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199B1 - 흡한속건성 직편물 - Google Patents

흡한속건성 직편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199B1
KR100403199B1 KR10-2001-0002002A KR20010002002A KR100403199B1 KR 100403199 B1 KR100403199 B1 KR 100403199B1 KR 20010002002 A KR20010002002 A KR 20010002002A KR 100403199 B1 KR100403199 B1 KR 100403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layer
sweat
hydrophobic
surface tissu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878A (ko
Inventor
고경찬
박연흠
Original Assignee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199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2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41D31/125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through layere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y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복 등으로 사용시 쾌적한 착용감을 부여하는 흡한속건성 직편물에 관한 것으로, 표면조직층(1), 이면조직층(2) 및 이들을 결착시켜주는 루프(3)들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이며, 상기 표면조직층(1)과 이면조직층(2)은 공정수분율이 1% 이하인 소수성 원사로 구성되고, 상기 루프(3)는 공정수분율이 5% 이상인 친수성 원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흡한속건성 직편물은 고밀도·소수성인 이면조직층(2)과 저밀도·소수성인 표면조직층(1) 사이에 친수성인 루프(3)가 배열되어, 이들간의 모세관 현상 및 삼투압 현상으로 인체로 부터 발산된 땀을 잘 흡수할 뿐만 아니라 흡수된 땀을 쉽게 건조 시킨다. 그 결과 의류용으로 사용시 피부에 끈적거림이나 휘감김 현상이 없어 쾌적한 착용감을 발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직편물은 침구류, 스포츠 용품, 타월 등으로도 유용하다.

Description

흡한속건성 직편물 {A woven or knitting fabrics with excellent absorption and dry properties}
본 발명은 피복 등으로 사용시 땀을 잘 흡수할 뿐만아니라 흡수한 땀을 쉽게 건조시키는 성질(이하 "흡한속건성" 이라고 한다)을 갖고 있어서 착용감이 쾌적한 흡한속건성 직편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스포츠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점차 높아져, 각종 레져 및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땀을 잘 흡수하고 잘 건조시키는 흡한속건성 섬유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흡수성 직편물로는 면사나 면과 폴리에스터의 혼방사를 피부면과 접하도록 배열한 제품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흡수성 직편물은 면의 높은 함수율 특성 때문에 땀이 많이 나게되면 피복이 축축하고 차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몸에 피복이 휘감기고 끈적거리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흡수성 직편물은 땀을 쉽게 발산하는 성질도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몸에 피복이 감기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랫치 오픈 방식(Latch open)에 의거 편지의 내면에 돌기를 형성시킨 편지도 제안되고 있으나, 랫치를 열어주는 복잡한 장치로 인해 기계고장이 잦고 생지 불량율이 높은 문제가 있다.
한편, 한국공고특허 1986-2171호에서는 소수성 합성섬유의 기모층 - 미세다공의 중공섬유층 - 소수성 극세섬유층을 차례로 적층한 흡한속건 보온성 포지를 제안하고 있으나, 상기 포지는 가격이 고가이며, 매우 격렬한 운동을 하는 특정 스포츠용 의류에만 적합할 뿐 범용적인 스포츠용 의류로는 부적합 하다.
한편, 한국공고특허 1991-5431호에서는 이섬도의 합성섬유 필라멘트를 양면 환편기에 공급시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서 횡방향으로 이섬도사의 편환군이 교호로 배열하도록 피부와 접촉하는 면을 편성하는 실린더 침 또는 라이얼 침의 바늘뺌을 특정조건으로 편성하고, 제조된 편지를 친수성 수지로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편지 상에 친수성 수지를 후가공 공정에서 부여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친수성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 할 수 있는 흡한속건성 직편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땀을 흡수하는 성질과 땀을 발산하는 성질이 모두 우수하여 착용감이 쾌적하며, 흡한속건성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되며, 구조가 간단하여 모든 스포츠용 의류, 침구류 등에 적합하도록 범용성을 갖는 흡한속건성 직편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한속건성 직편물의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형단면사의 단면 개략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표면조직층(저밀도·소수성) 2 : 이면조직층(고밀도·소수성)
3 : 루프(친수성)
이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한속건성 직편물은 저밀도의 표면조직층(1)과 고밀도의 이면조직층(2) 및 이들을 결착시켜 주는 루프(3)들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이며, 상기 표면조직층(1)과 이면조직층(2)은 공정수분율이 1% 이하인 소수성 원사로 구성되고, 상기 루프(3)은 공정수분율이 5% 이상인 친수성 원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등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흡한속건성 직편물은 도 1과 같이 저밀도의 표면조직층(1)과 고밀도의 이면조직층(2) 및 이들을 결착시켜 주는 루프(3)들로 이루어진 3층 구조로 제직 또는 제편된다. 상기 표면조직층(1)과 이면조직층(2)은 공정수분율이 1% 이하인 소수성 원사로 구성된다. 한편, 루프(3)는 공정수분율이 5% 이상인 친수성 원사로 구성된다. 상기 친수성 원사로는 면, 양모 또는 레이온 섬유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수성 원사로는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등이 사용되며, 이들은 수분흡수율이 0.5 수준으로 소수성 이다.
특히 표면조직층(1) 및 이면조직층(2)을 구성하는 소수성 원사로 이형단면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하다. 구체적으로 표면조직층(1)을 구성하는 소수성 원사의 단면을 이형으로 하는 경우, 대기와의 접촉 표면적이 원형에 비해 넓다. 그 결과 표면조직층(1) 내로 흡수된 땀은 신속하게 외부로 발산된다.
한편, 이면조직층(2)을 구성하는 소수성 원사의 단면을 이형으로 하는 경우 모세관 현상을 유발시켜 인체에서 발산되는 땀을 보다 효과적으로 루프(3) 및 표면조직층 (1)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면조직층(2)의 원사밀도를 표면조직층(1)의 원사밀도 보다 높게 설정하여 이들간에 삼투압 현상이 발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고밀도·소수성의 이면조직층(2), 친수성의 루프(3) 및 저밀도·소수성의 표면조직층(1)이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어서, 다시 말해 소수성소재-친수성소재-소수성소재 순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이들 상호간에 유기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 인체에서 발산된 땀을 흡수하는 성질이 매우 우수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밀도·소수성인 이면조직층(2)과 친수성인 루프(3) 사이에서는 이들간의 밀도차이에 의한 삼투압이 발생된다. 피부에서 발산된 땀은 먼저 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고밀도의 이면조직층(2)에 흡습된후 상기 삼투압에 의해 신속하게 루프(3)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유체가 고밀도에서 저밀도로 이동하는 열역학 제2법칙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고밀도·소수성인 이면조직층(2)과 친수성인 루프(3) 사이에서는 친수성/소수성에 기인한 분자간 인력이 상호 작용하게 된다. 다시말해 소수성인 이면조직층(2)에는 피부에서 발산된 땀을 밖으로 밀어내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친수성인 루프(3)에는 이면조직층(2)으로 부터 땀을 끌어 당기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삼투압 및 분자간 인력(반데르 발스 포스)에 의해 피부로 부터 발산된 땀은 이면조직층(2)을 통과하여 루프(3)쪽으로 신속하게 흡수된다.
한편, 친수성의 루프(3)와 저밀도·소수성의 표면조직층(1) 사이에는 밀도차이로 인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삼투압이 작용한다. 그 결과 루프(3)에 흡수된 땀은 신속하게 표면조직층(1)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표면조직층(1)의 원사가 이형단면사인 경우에는 모세관 현상도 발생되어 더욱 더 흡한속건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본 발명의 직편물은 보다 신속하게 땀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조직층(1)이 소수성 원사로 구성되기 때문에 땀을 대기로 밀어내는 성질이 우수하다. 그 결과 속건성 역시 우수하게 된다. 상기 소수성 원사로 이형단면사를 사용하는 경우 속건성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2중직 직편물은 양면 환편기 또는 직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또는 제편된다. 예를들어 제편시 피부와 접촉하는 면, 다시말해 이면조직층(2)과 표면조직층(1)을 편성하는 실린더 침 또는 다이얼 침에는 앞에서 설명한 소수성 원사를 공급하고, 루프(3)용 원사로는 친수성 원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직편물을 제직 또는 제편한 후 선택적으로 흡습가공, 자외선차폐가공, 안티-박테리아 가공을 실시하여 직편물에 멀티기능을 부여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편물은 의류용 뿐만 아니라 침구류, 타월 등으로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편물의 흡한속건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 하였다.
·흡수속도(mm/10분)
KSK 0815, 5.27.1, A법으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가로 및 세로가 각각 2.5cm인 일정길이의 직편물 시료 말단부를 수중에 10분동안 침지시킨 다음 물이 시료를 따라 올라온 길이를 측정한다.
·건조속도(분)
표준상태에서 직편물 시료에 시료무게와 동일(100중량%)한 양의 물을 침지한 다음, 시료가 완전히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18게이지, 다이얼 4레이스(race)인 양면(double) 환편기에 표면조직층 원사 및 이면조직층 원사로 이형단면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급사하고, 루프용 원사로는 면사를 급사하여 이중직의 환편지을 제편한다. 제조된 환편지의 흡습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2 및 비교실시예 1 ~ 비교실시예 2
표면조직층 원사, 이면조직층 원사 및 루프용 원사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이중직의 환편지를 제조한다. 제조된 환편지의 흡습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제조조건
구 분 표면조직층 원사 이면조직층 원사 루프용 원사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이형단면사 폴리프로필렌 이형단면사 면사
실시예 2 폴리에틸렌 원형사 폴리에틸렌 이형단면사 면사
비교실시예1 폴리에스테르 원형사 폴리에스테르 원형사 폴리에스테르 원형사
비교실시예2 폴리아미드 원형사 폴리아미드 원형사 폴리아미드 원형사
흡습특성 평가 결과
구 분 흡수속도(mm/10분) 건조속도(분)
직편물 길이 방향 직편물 폭 방향
실시예 1 165 155 100
실시예 2 160 145 110
비교실시예 1 135 120 190
비교실시예 2 130 115 170
본 발명의 직편물은 흡한속건성이 우수하여 스포츠용 피복 및 침구류 등으로 사용시 쾌적한 착용감을 부여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직편물은 직편물의 구조 및 원사특성에 기인하여 흡한속건성이 발현되므로 그 효과가 반영구적 이다.

Claims (5)

  1. 저밀도의 표면조직층(1), 고밀도의 이면조직층(2) 및 이들을 결착시켜 주는 루프(3)들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이며, 상기 표면조직층(1)과 이면조직층(2)은 공정수분율이 1% 이하인 소수성 원사로 구성되고, 상기 루프(3)는 공정수분율이 5% 이상인 친수성 원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직물.
  2. 삭제
  3. 1항에 있어서, 소수성 원사가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직물.
  4. 1항에 있어서, 표면조직층(1)과 이면조직층(2)를 구성하는 소수성 원사가 이형단면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직물.
  5. 1항에 있어서, 이면조직층(2)의 원사밀도가 표면조직층(1)의 원사밀도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직물.
KR10-2001-0002002A 2001-01-13 2001-01-13 흡한속건성 직편물 KR100403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002A KR100403199B1 (ko) 2001-01-13 2001-01-13 흡한속건성 직편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002A KR100403199B1 (ko) 2001-01-13 2001-01-13 흡한속건성 직편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878A KR20020060878A (ko) 2002-07-19
KR100403199B1 true KR100403199B1 (ko) 2003-10-23

Family

ID=2769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002A KR100403199B1 (ko) 2001-01-13 2001-01-13 흡한속건성 직편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1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22B1 (ko) 2007-04-16 2008-07-11 (주)동국가연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흡한속건성 직편물
KR101437503B1 (ko) 2012-11-06 2014-09-11 주식회사 티앤엘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210589A3 (en) * 2016-06-03 2018-01-11 Mission Product Holdings, Inc. Wet-activated cooling fabric
WO2022080561A1 (ko) * 2020-10-15 2022-04-21 박주연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72663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엘리펀스토리 이면의 접촉 마찰력이 낮은 수영복용 편직물
US11639567B2 (en) 2016-06-03 2023-05-02 Mpusa, Llc Wet-activated cooling fabri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882B1 (ko) * 2002-11-12 2005-05-03 벤텍스 주식회사 이면돌출층과 이면배수로를 갖는 흡습속건성 원단
KR100476549B1 (ko) * 2002-11-22 2005-03-17 벤텍스 주식회사 피부 기능성 원단
KR20040051447A (ko) * 2002-12-12 2004-06-18 벤텍스 주식회사 수분 전이층을 갖는 내구성 초발수 흡수속건성 원단
KR100518747B1 (ko) * 2003-08-27 2005-10-05 벤텍스 주식회사 3층 구조를 갖는 흡수속건 섬유 시이트
KR102000730B1 (ko) 2019-01-11 2019-10-02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전도성 구리 소재를 이용한 공기층을 가지는 다층 편직 구조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항균 마스크
KR102409573B1 (ko) 2022-02-10 2022-06-23 주식회사 삼우디티피 소수성 및 친수성을 가지는 항균성 편직물 원단,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균성 제품
KR102570989B1 (ko) * 2022-09-21 2023-08-30 이현명 매트용 입체구조 편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5372A1 (en) * 1980-08-06 1982-02-10 Kayser-Roth Hosiery, Inc. Sock and method of forming it
KR860002171A (ko) * 1984-08-07 1986-03-26 성재운 영구자석(자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JPH03213546A (ja) * 1990-01-19 1991-09-18 Asahi Chem Ind Co Ltd 吸水シート
JPH042848A (ja) * 1989-06-30 1992-01-07 Matsuoka Orimono Kk パイルを有する二重編地
US5735145A (en) * 1996-05-20 1998-04-07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oration Weft knit wicking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746013A (en) * 1995-06-13 1998-05-05 Faytex Corp. Shoe having an air-cooled breathable shoe liner
EP0921221A1 (en) * 1997-12-02 1999-06-09 Vintex Inc. Textile fabric
JP2000178857A (ja) * 1998-12-16 2000-06-27 Unitika Ltd 快適性編物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5372A1 (en) * 1980-08-06 1982-02-10 Kayser-Roth Hosiery, Inc. Sock and method of forming it
KR860002171A (ko) * 1984-08-07 1986-03-26 성재운 영구자석(자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JPH042848A (ja) * 1989-06-30 1992-01-07 Matsuoka Orimono Kk パイルを有する二重編地
JPH03213546A (ja) * 1990-01-19 1991-09-18 Asahi Chem Ind Co Ltd 吸水シート
US5746013A (en) * 1995-06-13 1998-05-05 Faytex Corp. Shoe having an air-cooled breathable shoe liner
US5735145A (en) * 1996-05-20 1998-04-07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oration Weft knit wicking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EP0921221A1 (en) * 1997-12-02 1999-06-09 Vintex Inc. Textile fabric
JP2000178857A (ja) * 1998-12-16 2000-06-27 Unitika Ltd 快適性編物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22B1 (ko) 2007-04-16 2008-07-11 (주)동국가연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흡한속건성 직편물
KR101437503B1 (ko) 2012-11-06 2014-09-11 주식회사 티앤엘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210589A3 (en) * 2016-06-03 2018-01-11 Mission Product Holdings, Inc. Wet-activated cooling fabric
US10428448B2 (en) 2016-06-03 2019-10-01 Mission Product Holdings, Inc. Wet-activated cooling fabric
JP2021046660A (ja) * 2016-06-03 2021-03-25 エムピーユーエスエー,エルエルシー 湿潤活性化冷却布地
US11015271B2 (en) 2016-06-03 2021-05-25 Mpusa, Llc Wet-activated cooling fabric
JP7170024B2 (ja) 2016-06-03 2022-11-11 エムピーユーエスエー,エルエルシー 湿潤活性化冷却布地
US11639567B2 (en) 2016-06-03 2023-05-02 Mpusa, Llc Wet-activated cooling fabric
WO2022080561A1 (ko) * 2020-10-15 2022-04-21 박주연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72663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엘리펀스토리 이면의 접촉 마찰력이 낮은 수영복용 편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878A (ko) 200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81118A1 (en) One-way quick absorption and drying fabric
KR100403199B1 (ko) 흡한속건성 직편물
Chen et al. Biomimetics of plant structure in knitted fabrics to improve the liquid water transport properties
JPH09137380A (ja) 多層構造編地
CN103696110A (zh) 一种单向导湿吸湿速干的棉/锦复合针织面料
TW201713815A (zh) 多層構造圓形編織物
KR20020036223A (ko) 흡한속건성 직편물
US6986270B2 (en) Knitted fabric construction with improved moisture management
KR100351373B1 (ko) 흡한속건성 환편지
KR20090021565A (ko) 자외선 차단 및 흡한 속건성 기능을 갖는 양면편지
KR100973539B1 (ko) 흡수속건 및 발수성을 갖는 이중구조의 다기능성 원단
KR100486882B1 (ko) 이면돌출층과 이면배수로를 갖는 흡습속건성 원단
KR100704725B1 (ko) 항균성이 우수한 흡한속건성 환편지
JP7374113B2 (ja) 二層構造編物、及び衣料品
KR20040045191A (ko) 3층 구조로 이루워진 초발수기능을 갖는 흡수속건성 원단
KR100486883B1 (ko) 숨구멍을 갖는 3층구조의 고흡습 초속건 원단
JPS626933A (ja) 偏在吸水性布帛
KR100533998B1 (ko) 3층 구조를 갖는 고수분전이 섬유시이트
KR101069354B1 (ko) 천연섬유의 외관과 흡한속건성(洽汗速乾性)이 우수한복합가연사의 제조 방법
KR20040018420A (ko) 다기능 보온원단
KR20040042072A (ko) 밀도 차이를 이용한 방수 흡습속건성 원단
JP2667152B2 (ja) 合成繊維編織物
Mahalakshmi et al. Study on Moisture Management Properties of Cotton/Polyester Knitted Fabrics
Zulifqar et al. Study of physical, moisture-management and stretch properties of underwear fabrics
JPH09143842A (ja) 多層構造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