각형의 틀(20)에 고인 빗물의 양은 상기 사각형 틀(20)의 측면에 형성된 드레인 구멍(30)의 높이만큼으로 이루어지고, 물의 양이 상기 드레인 구멍(30)의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넘침되어 상기 드레인 구멍(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사각형의 틀(20)에는 항상 드레인 구멍(30)이 형성된 높이만큼의 물이 고여 존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 구멍(30)과 바닥패널(11)의 배수공(13)은 사각형의 틀(20)에 고인 소정량의 빗물과 상기 빗물 속으로 연장 설치된 밀폐플랜지(40)에 의해 서로 완전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따라서m 맑은 날씨의 경우, 상기 드레인구멍(30)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예; 먼지, 진흙 등)이 사각형의 틀(20) 쪽으로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바닥패널(11)을 통해 버스차량의 실내로 유입 즉,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버스차량의 실내 공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 스텝의 바닥 패널에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을 통해 빠져나간 물이 고일 수 있는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는 한편, 그 사각형 틀의 측면으로는 고인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드레인 구멍을 형성하고, 더불어 상기 사각형 틀에는 바닥패널로부터 연장되는 밀폐플랜지를 형성하여 둠으로써, 우천시나 기타 버스차량의 실내 세차 작업이 이루어질 때 버스 차량의 실내 바닥면에 고인 물이 스텝에 올려진 매트를 통해 사각형의 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드레인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실내 바닥면의 물 고임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사각형의 틀에 고인 물과 그 사각형 틀로 연장된 바닥패널의 밀폐형 플랜지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드레인 구멍 및 배수공을 통해 버스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의 버스차량의 구조도.
도 2는 종래 버스차량의 스텝에 매트가 적용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 버스차량의 스텝에 구멍과 가이드가 적용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이물질 유입 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바닥패널 12; 매트
20; 사각형 틀 30; 드레인 구멍
40; 밀폐플랜지

Claims (1)

  1. 스텝의 바닥패널에 매트가 올려진 버스차량의 스텝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에는 버스차량의 실내에서 발생된 물이 매트를 통해 흘러내릴 수 있도록 배수공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패널 하부에는 상기 배수공을 통해 흘러내린 물이 고일 수 있도록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형 틀의 측면으로는 고인 물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드레인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사각형 틀의 내측으로는 바닥패널로부터 상기 드레인 구멍과 배수공을 서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구멍 위치까지 고인 물에 잠길 수 있도록 밀폐플랜지를 연장 형성하되, 상기 밀폐플랜지는 좌우 양단이 상기 사각형 틀의 벽면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틀 내의 고인 물과 함께 상기 밀폐플랜지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차량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
KR10-2004-0006738A 2004-02-02 2004-02-02 이물질 유입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 KR10053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38A KR100534454B1 (ko) 2004-02-02 2004-02-02 이물질 유입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38A KR100534454B1 (ko) 2004-02-02 2004-02-02 이물질 유입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567A KR20050078567A (ko) 2005-08-05
KR100534454B1 true KR100534454B1 (ko) 2005-12-07

Family

ID=3726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738A KR100534454B1 (ko) 2004-02-02 2004-02-02 이물질 유입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133A (ja) * 2004-09-29 2006-04-13 Honda Motor Co Ltd スタンドロック装置付き自動二輪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567A (ko) 200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4454B1 (ko) 이물질 유입방지용 버스 스텝 구조
JP4698164B2 (ja) バン型車両における屋根隅部用コーナーカバーの構造
KR200453587Y1 (ko) 슬라이드형 창문 구조
KR100720157B1 (ko) 맨홀의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340535Y1 (ko) 창틀용 골재의 배수 구조
KR100478606B1 (ko) 도로면과 접하는 인도면에 시공한 청소 및 빗물 배수로의구조
JP3717454B2 (ja) 浮上式水防装置の排水構造
KR20070056563A (ko) 자동차용 픽스드 글래스 지지 구조
KR200378200Y1 (ko)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KR101242266B1 (ko) 배수 기능을 갖는 차량의 웨더 스트립
KR19980037565U (ko) 썬루프 차량의 배수구조
JP2002003131A (ja) エレベーターの浸水防止装置
JPH10324485A (ja) エレベータ昇降路内浸水の排出装置
JPH0116877Y2 (ko)
KR100697598B1 (ko) 경사배수로가 형성된 발코니 하부창틀
KR200324404Y1 (ko) 도심 시가지 도로 측구 배수 우수 받이
KR0138517Y1 (ko) 윈드실드 글래스 하단부의 드레인 구조
KR102059729B1 (ko) 그레이팅 모듈
KR200154503Y1 (ko) 자동차 사이드 씰 아웃터 패널의 드레인 홈
KR101029134B1 (ko) 수퍼 그레이팅
KR20110005094U (ko) 집수정
JP531117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における排水構造
CN207776062U (zh) 一种公路排水装置
KR200308425Y1 (ko) 도로면과 접하는 인도면에 시공한 청소 및 빗물 배수로의구조
KR101165268B1 (ko) 배수구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