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268B1 - 배수구 덮개 - Google Patents

배수구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268B1
KR101165268B1 KR1020110103175A KR20110103175A KR101165268B1 KR 101165268 B1 KR101165268 B1 KR 101165268B1 KR 1020110103175 A KR1020110103175 A KR 1020110103175A KR 20110103175 A KR20110103175 A KR 20110103175A KR 101165268 B1 KR101165268 B1 KR 101165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cover
fram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웅배
오진성
Original Assignee
(주)우창그레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창그레이팅 filed Critical (주)우창그레이팅
Priority to KR102011010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집중호우나 폭우 시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물이 발생하더라도 이물질과 함께 막힘없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수로 또는 배수구의 상단 받침프레임 상에 올려져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수구 덮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덮개는, 테두리 틀의 내부에 평상시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면서 적은 량의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부와; 상기 배수부와 일측 변 사이에 상기 배수부가 이물질로 인해 막히거나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많은 량의 물과 함께 이물질까지 배수할 수 있도록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는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의 상부에 그 배수공과 대응되는 형태로 많은 량의 물과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어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부의 상단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구 덮개{Drain cover}
본 발명은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집중호우나 폭우 시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물이 발생하더라도 이물질과 함께 막힘없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수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와 인도가 접하는 경계지역에는 우천시나 도로의 청소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물의 배수를 위하여 도로와 경계석 사이에 측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계석과 측구부 사이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시설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이렇게, 경계석과 측구부 사이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배수시설에는 먼저, 측구부의 전체를 배수로로 형성하여 그 상부에 이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한 배수구 덮개를 연속적으로 올려놓고 배수하는 방식과, 상기 측구부의 하부에 관 형태의 배수로를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하고 그 배수로와 배수로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도로 측이나 인도 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배수로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면에 이 역시 이물질 등을 걸러 내기 위한 배수구 덮개가 올려지는 집수 블록이 설치되는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한 경계석과 측구부 사이는 물론 사람들이 보행하는 인도나 공원 또는 건축물의 주변이나 항만시설 등과 같이 배수구 또는 배수로가 구비된 상부에는 이물질 등을 걸러 내기 위한 배수구 덮개가 하나 또는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로나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덮개는 통상적으로 테두리 틀 형태의 내부에 베어링 바와 크로스 바가 교차되는 격자무늬 형태로 형성되어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배수로나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덮개는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면서 무리 없이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배수구 덮개의 상부로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로 인해 막혀 지거나 특히 집중호우나 폭우 등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물이 발생할 경우에는 물과 함께 쓸려 내려오는 각종 이물질 등이 배수구 덮개의 상부를 막게 됨으로써, 배수로 덮개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로나 집수 블록으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주변으로 물이 고이는 문제점은 물론 고이는 물로 인해 결국에는 침수피해를 유발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이물질로 인해 배수구 덮개의 상면이 막히거나 특히, 집중호우나 폭우 시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물이 발생하더라도 이물질과 함께 막힘없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수구 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도 변상이나 손상되는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자체나 주변 환경에 알맞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을 배수가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구가 올려지는 받침 프레임으로 이물질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 측구부에 설치되는 배수구 덮개와 접하는 경계석의 위치에 따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수로 또는 배수구의 상단 받침프레임 상에 올려져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수구 덮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덮개는, 테두리 틀의 내부에 평상시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면서 적은 량의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부와; 상기 배수부와 일측 변 사이에 상기 배수부가 이물질로 인해 막히거나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많은 량의 물과 함께 부피가 큰 이물질까지 배수할 수 있도록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는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의 상부에 그 배수공과 대응되는 형태로 많은 량의 물과 부피가 큰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어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부의 상단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부는 베어링 바와 크로스바가 서로 교차되어 격자무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부의 베어링 바와 크로스바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베어링 바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부는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무늬 또는 모양이 천공되어 구현된 디자인부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배수부 측의 전방은 개방되고 그 반대 측의 후방은 폐쇄판에 의해 막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공이 형성된 테두리 틀에는 그 배수공으로 물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이 받침프레임 상에 쌓이지 않도록 결합 고정되는 경사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양단이 테두리 틀 상에서 분리되어 테두리 틀과 체결할 수 있는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테두리 틀 상에서 슬라이딩 되게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연장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테두리 틀 상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장공과, 상기 체결공과 슬라이드 장공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로 인해 배수구 덮개의 상면이 막히거나 특히, 집중호우나 폭우 시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물이 발생하더라도 이물질과 함께 막힘없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수구 덮개의 주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침수피해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배수구 덮개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도 변상이나 손상되는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중량물의 통행하는 지역에도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지자체나 주변 환경에 알맞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떠한 환경 조건에도 알맞은 형태로 설치할 수 있어,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물을 배수가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덮개의 후방이 막혀져 유도함으로써, 배수공으로의 배수가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배수구가 올려지는 받침프레임으로 경사판에 의하여 이물질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함으로서, 이물질로 인한 받침프레임으로 쌓여 지는 후처리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도로 측구부에 설치되는 배수구 덮개와 접하는 경계석의 위치에 따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경계석이 설치된 조건에 따라 덮개의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 인한 호환성도 뛰어난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의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및 사용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의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천시나 도로 청소 등에 의해 발생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로 또는 배수구의 상단 받침프레임(100) 상에 올려져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수구 덮개(1)에 있어서,
본 발명은, 집중호우나 폭우 시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물이 발생하더라도 이물질과 함께 막힘없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구 덮개(1)는,
테두리 틀(12)의 내부에 평상시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면서 적은 량의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부(10)와;
상기 배수부와 일측 변 사이에 상기 배수부가 이물질로 인해 막히거나 집중호우나 폭우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많은 량의 물과 함께 부피가 큰 이물질까지 배수할 수 있도록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는 배수공(20)과;
상기 배수공(20)의 상부에 그 배수공과 대응되는 형태로 많은 량의 물과 부피가 큰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어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부의 상단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덮개(30)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덮개는 띠 형태로 전,후방이 통하도록 관통되어 평상시 장방형 형태의 배수공으로 이물질 등이 직접 투입되지 않도록 차단함은 물론 장방형 형태의 배수공으로 발이나 바퀴 등이 빠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 등을 한다.
또한, 상기 덮개의 양단 전면에는 보강편 등을 용접 등을 통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덮개의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에도 덮개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부(10)는, 통상적인 평판이나 알파벳의 아이(I) 바 형태의 베어링 바(14)와 스크류 형태의 크로스바(16)가 서로 교차되어 격자무늬 형태로 형성되어,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 주면서 평상시 적은 량의 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로의 측구부에 형성된 배수로나 배수구에 본 발명의 배수구 덮개를 설치시 상기 덮개가 경계석이 위치한 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수구 덮개(1)는, 통상적인 배수로나 배수구의 상단에 설치된 받침프레임(100)에 올려놓고 사용함으로써, 평상시 많은 량의 물이 배수되어 질 때는 배수로 덮개의 배수부(10) 측으로, 즉 베어링 바와 크로스 바에 의하여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면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평상시에도 상기 배수부가 낙엽이나 다른 이물질 등에 의해 막혀져 배수부에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에서는 상기 배수부의 측에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 배수공(20)을 통하여 배수로나 배수구 측으로 원활하게 유도하여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무엇보다도 집중호우시나 폭우 시에 순간적으로 많은 량이 물과 함께 부피가 큰 이물질이 발생할 경우에도, 즉 배수부 측이 이물질 등에 의해 막혀 배수부 측으로 배수되지 못하는 경우에 그 배수부 측의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 배수공을 통하여 많은 량의 물과 함께 부피가 큰 이물질을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배수로 덮개는 그 배수로 덮개의 역할은 물론 배수로 덮개의 상부 배수부가 막혀 지더라도 그 배수부 측에 구비되는 장방형 형태의 배수공을 통하여 많은 량의 물은 물론 부피가 큰 이물질 또한 배수로나 배수구로 원활하게 배수시킴으로써, 특히 집중호우시나 폭우 시에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물과 함께 포함된 부피가 큰 이물질까지도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 배수로 덮개의 배수부가 막혀 지거나 특히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물과 함께 부피가 큰 이물질을 원활하게 배수시킴으로써, 배수로 덮개가 설치된 배수로나 배수구 주위에 물의 고임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물 고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침수피해도 예방할 수 있는 뛰어난 효율성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배수공(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덮개(30)는 띠 형태로 마름모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 4에서와 같이 곡면인 아치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한 배수부는 베어링 바와 크로스바로 구성됨으로 인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비틀림 등과 같이 변형이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부(10)의 베어링 바(14)와 크로스바(16)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베어링 바(14)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재(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통상적인 한글의 자음인 디귿 형태의 형강으로 개방된 부분이 하부를 향하게 설치하며, 테두리 틀과 접하는 부분에는 배수될 수 있는 관통된 배수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베어링 바와 크로스바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부재에 의하여 상부로부터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져 변형이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배수부(10)는, 설치되는 위치나 조건에 따라 즉 지자체나 그 배수구 덮개가 설치되는 주변의 환경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도안이나 문구 등과 같은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무늬 또는 모양이 상,하로 천공되어 구현된 디자인부(52)를 갖는 판재(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디자인부에서의 배수는 그 디자인부의 무늬 또는 모양이 상,하로 천공됨으로 인해 그 천공된 부분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측의 장방형 형태의 배수공(20)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지자체를 표시하거나 특히, 배수로 덮개가 설치되는 학교나 공원 등 그 조건에 따라 원하는 형태의 디자인부가 형성된 판재로 형성함으로써, 설치 위치나 주변환경에 따라 알맞은 디자인부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뛰어난 호환성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30)는, 도 8에서와 같이 띠 형태로 형성되어 배수부(10) 측의 전방은 물과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그 반대 측의 후방은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이 배수공(20) 측으로 원활하게 유도되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폐쇄판(32)에 의해 막혀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덮개의 전방으로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은 그 덮개의 막혀진 후방을 통하여 하부의 배수공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더욱더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배수공(20)이 형성된 테두리 틀(12)에는 그 배수공(20)으로 물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이 받침프레임(100) 상에 쌓이지 않도록 결합 고정되는 경사판(6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배수공을 통하여 물과 이물질이 배수로나 배수구로 배수되는 과정에서, 배수로 덮개가 올려지는 받침프레임에 경사판에 의하여 이물질 등이 쌓이지 않고 배수로나 배수구로 바로 유도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프레임 상에 쌓여지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 또한 생략할 수 있는 편의성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30)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측구부에 설치시 경계석이 설치되는 위치나 조건에 따라 덮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단이 테두리 틀(12) 상에서 분리되어 테두리 틀(12)과 체결할 수 있는 연장부(3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34)는 고정수단(70)에 의하여 테두리 틀(12) 상에서 슬라이딩 되게 체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70)은 연장부(34)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체결공(72)과,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테두리 틀(12) 상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장공(74)과, 상기 체결공과 슬라이드 장공으로 체결되는 통상의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부재(7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로와 인도가 접하는 측구부에 본 발명의 배수구 덮개를 설치시, 그 측구부와 접하는 경계석의 위치에 따라, 즉 현장 조건에 따라 경계석의 위치가 약간씩 다른 조건, 즉 호환성 있게 덮개의 위치를 슬라이딩시켜 조절함으로써, 설치되는 현장의 조건에 따라 덮개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뛰어난 호환성을 가지는 것이다.
1 : 배수로 덮개
10 : 배수부 12 : 테두리 틀
14 : 베어링 바 16 : 크로스바
20 : 배수공 30 : 덮개
32 : 폐쇄판 34 : 연장부
40 : 지지부재 50 : 판재
52 : 디자인부 60 : 경사판
70 : 고정수단 72 : 체결공
74 : 슬라이드 장공 76 : 체결부재
100 : 받침프레임

Claims (8)

  1. 배수로 또는 배수구의 상단 받침프레임(100) 상에 올려져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수구 덮개(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덮개(1)는,
    테두리 틀(12)의 내부에 평상시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면서 적은 량의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부(10)와;
    상기 배수부와 일측 변 사이에 상기 배수부가 이물질로 인해 막히거나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많은 량의 물과 함께 부피가 큰 이물질까지 배수할 수 있도록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는 배수공(20)과;
    상기 배수공의 상부에 그 배수공과 대응되는 형태로 많은 량의 물과 부피가 큰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어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부의 상단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덮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는, 베어링 바(14)와 크로스바(16)가 서로 교차되어 격자무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의 베어링 바(14)와 크로스바(16)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베어링 바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재(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는,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무늬 또는 모양이 천공되어 구현된 디자인부(52)를 갖는 판재(5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배수부 측의 전방은 개방되고 그 반대 측의 후방은 폐쇄판(32)에 의해 막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이 형성된 테두리 틀(12)에는 그 배수공으로 물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이 받침프레임(100) 상에 쌓이지 않도록 결합 고정되는 경사판(6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는, 양단이 테두리 틀(12) 상에서 분리되어 테두리 틀과 체결할 수 있는 연장부(3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34)는 고정수단(70)에 의하여 테두리 틀 상에서 슬라이딩 되게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70)은, 연장부(34)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체결공(72)과,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테두리 틀(12) 상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장공(74)과, 상기 체결공과 슬라이드 장공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
KR1020110103175A 2011-10-10 2011-10-10 배수구 덮개 KR101165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175A KR101165268B1 (ko) 2011-10-10 2011-10-10 배수구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175A KR101165268B1 (ko) 2011-10-10 2011-10-10 배수구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268B1 true KR101165268B1 (ko) 2012-07-20

Family

ID=4671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175A KR101165268B1 (ko) 2011-10-10 2011-10-10 배수구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2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1488U (ko) 1987-04-23 1988-11-08
JPS6447890U (ko) 1987-09-18 1989-03-24
JP2008075430A (ja) 2006-09-19 2008-04-03 Aoba Concrete Kogyo Kk 落葉対策用l型縁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1488U (ko) 1987-04-23 1988-11-08
JPS6447890U (ko) 1987-09-18 1989-03-24
JP2008075430A (ja) 2006-09-19 2008-04-03 Aoba Concrete Kogyo Kk 落葉対策用l型縁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464B1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KR102262405B1 (ko) 우수 배수구의 악취 차단장치
KR100964725B1 (ko) 이물질 끼임 방지용 배수로 덮개
KR20090007395U (ko) 그레이트용 거름망 설치구조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2348396B1 (ko)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KR102301318B1 (ko) 배수용 그레이팅 구조체
KR20190139420A (ko) 오물투척방지용 자동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KR101320456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KR101165268B1 (ko) 배수구 덮개
KR20090017869A (ko) 수문이 부착된 경계블럭
KR20160093976A (ko)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US20220356692A1 (en) Trash collector for drainage channels
KR101182811B1 (ko) 배수로 덮개
KR100895422B1 (ko) 하수구의 이물진입방지 및 악취 배출방지용 맨홀덮개
CN209323356U (zh) 一种桥梁排水结构
KR101195242B1 (ko) 옥상 배수구 캡 및 이를 이용한 일시저류 가능한 옥상 구조물
KR101383819B1 (ko) 덮개 일체형 우수받이
KR102610536B1 (ko) 우수한 악취차단 기능을 구비한 하수구용 플로우 게이트
KR102582393B1 (ko) 공공도로용 빗물받이 커버
KR100675583B1 (ko) 하수 역류 방지장치
KR102582396B1 (ko) 민간영역의 배수구 그레이팅용 안전커버
KR200248509Y1 (ko) 우수받이용 필터링 바스켓
KR20180063520A (ko)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101678821B1 (ko) 커버를 가지는 그레이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