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673A -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 Google Patents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673A
KR20140104673A KR1020130018416A KR20130018416A KR20140104673A KR 20140104673 A KR20140104673 A KR 20140104673A KR 1020130018416 A KR1020130018416 A KR 1020130018416A KR 20130018416 A KR20130018416 A KR 20130018416A KR 20140104673 A KR20140104673 A KR 2014010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drain
cover
press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엔
Priority to KR102013001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4673A/ko
Publication of KR2014010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고 우천시나 급격하게 불어난 많은 양의 물 또한 자유롭게 배수함은 물론 역류 발생시 역류 압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악취방지용 배수커버로, 상부 테두리에 맨홀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으로 올려지고 배수구 덮개나 맨홀뚜껑 등이 올려지는 재치판(12)이 형성되고, 이 재치판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부의 하부는 전,후면(16)(17) 및 양 측면(18)(19)이 막혀지고 바닥면은 유입공간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의 하중에 의해 개방된 후 폐쇄되는 배수판(20)이 형성되되, 이 배수판에는 역류시 역류되는 물을 배출시켜 역류 압을 저감시키는 압력저감부(30)가 일체로 구비된 배수커버(10)를 하수구나 배수구 등의 맨홀뚜껑 사이에 설치하여 맨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유입공간(15) 전,후면(16)(17) 중간에 내부에 형성되는 분할돌출부(14)의 하단 양단과 중공부(14a)에 설치되며, 상기 분할돌출부(14)의 하단 양단 설치된 제1 힌지(P)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에 의해 개폐 동작하는 배수판(20)을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하나의 무게 웨이트(4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악취방지용 배수커버{drain cover for preventing bad smell}
본 발명은 하수구나 배수구 등과 같은 맨홀의 입구에 설치되는 악취방지용 배수커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맨홀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고 우천시나 급격하게 불어난 많은 양의 물 또한 자유롭게 배수함은 물론 역류 발생시 역류 압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악취방지용 배수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이나 공원, 유원지 등에 구비되는 하수구나 배수구 등과 같은 맨홀의 입구에는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등은 걸러주면서 빗물이나 오수 등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수 시설물 중의 하나인 배수구 덮개나 맨홀뚜껑 등이 구비된다.
이렇게, 하수구나 배수구 등과 같은 맨홀(1)의 입구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배수구 덮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하는 측프레임(110) 사이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평철이나 아이자(I) 형태인 다수의 베어링 바(120)가 용접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바(120)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봉이나 스크류 형태인 다수의 크로스 바(130)가 용접되어 상기 베어링 바와 베어링 바 사이 및 크로스바와 크로스바 사이에 수개의 배수공(14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맨홀의 입구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맨홀뚜껑은 맨홀의 입구에 대응되는 원형이나 사각 형태로 빗물 등이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수구나 배수구 등과 같은 맨홀의 입구에 구비되는 배수구 덮개나 맨홀뚜껑은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등을 걸러줌과 동시에 빗물이나 오수 등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었으나, 하수구나 배수구 등과 같은 맨홀의 내부에 발생하는 악취가 대기로 그대로 방출됨에 따라 하수구나 배수구 등과 같은 맨홀의 상부를 통행하는 통행자에게 악영향을 미침은 물론 대기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의 악취를 차단하는 장치가 제시된 바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불편함은 물론 그로 인한 제조단가 또한 높은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악취는 차단하고 배수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0893872호 "맨홀의 악취방지용 배수커버"를 출원하여 등록받았다.
이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수구나 배수구 등과 같은 맨홀의 입구와 배수구 덮개 등와 같은 맨홀뚜껑 사이에 개재되어 맨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맨홀의 악취방지용 배수커버(10)는, 상부 테두리에 맨홀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으로 올려지고 배수구 덮개나 맨홀뚜껑 등이 올려지는 재치판(12)이 형성되고, 이 재치판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부의 하부는 전,후면(16)(17) 및 양 측면(18)(19)이 막혀지고 바닥면은 유입공간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의 하중에 의해 개방된 후 폐쇄되는 배수판(20)이 형성되되, 이 배수판에는 역류시 역류되는 물을 배출시켜 역류 압을 저감시키는 압력저감부(30)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배수판(20)은 전,후면(16)(17) 중간에 내부로 중공부(14a)가 형성되는 분할돌출부(14)의 하단 양측으로 양단이 힌지 결합되고, 이 힌지 결합된 측으로 상기 중공부에서 회동되는 각각의 웨이트(22)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 결합된 반대 측의 끝단은 양 측면의 밑단과 맞닿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배수판(20)과 맞닿게 형성되는 양 측면(18)(19)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양 측면(18)(19)과 맞닿는 배수판(20)의 끝단은 하향으로 성형된 곡면(20a)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맨홀의 악취방지용 배수커버는 평소에는 맨홀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고 우천시나 급격하게 불어나 많은 량의 물 또한 자유롭게 배수함은 물론 역류 발생시 역류 압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악취로 인한 대기 오염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배수 량과 관계없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역류 인한 배수커버의 이탈이나 파손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바닥면을 구성하는 배수판뿐만 아니라 폭우 시나 장마철 등 급격하게 불어나는 많은 양의 물 또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양 측면 또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배수 량을 극대화하여 배수 량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이하에, 본 출원의 등록권인 "맨홀의 악취방지용 배수커버"를 좀더 개량한 것으로, 평소에는 맨홀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고 우천시나 급격하게 불어난 많은 양의 물 또한 자유롭게 배수함은 물론 역류 발생시 역류 압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악취방지용 배수커버의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하면서며, 악취를 최대한 차단하도록 개발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소에는 맨홀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고 우천시나 급격하게 불어난 많은 양의 물 또한 자유롭게 배수함은 물론 역류 발생시 역류 압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내에서 작동되는 무게 웨이트를 간단한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제조공정을 줄임과 동시에, 잔고장을 없애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수구나 맨홀로부터 배출되는 악취와 외부로부터 떨어지는 모래, 담배꽁초, 낙엽 등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맨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청소를 용이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 악취방지용 배수커버(10)는 상부 테두리에 맨홀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으로 올려지고 배수구 덮개나 맨홀뚜껑 등이 올려지는 재치판(12)이 형성되고, 이 재치판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부의 하부는 전,후면(16)(17) 및 양 측면(18)(19)이 막혀지고 바닥면은 유입공간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의 하중에 의해 개방된 후 폐쇄되는 배수판(20)이 형성되되, 이 배수판에는 역류시 역류되는 물을 배출시켜 역류 압을 저감시키는 압력저감부(30)가 일체로 구비된 배수커버(10)를 하수구나 배수구 등의 맨홀뚜껑 사이에 설치하여 맨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맨홀의 악취방지용 배수커버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간(15) 전,후면(16)(17) 중간에 내부에 형성되는 분할돌출부(14)의 하단 양단과 중공부(14a)에 설치되며, 상기 분할돌출부(14)의 하단 양단 설치된 제1 힌지(P)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에 의해 개폐 동작하는 배수판(20)을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하나의 무게 웨이트(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수판(20)은 역류시 상기 압력감지부(30)가 개방되어 압력을 최소화하도록 한 배출구(31)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1)의 상면에는 제1 힌지(P) 쪽에 설치된 제2 힌지(P1))에 의해 역류시에만 개방되는 개방판(35)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판(20)의 테두리에 단턱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17)과 양 측면(18)(19)을 기밀하게 감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방지용 배수커버는 평상시 맨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는 대기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배수시에는 배수판이 개방되어 원활하게 배수시킴은 물론 급격하게 많은 양의 물이 발생하더라도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배수판이 하향으로 최대한 개방되어져 한꺼번에 많은 배수 량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류 발생시에도 역류 압을 저감시켜 이탈이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악취 차단은 물론 적은 양이나 많은 양의 배수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역류 방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뛰어난 조건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수구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악취방지용 배수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은 종래 악취방지용 배수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3a는 물이 배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역류시 역류 압을 저감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방지용 배수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방지용 배수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5a는 평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물이 배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c는 역류시 역류 압을 저감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 악취방지용 배수커버(10)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테두리에 맨홀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으로 올려지고 배수구 덮개나 맨홀뚜껑 등이 올려지는 재치판(12)이 형성되고, 이 재치판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부의 하부는 전,후면(16)(17) 및 양 측면(18)(19)이 막혀지고 바닥면은 유입공간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의 하중에 의해 개방된 후 폐쇄되는 배수판(20)이 형성되되, 이 배수판에는 역류시 역류되는 물을 배출시켜 역류 압을 저감시키는 압력저감부(30)가 일체로 구비된 배수커버(10)를 하수구나 배수구 등의 맨홀뚜껑 사이에 설치하여 맨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종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도 5a의 요부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입공간(15) 전,후면(16)(17) 중간에 내부에 형성되는 분할돌출부(14)의 하단 양단과 중공부(14a)에 설치되며, 상기 분할돌출부(14)의 하단 양단 설치된 제1 힌지(P)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에 의해 개폐 동작하는 배수판(20)을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하나의 무게 웨이트(40)가 설치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상기 무게웨이트(40)는 통상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지나 필요에 따라 타원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 하중을 높이기 위한 금속의 심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게웨이트(40)는 도 5a의 요부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쪽 양단에 상기 배수판(20)이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판(20)의 위치 선정이 중요하다 중심이나 하부에 형성되면 무게 웨이트의 하중이 적게되기 때문에,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판(20)은 , 역류시 상기 압력감지부(30)가 개방되어 압력을 최소화하도록 한 배출구(31)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1)의 상면에는 제1 힌지(P) 쪽에 설치된 제2 힌지(P1))에 의해 역류시에만 개방되는 개방판(35)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판(20)의 테두리에 단턱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17)과 양 측면(18)(19)을 기밀하게 감싸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배출구(31)와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개방판(35)의 하부에 상기 배출구(31)와 동일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부를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배수판(20)과 맞닿는 각 측면에는 통상적인 실린콘이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패킹을 결합시켜 기밀성을 높여 악취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맨홀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에 배수커버의 테두리에 형성된 재치판을 올려놓고 이 재치판에 배수구 덮개 등과 같은 맨홀뚜껑을 올려 놓게 됨으로써, 평상시 물이 배수되지 않을 때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분할돌출부(14)의 중공부(14a)에 구비된 무게 웨이트(40)의 무게에 의해 한 쌍의 배수판(20) 각 끝단이 양 측면(18)(19)의 밑단과 맞닿게 폐쇄시킴에 따라 맨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대기로 방출되지 않게 차단하게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맨홀 주위의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대기 오염 등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맨홀뚜껑을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이나 오수 등이 유입공간부(15)를 통하여 유입되어 양 측면(18)(19)을 타고 흘러 내려 배수판(20)에 모여져 일정한 하중을 가질 경우, 즉 상기 배수판(20)을 지지하고 있는 무게 웨이트(40)의 무게 보다 무거운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 배수판(20)이 도 4b의 이점쇄선과 같이 개방되면서 원활하게 배수되는 것이고, 급격하게 많은 량의 물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한쌍의 배수판(20)은 실선과 같이 하향으로 최대한 개방되어 한꺼번에 많은 량의 물 또한 자유롭게 배수할 수가 있다.
이렇게, 배수판이 개방되어 배수가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배수판은 분할돌출부의 중공부에 설치된 무게 웨이트의 무게에 의해 배수판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그 끝단이 양 측면의 밑면과 도 4a에서와 같이 맞닿아 폐쇄되어 맨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맨홀 내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막혀져 역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배수판은 측면과 지지되어 개방되지 않고 도 5c에서와 같이 그 배수판(20)에 형성된 압력저감부(30), 즉 배수판(20)의 배출구(31)로부터 개방판(35)이 제2 힌지(P1)를 기점으로 하여 서서히 개방됨으로써, 역류되는 역류 압의 일부를 저감시킴에 따라 역류로 인한 배수커버가 맨홀의 입구에서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맨홀 내에서 발생하는 역류 압이 상당히 높더라도 상기 역류 압을 배수판에 형성된 개방판이 개방되면서 일부 배출시킴으로써, 역류 압을 저감시켜 큰 피해를 줄여 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역류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판은 그 배수커버의 상부로 구비된 배수구 덮개나 맨홀뚜껑의 밑면으로 상단이 지지되고, 역류 압이 저감된 후에는 자중에 의해 배수판의 배출구를 자연적으로 덮어서 폐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 맨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는 대기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배수시에는 배수판이 개방되어 원활하게 배수시킴은 물론 급격하게 많은 양의 물이 발생하더라도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배수판이 하향으로 최대한 개방되어져 한꺼번에 많은 배수 량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류 발생시에도 역류 압을 저감시켜 이탈이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악취 차단은 물론 적은 양이나 많은 양의 배수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역류 방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뛰어난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배수커버 12 : 재치편
14 : 분할돌출부 14a : 중공부
15 : 유입공간부 16 : 전면
17 : 후면 18,19 : 측면
20 : 배수판 21 : 단턱부
30 : 압력 저감부 31 : 배출구
35 : 개방판 40 : 무게 웨이트
P,P1 : 힌지

Claims (2)

  1. 상부 테두리에 맨홀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으로 올려지고 배수구 덮개나 맨홀뚜껑 등이 올려지는 재치판(12)이 형성되고, 이 재치판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부의 하부는 전,후면(16)(17) 및 양 측면(18)(19)이 막혀지고 바닥면은 유입공간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의 하중에 의해 개방된 후 폐쇄되는 배수판(20)이 형성되되, 이 배수판에는 역류시 역류되는 물을 배출시켜 역류 압을 저감시키는 압력저감부(30)가 일체로 구비된 배수커버(10)를 하수구나 배수구 등의 맨홀뚜껑 사이에 설치하여 맨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맨홀의 악취방지용 배수커버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간(15) 전,후면(16)(17) 중간에 내부에 형성되는 분할돌출부(14)의 하단 양단과 중공부(14a)에 설치되며, 상기 분할돌출부(14)의 하단 양단 설치된 제1 힌지(P)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에 의해 개폐 동작하는 배수판(20)을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하나의 무게 웨이트(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20)은 역류시 상기 압력감지부(30)가 개방되어 압력을 최소화하도록 한 배출구(31)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1)의 상면에는 제1 힌지(P) 쪽에 설치된 제2 힌지(P1))에 의해 역류시에만 개방되는 개방판(35)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판(20)의 테두리에 단턱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17)과 양 측면(18)(19)을 기밀하게 감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KR1020130018416A 2013-02-21 2013-02-21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KR20140104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416A KR20140104673A (ko) 2013-02-21 2013-02-21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416A KR20140104673A (ko) 2013-02-21 2013-02-21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673A true KR20140104673A (ko) 2014-08-29

Family

ID=5174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416A KR20140104673A (ko) 2013-02-21 2013-02-21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46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59B1 (ko) * 2016-04-08 2016-12-12 주식회사 금교산업 맨홀 내부 설치용 방취, 방충 기능을 갖는 플랫밸브
KR20180011501A (ko) * 2016-07-25 2018-02-02 이경한 악취 저감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KR102661458B1 (ko) * 2023-08-02 2024-04-26 (주)에이치엔스마트코리아 맨홀용 악취저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59B1 (ko) * 2016-04-08 2016-12-12 주식회사 금교산업 맨홀 내부 설치용 방취, 방충 기능을 갖는 플랫밸브
KR20180011501A (ko) * 2016-07-25 2018-02-02 이경한 악취 저감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KR102661458B1 (ko) * 2023-08-02 2024-04-26 (주)에이치엔스마트코리아 맨홀용 악취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KR100964725B1 (ko) 이물질 끼임 방지용 배수로 덮개
KR20090007395U (ko) 그레이트용 거름망 설치구조
KR20140104673A (ko)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KR100536654B1 (ko)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080233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913210B1 (ko) 밀폐형 배수로 덮개
KR100911440B1 (ko) 악취방지용 배수로 덮개
CN115605653A (zh) 一种用于下水道的阻断恶臭装置
KR20120007934U (ko) 우수받이
KR20180118492A (ko) 오물끼임과 악취가 방지되는 배수용 그레이팅
KR100941451B1 (ko) 악취방지 및 이물질 유입차단용 배수로 덮개
US20080035570A1 (en) Catch basin insert
KR200361514Y1 (ko) 하수구의 방취·방충장치
KR101434826B1 (ko) 그레이팅
KR20180003206A (ko) 그레이팅용 거름망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480003Y1 (ko) 도로용 악취차단 우수받이
KR100720157B1 (ko) 맨홀의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90025322A (ko) 악취방지 및 이물질 유입차단용 배수로 덮개
KR102099543B1 (ko) 배수트랩
KR200290545Y1 (ko) 악취방출 및 오물제거, 병충해방지, 역류처리 등 다기능하수구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