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826B1 -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826B1
KR0129826B1 KR1019940021969A KR19940021969A KR0129826B1 KR 0129826 B1 KR0129826 B1 KR 0129826B1 KR 1019940021969 A KR1019940021969 A KR 1019940021969A KR 19940021969 A KR19940021969 A KR 19940021969A KR 0129826 B1 KR0129826 B1 KR 0129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alloy plate
expansion
expansion alloy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935A (ko
Inventor
도시히로 우에하라
고지 사토
슈이치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마츠노 고지
히타치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노 고지, 히타치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노 고지
Priority to KR1019940021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826B1/ko
Publication of KR960008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16Mounting arrangements of aperture plate to frame or vessel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샤도우 마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평행하게 결합된 형태의 바이메탈을 포함하고, 강도가 크며 내열변형성이 우수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는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여기서, 저팽창 합금판은 내열변형성이 우수하고,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1 내지 0.5%, Si 1.0% 이하, Mn 2.0% 이하, Ni 30 내지 40%, Mo 1.0 내지 5.0%와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6×10-6/℃ 이하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00kgf/㎟ 이상이다)
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이상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다. 임의로 저팽창 합금판은 Cr l0.0% 이하와 Co 10.0% 이하를 추가로 함유하고 (Ni+Co)의 함량은 30 내지 40%이다.

Description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갖는 컬러 브라운관의 단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각각 형성하는 바이메탈의 상면도와 측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의 상면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컬러 브라운관(음극선 관)에서 샤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지지하여 색수처(color drift)를 조정하는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예 : 평행하게 결합된 시트를 포함하는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지지체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컬러 브라운관이 장착된 텔레비젼 셋트에 있어서, 샤도우 마스크가 전자 빔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샤도우 마스크는 열팽창되어 색수차 장애를 일으킨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유리 용기에 대하여 샤도우 마스크를 복원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서로 열팽창계수가 상이한 2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가장자리면이 서로 평행하게 결합된 바이메탈(bimetal)의 스프링(spring)을 포함하는 지지체 부재를 사용하여 왔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스프링은 저팽창판인 인바아 합금(invar alloy ; Fe-Ni)과 고팽창판인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austenitic stainless steel ; SUS 304(Fe-18Cr-8Ni)]으로 이루어진 바이메탈(또는 트리메탈)을 압형 및 성형시켜 제조한다.
최근에, 텔레비젼 셋트를 대형화하기 위해, 브라운관을 크게 하고 평평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는 고강도의 소형 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SUS 304와 Fe-36%Ni 인바아 합금을 서로 평행하게 결합시켜 형성된 형태인 바이메탈의 경우, SUS 304와 인바아 합금의 인장강도는 냉각 처리후 숙성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조차도 실온에서 각각 약 120kgf/㎟와 약 80kgf/㎟이다.
특히 인바아 합금의 강도가 낮다. 따라서, 통상적인 지지체 부재는 강도가 층분히 크지 않아 소형 디자인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지지체 부재가 어느 정도 소형화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현재, 지지체 부재를 구성하는 평행하게 결합된 형태의 바이메탈이 보다 큰 강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평행하게 결합된 형태의 바이메탈을 구성하는 금속판도 큰 강도를 필요로 한다.
샤도우 마스크를 브라운관에 삽입시키는 경우, 지지체 부재는 변형되는 동안 400 내지 600℃의 온도에서 수시간 동안 열 이력(heat history)을 나타낸다. 지지체 부재가 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지지체 부재는 이러한 열 이력의 열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평행하게 결합된 형태의 바이메탈(예 : SUS 304와 Fe-36% Ni 인바아 합금의 결합)로 구성된 지지체 부재는 내열변형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지지체 부재가 소형 디자인을 갖을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체 부재를 구성하는 평행하게 결합된 형태의 바이메탈도 내열변형성이 우수할 필요가 있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평행하게 결합된 형태의 바이메탈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내열변형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브라운관이 대형이고 형형한 다지인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크고 내열변형성이 우수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의 형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강도가 크고 내열변형성이 우수함)을 고팽창 합금판(강도가 큼)과 함께 결합시켜 제조한, 강도가 크며 내열변형성이 우수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에 고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이러한 지지체 부재를 구성하는 두 금속판(즉, 고팽창 금속판과 저팽창 금속판) 둘 다의 강도가 증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상 평행하게 결합된 형태인 바이메탈의 두 금속판 중에서 강도가 보다 작은 하나, 즉 Fe-36% Ni 인바아 합금의 강도를 향상 시키는 것이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평행하게 결합된 형태의 바이메탈 중에서 저팽창 물질로 정의된 Fe-36% Ni 인바아 합금의 내열변형성을 연구한 결과, 이의 내열변형성이 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이의 내열변형성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실온에서 인장강도가 크고 30 내지 100℃에서 평균 열팽창계수가 작으며 400 내지 600℃에서 내열변형성이 우수한 합금을 수득하기 위해 Fe-Ni 인바아 합금을 집중적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 사항을 발견하였고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C, Cr 및 Mo를 Fr-Ni 인바아 합금에 첨가함으로써, 실온에서의 인장강도 뿐만 아니라 400 내지 600℃에서의 내열변형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Ni+Co) 함량을 적절하게 조화시킴으로써, 3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열팽창계수도 낮게 유지할 수 있음을 새롭게 밝혀냈다.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의 저팽창 물질을 요구되는 이들 특성, 예를 들면, 고강도, 저열팽창성 및 우수한 내열변형성은 냉각 처리조건과 숙성 처리조건을 최적화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추가로, Fe-하이 Mn-Cr-Ni-N 또는 Fe-Mn-Ni-V-(Cr, Mo, W)의 고팽창 합금판을 저팽창 합금판과 조합하는 경우, 내열변형성이 더욱 우수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수득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라,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여기서, 저팽창 합금판은 내열변형성이 우수하고,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1 내지 0.5%, Si l.0% 이하, Mn 2.0% 이하, Ni 30 내지 40%, Mo 1.0 내지 5.0%와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6×10-6/℃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00kgf/㎟ 이하이다)와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이상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라,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여기서, 저팽창 합금판은 내열변형성이 우수하고,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1 내지 0.5%, Si l.0% 이하, Mn 2.0% 이하, Cr l0.0% 이하, Ni 30 내지 40%, Mo 1.0 내지 5.0%와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100℃에서 10×10-6/℃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00kgf/㎟이하이다)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의 평균 열팽창 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 이상이고 인장 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하이다)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의 평균 열팽창 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 이상이고 인장 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라,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여기서, 저팽창 합금판은 내열변형성이 우수하고,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1 내지 0.5%, Si l.0% 이하, Mn 2.0% 이하, Ni 30 내지 40%, Co 10% 이하, Mo 1.0 내지 5.0%와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데, Ni+Co는 30 내지 40%이며,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6×-6/℃ 이하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00kgf/㎟ 이상이다)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 이상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라,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여기서, 저팽창 합금판은 내열변형성이 우수하고,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1 내지 0.5%, Si l.0% 이하, Mn 2.0% 이하, Cr l0.0% 이하, Ni 30 내지 40%, Co 10.0% 이하, Mo 1.0 내지 5.0%와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데, Ni+Co는 30 내지 40%이며,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100℃에서 10×10-6/℃ 이하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00kgf/㎟ 이상이다)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 이상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라,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본 발명의 제1양태 내지 제4양태 중의 어느 한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괭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2 이하, Si 1.0% 이하, Mn l0 내지 20%, Cr l0 내지 20%, Ni 2 내지 10%, 0.4%이하와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데,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 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라,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본 발명의 제1양태 내지 제4양태 중의 어느 한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2% 이하, Si 1.0% 이하, Mn l0 내지 20%, Cr l0 내지 20% , Ni 2 대지 10%, N 0.4% 이하, Mo 3.0% 이하 및 V 1.0%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양태에 따라,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본 발명의 제1양태 내지 제4양태 중의 어느 한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2 내지 1.0%, Si l.0% 이하, Mn 2 내지 10% , Ni 8 내지 20%, V 0.1 내지 1.5% 이하, Cr 6.0% 이하, Mo 4% 이하 및 W 4% 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6×10-6/℃ 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양태에 따라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본 발명의 제1양태 내지 제4양태 중의 어느 한 양태에서 정의한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2 대지 1.0%이하, Si l.0% 이하, Mn 2 내지 10% , Ni 8 내지 20%, V 0.1 내지 1.5%, N 0.1% 이하, Cr 6.0%이하, Mo 4%이하 및 W 4%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6×10-6/℃ 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양태에 따라,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본 발명의 제1양태 내지 제4양태 중의 어느 한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2 내지 1.0%이하, Si l.0% 이하, Mn 2 내지 10%, Ni 8 내지 20%, V 0.1 내지 1.5%, N 0.5% 이하, Cr 6.0%이하, Mo 4%이하 및 W 4%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6×10-6/℃ 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양태에 따라,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본 발명의 제1양태 내지 제4양태 중의 어느 한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2 내지 1.0%이하, Si l.0% 이하, Mn 2 내지 10% , Ni 8 내지 20%, V 0.1 내지 1.5%, Nb 0.5% 이하, N 0.1% 이하, Cr 6.0%이하, Mo 4%이하 및 W 4%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6×10-6/℃ 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1양태에 따라, 제1양태 내지 제4양태 중의 어느 한 양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을 냉각 처리하여 40%이상 감소시킨 다음, 저팽창 합금판을 650℃ 이하의 온도에서 숙성 처리하는 단계 및 후속적으로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의 가장자리면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내열변형성이 우수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체 부재중 가장 중요한 특징의 하나는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 둘 다의 인장강도가 100 내지 110kgf/㎟ 이상이고 융접 등에 의해 가장자리면을 겹합 또는 접합시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합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거나 제안되지 않았고 이러한 지지체 부재는 모두 신규하다.
이후, 본 발명의 지지체 부재를 구성하는 저팽창 합금의 원소의 효과를 기술한다.
C는 Cr 및 Mo와 함께 본 발명의 합금중 고체 용액 상태로 존재하여 냉각 처리 경화능을 매우 향상시킴으로써, 실온에서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매우 유용한 원소이며, 또한 숙성 처리 도중 C는 Cr 및 Mo와 함께 카바이드를 형성하여 미세하게 침전됨으로써 고온에서의 강도를 증가시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구성하는 물질에 필요한 내열변형성을 매우 향상시킨다. C 함량은 0.1% 이상일 수 있지만, 과량으로 C를 가하는 경우에는 열팽창계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냉각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조악한 카바이드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의 함량은 0.5% 이하여야 한다.
Si는 탈산소제로서 소량 첨가된다. 이 물질을 과량 첨가하면 연성이 저하되므로, 이의 함량은 1.0% 이하로 결정되어 왔다.
Mn도 또한 탈산소제로서 소량 첨가된다. 이 물질을 과량 첨가하면 열팽창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이의 함량은 2.0% 이하로 제한하여 왔다.
Ni는 저열팽창 특성을 수득하는 매우 중요한 원소이며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의 저팽창 물질에 필요한 저열 팽창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30 내지 40%의 양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다. Ni 함량이 30% 이하인 경우, 마르텐사이트 변형온도가 상승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형이 냉각 처리 도중에 발생하기 쉽고 열팽창계수가 상승한다. 반면, 이의 함량이 40% 이상인 경우, 굴절온도는 상승하지만, 저온에서의 열팽창계수는 증가한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 목적하는 저열팽창계수를 수득할 수 없기 때문에 이의 함량은 30 내지 40% 이어야 한다.
C와 혼합하여 가하는 경우에 Mo는 강도를 증가시키는 냉각 처리에 의한 경하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Mo는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에 필요한 내열변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원소이다. 이는 고체 용액 상태중의 Mo와 C간의 상호 작용과 또한 Mo 부분의 미세 카바이드의 석출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Mo 함량은 1.0% 이상이 좋으나 5.0% 이상의 양을 가하면 다량의 카바이드를 형성하여 연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Mo 함량은 1.0 내지 5.0%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합금에서, Cr을 항상 첨가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물질을 첨가하면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에 필요한 내열변형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 함량이 10.0% 이상인 경우, 오스테나이트 구조가 불안정해지고 열팽창계수가 너무 높아진다. 따라서, Cr 함량은 10.0% 이하여야 한다.
Ni와 유사하게 Co는 저열팽창 특성을 수득하는테 효과적인 원소이며 이의 효과는 Ni에 비해 더 크다. Co를 10% 이상의 양으로 첨가하는 경우, 굴절온도가 그다지 변화하지 않는데도 마르텐사이트 변형온도가 상승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형이 냉각 처리 도중에 발생하기 쉬우며 열팽창계수가 상승한다. 따라서, 이 함량은 10% 이하여야 한다. 또한 Co는 저열팽창 특성을 얻는데, Ni에 의해 수득된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동량으로 Ni를 치환할 수 있고, (Co+Ni) 함량에 의해 배열될 수 있다. (Co+Ni) 함량이 30% 이하인 경우, 마르텐사이트 변형온도가 상승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형이 냉각 처리 도중에 발생하기 쉽고 열팽창계수가 증가한다. 반면에, 이 함량이 40% 이상인 경우, 저온에서의 열팽창계수는 증가한다. 각각의 경우, 목적하는 저열팽창 특성을 수득할 수 없기 때문에 이의 함량은 30 내지 40%이어야 한다.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에 높은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인장강도가 높아야 한다. 또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는 높은 인장강도 이외에도 우수한 내열변형성을 가져야 한다.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가 우수한 내열변형성을 갖기 위하여,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가 우수한 내열변형성을 갖기 위하여, 우수한 내열 변형성을 갖는 본 발명의 지지체 부재의 저팽창 합금은 먼저 통상적인 저팽창 합금(Fe-36% Ni 합금) 대신에 사용한 다음 인장강도 수준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인장강도는 본 발명의 지지체 부재의 저팽창 합금을 냉각 처리함으로써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체 부재의 저팽창 합금의 인장강도가 통상적인 저팽창 합금(Fe-36% Ni 인바아 합금)보다 더 높은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의 인장 강도는 100kgf/㎟ 이상이어야 한다.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에서, 열팽창계수는 대부분 실온 내지 100℃의 범위내에서 의미가 있다.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구성하는 두개의 금속판 사이의 열팽창 계수 차이에 의하여 색수차를 조정하기 위해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저팽창 물질의 열팽창계수(실온 내지 100℃의 범위에서의 평균 값)를 10×10-6/℃ 이하인 것으로 결정한다. 이의 열팽창계수는 6×1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탈산소 원소(예 : Al, Ti, Mg, Ca 및 B)가 불순물로 우연히 함유되거나 극소량 첨가되는 경우, 이는 이의 함량이 다음의 범위내일 때는 특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Al, Ti ≤ 0.1%
Mg, Ca, B ≤ 0.0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지지체 부재의 저팽창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지지체 부재의 저팽창 합금은 우선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조성물을 갖도록 제조하여 실온에서의 인장강도와 내열변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각 처리를 수행한다. 본 지지체 부재의 저팽창 합금의 조성물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경우에도, 감소가 40% 이하이면 적합한 인장 강도는 수득될 수 없다. 따라서, 감소는 40% 이상이어야 한다.
냉각 처리후 숙성 처리를 인장강도, 인장 연성, 내열 변형성 및 스프링 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숙성 처리가 650℃ 이상에서 수행되는 경우, 실온에서의 인장강도는 매우 저하된다. 따라서, 숙성 처리는 65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팽창 합금판을 고팽창 합금판과 용적 등에 의해 가장자리면으로 함께 접착함으로써 형성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는 인장강도가 크고 내열 변형성이 우수하며 브라운관의 대형화 및 이의 평평한 디자인에 적합하다.
다음으로, 특허정구의 범위 제5항 및 제6항에 인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지지체 부재의 고팽창 합금의 원소 효과를 기술한다.
C는 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중에 고체 용액 상태로 존개하여 매트릭스를 강화시킨다. 그러나 이 물질을 0.2% 이상의 양으로 첨가하는 경우, N의 고체 용액성이 감소함에 따라 내열 변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N의 고용체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의 함량은 0.2% 이하여야 한다.
Si는 탈산소제로서 소량 첨가된다. 그러나, 이 물질이 과량으로 첨가되면 연성이 저하되므로 이의 함량은 1.0% 이하로 제한한다.
Mn은 N의 고체 용해성을 증가시켜 실온에서의 강도와 내열변형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를 안정화시켜 높은 열팽창 특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원소이다. 그러나 이 함량이 10% 이하인 경우, N의 고체 용해성이 부적합한 반면, 이 함량이 20% 이상인 경우, 가공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함량은 10 내지 20%이어야 한다.
Cr은 Mn과 유사하게, N의 고체 용해성을 증가시켜 실온에서의 강도와 내열변형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원소이다. 이 함량이 10% 이하인 경우, N의 고체 용해성이 부적합한 반면, 이 함량이 20% 이상연 경우, 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가 불안정해지고 열팽창계수가 낮아진다. 따라서 이 함량은 10 내지 20%이어야 한다.
Mn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높온 열팽창계수를 수득하기 위해 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를 안정화시키는데 2% 이상의 Ni이 필요하다. 이 함량이 10% 이상인 경우, N의 고체 용해성이 낮아져 실온에서의 강도와 내열변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 함량은 2 내지 10% 이어야 한다.
N은 오스테나이트 구조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 중에 고체 용해 상태로 함유되어 열팽창계수를 증가시키고, 또한 고체 용해를 강화하여 실온에서의 강도와 특히 내열변형성을 크게 개선하는 주요성분이다. 이 함량이 0.4% 이상인 경우, 주조성과 용접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함량은 0.4% 이하여야 한다.
V 및 Mo는 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중에 고체 용액 상태로 존재하거나 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중에 미세 카바이드로 침전되므로, 내열변형성을 추가로 향상시킨다. 두 원소 중의 하나 또는 둘 다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V의 함량이 1.0% 이상인 경우, 조악한 1차 카바이드를 형성하여 가공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Mo의 함량이 3% 이상인 경우, 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를 불안정하게 하여 열팽창계수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V 함량은 1.0% 이하여야 하며, Mo 함량은 3.0% 이하여야 한다.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에서 열팽창계수는 주로 30 내지 100℃의 범위내에서 의미가 있다.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구성하는 두개의 금속판 사이의 일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색수차를 조정하기 위해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사용할 수 있기 위해, 고팽창 물질의 열팽창계수(30 내지 100℃의 범위 내에서의 평균 값)는 14×10-6/℃ 이상으로 결정한다.
인장강도가 높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에 높은 강도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팽창 합금판이 저팽창 합금판에 비해 강도가 더 클 경우,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는 강도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고팽창 합금의 인장강도는 110kgf/㎟ 이상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 내지 10항에 인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지지체 부재의 고팽창 합금의 원소 효과를 기술한다.
C는 오스테나이트 구조를 안정화시켜 고팽창 특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또한 냉각 처리 경화능을 크게 향상 시켜 실온에서의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고, 또한 V, Cr, Mo 및 W와 함께 카바이드를 형성하고 미세하게 침전되어 고온에서의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구성하는 물질에 필요한 내열변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러한 효과를 성취하기 위하여, C는 0.2% 이상의 양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함량이 1.0% 이상인 경우, 조악한 1차 카바이드가 형성되어 연성을 저하시킴으로써 물질의 가공성과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의 성형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함량은 0.2 내지 1.0%이어야 한다.
Si는 탈산소제로서 소량 첨가된다. 이 물질이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 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 함량은 1.0% 이하로 결정한다.
Mn은 오스테나이트 구조를 안정화시켜 고팽창 특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또한 냉각 처리 경화능이 크게 향상되어 실온에서의 강도를 증가시키는테 효과적이다. 이 함량이 2% 이하인 경우, 이의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반면, 이 함량이 10% 이상인 경우, 열 처리중의 내산화성 뿐판 아니라 고온 가공성에 크게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함량은 2 내지 10%이어야 한다.
Ni는 오스테나이트 구조를 안정화시켜 높은 열팽창 특성을 유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며 필수적이다. 이 함량이 8% 이하연 경우, 이의 효과는 만족스럽지 않은 반면, 이 함량이 20% 이상인 경우, 오스테나이트 구조가 지나치게 안정화되어 저온 작업 도중에 경화능이 저하되므로 실온에서 층분히 높은 강도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이 함량은 8 내지 20%이어야 한다.
V는 1차 카바이드를 형성하여 결정 상태를 미세하게 만들어 실온에서 강도를 높이고, 또한 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 중예 고체 용액 상태로 부분적으로 함유되거나 숙성 처리 도중에 오스테나이트 구조중에 미세 카바이드가 침전됨으로써 내열 변형성과 실온에서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이 함량이 0.1% 이하인 경우, 위의 효과는 만족스럽지 않은 반면, 이 함량이 1.5% 이상인 경우, 다량의 조악한 1차 카바이드가 형성되어 원료의 가공성과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의 성형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함량은 0.1 내지 1.5%이어야 한다.
Cr, Mo 및 W는 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중에 고체 용액 상태로 포함되거나, 숙성 처리 동안 오스테니틱 매트릭스중에 미세 카바이드로서 침전되어, 실온에서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특히 내열변형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유효 원소이다. 이들 원소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를 첨가한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아철산염-형성 원소이므로, Cr 함량이 6.0% 이상이고 Mo 함량이 4.0% 이상이며 W 함량이 4.0% 이상인 경우, 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는 불안정하게 되어 고열팽창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Cr 함량은 6.0% 이하이어야 하고 Mo 함량은 4.0% 이하이어야 하며 W 함량은
4.0% 이하이여야 한다.
Nb는 제1카바이드를 형성하여 결정 상태를 미세하게 만들어 실온에서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유효 원소이다. 이 원소는 필요시에 적당히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의 함량이 0.5% 이상인 경우, 조악한 1차 카바이드가 다량 형성되어 물질의 가공성과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의 성형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의 함량은 0.5% 이하이어야 한다.
N은 오스테니틱 매트릭스중에 고체 용액 상태로 포함되어 오스테니틱 매트릭스를 고체-용액-강화시킴으로써 실온에서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특히 내열변형성을 향상시키는 유효원소이다. 이 원소는 필요시에 첨가할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이 0.1% 이상인 경우, 용접성이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의 함량은 0.1% 이하이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내열변형성이 뛰어난 고강도의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이 평행하게 결합된 형태인 바이메탈을 형성하도록 버트 용접에 의해 가장자리 표면 위에 함께 조합하여, 즉 함께 결합시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공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는 강도가 크고 내열변형성이 뛰어나며, Fe-36% Ni 인바아 합금과 SUS304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통상의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보다 강도가 상당히 크다.
실시예
제1도에서 참조번호(11)을 컬러 브라운관(3) 내에 놓이는 차폐판(1)을 스터드 핀(2)을 통해 지지하기 위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나타낸다.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는 저팽창 합금부(10a)와 고팽창 합금부(9a)를 포함하고, 이 두 합금부는, 제2a도, 제2b도,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빔 용접과 같은 수단에 의해 가장자리면(10'부 및 9'부)으로 결합된다. 표 1에 나타난 각각의 본 발명의 지지체 부재용의 저팽창 합금, 비교용 합금 및 통상의 합금을 진공 유도용융노에서 용융시키고 10㎏의 잉곳(ingot)으로 만든다. 두께가 약 4mm인 판으로 열 단조 및 열 롤링시켜 각각의 잉곳을 만든다. 이어서, 판을 30분 동안 980℃에서 고체 용액 처리하고, 스케일을 제거한 다음, 냉각 롤링에 의해 15 내지 90℃ 감소시켜 다양한 두께의 판을 만든다. 이어서, 이와 같이 형성된 판을 450 내지 700℃에서 숙성 처리한 후, 인장시험, 열팽창 측정, 열변성시험 및 전자 빔 용접시험을 수행한다. 열변성시험에서는 폭이 10㎜이고 길이가 100㎜인 각각의 판형 시험편을 중심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5㎜굴곡되는 방식으로 고정시키고, 이러한 고정 상태에서 시험편을 1시간 동안 450℃에서 가열한다. 이어서, 냉각시킨 후 시험편을 떼어내고, 고정전 상태와 비교하여, 시험편의 영구 변형량(일변형 시험에 의한 변화량)을 측정하고, 내열변형성을 이러한 변화량 값에 따라 비교하고 평가한다.
[표 1]
표 1에서, 합금 번호 1 내지 17은 본 발명의 지지체 부재용의 저팽창 합금을 나타내고, 합금 번호 18 내지 22는 배교용 합금을 나타내며, 합금 번호 23은 Fe-36% Ni 인바아 합금을 나타낸다. 냉각 처리 및 숙성 온도가 다양한 합금 (표 1에 나타냄)으로 제조된 시험편은 실온에서의 인장강도, 파단신도 및 3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열팽창계수를 측정한다. 이의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열변형시험에 의한 변화량을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판, 비교용 합금판 및 동상의 합금판에 대해 측정하며, 그 결과가 표 3에 나타나 있다. 또한, 이들 합금판 각각 및 SUS304 판(고팽창판의 일례)을 전자 빔 용접에 의해 이의 가장자리면에 함께 결합시키고, 용접 상태를 시험한다. 이의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4는 바이메탈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판(10)에 적합하게 용접시킨 후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체 부재(11)을 형성하도록 비울 수 있는 고팽창 합금판(9)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고팽창 합금의 조성을 나타낸다. 이들 고팽창 합금의 인장강도와 3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열팽창계수도 또한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 4에서, 합금 번호 24 내지 52, 합금 번호 26 내지 29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5항 및 제6항에서 인용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팽창 합금이며, 합금번호 24 및 25는 통상의 고팽창 합금(SUS304)이다. 합금 번호 30 내지 51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 내지 제10항에서 인용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팽창 합금이고, 합금 범호 52는 SUS316이다. 냉각처리와 숙성 처리를 조합함으로써, 이들 고팽창 합금 각각의 강도가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에 필요한 수준까지 증가되며 이로써 이들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을 전자 빔 용접에 의해 이들의 가장자리면을 함께 결합시켜 용접부가 폭 방향으로 판의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판형 시험편(폭 10㎜, 길이 100㎜)을 제조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시험편을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으로 열변성시험을 수행하고, 이들 시험편의 용접능을 평가한다. 이들 결과가 표 5에 나타나 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합금 번호 1 내지 17은 각각 인장강도가 100kgf/㎟ 이상이고 실제 사용에 충분한 파단신도를 갖는다. 게다가,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서 인용되는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번호 1 내지 6과 특허정구의 범위 제3항에서 인용되는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번호 13 및 14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6×10-6/℃ 이하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서 인용되는 바와 같이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 번호 7 내지 12와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서 인용되는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 번호 15 내지 17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0×10-6/℃이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은 열팽창계수가 낮다.
[표 2]
[표 3]
[표 4]
[표 5]
다른 한편으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용 합금번호 18 내지 22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서조차도 인장강도가 낮고 3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열팽창계수가 높다. 따라서, 인장강도 또는 이러한 평균 열팽창계수는 본 발명의 범위밖이다. 통상의 합금 번호 23은 30 내지 100℃에서 열팽창계수가 낮고 인장강도가 낮으므로,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밖이다.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보다 낮은 온도에서 냉각 처리되거나, 본 발명의 방법에서 보다 높은 온도에서 숙성 처리되는 경우, 인장강도가 낮기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밖이다. (표 2).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은 C 함량이 낮은 비교용 합금 번호 18과 C함량이 낮고 Cr 및 Mo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용 합금 번호 23보다 열변형시험에 의한 변화량이 상당히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의 내열변형성은 양호하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 전자빔 용접능은 비교용 합금과 통상의 합금의 용접능처럼 양호하머,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은 평행하게 결합된 형태의 바이메탈의 제조시 용접능에 문제가 없어,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가 만족스럽게 제조될 수 있다.
표 4에 나타난 고팽창 합금 각각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에서 16×10-6/℃ 이상의 값을 만족시킨다. 또한, 이들 고팽창 합금은 실온에서 110kgf/㎟ 이상의 인장강도를 막족시킨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판과 표 4의 고팽창 합금판을 함께 용접시켜 형성된 지지체 부재는 Fe-36% Ni 인바아 합금과 SUS304를 함께 배합하여 형성된 통상의 지지체 부재보다 상당히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특허청구의 범위 제5항 내지 제10항에서 인용되는 바와 같이 합금 번호 26 내지 51)을 함께 용접시켜 형성된 지지체 부재는 본 발명의 저팽창 합금판과 SUS304(표 4에서 합금 번호 24)를 함께 용접시켜 형성된 지지체 부재보다 내열변형성이 뛰어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도가 높고 내열변형성이 우수한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을 조합하여 형성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는 강도가 높고 내열변형성이 뛰어나며, 이러한 지지체 부재는 브라운관의 대형화 및 이의 평편 디자인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1)

  1.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여기서, 저팽창 합금판은 내열변형성이 우수하고,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1 내지 0.5%, Si l.0% 이하, Mn 2.0% 이하, Ni 30 내지 40%, Mo 1.0 내지 5.0%와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6×10-6/℃ 이하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00kgf/㎟ 이상이다)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 이상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2.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여기서, 저팽창 합금판은 내열변형성이 우수하고,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1 내지 0.5%, Si 1.0% 이하, Mn 2.0% 이하, Cr l0.0% 이하, Ni 30 내지 40%, Mo 1.0 내지 5.0%와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평균 열팽창 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0×10-6/℃ 이하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l00kgf/㎟ 이상이다)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의 평균 열팽창 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 이상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3.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여기서, 저팽창 합금판은 내열변형성이 우수하고,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1 내지 0.5%, Si l.0% 이하, Mn 2.0% 이하, Ni 30 내지 40%, Co 10.0% 이하, Mo 1.0 내지 5.0%와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데, Ni+Co는 30 내지 40%이며,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6×10-6/℃ 이하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00kgf/㎟ 이상이다)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의 평균 열팽창 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 -6/℃ 이상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4.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여기서, 저팽창 합금판은 내열변형성이 우수하고,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1 내지 0.5%, Si l.0% 이하, Mn 2.0% 이하, Cr 10.0% 이하, Ni 30 내지 40%, Co 10.0% 이하, Mo 1.0 내지 5.0%와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데, Ni+Co는 30 내지 40%이,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0×10-6/℃ 이하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00kgf/㎟ 이상이다)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 이상이고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5.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1 내지 0.5%, Si 1.0% 이하, Mn l0 내지 20% 이하, Cr 10 내지 20% 이하, Ni 2 내지 10%, N 0.4%이하와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 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6.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2% 이하, Si 1.0% 이하, Mn l0 내지 20% , Cr 10 내지 20% , Ni 2 내지 10%, N 0.4% 이하, Mo 3.0% 이하 및 V 1.0%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일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4×10-6/℃ 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7.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2 내지 1.0%, Si 1.0% 이하, Mn 2내지10%, Ni 8내지20%, V 0.1내지1.5%, Cr 6.0% 이하, Mo 4% 이하 및 W4% 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6×10-6/℃ 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8.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2 내지 1.0%, Si l.0% 이하, Mn 2 내지 10% , Ni 8 내지 20%, V 0.1 내지 1.5%, N 0.1% 이하, Cr 6.0% 이하, Mo 4% 이하 및 W 4%이하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6×10-6/℃ 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9.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2 내지 1.0%, Si 1.0% 이하, Mn 2 내지 10% , Ni 8 내지 20%, V 0.1 내지 1.5%, Nb 0.5% 이하, Cr 6.0% 이하, Mo 4% 이하 및 W 4%이하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6×10-6/℃ 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10. 가장자리면이 서로 결합된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여기서, 고팽창 합금판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C 0.2 내지 1.0%, Si l.0% 이하, Mn 2 내지 10% , Ni 8 내지 20%, V 0.1 내지 1.5%, Nb 0.5% 이하, N 0.1% 이하, Cr 6.0% 이하, Mo 4%이하 및 W 4%이하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잔여량의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균 열팽창계수는 30 내지 100℃에서 16×10-6/℃ 이상이며 인장강도는 실온에서 110kgf/㎟ 이상이다)으로 이루어진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고강도 저팽창 합금판을 냉각 처리하여 40%이상 감소시킨 다음, 저팽창 합금판을 650℃이하의 온도에서 숙성 처리하는 단계 및 후속적으로 저팽창 합금판과 고팽창 합금판의 가장 자리면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내열 변형성이 우수한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40021969A 1994-08-29 1994-08-29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0129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969A KR0129826B1 (ko) 1994-08-29 1994-08-29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969A KR0129826B1 (ko) 1994-08-29 1994-08-29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935A KR960008935A (ko) 1996-03-22
KR0129826B1 true KR0129826B1 (ko) 1998-04-07

Family

ID=1939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969A KR0129826B1 (ko) 1994-08-29 1994-08-29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085B1 (ko) * 1994-12-29 2002-08-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섀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의훅스프링및이를이용한칼라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935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83254B1 (en) Heat resisting steel
JPS62124218A (ja) 加工性に優れ溶接軟化のない高強度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EP0411515A1 (en) High strength heat-resistant low alloy steels
US5502350A (en) Shadow mask support member having high strength and thermal deformation resistant low-expansion alloy plate and high expansion alloy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0129826B1 (ko) 샤도우 마스크 지지체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322486A (ja) シャドウマスク支持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58939B1 (ko) 고온강도특성이 우수한 인장강도58kgf/mm2급 건축용 강재의 제조방법
US2002011724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e-Ni alloy material for pressed flat mask
JP3221462B2 (ja) 並接バイメタル用高強度高膨張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高強度並接バイメタル
US4049432A (en) High strength ferritic alloy-D53
JPH1068050A (ja) 耐熱へたり性に優れたばね用ステンレス鋼
JP3354480B2 (ja) 高強度高膨張合金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22680B2 (ja) ブラウン管のマスクフレーム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連続焼鈍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46127B2 (ja) 高低圧一体型ロータ用高強度耐熱鋼及びタービンロータ
JPS61166947A (ja) シヤドウマスク
JPS62243742A (ja) クリ−プ破断強度に優れたオ−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
JP2000234150A (ja) 板ばね用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冷間圧延鋼帯および板ばねの製造方法
JP2000192194A (ja) 耐熱へたり性の優れた高硬度高膨張合金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15656B1 (ko) 고온강도특성이우수한인장강도58kgf/mm2급건축용강재의제조방법
JP3042273B2 (ja) 耐銹性に優れたICリードフレーム用Fe−Ni 系合金薄板の製造方法
JP2583654B2 (ja) 低温靭性に優れた高ヤング率構造用鋼板の製造方法
JP3606135B2 (ja) ばね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3383549B2 (ja) Fe−Ni系合金薄板の製造方法
JP2002285286A (ja) 耐熱へたり性の優れた高硬度高膨張合金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高硬度高膨張合金金属板及び耐熱へたり性の優れた高硬度高膨張合金の製造方法
JP3587949B2 (ja) 高強度高膨張合金および素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