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951B1 - 열팽창율이 낮은 크리프 내성 아이언 니켈 합금 - Google Patents

열팽창율이 낮은 크리프 내성 아이언 니켈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951B1
KR100531951B1 KR10-2002-7000833A KR20027000833A KR100531951B1 KR 100531951 B1 KR100531951 B1 KR 100531951B1 KR 20027000833 A KR20027000833 A KR 20027000833A KR 100531951 B1 KR100531951 B1 KR 10053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iron
less
thermal expansion
allo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649A (ko
Inventor
게르만보도
에르펜벡부르크하르트
브릴울리히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파우데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9156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319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파우데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파우데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16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33Aperture pla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2% 이하의 C, 0.3% 이하의 Mn 및 0.3% 이하의 Si 외에 0.05-3.0 중량%의 Al, 0.1-3.0 중량%의 Ti, 1.0 중량%의 Nb 및 39.0-45.0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아이언 및 혼합시의 산물로 되어 있고 열팽창계수가 20-100℃의 온도 범위에서 6.0x10-6/K 미만인, 크리프 내성 저팽창 아이언 니켈 합금에 관한다.

Description

열팽창율이 낮은 크리프 내성 아이언 니켈 합금{IRON-NICKEL ALLOY WITH CREEP RESISTANCE AND LOW THERMAL EXPANSION}
본 발명은 특히 스크린 섀도우 마스크용 프레임 부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열팽창율이 낮은 크리프 내성 아이언 니켈 합금에 관한다.
약 36%의 니켈을 포함하는 아이언 마스터 합금은 20-100℃의 온도에서 열팽창계수가 낮은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합금은 예를들어 정밀 기구, 시계, 바이메탈과 같이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길이일 것을 요하는 제품에서 몇십년간 사용되어 왔다. 바람직하지 못한 조명 조건하에서도 고해상도를 가지는 컴퓨터 모니터 및 칼라 텔레비젼의 개발 및 특히 점점 평평하고 큰 스크린이 개발되는 경향으로 점점 더 섀도우 마스크에 아이언 니켈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20-100℃의 온도에서 소프트-어닐링된 약 36%의 니켈을 함유하는 공업 아이언 니켈 합금은 통상의 스크린 튜브에서 흔히 그러하듯이 "Stahl-Eisen-Werkstoffblatt"(Steel Iron Material Paper)(SEW-385, 1991년 발행)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1.2 - 1.8x10-6/K 이상의 열팽창계수를 가진다. 특히 섀도우 마스크에는 약 36%의 니켈을 함유하는 진보된 재료가 사용되는데 이의 열팽창계수는 20-100℃의 온도에서 0.6 - 1.2x10-6/K이다.
프레임에서 미리 응력을 가한 새도우 마스크에 대하여 지금까지 사용된 합금에 비하여 크리프 내성이 개선된 저팽창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섀도우 마스크 및 섀도구 마스크용 프레임 부품은 약 580℃ 이하의 온도에서 소위 흑화 어닐링을 받는다. 이때 어두운 아이언 옥사이드 층이 생성됨으로써 육안 이미지 질이 더 양호해진다.
지금까지 사용된 약 36%의 니켈을 함유하는 아이언 마스터 합금은 580℃에서 1시간동안 138MPa 로딩이라는 테스트 조건에서 약 2.6%의 크리프 내성 A80을 보인다.
섀도우 마스크의 초기 수직 방향 응력은 수직 프레임 부품으로 생성된다. 지금까지 약 41% 니켈을 함유하는 아이언 니켈 합금이 재료로 사용되어 이들 합금이 메탈 글래스 씰 또는 리드 프레임 재료로 공지되어 있다. 기술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36% 니켈 함유 합금에 대하여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조건, 즉 580℃에서 1시간동안 138MPa 로딩이라는 조건과 동일한 테스트 조건하에서 측정한 크리프 내성 A80은 약 0.5%이다. 20-100℃ 온도 범위에서 약 4.8x10-6/K라는 열팽창계수에 따르면 이러한 합금으로 제조된 수직 프레임 부품은 약 36% 니켈을 함유하는 아이언 니켈 합금으로 제조된 섀도우 마스크보다 더욱 팽창된다.
수평 프레임 부품은 섀도우 마스크로서 동일한 열팽창 특성을 보일 것이므로 약 36% 니켈을 함유하는 동일한 아이언 니켈 합금이 수평 프레임 부품 및 섀도우 마스크용으로 사용된다.
섀도우 마스크에서와 같이 프레임 부품 재료에 대하여도 지금까지 사용된 합금에 비하여 580℃까지의 온도에서 크리프 내성이 더 양호할 것이 요구된다. 크기 및 온도에 따른 팽창계수의 추이는 지금까지 사용된 재료들에 거의 상당할 것이다.
또한 아이언 니켈 합금에 적당한 첨가물을 가하면 침전물을 생성시킬 수 있음도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어 티타늄 및 알루미늄을 이러한 첨가물로서 함께 사용한다. γ(Ni3Ti/Ni3Al)상의 생성은 명백히 수율 및 강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티타늄 및 알루미늄 원소의 총함량이 너무 높으면 열팽창계수가 너무 많이 증가할 수 있다.
DE-C 29 40 532에 따르면 20-300℃에서 5x10-6/℃ 미만의 선형 팽창계수를 가지고 20℃에서 명백한 수율 포인트가 350N/mm2 이상인 시효경화성 니켈 아이언 캐스트 합금은 35-45 중량%의 니켈, 4 중량% 미만의 유리 티타늄, 0-1 중량%의 니오븀, 1.5-2.5 중량%의 코발트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아이언 및 용융시의 불순물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합금은 예를들어 가스 동압 웨이브 머신의 로터와 같이 기계적으로 열적으로 높은 응력을 받는 기계 부품에 적당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기술한 현기술의 단점을 보이지 않으며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특히 섀도우 마스크용 프레임 부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팽창율이 낮은 크리프 내성 아이언 니켈 합금을 최적화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0.2% 이하의 C, 0.3% 이하의 Mn 및 0.3% 이하의 Si 외에 0.05-3.0 중량%의 Al, 0.1-3.0 중량%의 Ti, 1.0 중량%의 Nb 및 39.0-45.0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아이언 및 혼합시의 산물로 되어 있고 열팽창계수가 20-100℃의 온도 범위에서 6.0x10-6/K 미만인, 크리프 내성 저팽창 아이언 니켈 합금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 합금의 이점에 대하여는 관련 종속항에 기술한다.
놀랍게도, 각각 정량의 알루미늄 및 티타늄을 가하여 합금시킨 아이언 니켈 합금으로 138MPa 로딩하에 580℃에서 의도하는 크리프 내성의 개선이 얻어짐을 발견하였다.
특히 섀도우 마스크용 수직 프레임 부품의 재료로서 사용하는데 요구되는 기술적인 특징들은 니켈 함량이 39.0-45.0 중량%인 본 발명 아이언 니켈 합금으로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니켈 및 아이언 외에 1.0-2.5중량% 알류미늄, 최대 0.02중량%의 탄소를 함유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 0.1중량%의 망간, 최대 0.1중량%의 실리슘 및 매우 소량의 혼합시 통상적인 제조 산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 합금은 우수한 가공성에서 뛰어나고 제조시 추가 가공 단계를 요하지 않는다. 또한 요구조건에 해당하는 열적 특성의 장기 안정성을 보인다.
본 발명 합금 E1은 41%의 니켈을 함유하는 현재 통상적인 아이언 니켈 합금 T2에 비하여 138MPa 로딩에서 1시간동안 580℃의 테스트 온도에서 현저히 개선된 크리프 내성(A80=0.17%)을 보인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 제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온도조절 바이메탈
- 레이저 테크놀로지 부품
- 리드프레임
- 메탈 글래스 씰
- 스크린 또는 모니터 섀도우 마스크의 프레임 부품
- 특히 텔레비젼 튜브에서 전자총의 구조적 부품
- 제조, 저장 및 전달 액화 기체를 위한 부품.
표1: 현재 합금 T1 및 T2와 비교한 본 발명 합금 E1의 기계적 특성, 오프셋 항복응력, 항복강도, 핫 드로잉 테스트로 측정한 580℃에서의 파단 신장, 로딩 138MPa에서 1시간동안 580℃에서의 크리프 내성, 보자력마당 세기 및 열팽창계수. 테스트 샘플은 1.4mm의 냉간압연 스트립으로 제조함.
합금 E2의 경우 테스트 샘플을 소프트-어닐링하여 시효경화시킨 다음 테스트하였다(크리프 내성 테스트시 로딩 200MPa).
현기술에 해당하는 합금 T1 및 T2 뿐만 아니라 본 발명 합금 E1의 보자력마당 세기(Hc)는 580℃에서 15분간 열처리후 거의 동일하다. 580℃에서 1시간 열처리후의 본 발명 합금 E1의 보자력마당 세기(Hc)는 섀도우 마스크용 프레임 부품의 재료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낮다.
본 발명 합금 E1의 경우 20-100℃의 온도 범위에서 열팽창계수는 4.8x10-6/K이므로 수직 프레임 부품용 재료로서의 용도의 조건에 부합한다. 온도에 따른 본 발명 합금 E1의 팽창계수의 추이는 현기술 합금 T2의 팽창계수의 추이와 유사하다. 이것을 도1에 나타내었는데, 이로써 270-320℃에서 합금 E1 및 T2의 팽창계수가 합금 T1의 팽창계수와 교차하므로 니켈 함량이 더 낮은 합금의 열팽창계수가 니켈 함량이 더 높은 합금의 열팽창계수보다 교차온도 이하에서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교차온도 이상에서는 거동이 역전한다. 열팽창계수의 중단점 온도는 대략 해당 합금의 큐리 온도(Tc)에 해당한다.
도1은 온도에 따른 본 발명 합금 E1 및 E2의 팽창계수 및 현재의 합금 T1 및 T2의 팽창계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합금 E1 및 E2의 예시적 화학 조성을 현재 합금 T1 및 T2의 조성과 비교하여 표2에 나타내었다.
표2: 현재 합금 T1 및 T2의 예시적 조성과 비교한 본 발명 합금 E1 및 E2의 예시적 화학 조성
다음 표는 본 발명 합금 E1의 화학 조성의 한계를 나타낸 것이다.
표3:본 발명 합금 E1의 화학적 조성 한계
본 발명 합금의 또다른 구체예는 변형 E2이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39.0-45.0%의 Ni외에 1.5-2.5%의 Ti, 0.05-0.3%의 Al 및 0.2-1.0%의 Nb을 함유하고 나머지는 아이언 및 표4에 따른 혼합시의 산물이다.
다음 표는 본 발명 합금 E2의 화학적 조성의 한계를 나타낸다.
표4: 본 발명 합금 E2의 화학적 조성 한계
먼저 합금 E2를 소프트-어닐링된 상태에서 프레임 부품으로 재주조할 수 있다. 이후 시효경화 상태에서(예를들어 750℃에서 약 30분) 200MPa로 로딩을 증가시켜 1시간동안 580℃에서 크리프 내성 테스트하면 A80이 0.1% 미만이라는 높은 조건을 부합시킨다. 기계적, 자기적 및 열적 팽창 특성치는 표1에 나타낸다. 본 발명 합금 E1의 일반적 조성은 표2에 나타나 있다.

Claims (3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0.02중량% 이하의 C, 0.05중량% 이하의 Mn 및 0.05중량% 이하의 Si 외에 0.05-0.3 중량%의 Al, 0.5-2.5중량%의 Ti, 0.2-1.0중량%의 Nb 및 39.0-45.0 중량%의 Ni을 함유하고 나머지는 Fe 및 혼합시의 산물로 되어 있으며, 열팽창계수가 20-100℃의 온도 범위에서 6.0x10-6/K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또는 모니터 섀도우 마스크의 프레임 부품용 크리프 내성 저팽창 아이언 니켈 합금.
  36. 제35항에 있어서, 0.5 중량% 이하의 Co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또는 모니터 섀도우 마스크의 프레임 부품용 크리프 내성 저팽창 아이언 니켈 합금.
  37. 삭제
  38. 삭제
KR10-2002-7000833A 1999-07-22 2000-02-16 열팽창율이 낮은 크리프 내성 아이언 니켈 합금 KR100531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4401.9 1999-07-22
DE19934401A DE19934401A1 (de) 1999-07-22 1999-07-22 Kriechbeständige wärmeausdehnungsarme Eisen-Nickel-Legi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649A KR20020016649A (ko) 2002-03-04
KR100531951B1 true KR100531951B1 (ko) 2005-12-02

Family

ID=791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833A KR100531951B1 (ko) 1999-07-22 2000-02-16 열팽창율이 낮은 크리프 내성 아이언 니켈 합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206588B1 (ko)
JP (1) JP2003505594A (ko)
KR (1) KR100531951B1 (ko)
CN (1) CN1140644C (ko)
DE (2) DE19934401A1 (ko)
HK (1) HK1047772B (ko)
PL (1) PL195127B1 (ko)
TW (1) TWI234588B (ko)
WO (1) WO2001007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5250B4 (de) * 2006-02-02 2010-04-29 Thyssenkrupp Vdm Gmbh Eisen-Nickel-Legierung
CN102888557B (zh) * 2011-07-18 2014-10-29 宝钢特钢有限公司 一种高强度低膨胀系数合金线材及其制造方法
CN103084753B (zh) * 2013-01-23 2016-07-2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镍铁精密合金焊丝
CN103074523B (zh) * 2013-01-31 2015-05-13 安徽工业大学 一种用于高温疲劳性能检测的模具材料及其制备方法
US9972579B1 (en) * 2016-11-16 2018-05-15 Tdk Corporation Composite magnetic sealing material and electronic circuit package using the same
US9818518B2 (en) 2016-03-31 2017-11-14 Tdk Corporation Composite magnetic sealing material
JP6536535B2 (ja) * 2016-03-31 2019-07-03 Tdk株式会社 複合磁性封止材料
CN108539354B (zh) * 2018-03-21 2019-07-23 东莞市冠顺实业有限公司 一种使用寿命长的谐振杆及其制作方法
CN112962033B (zh) * 2021-02-01 2021-11-19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因瓦合金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55830A (de) * 1931-01-12 1932-07-15 Res Inst Of Iron Steel & Other Legierung mit niedrigem Ausdehnungskoeffizienten.
US2266481A (en) * 1939-10-27 1941-12-16 Int Nickel Co Age hardenable, low expansion, nickel-iron-titanium alloy
US3843332A (en) * 1970-12-21 1974-10-22 Allegheny Ludlum Ind Inc Composite article with a fastener of an austenitic alloy
US4006012A (en) * 1973-10-15 1977-02-01 Allegheny Ludlum Industries, Inc. Austenitic alloy
US3971677A (en) * 1974-09-20 1976-07-27 The International Nickel Company, Inc. Low expansion alloys
DE3017044C2 (de) * 1980-05-03 1983-08-18 G. Rau GmbH & Co, 7530 Pforzheim Thermobimetall mit hoher Anwendungsgrenze sowie Herstellungsverfahren hierzu
JP2941504B2 (ja) * 1990-10-26 1999-08-25 インコ、アロイ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低熱膨張係数合金用溶接材料
JPH0826429B2 (ja) * 1990-11-30 1996-03-13 日本鋼管株式会社 メッキ性,ハンダ性,繰返し曲げ特性に優れた高強度低熱膨脹Fe―Ni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4402684C2 (de) * 1993-05-27 2001-06-21 Krupp Vdm Gmbh Verwendung einer ausdehnungsarmen Eisen-Nickel-Legierung
JPH09268348A (ja) * 1996-04-03 1997-10-14 Hitachi Metals Ltd 電子部品用Fe−Ni系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30360B2 (ja) * 1997-05-13 2006-01-05 東北特殊鋼株式会社 高強度低熱膨張合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34401A1 (de) 2001-03-22
EP1206588B1 (de) 2004-10-27
EP1206588A1 (de) 2002-05-22
HK1047772A1 (en) 2003-03-07
DE50008438D1 (de) 2004-12-02
HK1047772B (zh) 2004-08-20
PL195127B1 (pl) 2007-08-31
WO2001007673A1 (de) 2001-02-01
TWI234588B (en) 2005-06-21
CN1140644C (zh) 2004-03-03
CN1357056A (zh) 2002-07-03
KR20020016649A (ko) 2002-03-04
JP2003505594A (ja) 2003-02-12
PL353027A1 (en) 200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99280A (ja) モリブデン−レニウム合金
KR100531951B1 (ko) 열팽창율이 낮은 크리프 내성 아이언 니켈 합금
KR100502818B1 (ko) 열팽창계수가 낮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아이언-니켈합금
KR100266974B1 (ko) 철-니켈 합금
JP2944211B2 (ja) タンタルまたはニオブ基合金
JP2002543291A (ja) 鉄−ニッケル合金
JPS6231925A (ja) カラ−ブラウン管
DE19934400C2 (de) Verwendung einer kriechbeständigen wärmeausdehnungsarmen Eisen-Nickel-Legierung
JP2755962B2 (ja) 低膨張非磁性合金および電子管の管内部品
JPH05186853A (ja) シャドウマスク用アンバ−合金
US20040052675A1 (en) Iron-nickel alloy with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exceptional mechanical properties
JP4221451B2 (ja) シャドウマスク用合金及びシャドウマスク用素材
JPH06122945A (ja) Fe−Ni系電子銃電極材料
JPH0734199A (ja) Fe−Ni系電子銃電極材料
KR0129826B1 (ko)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S6142838A (ja) カラ−受像管
JPH03166338A (ja) ブラウン管用シャドウマスク材
JP2515125B2 (ja) 低膨張鋼
JP3030065B2 (ja) 高膨張合金
JPH03166339A (ja) ブラウン管用シャドウマスク材
JP2001032046A (ja) エッチング性および低熱膨張特性に優れたFe−Ni−Co系合金
JPH0525580A (ja) 低膨張低磁性材料および電子管内部品
JP2003328084A (ja) 加工性およびエッチング性に優れた高強度Fe−Ni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85286A (ja) 耐熱へたり性の優れた高硬度高膨張合金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高硬度高膨張合金金属板及び耐熱へたり性の優れた高硬度高膨張合金の製造方法
JP2001342547A (ja) 封着用合金,その合金を用いたブラウン管用パネルピ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