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721B1 - 검출 스위치가 부착된 전원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검출 스위치가 부착된 전원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721B1
KR100530721B1 KR10-2003-0029270A KR20030029270A KR100530721B1 KR 100530721 B1 KR100530721 B1 KR 100530721B1 KR 20030029270 A KR20030029270 A KR 20030029270A KR 100530721 B1 KR100530721 B1 KR 100530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bottom wall
contact
wall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871A (ko
Inventor
나가노도모야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8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4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the contact forming a part of a coil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25Bridging contacts comprising two-parallel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66Auxiliary contact device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방수 기능도 갖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바닥벽(1)은, 제 1 가동 접점(10)이 맞닿을 수 있는 제 1 고정 단자(2)와, 제 2 가동 접점(12)이 맞닿을 수 있는 제 2 고정 단자(3)를 배치하고, 커버 부재(13)의 수납부(14)를 경계벽(1a)으로 제 1, 제 2 수납부(18,19)로 나누고, 제 1 가동 접점(10)과 제 1 고정 단자(2)로 제 1 스위치부를 형성하고, 제 2 가동 접점(12)과 제 2 고정 단자(3)로 제 2 스위치부를 형성하여, 제 1 스위치부를 수납부(14)의 제 1 수납부(18)에, 제 2 스위치부를 제 2 수납부(19)에 각각 배치하였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검출 스위치가 부착된 전원 스위치 장치{POWER SWITCH DEVICE WITH DETECTION SWITCH}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검출 스위치가 부착된 전원 스위치로서 사용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검출 스위치부와 전원 스위치부를 동일한 케이스에 수납한 내장 타입의 스위치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검출 스위치가 부착된 전원 스위치의 구조로서는, 기존의 검출 스위치를 전원 스위치의 전부 또는 후부 등에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접속, 고정하여 형성한 외부 부착 타입의 스위치 장치나, 전원 스위치부의 본체 케이스내에 기존의 검출 스위치의 스위치부를 설치하여 형성한 내장 타입의 스위치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외부 부착 타입의 스위치 장치는, 기존의 검출 스위치를 그대로 사용하고, 검출 스위치의 조작부가 되는 조작 레버의 형상을 일부 변경함으로써, 전원 스위치의 조작부에 연이어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로의 가압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전원 스위치의 조작부를 가압 조작한 경우에, 검출 스위치도 동시에 조작되도록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전원 스위치부와 검출 스위치부는, 각각 별개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가압 조작 방향과 평행한 직렬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내장 타입의 스위치 장치는, 기존의 검출 스위치에서 조작 레버 및 케이스 부분을 삭제하여, 스위치부를 꺼내고, 이 스위치부만 전원스위치의 케이스내에 설치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전원 스위치측의 케이스와, 필요에 따라 조작부가 되는 슬라이드 부재의 형상을 일부 변경함으로써, 검출 스위치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경우, 전원 스위치부와 검출 스위치부는, 동일한 케이스내에 내장되어, 연결 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부와 검출 스위치부는, 가압 조작 방향과 평행한 직렬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검출 스위치가 부착된 전원 스위치의 구조에 있어서, 외부 부착 타입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기존의 검출 스위치를 연결 부재 등으로 전원 스위치의 전후에 연결하였기 때문에, 검출 스위치부의 장착부의 강도 문제, 또는 외부 부착시의 치수 편차 등으로 인한 ON 검출 위치의 편차 등이 있었다. 또한, 부품 개수의 증가로 인한 조립 작업성의 저하로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 부착 타입, 내장 타입 모두는, 조작부의 가압 조작 방향과 평행한 직렬 방향으로 전원 스위치와 검출 스위치를 장착했기 때문에, 안길이 치수가 커져서, 종래의 스위치 장치를 장착한, 예컨대 세탁기 등의 장치측이 대형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형화가 가능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방수 기능도 갖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하부에 배치한 바닥벽으로 내부의 수납부를 차폐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되어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킨 조작부를 가압 조작할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벽은, 상기 수납부를 제 1, 제 2 의 2 개의 수납부로 나누는 경계벽을 갖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조작부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상기 경계벽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지지벽을 갖고, 이 지지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수납부측에 제 1 접점 지지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수납부측에 제 2 접점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접점 지지부에는 제 1 가동 접점을 배치하고, 상기 제 2 접점 지지부에는 제 2 가동 접점을 배치하고, 상기 바닥벽은, 상기 제 1 수납부측에 배치한 상기 제 1 가동 접점이 맞닿을 수 있는 제 1 고정 단자와, 상기 제 2 수납부측에 배치한 상기 제 2 가동 접점이 맞닿을 수 있는 제 2 고정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가동 접점과 상기 제 1 고정 단자로 제 1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가동 접점과 상기 제 2 고정 단자로 제 2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제 2 스위치부를 상기 조작부의 가압 조작 방향과 직교하는 병렬 방향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제 1 접점 지지부에 지지하는 제 1 가동 접점은, 판 형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을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지지벽측에 지지하고, 타측을 상기 지지벽과 대향하는 측에 형성한 벽부재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 수납부측의 상기 바닥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1 쌍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가압 조작하면, 상기 제 1 가동 접점의 상기 타측이 상기 1 쌍의 제 1 고정 단자에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2 가동 접점은, 선스프링을 코일 형상으로 감은 권회부를 갖고, 이 권회부로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를 가지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아암부를 형성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2 고정 단자는, 상기 제 2 수납부측의 상기 바닥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1 쌍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가압 조작하면, 상기 1 쌍의 아암부가 상기 1 쌍의 제 2 고정 단자에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6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제 2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 제 2 가동 접점이 맞닿을 수 있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단자부를 각각 갖고, 이 단자부를 상기 바닥벽에 장착하여, 상기 단자부의 선단을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외부로 도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7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바닥벽의 상기 경계벽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경계벽을 따라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8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바닥벽 사이에 제 1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가압 조작을 해제하면, 상기 제 1 코일 스프링의 작용으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가압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자동 복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9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가압 조작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단차부를 갖는 슬라이딩면을 형성하고, 이 슬라이딩면에 압접 가능한 판스프링을 상기 바닥벽측에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가압 조작하여,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단차부에 의해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가압 조작하는 가압력이 변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0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바닥벽을 별체(別體)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하측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상기 수납부의 하측을 상기 바닥벽으로 차폐하고, 상기 바닥벽과 상기 커버 부재의 틈 부분을 밀봉재로 밀봉하여, 상기 수납부의 하측을 밀폐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1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밀봉재는 상기 바닥벽에 장착한 상기 제 1, 제 2 고정 단자의 주위에도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2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조작부상에 돔 형상의 고무 부재를 배치하고, 이 고무 부재로 상기 수납부의 상측을 밀폐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3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탄성 부재상에 구동 막대를 배치하고, 이 구동 막대를 상기 고무 부재에 형성한 압입구멍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조작부에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 부재의 상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하면도이고, 도 6 은 도 5 의 6-6 단면도이고, 도 7 은 도 4 의 우측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부에는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상인 바닥벽(1)이 배치되어 있고, 이 바닥벽(1)은, 수지 재료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커버 부재(13) 내부의 수납부(14)의 개방된 하측을 차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바닥벽(1)의 대략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13) 내부의 수납부(14)를 2 개로 나누는 경계벽(1a)이 소정 높이로 수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계벽(1a)의 전후 방향의 각각의 단부에는, コ자 형상의 홈으로 된 가이드부(1b)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1b)로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6)를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경계벽(1a)의 중앙부 근방에서 도시 좌측에는, 코인 형상으로 형성된 막대 형상의 스프링 지지부(1c)가, 경계벽(1a)보다 낮은 높이로 수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계벽(1a)의 중앙부에는 소정 폭 치수의 절결 홈(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벽(1)은,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한 제 1, 제 2 고정 단자(2,3)가, 각각 1 쌍 압입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고정 단자(2,3)는, 바닥벽(1)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접점부(2a,3a)와, 이 접점부(2a,3a)로부터 일측으로 대략 L자 형상으로 구부러져서, 도시 하측으로 연장되는 단자부(2b,3b)를 갖고, 이 단자부(2b,3b)가 바닥벽(1)에 형성된 압입구멍(1f)에 압입되어, 단자부(2b,3b)의 선단부가 바닥벽(1)의 이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제 1 고정 단자(2)의 접점부(2a)에는, 후술하는 도체판으로 된 제 1 가동 접점(10)과의 도통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접점 부재(2c)가 각각 코킹 또는 압입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또한, 바닥벽(1)의 막대 형상의 스프링 지지부(1c)에는, 판 스프링(4)과 제 1 코일 스프링(5)이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판 스프링(4)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부(1c)에 삽입 통과 가능한 코인 형상의 지지구멍(4a)을 중앙부에 형성한 기부(4b)와, 이 기부(4b)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시켜 상측으로 구부린 1 쌍의 아암부(4c)로 이루어지고, 아암부(4c) 선단에는, 서로 대향시켜 내측으로 원호형상으로 돌출시킨 슬라이딩부(4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아암부(4c)의 간격 치수는, 기부(4b)측보다도 선단부의 슬라이딩부(4d)측을 마이너스시켜 형성하고 있다.
상기 판 스프링(4)은, 코인 형상의 지지구멍(4a)을 코인 형상의 스프링 지지부(1c)에 삽입 통과시키면, 바닥벽(1) 상면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닥벽(1) 상면에 장착된 판스프링(4)의 지지구멍(4a)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지지부(1c)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된 제 1 코일 스프링(5)이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닥벽(1)은, 경계벽(1a)의 양단부에 형성한 홈 형상의 가이드부(1b)에, 수지 재료 등의 절연 재료로 된 슬라이드 부재(6)가, 도시 상하 방향으로 경계벽(1a)을 따라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안내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6)를 도 3 내지 도 7 로 설명하면, 슬라이드 부재(6)는, 도 4 의 정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중앙부에는, 소정 두께의 지지벽(6a)이 형성되고, 이 지지벽(6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는 막대 형상의 조작부(6b)가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6b)에는, 후술하는 구동 막대(16)를 압입할 수 있는 압입구멍(6c)이 소정의 구멍 직경과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벽(6a)에는, 도 3 에 도시한 상하 방향의 상측의 일단면(6d)과 하측의 타단면(6e)으로부터, 판 형상의 가이드부(6f)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6f)가, 바닥벽(1)의 가이드부(1b)에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도시한 지지벽(6a)의 좌측에는, 후술하는 제 1 가동 접점(10)을 지지할 수 있는 제 1 접점 지지부(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접점 지지부(7)는, 지지벽(6a)의 상부로부터 도시 좌측으로 지붕 형상으로 연장되는 벽부재(7a)가 형성되어 내부가 공동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접점 지지부(7)는, 가이드부(6f)를 형성한 지지벽(6a)의 각각의 단면(6d,6e)에, 후술하는 제 1 가동 접점(10)의 지점부(10b)를 지지할 수 있는 1 쌍의 제 1, 제 2 지지 돌기(7b,7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제 2 지지 돌기(7b,7c)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치수의 틈을 두고 형성되고, 이 틈 부분에는 후술하는 제 1 가동 접점(10)의 지점부(10b)를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접점 지지부(7)는, 지지벽(6a)과 대향하는 측의 벽부재(7a)의 하측에 갈고리 형상의 스토퍼부(7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7d)는, 벽부재(7a)의 하측 내면으로부터 지지벽(6a) 방향인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접점 지지부(7)를 구성하는 벽부재(7a)의 천장면에는, 후술하는 제 2 코일 스프링(11)을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 지지구멍(7e)이 소정 깊이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벽(6a)의 우측에는, 후술하는 제 2 가동 접점(12)을 지지할 수 있는 제 2 접점 지지부(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접점 지지부(8)는, 지지벽(6a)의 상부로부터 도시 우측으로 대략 L자 형상의 스프링 지지부(8a)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 지지부(8a)와 지지벽(6a) 사이에 소정 폭 치수의 가이드 홈(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8b)의 상부에는, 바닥벽(1)의 경계벽(1a)에 형성한 절결 홈(1d)에 걸어 맞춰져서 미끄러질 수 있는 걸어맞춤부(8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지지부(8a)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된 제 2 가동 접점(12)의 권회부(12a)를 지지할 수 있는 막대 형상의 접점 지지부(8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6)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 지지부(8d)의 상하에, 스프링 지지부(8a)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각각 다른 1 쌍의 스프링 걸림부(8e,8f)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각각의 스프링 걸림부(8e,8f)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된 제 2 가동 접점(12)의 아암부(12b)를 걸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 의 하면도에 도시한 슬라이드 부재(6)의 하면측에서, 지지벽(6a)의 대략 중앙부에는, 소정의 구멍 직경 치수의 스프링 지지구멍(6g)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지지구멍(6g)은, 깊이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접점 지지부(7)의 벽부재(7a)의 천장면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 도시한 지지벽(6a)에 형성한 스프링 지지구멍(6g)의 상하에는, 판스프링(4)의 아암부(4c)를 수납할 수 있는 판스프링 수납부(9)가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 수납부(9)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측에 소정 폭 치수로 대향하는 제 1 슬라이딩면(9a)과, 상부측에 제 1 슬라이딩면(9a)의 폭치수보다 폭이 넓은 치수로 대향하는 제 2 슬라이딩면(9b)이 형성되고, 제 1 슬라이딩면(9a)과 제 2 슬라이딩면(9b)을 연결하는 단차부(9c)가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 수납부(9)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판스프링(4)의 아암부(4c)를 수납하면, 판스프링(4)의 각각의 슬라이딩부(4d,4d)가 제 1 슬라이딩면(9a)에 압접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6)를 가압 조작하여 하측으로 강하시키면, 단차부(9c)에 슬라이딩부(4d)가 올라 앉아, 판스프링(4)이 탄성 변형된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6)를 가압 조작하는 조작력이 변화하고, 이 조작력의 변화로 조작자가 클릭감을 느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6)의 제 1 접점 지지부(7)에는, 평판 형상으로 대략 직사각형인 제 1 가동 접점(10)이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 1 가동 접점(10)은, 금속판 등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한 형상으로 대략 직사각형상인 기부(10a)를 갖고, 이 기부(10a)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일측으로 돌출하는 설편 형상의 지점부(10b)가 1 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지점부(10b,10b)가, 슬라이드 부재(6)의 제 1, 제 2 지지 돌기(7b,7c)의 사이에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동 접점(10)은, 기부(10a)의 대략 중앙부에 원형상으로 소정 깊이의 스프링 받이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1 쌍의 지점부(10b) 근방의 기부(10a)에는, 원형상의 접점부(10d)가 도시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점부(10b)를 형성한 측과 반대측의 기부(10a)의 타측(10e)이, 슬라이드 부재(6)의 스토퍼부(7d)에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동 접점(10)의 스프링 받이부(10c)에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된 제 2 코일 스프링(11)이 위치하게 되어 있고, 이 제 2 코일 스프링(11)의 상단부는, 슬라이드 부재(6)의 벽부재(7a)의 천장면에 형성한 스프링 지지구멍(7e)에 지지되어, 제 1 가동 접점(10)을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코일 스프링(11)에 탄성 지지된 제 1 가동 접점(10)은, 지점부(10b)가 제 1, 제 2 지지 돌기(7b,7c)의 사이에 지지되고, 지점부(10b)와 반대측의 기부(10a)의 타측(10e)이 갈고리 형상의 스토퍼부(7d)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부재(6)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가동 접점(10), 및 1 쌍의 제 1 고정 단자(2)로 전원 스위치인 제 1 스위치부가 구성되어 있고, 슬라이드 부재(6)를 가압 조작하여 강하시키면, 제 1 가동 접점(10)의 1 쌍의 접점부(10d,10d)가, 제 1 고정 단자(2)의 각각의 접점 부재(2c,2c)에 맞닿게 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1 쌍의 제 1 고정 단자(2,2)가 제 1 가동 접점(10)을 통해 도통하여, 제 1 스위치부가 ON 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6)의 제 2 접점 지지부(8)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된 제 2 가동 접점(12)이 지지되어 있다. 이 제 2 가동 접점(12)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아노선 등으로 된 선스프링을 복수회 감은 권회부(12a)를 갖고, 이 권회부(12a)로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α)를 가지며 외측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아암부(12b,1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가동 접점(12)은, 권회부(12a)를 제 2 접점 지지부(8)의 접점 지지부(8d)에 지지함과 아울러, 일측 아암부(12b)를 일측 스프링 걸림부(8e)에, 타측 아암부(12b)를 타측 스프링 걸림부(8f)에 걸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가동 접점(12)과 1 쌍의 제 2 고정 단자(3)로 검출 스위치인 제 2 스위치부가 구성되어 있고, 슬라이드 부재(6)를 가압 조작하여 제 2 가동 접점(12)을 강하시키면, 2 개의 아암부(12b,12b)가 1 쌍의 제 2 고정 단자(3)에 맞닿는다.
그럼으로써, 1 쌍의 제 2 고정 단자(3,3)가 제 2 가동 접점(12)을 통해 도통하여, 제 2 스위치부가 ON 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닥벽(1)의 상측에는, 바닥벽(1)의 상측을 덮는 커버 부재(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13)는, 주위가 외주벽(13a)으로 둘러싸임과 아울러, 상부가 천장벽(13b)으로 덮여 있고, 내부에 슬라이드 부재(6)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동 형상의 수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14)는, 하측이 개방되어 있고, 이 하측의 개방 부분에 바닥벽(1)이 끼워 맞춰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13)는, 상부의 천장벽(13b) 중앙부에, 후술하는 고무 부재(15)를 장착하기 위한 원호형상의 홈부(13c)가 형성되고, 이 홈부(13c)의 외주에 소정 두께로 벽 형상의 코킹부(13d)가,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호형상의 홈부(13c)의 내측에는, 슬라이드 부재(6)의 조작부(6b)가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13e)이, 소정의 구멍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장벽(13b)의 홈부(13c)에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공동으로 된 돔 형상의 고무 부재(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고무 부재(15)는, 돔 형상의 외주벽(15a)과, 이 외주벽(15a) 하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소정 두께의 단부(15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돔 형상의 외주벽(15a)의 정부에는, 후술하는 구동 막대(16)를 압입할 수 있는 압입구멍(15c)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 부재(15)는, 단부(15b)를 홈부(13c)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코킹부(13d)를 내측으로 넘어뜨려 넣듯이 코킹함으로써, 커버 부재(13)에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구동 막대(16)는, 원반 형상의 조작부(16a)와, 고무 부재(15)의 압입구멍(15c) 및 슬라이드 부재(6)의 압입구멍(6c)에 압입할 수 있는 막대 형상의 압입부(16b)로 이루어져서, 형상이 체스의 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조립은, 우선 바닥벽(1)에 제 1, 제 2 고정 단자(2,3)의 각각의 단자부(2b,3b)를 압입한다. 이어서, 바닥벽(1)의 스프링 지지부(1c)에, 판스프링(4)을 삽입 통과시켜 장착함과 아울러, 판스프링(4)의 기부(4b)상에 제 1 코일 스프링(5)을 삽입 통과시켜 장착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6)는, 제 1 접점 지지부(7)에 제 1 가동 접점(10)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 1 가동 접점(10)의 스프링 받이부(10c)와 슬라이드 부재(6)의 스프링 지지구멍(7e)에 제 2 코일 스프링(11)의 양단부를 장착한다.
그러면, 제 1 가동 접점(10)은, 제 1, 제 2 지지 돌기(7c,7d)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점부(10b)를 지점으로 하여, 타측(10e)이 스토퍼부(7d)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부재(6)에 장착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6)의 제 2 접점 지지부(8)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된 제 2 가동 접점(12)을 장착한다.
이러한, 제 1, 제 2 가동 접점(10,12)을 장착한 슬라이드 부재(6)는, 지지벽(6a)의 양단면(6d,6e)으로부터 돌출하는 가이드부(6f)를, 바닥벽(1)의 가이드부(1b)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상측으로부터 고무 부재(15)를 코킹한 커버 부재(13)를 덮어, 커버 부재(13)의 하측 개방 부분에 바닥벽(1)을 압입함으로써, 커버 부재(13)에 바닥벽(1)이 임시 고정된다.
그러면, 슬라이드 부재(6)의 조작부(6b)가 커버 부재(13)의 관통구멍(13e)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여, 고무 부재(15)의 돔 형상의 외주벽(15a) 내부에 위치한다.
이어서, 구동 막대(16)의 압입부(16b)를 고무 부재(15)의 압입구멍(15c)과, 슬라이드 부재(6)의 압입구멍(6c)에 압입함으로써, 커버 부재(13) 내부의 수납부(14)의 상측이 밀폐된다.
그럼으로써, 커버 부재(13)의 상측으로부터 수납부(14)에 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벽(1)의 외주부와 커버 부재(13)의 외주벽, 및 제 1, 제 2 고정 단자(2,3)와 바닥벽(1)의 압입구멍(1f)과의 각각의 틈을, 에폭시 수지 등의 접착제로 된 밀봉재(17)로 밀봉함으로써, 내부의 수납부(14)의 하측이 밀폐되어, 바닥벽(1)측으로부터 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조립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내부의 수납부(14)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벽(1)의 경계벽(1a)으로 2 개로 나눠져서, 도시 좌측에 제 1 수납부(18), 도시 우측에 제 2 수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수납부(18)에 제 1 가동 접점(10)을 지지한 제 1 스위치부가 형성되고, 제 2 수납부(19)에 제 2 가동 접점(12)을 지지한 제 2 스위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조작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6)가 상측에 위치하여, 제 1, 제 2 스위치부가 OFF된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자가 구동 막대(16)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드 부재(6)를 강하시키면, 슬라이드 부재(6)의 제 1 슬라이딩면(9a)에 위치하고 있던 판스프링(4)의 슬라이딩부(4d)가, 판스프링 수납부(9)의 경사진 형상의 단차부(9c)를 슬라이딩하고, 구동 막대(16)에 가해졌던 가압력이 증대해서, 슬라이드 부재(6)가 더욱 하측으로 가압되어, 슬라이딩부(4d)가 제 2 슬라이딩면(9b)에 위치한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6)를 가압 조작하고 있던 조작력이 급격히 작아져서, 슬라이드 부재(6)를 가압 조작하고 있는 조작자가 클릭감을 느낄 수 있다.
이 클릭감을 느낌과 동시에, 제 1 가동 접점(10)의 접점부(1Od)가 제 1 고정 단자(2)의 접점 부재(2c,2c)에 맞닿아, 1 쌍의 제 1 고정 단자(2,2)가 제 1 가동 접점(10)을 통해 도통하여, 제 1 스위치부가 ON 된다.
또한, 동시에 제 2 가동 접점(12)의 권회부(12a)로부터 연장되는 1 쌍의 아암부(12b,12b)가 제 2 고정 단자(3)의 접점부(3a,3a)에 맞닿아, 1 쌍의 제 2 고정 단자(3,3)가, 제 2 가동 접점(12)을 통해 도통하여, 제 2 스위치부가 ON 된다.
이 때, 전원 스위치인 제 1 스위치부측에 통전되는 전압이, 예컨대 100V 등의 고전압으로, 스위치 ON시에 아크가 발생하였다 해도, 제 1 수납부(18), 제 2 수납부(19)의 사이가 경계벽(1a)으로 차폐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 아크가 제 2 수납부(19)에 튀어 들어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 2 스위치부가 접점 불량 등이 되는 일이 없다.
이 제 1, 제 2 스위치부가 ON 상태로부터, 구동 막대(16)의 가압을 해제하면, 슬라이드 부재(6)가, 제 1 코일 스프링(5)의 탄성력으로, 상측으로 밀어 올려져서, 도 8 에 도시한 초기 상태로 자동 복귀하여, 제 1, 제 2 스위치부가 OFF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경계벽(1a)으로 나눠진 제 1 수납부(18)에 제 1 스위치부를, 제 2 수납부(19)에 제 2 스위치부를 배치하고 있다.
즉, 조작부(6b)의 가압 조작 방향과 직교하는 병렬 방향으로 제 1, 제 2 스위치부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안길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슬라이드 부재(6)에 제 1, 제 2 가동 접점(10,12)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제 1, 제 2 스위치부를 상기 조작부의 가압 조작 방향과 직교하는 병렬 방향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안길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소형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동 접점은, 판 형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을 슬라이드 부재의 지지벽측에 지지하고, 타측을 지지벽과 대향하는 측에 형성한 벽부재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였기 때문에, 제 1 가동 접점이 제 1 고정 단자에 맞닿은 후에도, 슬라이드 부재를 미끄러지게 할 수 있어, 슬라이드 부재의 스트로크를 오버 스트로크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단자는, 제 1 수납부측의 바닥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1 쌍 배치하고,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 조작하면, 제 1 가동 접점의 타측이 1 쌍의 제 1 고정 단자에 맞닿도록 하였기 때문에, 1 쌍의 제 1 고정 단자와 1 개의 제 1 가동 접점으로 제 1 스위치부를 구성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개수가 적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가동 접점은, 선스프링을 코일 형상으로 감은 권회부를 갖고, 이 권회부로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를 가지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아암부를 형성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1 쌍의 아암부가 제 2 고정 단자에 맞닿은 후에도, 슬라이드 부재를 미끄러지게 할 수 있어, 슬라이드 부재의 스트로크를 오버 스트로크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 단자는, 제 2 수납부측의 바닥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1 쌍 배치하고,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 조작하면, 1 쌍의 아암부가 1 쌍의 제 2 고정 단자에 맞닿도록 하였기 때문에, 1 쌍의 제 2 고정 단자와 1 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 2 가동 접점으로 제 2 스위치부를 구성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개수가 적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고정 단자는, 제 1, 제 2 가동 접점이 맞닿을 수 있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단자부를 각각 갖고, 이 단자부를 바닥벽에 장착하여, 단자부의 선단을 바닥벽으로부터 외부로 도출시켰기 때문에, 이 바닥벽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단자부를, 장치측의 기판 등에 납땜 등으로 장착할 수 있어, 장치측으로의 장착이 용이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닥벽의 경계벽은, 슬라이드 부재를 경계벽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를 부드럽게 미끄러지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좋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와 바닥벽 사이에 제 1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고, 슬라이드 부재의 가압 조작을 해제하면, 제 1 코일 스프링의 작용으로 슬라이드 부재가 가압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자동 복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더욱 조작성이 좋은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재는, 가압 조작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단차부를 갖는 슬라이딩면을 형성하고, 이 슬라이딩면에 압접 가능한 판스프링을 바닥벽측에 배치하고,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 조작하여, 판스프링이 단차부에 의해 탄성 변형됨으로써, 가압 조작하는 가압력이 변화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압력의 변화에 의한 클릭감을 느낄 수 있어, 조작성이 좋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와 바닥벽을 별체로 형성하고, 커버 부재는, 수납부의 하측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수납부의 하측을 바닥벽으로 차폐하고, 바닥벽과 커버 부재의 틈 부분을 밀봉재로 밀봉하여, 수납부의 하측을 밀폐하였기 때문에, 바닥벽측으로부터 물 등의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밀봉재는, 바닥벽에 장착한 상기 제 1, 제 2 고정 단자의 주위에도 도포하였기 때문에, 바닥벽측의 방수 구조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슬라이드 부재의 조작부상에 돔 형상의 고무 부재를 배치하고, 이 고무 부재로 수납부의 상측을 밀폐하였기 때문에, 커버 부재의 상측으로부터도 물 등의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확실한 방수 구조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상에 구동 막대를 배치하고, 이 구동 막대를 고무 부재에 형성한 압입구멍을 통해 슬라이드 부재의 조작부에 고착하였기 때문에, 구동 막대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를 미끄러지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좋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하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6-6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4 의 우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벽 1a : 경계벽
1b : 가이드부 1c : 스프링 지지부
2 : 제 1 고정 단자 3 : 제 2 고정 단자
4 : 판스프링 4c : 아암부
4d : 슬라이딩부 5 : 제 1 코일 스프링
6 : 슬라이드 부재 6a : 지지벽
6b : 조작부 7 : 제 1 접점 지지부
7a : 벽부재 7b : 제 1 지지 돌기
7c : 제 2 지지 돌기 7d : 스토퍼부
7e : 스프링 지지구멍 8 : 제 2 접점 지지부
9 : 판스프링 수납부 9a : 제 1 슬라이딩면
9b : 제 2 슬라이딩면 9c : 단차부
10 : 제 1 가동 접점 10a : 기부
10b : 지지부 10c : 스프링 받이부
11 : 제 2 코일 스프링 12 : 제 2 가동 접점
12a : 권회부 12b : 아암부
13 : 커버 부재 13b : 천장벽
13d : 코킹부 14 : 수납부
15 : 고무 부재 15a : 외주벽
15b : 단부 16 : 구동 막대
16a : 조작부 17 : 밀봉재
18 : 제 1 수납부 19 : 제 2 수납부

Claims (13)

  1. 하부에 배치한 바닥벽으로 내부의 수납부를 차폐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되어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킨 조작부를 가압 조작할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벽은, 상기 수납부를 제 1, 제 2 의 2 개의 수납부로 나누는 경계벽을 갖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조작부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상기 경계벽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지지벽을 갖고, 이 지지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수납부측에 제 1 접점 지지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수납부측에 제 2 접점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접점 지지부에는 제 1 가동 접점을 배치하고, 상기 제 2 접점 지지부에는 제 2 가동 접점을 배치하고,
    상기 바닥벽은, 상기 제 1 수납부측에 배치한 상기 제 1 가동 접점이 맞닿을 수 있는 제 1 고정 단자와, 상기 제 2 수납부측에 배치한 상기 제 2 가동 접점이 맞닿을 수 있는 제 2 고정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가동 접점과 상기 제 1 고정 단자로 제 1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가동 접점과 상기 제 2 고정 단자로 제 2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제 2 스위치부를 상기 조작부의 가압 조작 방향과 직교하는 병렬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제 1 접점 지지부에 지지하는 제 1 가동 접점은, 판 형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을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지지벽측에 지지하고, 타측을 상기 지지벽과 대향하는 측에 형성한 벽부재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 2 가동 접점은, 선스프링을 코일 형상으로 감은 권회부를 갖고, 이 권회부로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를 가지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아암부를 형성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 수납부측의 상기 바닥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1 쌍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가압 조작하면, 상기 제 1 가동 접점의 상기 타측이 상기 1 쌍의 제 1 고정 단자에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단자는, 상기 제 2 수납부측의 상기 바닥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1 쌍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가압 조작하면, 상기 1 쌍의 아암부가 상기 1 쌍의 제 2 고정 단자에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 제 2 가동 접점이 맞닿을 수 있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단자부를 각각 갖고, 이 단자부를 상기 바닥벽에 장착하여, 상기 단자부의 선단을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외부로 도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의 상기 경계벽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경계벽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바닥벽 사이에 제 1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가압 조작을 해제하면, 상기 제 1 코일 스프링의 작용으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가압 조작전의 초기 상태로 자동 복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가압 조작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단차부를 갖는 슬라이딩면을 형성하고, 이 슬라이딩면에 압접 가능한 판스프링을 상기 바닥벽측에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가압 조작하여,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단차부에 의해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가압 조작하는 가압력이 변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바닥벽을 별체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하측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상기 수납부의 하측을 상기 바닥벽으로 차폐하고, 상기 바닥벽과 상기 커버 부재의 틈 부분을 밀봉재로 밀봉하여, 상기 수납부의 하측을 밀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상기 바닥벽에 장착한 상기 제 1, 제 2 고정 단자의 주위에도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조작부상에 돔 형상의 고무 부재를 배치하고, 이 고무 부재로 상기 수납부의 상측을 밀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상에 구동 막대를 배치하고, 이 구동 막대를 상기 고무 부재에 형성한 압입구멍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조작부에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3-0029270A 2002-05-14 2003-05-09 검출 스위치가 부착된 전원 스위치 장치 KR100530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8917A JP4097458B2 (ja) 2002-05-14 2002-05-14 スイッチ装置
JPJP-P-2002-00138917 2002-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871A KR20030088871A (ko) 2003-11-20
KR100530721B1 true KR100530721B1 (ko) 2005-11-23

Family

ID=2926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270A KR100530721B1 (ko) 2002-05-14 2003-05-09 검출 스위치가 부착된 전원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363301B1 (ko)
JP (1) JP4097458B2 (ko)
KR (1) KR100530721B1 (ko)
CN (1) CN1232998C (ko)
DE (1) DE60314936T2 (ko)
TW (1) TW5948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62523A1 (en) * 2004-11-26 2006-05-31 Signal Lux MDS S.r.l. Push button switch
KR100707261B1 (ko) * 2005-08-22 2007-04-13 최형욱 방수 마이크로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JP5270129B2 (ja) * 2007-10-19 2013-08-21 株式会社アルファ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取付構造
TWI449069B (zh) * 2012-04-24 2014-08-11 Zippy Tech Corp Waterproof micro switch
KR102626711B1 (ko) 2018-12-27 2024-01-1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KR102577723B1 (ko) * 2021-10-18 2023-09-12 엠피아주식회사 자동차 도어 개폐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49201B1 (ko) * 2023-02-28 2023-06-28 이인표 몸체와 터미널의 접합부위로 방수제가 코팅된 방수타입 통전소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418746U (de) * 1974-05-29 1974-09-05 Licentia Gmbh Drucktastensatz mit Stummschalter für einen Rundfunkempfänger
US3934104A (en) * 1974-09-23 1976-01-20 Stout Glenn M Push-button switch
FR2413770A1 (fr) * 1977-12-30 1979-07-27 Telemecanique Electrique Interrupteur de position etanche
DE4233447C1 (de) * 1992-10-05 1994-01-27 Barlian Reinhold Schalteinrichtung
JP3335280B2 (ja) * 1996-09-10 2002-10-15 新晃電機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押釦スイッチを用いた押釦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61028A (zh) 2003-12-10
EP1363301A1 (en) 2003-11-19
JP2003331677A (ja) 2003-11-21
KR20030088871A (ko) 2003-11-20
CN1232998C (zh) 2005-12-21
DE60314936D1 (de) 2007-08-30
TW200401318A (en) 2004-01-16
DE60314936T2 (de) 2008-04-03
JP4097458B2 (ja) 2008-06-11
TW594815B (en) 2004-06-21
EP1363301B1 (en)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8966B1 (en) Lever switc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129639B2 (en)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01332358A (ja) コネクタ装置
KR101702548B1 (ko) 스위치 장치
US6253451B1 (en) Method for mounting a panel-like device on a printed circuit board
KR100530721B1 (ko) 검출 스위치가 부착된 전원 스위치 장치
US7238038B2 (en) Card hold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148524B1 (en) Seesaw-type power-supply switch device
JP5130668B2 (ja) 電子機器のパネル構造
JP4184926B2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H0723854Y2 (ja) キーボードの照明素子用ホルダ
KR100462031B1 (ko) 스위치장치
JP2006245143A (ja) 電子機器
JP2000149715A (ja) スイッチ
JP2004273199A (ja)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30730B2 (ja) スイッチ装置
JP4097457B2 (ja) スイッチ装置
JP4787463B2 (ja) 筆記具型入力装置
US6353196B2 (en)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JPS6348898Y2 (ko)
JP4155477B2 (ja) スイッチ
JP3910361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KR100780708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JPH0519991Y2 (ko)
JPH0945185A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