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503B1 -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503B1
KR101437503B1 KR1020120124940A KR20120124940A KR101437503B1 KR 101437503 B1 KR101437503 B1 KR 101437503B1 KR 1020120124940 A KR1020120124940 A KR 1020120124940A KR 20120124940 A KR20120124940 A KR 20120124940A KR 101437503 B1 KR101437503 B1 KR 101437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base portion
loop
skin
loo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790A (ko
Inventor
김승현
윤형순
편도기
최윤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to KR102012012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50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46Air-vapo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7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ynthetic, e.g. polymer ba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조직으로 형성된 피부보호부재로서, 상기 조직은 베이스부와 루프부로 형성되되, 베이스부에 루프부가 파지되어 있는 형태이며, 베이스부는 공정수분율이 4 내지 5%인 원사로 이루어지되 폴리아미드계 원사로서 분사이며, 루프부는 공정수분율이 4 내지 5%인 원사로 이루어지되 폴리아미드계 원사로서 모노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조직이 형성된 후 무신장상태에서 150 내지 180도의 열풍으로 상기 부재를 가공하여 형성되는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SKIN PROTECTION MEMBER FOR ORTHOPEDIC SURGERY AND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기성과 수분적합성이 구현된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서, 골절환자의 깁스 시술을 위한 종래의 방법 중 하나는 피부와의 접촉부위에 대부분 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피부보호용 천을 사용해왔다. 이를 관상붕대라 하며 스타키넷(stockinet)이라고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상분대는 정형외과용 부목을 시술할 때 사용되는 의료소재로서 통상 일반 면을 사용하는 관상붕대와 그 위에 면을 소재로 만든 솜 붕대를 감은 후 석고붕대 또는 합성수지형 캐스팅테이프를 물에 적신 후 환부에 감아서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깁스 시술시, 솜이나 여러 가지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시술해왔던 제품들은 거의 붕대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시술자가 환부에 대하여 수차례 감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간혹 전체 환부중 일정 부분에만 여러겹이 감겨져 수분의 건조속도를 떨어뜨림과 함께 피부에 대한 2차감염이나 짓무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깁스 시술의 경우에는 관상붕대 위에 솜 붕대를 일정두께로 감아주되, 수 차례 중복하여 나선형 모양으로 감아줌에 따라, 피부에 대한 통기성이나 시술시 발생된 수분 건조속도가 떨어져 시술후에도 샤워나 세안,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환부에서 발생되는 땀의 배출이 원활치 못한 단점이 있고, 이러한 단점은 환자에게 가려움증이나 답답함 그리고 악취 등을 느끼게 하며, 특히 피부 짓무름 및 수포 또는 장기간착용으로 인한 균의 번식 등 2차 감염의 우려가 높은 단점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시술후 환자가 깁스를 착용하고 있는 기간 동안은 샤워를 하지 않거나 시술 부위에 물이 묻지 않게 하는 등 많은 불편함과 답답함을 느끼는 경우를 종종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부상 정도에 따라 정형외과용 부목의 시술 후 제거시까지 짧게는 2~3주 길게는 몇 개월이라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데, 그 기간중에 관상붕대와 솜붕대가 정형외과용 부목과 서로 붙어 있지 않거나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스타키넷과 솜붕대가 정형외과용 부목에서 떨어져나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여, 수 일이 지난 후에는 정형외과용 부목 내부에서의 스타키넷과 솜붕대는 그 본래 능력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26214호에서는 골절 및 염좌와 같은 환부를 지지해주는 정형외과용 부목을 시술하는데 사용하는 관상붕대에 있어서, 가연 및 연신 처리된 나일론사에 탄성사를 합사하여 환편 직조를 행하되 관상형태로 환편 직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환편 직조물을 정련 및 건조 처리한 후 고분자형 발수제로 발수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발수 관상붕대를 제안하고 있다. 위 문헌에서는 수분 제거율이 1.5시간에 100%가 제거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실제 시험결과 수분제거효과가 매우 미약하여 수분의 존재에 대한 자유도가 거의 없는 점이 문제였다.
또한 미국특허 제7,713,222호에서는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로 이루어진 니트조직으로 이 조직은 내부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립(rib)이 배열되어 있고 이 배열을 통해 공기의 흐름과 습기가 유동되는 특징이 있는 의료용 밴드 제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니트조직상에 형성된 립 배열을 통해 마치 배수로와 같은 구조로 공기 및 습기가 유동되는 점이 있을 수는 있으나 실제 제품에서는 방수가공을 통해 수분을 차단하고 있으며 후술할 실시예에서 보듯 투습도가 향상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성 및 투습성이 확보되어 사용 중 쾌적성이 확보된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이 적용가능하여 착용상태에서도 샤워 등이 가능하여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루프조직으로 형성된 피부보호부재로서, 상기 조직은 베이스부와 루프부로 형성되되, 베이스부에 루프부가 파지되어 있는 형태이며, 베이스부는 공정수분율이 4 내지 5%인 원사로 이루어지되 폴리아미드계 원사로서 분사이며, 루프부는 공정수분율이 4 내지 5%인 원사로 이루어지되 폴리아미드계 원사로서 모노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조직이 형성된 후 무신장상태에서 150 내지 180도의 열풍으로 상기 부재를 가공하여 형성되는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와 루프부가 2 : 8 내지 6 : 4의 중량비율로 형성되는 피부보호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사의 섬도가 250 내지 350D/10F인 피부보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노사의 직경이 0.05 내지 0.15mm인 피부보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풍 가공을 통하여 신축성이 130 내지 160% 향상되는 피부보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재의 수분제거계수가 ??0.07 내지 ??0.10인 피부보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VTR이 5 이상인 피부보호부재.(BS EN 13726-2 : 2002의 규격에 의하고 상기 부재를 2겹 캐스터를 5겹으로 형성 후 평가한 것에 한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루프조직으로 형성된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직은 베이스부와 루프부로 형성되되, 베이스부에 루프부가 파지되어 있는 형태이며, 베이스부는 공정수분율이 4 내지 5%인 원사로 이루어지되 폴리아미드계 원사로서 분사이며, 루프부는 공정수분율이 4 내지 5%인 원사로 이루어지되 폴리아미드계 원사로서 모노사로 형성하는 구조체 형성단계; 상기 구조체가 형성된 후 무신장상태에서 150 내지 180도의 열풍으로 상기 부재를 가공하는 열처리단계; 및 선택적으로 하여 상기 구조체를 원통 형상으로 구현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와 루프부가 2 : 8 내지 6 : 4의 중량비율로 형성되는 피부보호 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사의 섬도가 250 내지 350D/10F인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노사의 직경이 0.05 내지 0.15mm인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풍 가공을 통하여 신축성이 130 내지 160% 향상되는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재의 수분제거계수가 -0.07 내지 -0.10인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VTR이 5 이상인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BS EN 13726-2 : 2002의 규격에 의하고 상기 부재를 2겹 캐스터를 5겹으로 형성 후 평가한 것에 한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피부보호부재는 통기성이 확보되면서 수분이 적용 가능하여 수분이 신속히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보호부재는 수분이 신속히 제거되는 장점으로 인해 착용상태에서도 샤워 등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또한 탄성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열처리 공정을 통해 신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비교예들의 시간별 수분 감소율을 평가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부목 내부에 환자의 피부보호를 위해 시술하는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재는 2차원 구조체 형성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원사를 이용한 2차원 구조체로서 크게 직물, 편물, 부직포가 있을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신장성 및 통기성 등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부보호부재는 편물일 수 있다.
상기 편물은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루프조직일 수 있다. 상기 조직은 베이스부와 루프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베이스부에 루프부가 파지되어 있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루프부는 베이스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루프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경우 부재의 두께가 얇아져 착용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고 양면의 경우 루프가 상하로 존재하므로 2겹으로 시술해야할 환경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부재 하나만으로도 시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양면의 경우 루프부의 각 루프는 상하가 일치되는 부분에 형성되거나 상하가 교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루프부의 일면 또는 양면구조는 시술환경에 따라 적용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환부에서 발생하는 땀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정수분율이 4 내지 5%인 원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상대적 수분전이효과를 통해 환부 발생 수분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범위의 공정수분율을 같은 원사로서 신축성, 열가공성을 고려할 때 특히 폴리아미드계열 원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계 원사는 수분전이기능 및 구조 안정성 측면에서 분사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분사를 사용하는 경우 섬도가 작게 되고 베이스부의 조직상에 미세 기공이 형성되어 피부면에서 발생하는 땀과 같은 오염원을 신속히 베이스부로 흡수 이동시켜 상대적으로 피부면은 쾌적성을 발현하게 된다. 따라서 이는 상대적 수분전이로서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분사의 섬도가 250 내지 350D/10F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는 폴리아미드계 원사와 더불어 폴리우레탄계 원사와 함께 편직될 수 있는데, 이는 피부보호부재의 신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축성은 후술할 열처리 공정을 통해 발현할 수 있으므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와 체결된 구조의 루프부는 베이스부와 동일한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루프부는 베이스부와 같이 분사가 아니 모노필라멘트(이하 '모노사' 라 함)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루프부는 피부보호부재의 완충기능을 발현하는 요인이기도 한데, 분사를 사용하는 경우 쿠션성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모노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필라멘트 0.05 내지 0.15mm의 두께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와 루프부는 2 : 8 내지 6 : 4의 중량비율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의 비율이 6을 초과하는 경우 조직 자체가 스티프(stiff)해져 피부면에 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루프부의 비율일 4 미만인 경우에는 루에 의해 기능성 중 쿠션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원 구조체로 형성된 부재는 열처리단계를 통해 신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단계는 약 150 내지 180도의 고온 열풍으로 상기 부재를 가공하는 것으로 무신장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신장상태에서 고온 열풍으로 가공하는 경우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원사의 모폴로지적 측면에서 무정형영역이 보다 확장되고 이러한 무정형영역은 결정영역과 반복적으로 형성되면서 탄성기능을 발현하는 것과 같은 구조가 형성된다. 즉 결정영역은 원사의 형태적 특징을 보존하고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무정형영역은 고무와 같은 역할을 하여 2차원 구조체가 신장, 회복하는데 기여한다.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무신장상태에서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신장상태에서 공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원사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분자쇄의 배향화가 이루어지고 배향화는 오히려 결정영역을 확대하는 결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무신장상태에서 공정 수행이 요청된다. 다만 상기 무신장상태는 최소 공정상의 텐션(보빈의 인장력)은 보유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신축성은 130 내지 160% 정도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지나친 신축성으로 형태성이 문제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단계를 거친 2차원 구조체는 3차원 구조체로서 성형단계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부재는 원통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원통 형태는 초음파 가공, 열실링 등 여하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3차원 구조체로 성형된 부재는 환자의 환부상태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 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 골절의 경우 상기 골절된 환부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부재를 1 내지 2층 구조로 끼우고 그 위에 캐스트와 같은 부목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편직기술을 이용하여 바로 3차원 구조체로 형성한 다음 열처리단계를 거쳐 발명이 완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부재에 의료용 점착제를 코팅하여 붕대 형태의 제품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실시예
베이스부는 나일론 6 분사를 사용하고, 루프부는 동일한 재질의 모노사를 사용하여 중량비율이 5 : 5가 되도록 제편한 후, 150도에서 열풍가공한 후 초음파 가공법으로 원통형 구조의 부재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통상의 관상붕대와 솜붕대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비교예 2
가연 및 연신 처리된 나일론사에 탄성사를 합사하여 환편 직조를 행하되 관상형태로 환편 직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환편 직조물을 정련 및 건조 처리한 후 고분자형 발수제로 발수 처리하여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폴리프로필렌과 탄성사로 이루어진 니트조직으로 내부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립(rib)이 배열되어 있고 아크릴 접착제로 튜브형으로 형성하여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3과 동일하며 상기 부재의 표면에 방수가공을 하여 부재를 제조하였다.
시험결과
1. 건조 속도 측정
(1) 시험방법
- 가로, 세로 각각 10cm씩 자른 시편을 준비한다.
- 물을 받아 놓은 용기(수온 35℃)에 5분 정도 담갔다 빼낸다.
- 최초 10분 후 부터 시간별로 저울에 올려놓고 무게를 잰다.(이때 실험의 일정한 측정값을 얻기 위해 물기를 털어낸다거나 닦아내지 않는다)
- 상온에 두고 최초 무게가 나올 때까지 시간마다 무게를 잰다.
- 시험조건 : 온도 27℃, 습도 50%(RH)
(2) 수분보유량
구분 실시예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수분보유량 46% 146% 351% 105%
(3) 시간별 수분 감소율(%)
단위
(분)
실시예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단위
(분)
실시예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0 100.00 100.00 100.00 100.00 410   0.15 30.51  
20 85.80 81.64 95.50 48.48 420   0.07 29.32  
30 65.34 78.49 85.42 37.37 430   0.07 27.46  
40 53.41 75.86 84.38 32.66 440   0.00 26.58  
50 35.80 74.25 82.32 25.59 450     25.23  
60 18.75 71.76 80.82 18.52 460     24.15  
70 10.23 69.20 79.01 11.78 470     22.70  
80 6.82 65.84 77.40 2.69 480     20.94  
90 3.41 64.01 74.82 2.02 490     20.01  
100 0.00 62.98 73.22 1.01 500     17.27  
110   60.28 71.77 0.00 510     16.80  
120   52.01 67.99   520     16.08  
130   49.38 66.80   530     15.31  
140   47.55 65.51   540     14.79  
150   45.79 64.01   550     13.96  
160   44.11 63.29   560     13.60  
170   40.31 62.31   570     13.03  
180   37.89 60.96   580     12.10  
190   36.28 59.67   590     10.81  
200   34.53 58.84   600     9.41  
210   32.11 57.19   610     8.63  
220   28.82 55.89   620     6.67  
230   26.48 54.19   630     6.41  
240   24.73 53.00   640     6.05  
250   21.51 51.71   650     5.79  
260   19.39 50.26   660     5.53  
270   15.51 48.40   670     5.07  
280   12.00 46.64   680     4.65  
290   9.58 44.67   690     4.50  
300   8.41 44.36   700     4.14  
310   7.61 43.23   710     3.83  
320   6.51 42.14   720     3.52  
330   5.12 41.00   730     2.69  
340   3.80 40.18   740     2.02  
350   2.85 37.80   750     1.81  
360   1.76 36.45   760     1.50  
370   1.32 35.73   770     1.14  
380   0.44 34.49   780     0.88  
390   0.37 33.14   790     0.52  
400   0.22 31.85   800     0.05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부재는 약 100분내에 흡수된 수분이 모두 제거되는 효과가 있는 반면 비교예 2는 440분 후, 비교예 3은 800분 후, 비교예 4는 110분 후에 수분이 모두 제거되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비교예 4의 경우 발수가공의 영향으로 추론된다. 한편 비교예 2 역시 발수가공이 된 상태이나 비교예 4에 비해 감소율이 낮은 이유는 니트조직은 동일하나 립이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는 비교예 4와 같은 립구조가 없음에도 수분감소율이 높은 이유는 베이스부가 분사로 형성되어 미세기공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각에 물리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물입자들이 동일하게 미세화되어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도 1)
이를 기초로 수분제거가 완료되는 시간과 수분감소비율간의 상관성을 판단할 때, 결국 도 1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음(-)의 값으로 클수록 수분제거효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울기 값을 수분제거계수로 정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 수분제거계수가 -0.07 내지 -0.10일 때, 초기 수분보유력이 낮으면서, 동시에 수분제거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져 쾌적성의 효과가 달성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수가 음의 값으로 적을수록 초기 수분보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또한 수분제거율로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90이 이상적이기는 하나 현실적으로 존재하기 불가능하다.
2. 투습도 평가(MVTR,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1) 시험규격 : BS EN 13726-2 : 2002
(2) 시험조건 : 실시예 및 비교예 2 내지 4는 부재 각각을 2겹으로 형성하고 통상의 캐스터를 5겹으로 형성하여 평가하였으며, 비교예 1의 경우 관상붕대 1겹, 솜붕대 2겹, 통상의 캐스터 5겹으로 형성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구분 실험전 (g) 실험후 (g) MVTR(g/10cm224hrs) MVTR(g/m224hrs)
실시예 Sample W1 W2 (24hr) W1-W2 (W1-W2)*1000
1 132.9148 127.3512 5.5636 5563.6000
2 133.7323 128.1942 5.5381 5538.1000
3 133.6635 128.3152 5.3483 5348.3000
평균 133.4369 127.9535 5.4833 5483.3333
비교예
1
1 132.7528 130.9926 1.7602 1760.2000
2 133.4274 131.9051 1.5223 1522.3000
3 132.7925 131.0533 1.7392 1739.2000
평균 132.9909 131.3170 1.6739 1673.9000
비교예
2
1 134.5859 131.6246 2.9613 2961.3000
2 135.4657 132.4775 2.9882 2988.2000
3 134.3269 130.9716 3.3553 3355.3000
평균 134.7928 131.6912 3.1016 3101.6000
비교예 3 1 134.6336 131.2687 3.3649 3364.9000
2 133.5111 130.1125 3.3986 3398.6000
3 133.4613 130.1052 3.3561 3356.1000
평균 133.8687 130.4955 3.3732 3373.2000
비교예 4 1 131.5011 127.8499 3.6512 3651.2000
2 133.1337 129.0335 4.1002 4100.2000
3 132.6817 128.4575 4.2242 4224.2000
평균 132.4388 128.4470 3.9919 3991.8667
위와 같이 투습도에서도 실시예가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4)

  1. 루프조직으로 형성된 피부보호부재로서,
    상기 조직은 베이스부와 루프부로 형성되되, 베이스부에 루프부가 파지되어 있는 형태이며,
    베이스부는 공정수분율이 4 내지 5%인 원사로 이루어지되 폴리아미드계 원사로서 분사이며,
    루프부는 공정수분율이 4 내지 5%인 원사로 이루어지되 폴리아미드계 원사로서 모노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조직이 형성된 후 무신장상태에서 150 내지 180도의 열풍으로 상기 부재를 가공하여 형성되는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루프부는 2 : 8 내지 6 : 4의 중량비율로 형성되는 피부보호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의 섬도가 250 내지 350D/10F인 피부보호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사의 직경은 0.05 내지 0.15mm인 피부보호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가공을 통하여 신축성이 130 내지 160% 향상되는 피부보호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수분제거계수가 -0.07 내지 -0.10인 피부보호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BS EN 13726-2 : 2002의 규격에 의하고 상기 부재를 2겹 캐스터를 5겹으로 형성 후 평가한 MVTR이 5(g/10cm224hrs) 이상인 피부보호부재.
  8. 루프조직으로 형성된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직은 베이스부와 루프부로 형성되되, 베이스부에 루프부가 파지되어 있는 형태이며, 베이스부는 공정수분율이 4 내지 5%인 원사로 이루어지되 폴리아미드계 원사로서 분사이며, 루프부는 공정수분율이 4 내지 5%인 원사로 이루어지되 폴리아미드계 원사로서 모노사로 형성하는 구조체 형성단계; 및
    상기 구조체가 형성된 후 무신장상태에서 150 내지 180도의 열풍으로 상기 부재를 가공하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루프부는 2 : 8 내지 6 : 4의 중량비율로 형성되는 피부보호 부재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원통 형상으로 구현하는 성형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사의 직경은 0.05 내지 0.15mm인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가공을 통하여 신축성이 130 내지 160% 향상되는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수분제거계수가 -0.07 내지 -0.10인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BS EN 13726-2 : 2002의 규격에 의하고 상기 부재를 2겹 캐스터를 5겹으로 형성 후 평가한 MVTR이 5(g/10cm224hrs) 이상인 피부보호부재의 제조방법.
KR1020120124940A 2012-11-06 2012-11-06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7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940A KR101437503B1 (ko) 2012-11-06 2012-11-06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940A KR101437503B1 (ko) 2012-11-06 2012-11-06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790A KR20140058790A (ko) 2014-05-15
KR101437503B1 true KR101437503B1 (ko) 2014-09-11

Family

ID=5088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940A KR101437503B1 (ko) 2012-11-06 2012-11-06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908B1 (ko) * 2018-07-30 2020-08-28 이종한 골절 환자용 깁스 및 이를 이용한 깁스 시술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199B1 (ko) 2001-01-13 2003-10-23 벤텍스 주식회사 흡한속건성 직편물
KR200346054Y1 (ko) 2003-12-16 2004-03-27 이종한 깁스 시술용 피부보호대
KR100693221B1 (ko) 2005-01-06 2007-03-14 주식회사 티앤엘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KR101079173B1 (ko) 2009-05-15 2011-11-02 주식회사 티앤엘 끼움식 피부보호 붕대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199B1 (ko) 2001-01-13 2003-10-23 벤텍스 주식회사 흡한속건성 직편물
KR200346054Y1 (ko) 2003-12-16 2004-03-27 이종한 깁스 시술용 피부보호대
KR100693221B1 (ko) 2005-01-06 2007-03-14 주식회사 티앤엘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KR101079173B1 (ko) 2009-05-15 2011-11-02 주식회사 티앤엘 끼움식 피부보호 붕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790A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287B2 (en) Orthopedic padding
JP5476396B2 (ja) 防水包帯
EP2157947B1 (en) Water resistant elasticized retention bandage and undercast liner
JP4705778B2 (ja) カルボキシメチル化セルロース創傷用包帯
EP1940328B1 (en) Water resistant undercast liner
Shirvan et al. Medical textiles
US20140358058A1 (en) Wound dressing formed with a two-sided adhesive band
CA2789489A1 (en) Water resistant medical bandaging product
JPH09510901A (ja) 医療用物品
AU2006264686B2 (en) Carboxymethylated cellulosic wound dressing garment
Getu et al. Technical fabric as health care material
KR101437503B1 (ko)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5011291B2 (ja) 耐水性整形外科用アンダーキャストスリーブ製品
KR101559039B1 (ko) 정형외과용 피부보호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0061B1 (ko) 다층구조의 폴리에스테르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5578B1 (ko) 항균 팬티형 기저귀
US10085890B2 (en) Wound dressing, glov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wound dressing
KR100714618B1 (ko) 세탁내구성이 우수한 침대 시이트
CN214549826U (zh) 一种抗菌舒肤绷带及其医疗产品或家用品
JP2013000388A (ja) 創傷部用被覆ネット
KR20100022271A (ko) 자가점착 및 기능성 피부보호 붕대
EP2027839B1 (en) Milk absorbent cup-shaped breast pad provided with antibacterical product, and method for its formation
JP6227126B2 (ja) 股関節スパイカギプス包帯及び股関節スパイカギプス包帯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下着
JP2004057509A (ja) 身体固定具用芯材及びそれを用いた身体固定具
ITVA20090067A1 (it) Tessuto a spugna anti-batterico e relative traverse di spugna anti-decubi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