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637A - 파일직물 - Google Patents

파일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637A
KR20120138637A KR1020120052613A KR20120052613A KR20120138637A KR 20120138637 A KR20120138637 A KR 20120138637A KR 1020120052613 A KR1020120052613 A KR 1020120052613A KR 20120052613 A KR20120052613 A KR 20120052613A KR 20120138637 A KR20120138637 A KR 2012013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yarn
loop
fiber
ultra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히사 나카타니
Original Assignee
트리콜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리콜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트리콜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6Warp pile fabrics
    • D03D27/08Terry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25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artificial, e.g. viscos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protein-based, e.g. wool or silk
    • D03D15/235Cashmere or silk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3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or nano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8Rami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20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2Woo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4Silk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8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unsaturated organic esters, e.g. polyacrylic esters, polyvinyl acetat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10B233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aromatic polyamides, e.g. ar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oven Fabr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랜 세월 사용되어 온 면이나 마, 기타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최신 기술로 탄생한 극세 합성 섬유의 각각의 장점을 받아들여 뛰어난 감촉과 촉감을 갖고, 흡수성이 높으며 속건성을 겸비한 파일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굵기가 면번수로 5번수~60번수인 천연 섬유 소재로 만들어지는 루프가 긴 파일사와, 극세 합성 섬유로 섬도가 0.6데시텍스 이하의 것을 재료로 해서 만들어지는 루프가 짧은 파일사의 2종류의 파일사로 구성되는 편면 또는 양면 파일직물이고, 그 혼용 중량비는 루프가 긴 파일사인 천연 섬유 소재가 80~20중량%, 루프가 짧은 파일사인 극세 합성 섬유가 20~80중량%인 파일직물로 했다.

Description

파일직물{PILE FABRIC}
본 발명은 면, 마 등의 식물계 섬유나 견, 동물털 등의 동물계 섬유, 레이온, 폴리노직, 리오셀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의 천연 섬유 소재로 만들어진 장파일(long pile)과,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등의 극세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단파일(short pile)의 2종류의 파일을 구비하고, 타월, 목욕 가운, 시트, 커버, 손수건, 걸레, 대걸레 등에 사용되는 높은 기능성과 감촉을 겸비한 파일직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타월 등으로 알려진 파일은 천연 섬유인 면 100%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면 100%의 파일로 만들어진 타월은 속건성이 부족한 점이나 세탁 후 줄어들기 쉬워져 치수 변화가 생기는 등의 난점이 있고, 또한 사용함에 따라 감촉이 열화되어 가는 등 내구성이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의 기술 혁신에 의해 고기능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극세 합성 섬유, 흡수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이 수많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고기능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을 재료로 해서 만들어진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7-7087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일사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주재로 하고, 지경사(地經絲)와 지위사(地緯絲)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여 짜서 만들어진 타월직물에 있어서 파일사가 형성하는 파일의 밑부분에 접하는 지경사 또는 지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섬도 0.9데니어 이하의 극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30~60중량% 포함하고 있는 타월직물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 평7-7087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타월직물과 같이, 지경사나 지위사에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배합한 것, 특히 레이온사를 사용하면 섬유의 단면이 둥글기 때문에 실끼리가 미끄러지기 쉬워진다. 또한, 레이온사는 공정수분율이 높기 때문에 수분을 포함하면 팽창하고, 그리고 수축하기 때문에 치수안정성이 부족하여 세탁한 후에 줄어들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지사(地絲)뿐만 아니라 파일사에도 셀룰로오스계 섬유, 특히 레이온사를 사용하면 섬유의 성질상 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름이 생기기 쉽고, 마찰에도 약한 등의 결점이 있다.
또한, 고흡수성을 구가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마이크로파이버 100%의 타월은 그 표면에 있는 홈 부분에 수분을 유지하는 성질을 갖고는 있지만, 폴리에스테르 자체에는 거의 흡수성이 없기 때문에 달라붙는 감촉이 생겨 사용감이 좋지 않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오랜 세월 사용되어 온 면, 마 등의 식물계 섬유나 견, 동물털 등의 동물계 섬유, 레이온, 폴리노직, 리오셀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의 천연 섬유 소재와 최신 기술로 탄생한 극세 합성 섬유의 각각의 장점을 받아들여 뛰어난 감촉과 촉감을 갖고, 흡수성이 높으며 속건성을 겸비한 파일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굵기가 면번수로 5번수~60번수인 천연 섬유 소재로 만들어지는 루프가 긴 파일사와, 극세 합성 섬유로 섬도가 0.6데시텍스 이하인 것을 재료로 해서 만들어지는 루프가 짧은 파일사의 2종류의 파일사로 구성되는 편면 또는 양면 파일직물이고, 그 혼용 중량비는 루프가 긴 파일사인 천연 섬유 소재가 80~20중량%, 루프가 짧은 파일사인 극세 합성 섬유가 20~80중량%인 파일직물.
2. 파일직물의 편면 또는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있어서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 중 적어도 한쪽의 선단을 컷팅한 파일직물.
3. 긴 파일사의 재료인 천연 섬유 소재로서 면 또는 마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계 섬유를 사용한 파일직물.
4. 긴 파일사의 재료인 천연 섬유 소재로서 견 또는 모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동물계 섬유를 사용한 파일직물.
5. 긴 파일사의 재료인 천연 섬유 소재로서 레이온, 폴리노직, 큐프라, 리오셀,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재생 섬유나 셀룰로오스계 반합성 섬유를 사용한 파일직물.
6. 짧은 파일사의 재료인 극세 합성 섬유로서 극세 폴리에스테르 섬유, 극세 아크릴 섬유, 극세 나일론 섬유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극세 합성 섬유를 사용한 파일직물.
상기와 같이 긴 파일사를 구성하는 천연 섬유 소재의 굵기를 면번수로 5번수~60번수로 한 것은 천연 섬유 소재의 굵기가 면번수로 5번수 미만이면 실이 굵어 빳빳하고 딱딱하기 때문에 직편(織編) 가공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천연 섬유 소재의 굵기가 면번수로 60번수를 초과하면 실이 지나치게 가늘어 탄력이 약하고, 또한 실이 가는 만큼 수분을 흡수하기 어려워 타월지나 커버, 시트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천연 섬유 소재의 굵기는 면번수로 20번수~40번수가 바람직하고, 천연 섬유 소재의 굵기가 이 범위의 굵기이면 생산성도 좋고, 감촉면도 양호하여 타월지나 커버, 시트 등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짧은 파일사를 구성하는 극세 합성 섬유의 섬도를 0.6데시텍스 이하로 한 것은 극세 합성 섬유의 섬도가 0.6데시텍스를 초과하면 안경닦이나 더스터로 했을 경우 오염 등이 남아 안경닦이 등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극세 합성 섬유의 섬도가 0.6데시텍스 이하이면 안경닦이나 더스터(duster)로 했을 경우 미세한 오염 등을 닦아내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짧은 파일사와 긴 파일사의 혼용 중량비에 있어서, 긴 파일사의 재료인 천연 섬유 소재를 80~20중량%, 짧은 파일사의 재료인 극세 합성 섬유를 20~80중량%로 한 것은 천연 섬유 소재가 80중량%를 초과하면 특히 면의 경우 섬유의 성질상 줄어들기 쉽다고 하는 결점과, 수분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세탁 후 마르기 어렵다고 하는 결점이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반대로 수분을 흡수하기 어렵다고 하는 결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극세 합성 섬유가 20중량% 미만이면 줄어들기 쉽다고 하는 결점과, 수분의 흡수성이 좋기 때문에 마르기 어렵다고 하는 결점이 있으며, 80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등의 극세 합성 섬유 자체는 거의 물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타월지 등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결국, 상기 범위 내에서 천연 섬유 소재의 중량비를 적게 하고 극세 합성 섬유의 중량비를 많게 했을 경우 파일직물은 속건성이 높고, 내세탁성이 필요로 되는 기능적인 타월, 시트, 커버 등으로서 적합하며, 또한 대걸레나 걸레 등 내구성이 필요로 되는 상품에도 적합하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서 천연 섬유 소재의 중량비를 많게 하고 극세 합성 섬유의 중량비를 적게 했을 경우 파일직물은 천연 섬유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감촉과 부드러운 촉감을 구비하고, 한편으로는 극세 합성 섬유가 갖는 속건성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타월이나 시트 등에 적합하다.
또한, 타월 등은 일반적으로 루프(올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올무에 수분이나 땀을 모아 그것들을 용이하게 흡수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지만, 타월 등의 상품에 섬세한 감촉을 요구하기 위해서 파일사의 선단을 컷팅하거나, 색이나 디자인의 표현을 중시하기 위해서 파일사의 선단을 컷팅할 수도 있다. 즉, 용도나 목적에 따라서 짧은 파일사와 긴 파일사 중 적어도 한쪽의 선단을 컷팅하면 되고, 여러 가지 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적합한 파일직물은 천연 섬유 소재로 만들어지는 긴 파일사와 극세 합성 섬유로 0.6데시텍스 이하인 것으로 만들어지는 짧은 파일사의 2종류의 각각의 파일사의 장점을 살려 사용하는 사람에게 기분 좋은 감촉과 촉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혼용 중량비는 천연 섬유 소재로 만들어지는 긴 파일사가 80~20중량%, 극세 합성 섬유로 0.6데시텍스 이하인 것으로 만들어지는 짧은 파일사가 20~80중량%이다. 천연 섬유 소재로서 식물계 섬유인 면, 마 등이나, 동물계 섬유인 견, 동물털 등 이외에 셀룰로오스계 재생 섬유나 셀룰로오스계 반합성 섬유인 레이온, 폴리노직, 큐프라, 리오셀, 아세테이트, 대나무 섬유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되고, 극세 합성 섬유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아크릴 섬유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되며, 그것들을 혼방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바탕 조직을 이루는 지사는 감촉을 중시할 경우 상기 천연 섬유 소재에서 예시하고 있는 각 소재에 다른 재료를 혼방한 것을 사용하고, 속건성이나 기능성 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극세 합성 섬유에서 예시하고 있는 각 소재에 다른 재료를 혼방한 것, 예를 들면 극세 합성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방사를 사용하거나 해서 용도에 따라 선별하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1에 기재된 발명의 파일직물은 굵기가 면번수로 5번수~60번수인 천연 섬유 소재로 만들어지는 긴 파일사와, 극세 합성 섬유로 섬도가 0.6데시텍스 이하인 것을 재료로 해서 만들어지는 짧은 파일사의 2종류의 파일사로 구성되는 편면 또는 양면 파일직물이고, 그 혼용 중량비는 긴 파일사인 천연 섬유 소재가 80~20중량%, 짧은 파일사인 극세 합성 섬유가 20~80중량%이며, 긴 파일사는 천연 섬유 소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피부에 닿는 감촉도 좋고, 수분을 잘 흡수하며, 섬도가 0.6데시텍스 이하의 극세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짧은 파일사에 의해 속건성, 내구성도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긴 파일사인 천연 섬유 소재가 80~20중량%, 짧은 파일사인 극세 합성 섬유가 20~80중량%로 하고 있음으로써 원재료가 입수하기 쉬워 안정된 생산을 할 수 있고, 상품의 경량화도 가능해 진다.
이어서, 2에 기재된 발명의 파일직물은 파일직물의 편면 또는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있어서,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 중 적어도 한쪽의 선단을 컷팅한 것으로, 상품에 섬세한 감촉을 요구하거나, 색이나 디자인의 표현을 중시하거나, 또한 상품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3에 기재된 발명의 파일직물은 긴 파일사의 재료인 천연 섬유 소재로서 면 또는 마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계 섬유를 사용하고 있고, 또한 4에 기재된 발명의 파일직물은 긴 파일사의 재료인 천연 섬유 소재로서 견 또는 모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동물계 섬유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5에 기재된 발명의 파일직물은 긴 파일사의 재료인 천연 섬유 소재로서 레이온, 폴리노직, 큐프라, 리오셀,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재생 섬유나 셀룰로오스계 반합성 섬유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상품에 감촉을 요구하거나, 발색성을 요구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6에 기재된 발명의 파일직물은 짧은 파일사의 재료인 극세 합성 섬유로서 극세 폴리에스테르 섬유, 극세 아크릴 섬유, 극세 나일론 섬유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극세 합성 섬유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상품에 속건성, 내구성을 요구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특히, 짧은 파일사의 재료인 극세 합성 섬유로서 극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극세 아크릴 섬유의 혼합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단순한 합성 섬유보다 제전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그런데,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를 구비한 파일직물의 제조 방법 1로서 천연 섬유 소재와 극세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같은 길이의 루프의 파일사를 구비하는 생기(生機)를 제조한 후 일정한 고온도의 조건에서 생기를 처리하면 극세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파일사가 열수축하여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를 구비한 파일직물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채용할 때에 극세 합성 섬유의 꼰 횟수의 변화에 의해 루프가 열수축하는 길이를 컨트롤할 수 있다.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를 구비한 파일직물의 제조 방법 2로서 면 등의 천연 섬유 소재는 가성소다 등의 알칼리 처리에 의해 줄어드는 성질을 이용하고, 다른쪽의 극세 합성 섬유는 알칼리 처리에 대하여 수축률이 적은 소재를 사용하여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를 구비한 파일직물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또한,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를 구비한 파일직물의 제조 방법 3으로서 2종류의 다른 길이의 루프를 교대로 제직하거나 또는 제편함으로써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를 구비한 파일직물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를 구비한 파일직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이상 3개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의 양쪽의 선단을 컷팅한 파일직물의 제조 방법이나, 루프가 긴 파일사의 선단은 컷팅하지 않고 루프가 짧은 파일사의 선단을 컷팅한 파일직물의 제조 방법, 루프가 짧은 파일사의 선단은 컷팅하지 않고 루프가 긴 파일사의 선단을 컷팅한 파일직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를 구비한 파일직물의 제조 방법을 응용하여 컷팅하고 싶은 파일사의 선단을 컷팅하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컷팅하고 싶은 파일사의 루프를 잡아당기는 듯한 상태에서 컷팅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일직물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파일직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일직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일직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일직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도 2에 있어서 굵기가 면번수로 5번수~60번수인 천연 섬유 소재로 만들어지는 루프가 긴 파일사(1a)와, 극세 합성 섬유로 섬도가 0.6데시텍스 이하인 것을 재료로 해서 만들어지는 루프가 짧은 파일사(2a)의 2종류의 파일사가 바탕 조직(3)의 편면에 만들어져 편면 파일직물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혼용 중량비는 루프가 긴 파일사인 천연 섬유 소재가 80~20중량%, 루프가 짧은 파일사인 극세 합성 섬유가 20~80중량%이다.
루프가 긴 파일사(1a)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2a)를 구비한 파일 생지(生地)의 제조는 그 기초 조직이 2/1, 3/1, 또는 2/2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바탕 조직(3)의 편면에 루프가 긴 파일사(1a)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2a)를 구비한 편면 파일직물이 도시되어 있지만, 바탕 조직의 양면에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를 구비한 양면 파일직물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이 제 2 실시예는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의 선단을 컷팅하고, 긴 컷팅 파일사(1b)와 짧은 컷팅 파일사(2b)를 바탕 조직(3)의 편면에 구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이 제 3 실시예는 루프가 긴 파일사는 컷팅하지 않아 그대로이고, 루프가 짧은 파일사의 선단을 컷팅하여 루프가 긴 파일사(1a)와 짧은 컷팅 파일사(2b)를 바탕 조직(3)의 편면에 구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이 제 4 실시예는 루프가 긴 파일사의 선단을 컷팅하고, 루프가 짧은 파일사를 컷팅하지 않고 그대로 하여 긴 컷팅 파일사(1b)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2a)를 바탕 조직(3)의 편면에 구비한 것이다.
제 2 실시예~제 4 실시예 중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나 바탕 조직(3)의 편면에 루프가 긴 파일사(1a) 또는 긴 컷팅 파일사(1b)와 짧은 컷팅 파일사(2b) 또는 루프가 짧은 파일사(2a)를 구비한 편면 파일직물이 도시되어 있지만, 바탕 조직의 양면에 루프가 긴 파일사 또는 긴 컷팅 파일사와 짧은 컷팅 파일사 또는 루프가 짧은 파일사를 구비한 양면 파일직물을 구성하도록 해도 되고, 이 양면 파일직물의 경우 파일직물의 편면 또는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있어서 루프가 긴 파일사와 루프가 짧은 파일사 중 적어도 한쪽의 선단을 컷팅하면 된다.

Claims (6)

  1. 굵기가 면번수로 5번수~60번수인 천연 섬유 소재로 만들어지는 루프가 긴 파일사와 극세 합성 섬유로 섬도가 0.6데시텍스 이하인 것을 재료로 해서 만들어지는 루프가 짧은 파일사의 2종류의 파일사로 구성되는 편면 또는 양면 파일직물이고, 그 혼용 중량비는 루프가 긴 파일사인 천연 섬유 소재가 80~20중량%, 루프가 짧은 파일사인 극세 합성 섬유가 20~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직물의 편면 또는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있어서 상기 루프가 긴 파일사와 상기 루프가 짧은 파일사 중 적어도 한쪽의 선단을 컷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가 긴 파일사의 재료인 천연 섬유 소재로서 면 또는 마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계 섬유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가 긴 파일사의 재료인 천연 섬유 소재로서 견 또는 모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동물계 섬유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가 긴 파일사의 재료인 천연 섬유 소재로서 레이온, 폴리노직, 큐프라, 리오셀,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재생 섬유나 셀룰로오스계 반합성 섬유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가 짧은 파일사의 재료인 극세 합성 섬유로서 극세 폴리에스테르 섬유, 극세 아크릴 섬유, 극세 나일론 섬유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포함하는 극세 합성 섬유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KR1020120052613A 2011-06-15 2012-05-17 파일직물 KR20120138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7735 2011-06-15
JPJP-P-2011-147735 2011-06-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637A true KR20120138637A (ko) 2012-12-26

Family

ID=4616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613A KR20120138637A (ko) 2011-06-15 2012-05-17 파일직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534987A1 (ko)
KR (1) KR201201386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214A (ko) *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에이탑 하이브리드 걸레
EP3992337A1 (en) * 2020-10-29 2022-05-04 Welspun India Limited Terry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5113A (zh) * 2013-09-05 2014-01-01 吴江秦邦纺织有限公司 一种多功能拉绒面料
CN103668673A (zh) * 2013-12-04 2014-03-26 苏州新米纺织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新型面料
CN103710976B (zh) * 2013-12-31 2016-01-20 滨州亚光家纺有限公司 一种高低毛毛巾的生产方法
PT3141643T (pt) * 2015-09-10 2022-09-13 Welspun India Ltd Artigo em tecido turco com fios de filamentos sintéticos e método para fazer o mesmo
CN105926143A (zh) * 2016-06-13 2016-09-07 常熟市欧西依织造有限公司 一种高导湿性仿棉天鹅绒面料
US11713524B2 (en) 2017-01-27 2023-08-01 Deckers Outdoor Corporation Sheared wool fleece and method for making sheared wool fleece utilizing yarn knitting
WO2018140740A1 (en) * 2017-01-27 2018-08-02 Deckers Outdoor Corporation Sheared wool fleece and method for making sheared wool fleece utilizing yarn knitting
CN107503032A (zh) * 2017-08-14 2017-12-22 湖北嘉麟杰纺织品有限公司 一种三醋酸酯纤维和天丝的混纺针织面料的制备方法
CN108660587B (zh) 2018-05-11 2020-11-03 滨州亚光家纺有限公司 一种嵌入式纬浮线持久蓬松柔软毛圈织物的生产方法
CN109183259B (zh) * 2018-08-14 2020-11-17 广东兆天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剪毛毛巾针织布的生产工艺
CN110331505B (zh) * 2019-07-02 2020-09-01 福建凤竹纺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易去污吸湿速干针织面料的制备工艺
DE102019129183A1 (de) * 2019-10-29 2021-04-29 Carl Freudenberg Kg Dreidimensionales Reinigungstext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12323210A (zh) * 2020-10-19 2021-02-05 山东金号家纺集团有限公司 一种高支多层纱布毛巾织造工艺
CN113151964A (zh) * 2020-12-11 2021-07-23 田霞 一种仿丝防紫外线面料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0691A (en) * 1960-03-17 1962-04-24 Fieldcrest Mills Inc High-low terry pile fabric and method
JP2697151B2 (ja) * 1989-06-20 1998-01-14 東レ株式会社 タオル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70875A (ja) 1993-09-03 1995-03-14 Uchibori Taoru Kk タオル地
SE503414C2 (sv) * 1994-10-07 1996-06-10 Actuelle Tricot I Boras Ab Rengöringstyg för avtorkning av smutsiga ytor och användning av detta rengöringstyg på en mopp för rengöring av smutsiga ytor
CA2315083A1 (en) * 1998-10-23 2000-05-04 Frottierweberei Vossen Gmbh Terry fabric or velour fabric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00170056A (ja) * 1998-12-03 2000-06-20 Matsufuji Terii:Kk タオル地
US20040224121A1 (en) * 2003-05-09 2004-11-11 Sheppard James Melvin Towel fabric with cotton and microfiber faces
US8236403B2 (en) * 2006-05-17 2012-08-07 Silver Scott H Multiple face fabric towel
JP2008079912A (ja) * 2006-09-28 2008-04-10 Kowa Co タオル地
CN201952584U (zh) * 2011-01-30 2011-08-31 潍坊丽珂经贸有限公司 一种新型面料
CN102071517B (zh) * 2011-01-30 2013-03-27 段宏伟 一种毛圈面料的生产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214A (ko) *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에이탑 하이브리드 걸레
EP3992337A1 (en) * 2020-10-29 2022-05-04 Welspun India Limited Terry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4987A1 (en)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8637A (ko) 파일직물
CN101389797B (zh) 毛巾制品
KR101287245B1 (ko) 텐셀 섬유 함유 발열성 극세공극 직물
CN201952584U (zh) 一种新型面料
CN206428415U (zh) 超柔水刺棉柔巾材料
CN206062749U (zh) 一种吸湿透气的拉舍尔毛毯
CN205107516U (zh) 一种毛巾
CN102312306A (zh) 莱竹纤维纱线
JP3179365U (ja) パイル地
JPH0327149A (ja) タオル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87624Y1 (ko) 보온성 양면커트파일 원단
CN203373506U (zh) 一种镂空的提花面料
CN202775426U (zh) 一种麻赛尔纤维拉舍尔毛毯
CN201492357U (zh) 多功能毛巾
CN209305092U (zh) 一种吸汗面料
CN202626444U (zh) 一种功能性毛圈织物
CN210945943U (zh) 一种超柔蓬松保湿护肤针织织物
JP2005052201A (ja) タオルハンカチ
KR200448361Y1 (ko) 견뢰도가 우수한 날염 극세사 직편물
Guru et al. Basic functional application for natural fibers and types
JP2009160212A (ja) タオル
JP3206216U (ja) 汚れ落としの優れたタオル生地体
CN207875036U (zh) 一种双色效果阳涤绒布
CN109576883A (zh) 一种亚麻竹多纤混纺针织面料
CN109322050A (zh) 一种多功能涡流纺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