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999B1 -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 - Google Patents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999B1
KR100533999B1 KR10-2003-0083812A KR20030083812A KR100533999B1 KR 100533999 B1 KR100533999 B1 KR 100533999B1 KR 20030083812 A KR20030083812 A KR 20030083812A KR 100533999 B1 KR100533999 B1 KR 100533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back layer
pattern
fibers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008A (ko
Inventor
고경찬
Original Assignee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9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5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21/08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구성된 이면층(1)과 이형단면사 및 면섬유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이들 섬유가 서로 혼합되어 사용된 표면층(2)을 갖는 이중직 파일지로서 이면층(1)에는 시어링기에 의해 파일(pile)이 제거되어 조성된 패턴 배수구(3)가 존재하는 흡수 기능과 건조기능, 패션감이 동시에 발현되는 섬유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수성 원사인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장점인 우수한 건조성과 면섬유나 이형단면사가 갖는 우수한 흡수 기능을 동시에 발현시켜 각종 침구류, 목욕가운, 기능성 타올 등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A quick dry pile sheet having the patten water way}
본 발명은 이면층(1)에 시어링(Shearing)기로 원하는 문양으로 패턴 배수구를 조성시켜 흡수성과 건조성을 향상시킨 이중직 파일지에 관한 것이다. 흔히 침구류로 사용되는 100% 면 파일지는 흡수 기능은 우수하지만 땀이 많이 발생되면 건조성이 불량하여 끈끈하고 눅눅한 착용감과 체온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국내 특허 공보 제 2002-12828호(2002.02.20 공개)에서 폴리올레핀 가연사로 구성된 이면층과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로 구성된 표면층으로 이루어진 이중직 환편지에 관한 기술적 사항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면층이 폴리올레핀 섬유로만 구성되면 건조 기능은 우수하지만 이면층에서 표면층으로 땀을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흡수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당 발명자가 출원한 「이면층에 함몰형 배수구를 갖는 초속건 환편지(출원번호 2003-0015259, 2003.03.10)」에서는 피부에 접촉하는 이면층에 1~10mm의 함몰형 배수구를 조성하는 방법으로 이면층의 흡수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기술은 제편시에 인위적인 홀을 조성하여 흡수기능은 향상시킬 수 있지만 다양한 문양, 이른바 꽃무늬, 달, 별 문양등을 조성할 수 없으며 배수구의 크기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면층과 표면층의 염색성 차이를 이용한 외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어링 공정을 이용하여 이면층(1)에 패턴배수구(3)를 조성하는 방법으로 흡수 기능을 향상시키고 표면층(2)과의 다른 염색성 차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외관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표 ·이면에 파일이 존재하는 이면층(1)과 표면층(2)으로 구성된 이중직 파일지의 이면층(1)에 원하는 형태의 문양으로 파일을 제거시켜 물리적인 패턴 배수구(3)를 조성시켜 이면층(1)의 흡수 기능을 향상시키고 이면층(1)과 표면층(2)의 염색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패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면층과 표면층으로 이루어진 이중직 파일지로서, 상기 이면층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표면층은 이형단면사, 또는 면이나 레이온과 같은 천연섬유, 또는 상기 이형단면사 및 천연섬유가 혼합된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면층에는 파일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조성된 패턴 배수구가 존재하는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층을 구성하는 이형단면사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인 파일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 배수구가 컴퓨터 시어링기에 의해 문양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파일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면층(1)에 시어링기로 부분적으로 원하는 문양으로 패턴 배수구(3)를 조성시킨 이중직 파일지에 관한 것이다.
물질의 흡수성과 건조성은 서로 상반된 기능으로서 흡수 기능이 우수한 천연 섬유는 건조기능이 미흡하고 반대로 건조성이 우수한 화학 섬유는 흡수 기능이 천연 섬유에 비해 미흡한 단점이 있다.
최근 천연 섬유의 장점인 우수한 흡수 기능과 화학 섬유의 장점인 빠른 건조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이형단면사는 통상의 원형 구조를 갖는 일반 원사에 비해 그 단면을 크로버 단면 형태 또는 이중 십자형 단면 형태로 변형시켜 이형단면사의 홈(5)에서 발생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면섬유 보다도 우수한 흡수 기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이형단면사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섬유가 적합하다. 이들 섬유는 공정수분율(표준 상태에서의 섬유속에 함유된 수분율)이 각각 0.45%, 4.5%로서 천연 섬유인 면섬유(8.5%), 레이온 섬유(11%)보다 낮기 때문에 건조성이 우수하며 동시에 단면 구조의 특성상 흡수성도 우수하다.
한편 이면층(1)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공정수분율은 0.05%로서 화학 섬유 중에서도 가장 낮은 공정수분율을 갖기 때문에 건조성은 우수하지만 흡수 기능은 전혀 갖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면층(1)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단점을 시어링기 또는 컴퓨터가 장착된 시어링기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패턴 배수구(3)를 조성하는 방법으로 이면층(1)의 흡수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먼저 이면층(1)은 소수성 특성을 갖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구성된다. 상기 원사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고 배출하려는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건조성이 대단히 우수하며 염색을 하여도 염착되지 않아 이중직으로 제직 또는 제편시 다른면과 색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면층(1)의 파일(pile)(4)을 시어링기로 부분적으로 제거시키면 제거된 부분에 표면층(2)을 구성하는 이형단면사가 자연스럽게 노출되며 이 노출된 면이 패턴 배수구(3)역할을 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땀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패턴 배수구(3)를 만들 수 있는 시어링기는 단순히 스트라이프 형태만으로 파일을 제거할 수 있는 일반 시어링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려면 컴퓨터에 의해 원하는 문양을 입력할 수 있는 컴퓨터 시어링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침구용으로 사용하게 되면 피부에는 이면층(1)의 제거되지 않은 파일면인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섬유만 닿기 때문에 항상 우수한 건조성이 유지되며 땀은 패턴배수구(3)를 통해 표면층(2)으로 빠르게 전이되어 흡수기능이 우수하다. 상기 시어링공정은 염색 공정 후 처리하게 되는데 패턴 배수구(3)와 표면층(2)은 염색되고 이면층(1)은 염색되지 않아 패션성도 부가할 수 있다.
표면층(2)은 이형단면사 및 천연섬유인 면 또는 레이온 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형 단면사와 천연 섬유인 면 또는 레이온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형 단면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원사가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천연 섬유인 면과 레이온 섬유는 공정수분율이 높은 친수성 섬유로서 화학적 친수기능을 발휘하는데 비해 이형단면사는 모세관 현상에 의한 물리적 친수기능을 발휘하므로 이들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흡수 기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속건성 파일지는 이면층(1)의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섬유만 피부에 닿게 하여 건조 기능을 제공하며 이면층(1)에 존재하는 패턴배수구(3)를 이형단면사 또는 천연 섬유인 면, 레이온 섬유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여 흡수 기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침구류, 목욕가운, 기능성 타올등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속건상 파일지는 트리코트 편기에서 이중직으로 제편한 후 표면층(2)만 염색(이면층은 소수성 원사의 특성상 염색이 안됨) 한 후 이어서 시어링기 또는 컴퓨터 시어링기를 이용하여 이면층(1)의 파일(4)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속건성 파일지의 흡수 기능과 건조기능, 수분전이율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흡수속도(mm/10분)
KSK0815, 1, 27 B 법으로 측정하였다. 가로 15cm 세로 10cm 길이로 시료를 채취한 후 이를 반으로 접은 다음 그 말단부를 45°각도로 뾰족하게 절단하여 수중에 침지시킨 후 물이 시료를 따라 올라간 길이를 측정한다.
· 이면건조속도(분)
시각판별법으로 측정한다. 표준 상태에서 15 X 15cm 크기의 시료의 이면층에 10g의 물을 부은 후 이면층이 완전 건조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 수분전이율(분)
시각 판별법으로 측정한다. 표준 상태에서 15 X 15cm 크기의 시료의 이면층에 10g의 물을 부은 후 1분 경과후의 이면층에서 표면층으로 전이된 수분을 아래식으로 환산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아래 실시예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트리코트 편기에서 이면층(1)에는 150데니어의 폴리올레핀계 섬유를 공급하고 표면층(2)에는 10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와 30' S 면섬유를 교대로 공급한 후 분산 염료로 염색하고 직경이 2cm인 별모양을 입력한 컴퓨터 시어링기로 이면층(1)의 파일을 ㎡당 50개가 나타나도록 제거한 후 물성과 외관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편기에서
이면층(1)에는 150데니어의 폴리에틸렌 섬유를 공급하고 표면층(2)에는 30' S 면섬유를 공급한 후 반응성 염료로 염색하고 일반 시어링기로 이면층(1)의 파일을 3cm간격으로 스트라이프로 제거한 후 물성과 외관을 평가하였다.
(비교실시예 1)
실시예 1 과 동일 편기에서
이면층(1)에는 150데니어의 폴리올레핀계 섬유를 공급하고 표면층(1)에는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를 공급한 후 분산 염료로 염색한 후 물성과 외관을 평가하였다.
<표 1.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의 물성 및 외관평가>
상기 <표1>에서와 같이 비교실시예 1 은 실시예 1, 2 에 비해 흡수 속도와 이면건조속도가 느리며 또한 표면층(2)으로 전이되는 수분율도 낮기 때문에 쾌적성이 저하된다. 또한 이면층(1)에 특수한 문양이 없기 때문에 디자인성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물리적으로 조성된 패턴 배수구(3)에 의해 종전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단점으로 지적된 낮은 흡수기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면층(1)에 다양한 문양을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면층이 외부로 노출되는 침구류에 다양한 패션성을 부여할 수 있다.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직 파일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2.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직 파일지의 이면층의 평면도이다.
3.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단면사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이면층
2. 표면층
3. 패턴 배수구
4. 파일(pile)
5. 홈

Claims (5)

  1. 이면층과 표면층으로 이루어진 이중직 파일지로서,
    상기 이면층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표면층은 이형단면사, 또는 면이나 레이온과 같은 천연섬유, 또는 상기 이형단면사 및 천연섬유가 혼합된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면층에는 파일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조성된 패턴 배수구가 존재하는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표면층을 구성하는 이형단면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패턴 배수구가 컴퓨터 시어링기에 의해 문양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
KR10-2003-0083812A 2003-11-24 2003-11-24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 KR10053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812A KR100533999B1 (ko) 2003-11-24 2003-11-24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812A KR100533999B1 (ko) 2003-11-24 2003-11-24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008A KR20050050008A (ko) 2005-05-27
KR100533999B1 true KR100533999B1 (ko) 2005-12-06

Family

ID=3866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812A KR100533999B1 (ko) 2003-11-24 2003-11-24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464B1 (ko) * 2018-08-17 2019-12-02 박통령 선명도 및 촉감이 우수한 전사 타올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한면 전사 타올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008A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8637A (ko) 파일직물
JP2003278050A (ja) 防水機能を有する超高速吸湿速乾性織編物
BR0317578B1 (pt) Manta fibrosa com tufos
JP5371110B2 (ja) 衣料用編地
ES2276478T3 (es) Material compuesto, no tejido, suave, resistente, entrelazado hidraulicamente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JP2012075930A (ja) 高吸水高乾燥性パイルマット
JP6328405B2 (ja) 吸水速乾編地
KR100403199B1 (ko) 흡한속건성 직편물
KR100533999B1 (ko) 패턴 배수구를 갖는 속건성 파일지
KR100534000B1 (ko) 속건성 양면 파일 시이트
KR100486882B1 (ko) 이면돌출층과 이면배수로를 갖는 흡습속건성 원단
KR100533998B1 (ko) 3층 구조를 갖는 고수분전이 섬유시이트
KR200400218Y1 (ko) 고흡수 속건성 원단
KR100486883B1 (ko) 숨구멍을 갖는 3층구조의 고흡습 초속건 원단
CN112513355B (zh) 二层结构编织物和服装
JP2004149933A (ja) 伸縮性不織布
JPH1028702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2003082546A (ja) 紡績糸及びそれを使用した繊維構造物
KR100533996B1 (ko) 이면층에 함몰형 배수구를 갖는 초속건 환편지
KR100486888B1 (ko) 2층 구조를 갖는 흡수속건성 섬유
JPH0745583Y2 (ja) 両面パイル編地
JP2667152B2 (ja) 合成繊維編織物
KR100574065B1 (ko) 이중구조로 형성된 흡한속건성 직물
KR100518746B1 (ko) 흡수속건 기능을 갖는 고수분 전이 섬유 시이트
KR100717816B1 (ko) 배수구를 갖는 3 층구조의 온도조절형 초속건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