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811B1 - 배수로 덮개 - Google Patents

배수로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811B1
KR101182811B1 KR1020100084171A KR20100084171A KR101182811B1 KR 101182811 B1 KR101182811 B1 KR 101182811B1 KR 1020100084171 A KR1020100084171 A KR 1020100084171A KR 20100084171 A KR20100084171 A KR 20100084171A KR 101182811 B1 KR101182811 B1 KR 101182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cover
cover member
drain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516A (ko
Inventor
오웅배
Original Assignee
(주)우창그레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창그레이팅 filed Critical (주)우창그레이팅
Priority to KR102010008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8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짐은 물론 배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수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덮개는 측면의 상부에 배수로의 상단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배수구의 상부에 그 배수구의 양측 하부로 형성된 지지대의 장공으로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덮여지는 각각의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와 접하는 상면의 양측에 그 상면보다 하향으로 함몰되어 물이 유입되는 유입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로 덮개{cover drainage canal}
본 발명은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짐은 물론 배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이나 공원, 유원지 등에 형성되는 배수로에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대응력을 가지면서 비교적 큰 이물질 등을 걸러줌과 동시에 빗물이나 오수 등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 시설물 중의 하나인 배수로 덮개가 구비된다.
이렇게, 배수로의 상부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배수로 덮개(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프레임(110) 사이에 폭 방향으로 수개의 평철이나 아이자(I) 형태의 베어링 바(120)가 용접되고, 그 베어링 바의 상단에 수개의 봉이나 스크류 형태의 크로스 바(130)가 교차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배수로의 상부에서 비교적 큰 이물질은 걸러주면서 빗물이나 오수 등을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형태의 통상적인 배수로 덮개의 경우, 배수로와 대기가 서로 통하게 형성됨에 따라, 즉 개방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배수로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대기로 그대로 방출되어 배수로 주위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로와 대기가 통하게 형성됨으로 인해 담배꽁초나 낙엽 등과 같은 비교적 부피가 작은 이물질 등이 투입되어 배수로가 지저분해져 미관이 수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투입된 작은 이물질 등으로 인해 배수로가 막히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즉 개방형 형태의 배수로 덮개에서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선등록권리인 특허등록 제10-913210호 "밀폐형 배수로 덮개"를 등록받은바, 이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배수로 덮개(200)는, 평상시에는 배수로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우수시에만 개방되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즉 프레임(210)의 상면에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1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서 개폐부재(220)가 회전축(2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밀폐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부력수단(230)에 의하여 유입되는 물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평상시에는 개폐부재가 배수로의 상부를 밀폐시켜 배수로의 하부에 배출되는 악취를 차단함은 물론 담배꽁초나 낙엽 등과 같은 작은 이물질 등 또한 배수로 내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비나 우수 발생시에는 유입되는 물로 인해 부력수단에 의하여 개폐부재를 개방시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통상적인 개방형 형태의 배수로 덮개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 등록권리인 "밀폐형 배수로 덮개"의 경우, 그 밀폐형 배수로 덮개의 상단과 배수로의 상단이 동일선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빠를 경우에는 신속하게 배수되어 그리 큰 문제가 없었으나 비가 그칠 때쯤이나 유속이 약할 경우에는 개폐부재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약한 유속과 함께 쓸려 오는 입자가 작은 모래나 흙 등이 오히려 개폐부재의 상부로 적재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렇게, 개폐부재에 의해 입자가 작은 모래나 흙 등과 같은 이물질 등이 배수로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었으나, 개폐부재의 상부로 쌓이는 입자가 작은 모래나 흙 등과 같은 이물질로 인해 오히려 배수로 덮개의 상부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종래 통상적인 개방형 형태의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는 상기 입자가 작은 모래나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배수로 내부로 직접 유입됨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수로가 막히게 하는 원인이 됨으로써, 작업자 등이 배수로 덮개를 분리시킨 다음 배수로 내부에 쌓여 진 모래나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처리작업을 별도로 행해야 하는 폐단도 있었다.
아울러, 종래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는 어떠한 형태나 종류에 상관없이, 즉 밀폐형이든 개방형이든 배수로 덮개의 상단과 배수로의 상단이 동일한 선상으로 형성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지면서 배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수로 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 대해서도 변형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 측면 뿐만 아니라 배수로 덮개의 전,후에서도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로 측으로 약한 유속과 함께 흘러 오는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배수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배수로 덮개의 상부로 쌓이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덮개부재의 개방이 유입되는 물에 의해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대한의 많은 량의 배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수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덮개는 측면의 상부에 배수로의 상단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배수구의 상부에 그 배수구의 양측 하부로 형성된 지지대의 장공으로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덮여지는 각각의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와 접하는 상면의 양측에 그 상면보다 하향으로 함몰되어 물이 유입되는 유입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배수구의 선단과 후단의 폭 방향에는 각각의 받침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측 덮개부재의 선단과 접하는 상면과 타측 덮개부재의 후단이 접하는 상면에는 상기 유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재가 접하는 상면은 배수로의 상단보다 높게 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면은 측면으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져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타고 올라오지 못하게 하는 외측 경사면과, 상기 외측 경사면과 이어져 덮개부재와 접하는 내측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홈은 외측 경사면으로부터 내측 경사면을 향하여 하향으로 형성되되, 외측 경사면에 형성되는 끝단이 프레임 측면의 상단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덮개부재의 하부에는 유입홈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에 의해 각 덮개부재를 부력에 의해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부력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는 장공에는 이 장공과 연결되어 덮개부재의 회전축이 안내되어 덮개부재를 수직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되는 개방 연장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지면서 배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작은 이물질의 투입을 최소화하여 이물질로 인한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악취 또한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각 측면과 지지대 및 받침대에 의하여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 대해서도 변형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중량이 많이 가해지는 항만이나 공항 등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양 측면 뿐만 아니라 배수로 덮개의 전,후에서도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수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한, 배수로 측으로 약한 유속과 함께 흘러 오는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배수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배수로 덮개의 상부로 쌓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입자가 작은 이물질 유입으로 인해 배수로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극소화함은 물론 배수로 주변의 환경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덮개부재의 개방이 유입되는 물에 의해, 즉 부력수단에 의해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수 량에 따라 덮개부재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배수의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덮개부재를 배수구 전체가 개방되도록 함에 따 최대한의 많은 량의 배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b는 도 5a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은 종래 일반적인 배수로 덮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8a 및 도 8b는 종래 밀폐형 배수로 덮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배수로로 담배꽁초나 낙엽 등과 같은 부피가 작은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배수로의 하부에 발생하는 악취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수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지면서 배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로 덮개(100)는,
측면(12)의 상부에 배수로의 상단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는 상면(1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15)가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배수구(10)의 상부에 그 배수구의 양측 하부로 형성된 지지대(16)의 장공(17)으로 회전축(22)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덮여지는 각각의 덮개부재(20)와;
상기 덮개부재(20)와 접하는 상면(14)의 양측에 그 상면보다 하향으로 함몰되어 물이 유입되는 유입홈(14a)이 일체로 형성되는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회전축은 덮개부재의 밑면에 양측으로 각각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게 하나의 축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덮개부재의 밑면으로부터 장공 상에서 회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덮개부재의 밑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평상시에는 배수구를 덮고 있는 덮개부재에 의하여 배수로의 내부로 담배꽁초나 낙엽 등과 같은 부피가 작은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수로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악취 또한 대기로 최소한으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이며, 덮개부재의 양측 상면에 형성된 유입홈으로 통하여 필요로 하는 배수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구는 덮개부재가 덮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프레임의 외측면을 이루는 측면과 그 측면의 내부 측으로 덮개부재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즉 상면의 양측에 각 측면과 지지대가 한 쌍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 배수구(15)의 선단과 후단의 폭 방향에는, 즉 덮개부재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받침대(18)가 더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배수로 덮개의 측면과 지지대가 길이방향으로 가지는 지지력과 폭 방향으로는 상기 받침대에 의해 더욱더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덮개부재와 덮개부재 사이는 상면과 배수구의 선단과 후단 형성되는 받침대에 의해 통상적인 디귿형강 형태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는 양 측면(12)과 지지대(16)가, 폭 방향으로는 전,후 측면(12)과 배수구(15)의 선단과 후단에 형성되는 각각 받침대(18)에 의해 높은 지지력을 가지게 됨에 따라 상부에서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 대해서도 배수로 덮개가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그로 인해 비행장이나 선착장 등 무거운 하중이 왕복하는 지역에서 중하중이나 고하중의 용도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한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일측 덮개부재(20)의 선단과 접하는 상면(14)과 타측 덮개부재(20)의 후단이 접하는 상면(14)에는 상기 유입홈(14a)이 더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덮개부재의 양측으로만 유입되는 물을 배수로 덮개의 전방과 후방 측으로도 물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배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비가 그치는 시기나 유속이 약하게 흐르면서 입자가 작은 모래나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배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배수로 덮개의 상부로 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부재(20)가 접하는 상면(14)은 배수로(1)의 상단보다 높게 측면(12)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면(14)은 측면(12)으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져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타고 올라오지 못하게 하는 외측 경사면(14A)과, 상기 외측 경사면(14A)과 이어져 덮개부재(20)와 접하는 내측 경사면(14B)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홈(14a)은 외측 경사면(14A)으로부터 내측 경사면(14B)을 향하여 하향으로 형성되되, 외측 경사면(14A)에 형성되는 끝단이 프레임 측면(12)의 상단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배수로의 상단 보다 돌출되게 형성된 상면에 의하여 약한 유속과 함께 흘러 오는 입자가 작은 모래나 흙 등과 이물질이 배수로 덮개의 상부로 올라오지 못하게 됨으로써, 배수로 내로 모래나 흙 등과 같은 입자가 작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어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최소화함은 물론 종래 배수로 내부로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쌓여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추가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수로 상단 보다 높게 형성되는 상면에 의해 배수로 덮개의 상면이나 덮개부재의 상부로도 모래나 흙 등과 같은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쌓이지 않게 됨으로써, 배수로 덮개의 외관 또한 미려할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지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배수 효율성을 더욱더 높이면서 비교적 많은 빗물이나 우수 발생시에 덮개부재를 유입되는 물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각 덮개부재(20)의 하부에는 유입홈(14a)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에 의해 각 덮개부재(20)를 부력에 의해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부력수단(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력수단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권리인 특허등록 제913210호 "밀폐형 배수로 덮개"에 구비되는 부력수단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지지대의 밑면에 형성되는 부력통(32)과, 상기 부력통 내부에 유입되는 물에 의해 상승되면서 덮개부재를 개방시키도록 덮개부재의 밑면과 맞닿는 부력핀(34a)이 형성된 부력체(3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수단(30)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권리인 특허등록 제964725호 "이물질 끼임 방지용 배수로 덮개"에 기재된 부력수단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도 5b에서와 같이 부력통(32)의 내부에 부력체(34)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부력체가 상승시 부력통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부재(35)에 의해 덮개부재를 개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덮개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부력수단에 의해 배수되는 물에 따라 덮개부재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시에는 배수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평상시에는 부피가 작인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대기로의 악취 방출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국지성 호우나 폭우 등과 같이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많은 량의 우수를 배수시키고자 할 때에는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16)에 형성되는 장공(17)에는 이 장공(17)과 연결되어 덮개부재(20)의 회전축이 안내되어 덮개부재(20)를 수직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되는 개방 연장공(40)이 더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개방 연장공(40)은 장공과 연결되는 수평공(42)과, 이 수평공과 연결되어 상기 장공 보다 더 하부로 위치하는 수직공(44)으로 형성되어, 상기와 같이 비상시 국지성 호우나 폭우 등이 발생할 때 작업자가 상기 개방 연장공으로 통하여 덮개부재의 회전축을 안내하여 수직으로 세워 높게 됨으로써, 배수구 전체가 개방되어 높은 배수 효율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배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다시 개방 연장공으로부터 덮개부재의 회전축을 장공 측으로 이동시켜 덮개부재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같이 덮개부재를 수직으로 개방시키는 구조는 지역적인 특성이 폭우나 국지성 호우가 잦은 지역에 설치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배수로
100 : 배수로 덮개
10 : 프레임 12 : 측면
14 : 상면 14a : 유입홈
14A : 외측 경사면 14B : 내측 경사면
15 : 배수구 16 : 지지대
17 : 장공 18 : 받침대
20 : 덮개부재 22 : 회전축
30 : 부력수단 32 : 부력통
34 : 부력체 34a : 부력핀
35 : 작동부재 40 : 개방 연장공
42 : 수평공 44 : 수직공

Claims (8)

  1. 배수로(1)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로 덮개(100)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덮개(100)는,
    측면(12)의 상부에 배수로의 상단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는 상면(1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15)가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배수구의 상부에 그 배수구의 양측 하부로 형성된 지지대(16)의 장공(17)으로 회전축(22)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덮여지는 각각의 덮개부재(20)와;
    상기 덮개부재와 접하는 상면의 양측에 그 상면보다 하향으로 함몰되어 물이 유입되는 유입홈(14a)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수구(15)의 선단과 후단의 폭 방향에는 각각의 받침대(18)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덮개부재(20)의 선단과 접하는 상면과 타측 덮개부재(20)의 후단이 접하는 상면에는 상기 유입홈(14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20)가 접하는 상면(14)은 배수로의 상단보다 높게 측면(12)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면(14)은 측면으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져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타고 올라오지 못하게 하는 외측 경사면(14A)과, 상기 외측 경사면과 이어져 덮개부재와 접하는 내측 경사면(14B)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14a)은 외측 경사면(14A)으로부터 내측 경사면(14B)을 향하여 하향으로 형성되되, 외측 경사면(14A)에 형성되는 끝단이 프레임(10) 측면(12)의 상단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덮개부재(20)의 하부에는 유입홈(14a)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에 의해 각 덮개부재를 부력에 의해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부력수단(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6)에 형성되는 장공(17)에는 이 장공과 연결되어 덮개부재의 회전축이 안내되어 덮개부재를 수직으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되는 개방 연장공(4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KR1020100084171A 2010-08-30 2010-08-30 배수로 덮개 KR101182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171A KR101182811B1 (ko) 2010-08-30 2010-08-30 배수로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171A KR101182811B1 (ko) 2010-08-30 2010-08-30 배수로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516A KR20120020516A (ko) 2012-03-08
KR101182811B1 true KR101182811B1 (ko) 2012-09-13

Family

ID=4612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171A KR101182811B1 (ko) 2010-08-30 2010-08-30 배수로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8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4026A (zh) * 2013-02-25 2013-05-15 四川大学 一种防尘雨盖
CN103184760A (zh) * 2013-03-28 2013-07-03 四川大学 一种马路路边防尘雨盖
KR101539980B1 (ko) * 2015-04-30 2015-07-29 김광수 맨홀 악취차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690A (ja) 2002-08-08 2004-04-22 Ito Yogyo Co Ltd 集水用グレーチングとこれを用いた排水構造
KR100964725B1 (ko) 2009-08-05 2010-06-21 (주)우창그레이팅 이물질 끼임 방지용 배수로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690A (ja) 2002-08-08 2004-04-22 Ito Yogyo Co Ltd 集水用グレーチングとこれを用いた排水構造
KR100964725B1 (ko) 2009-08-05 2010-06-21 (주)우창그레이팅 이물질 끼임 방지용 배수로 덮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4026A (zh) * 2013-02-25 2013-05-15 四川大学 一种防尘雨盖
CN103184760A (zh) * 2013-03-28 2013-07-03 四川大学 一种马路路边防尘雨盖
KR101539980B1 (ko) * 2015-04-30 2015-07-29 김광수 맨홀 악취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516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530B1 (ko) S자형상의 힌지결합구조를 갖는 맨홀 조립체
KR100759995B1 (ko) 악취 역류 방지판을 가지는 그레이팅
CN104863247B (zh) 带过滤功能的下水道雨篦子
KR100964725B1 (ko) 이물질 끼임 방지용 배수로 덮개
KR101182811B1 (ko) 배수로 덮개
KR100711855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WO2008099182A1 (en) Surface water drainage
KR100913210B1 (ko) 밀폐형 배수로 덮개
KR100911440B1 (ko) 악취방지용 배수로 덮개
KR20110054572A (ko) 커버가 장착된 그레이팅 및 이를 구비하는 집수조
KR100913209B1 (ko) 악취방지 및 이물질 유입차단용 배수로 덮개
KR100741695B1 (ko) 하수도 집수정의 악취차단장치
KR101081582B1 (ko) 이물질 유입 차단용 배수로 덮개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CN211499116U (zh) 一种市政道路雨水导流结构
KR100941451B1 (ko) 악취방지 및 이물질 유입차단용 배수로 덮개
CN106703304A (zh) 具有固定结构的排水口滤罩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JP7211654B2 (ja) 排水路用ゴミ収集具
CN115653076A (zh) 海绵城市防堵型渗排水结构
CN213772925U (zh) 一种桥梁防积水结构
KR101242668B1 (ko) 배수로의 배수장치
KR101161856B1 (ko) 이중수문
KR101383819B1 (ko) 덮개 일체형 우수받이
KR20140104673A (ko)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