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473B1 - 골프화용 클리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골프화용 클리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473B1
KR100530473B1 KR10-2002-7008840A KR20027008840A KR100530473B1 KR 100530473 B1 KR100530473 B1 KR 100530473B1 KR 20027008840 A KR20027008840 A KR 20027008840A KR 100530473 B1 KR100530473 B1 KR 10053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t
protrusion
flexible
rigid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8068A (ko
Inventor
야쯔유끼 테라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자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1494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34155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24036A external-priority patent/JP3134156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자파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자파나
Publication of KR2002006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1Golf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2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클리트 몸체(3), 상기 클리트 몸체(3)로부터 신장된 복수개의 휨성 돌출부(1) 및 복수개의 강성 돌출부(2)를 포함하는 골프화용 플라스틱 클리트(10)가 개시된다. 상기 휨성 돌출부(1) 및 강성 돌출부(2)는 잔디를 손상하지 않으면서 잔디상에 우수한 그립성을 제공한다. 상기 휨성 돌출부(1)는 경질 표면상에서 외방으로 구부러지며 이때 강성 돌출부(2)는 중량을 주로 지지한다. 상기 클리트(10)는 완전히 단단해지기 전까지 경화된 플라스틱 물질의 형상 회복특성을 이용한 "강제 추출 몰딩"에 의해 경제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화용 클리트 및 그 제조 방법{GOLF SHOE CLEAT AND METHOD FOR PRODUCING GOLF SHOE CLEAT}
본 발명은 클리트(cleat)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골프화에 사용되는 클리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플라스틱 골프화 클리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정 타입 금속성 스파이트 혹은 클리트가 보통 골프화에 사용된다. 몇몇은 일체로 제공되며 몇몇은 골프 신발창과 분리가능하게 제공된다. 이같은 금속성 스파이크는 일반적으로는 잔디나 뗏장(turf)이 젖은 경우에도 골프 코스에 있는 잔디 혹은 뗏장에 만족스러운 그립성(쥠) 혹은 바이트(물림)를 제공한다.
잔디를 통하여 잔디 하부 지면까지 깊게 관통하여 그립성 및 바이트가 우수한 상대적으로 긴 금속성 스파이크가 제공되나, 이는 종종 잔디 뿌리까지 손상시킨다. 또한 골프장 지면이 금속성 스파이크에 의해 상당히 울퉁불퉁해질 수 있다. 퍼팅 그린상에서 이같은 문제점은 배가되게 된다. 다음 경기자는 울퉁불퉁해진 퍼팅 그린때문에 종종 애를 먹게 된다. 부가하여, 날카로운 금속성 스파이크가 골프장의 바닥타일 혹은 카펫에 손상을 끼칠 수 있다.
날카로운 압정타입 금속성 스파이크는 특히 플로어나 포장도로와 같은 경질 표면을 걸어다니기에 매우 안락하지 않다.
금속성 스파이크는 주로 지면에 대한 제한된 접촉점 수 및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점의 경질도로 인해 착용자에 대해 안정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스파이크달린 신발의 착용자는 경질 표면, 특히 그 표면이 젖었거나 미끄러울 때 몸의 균형을 쉽게 잃을 수 있다. 상기 금속성 스파이크는 금속성 스파이크와 경질 지면간 물리적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착용자의 발에 직접 전달하므로, 결과적으로 착용자의 발, 무릎 혹은 허리에 무리를 일으킬 수 있다.
금속성 스파이크에 내재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 혹은 경감하기 위해 비금속성 타입의 스파이크 혹은 클리트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은 대부분 플라스틱 물질로 제작되고 있다. 이같은 플라스틱 클리트는 통상의 금속성 스파이크보다 일반적으로 짧은 돌출부를 가지며, 경질 표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어느 정도는 흡수하기 때문에 개선된 안락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통상의 금속성 스파이크보다 구두창에 보다 짧고 긴 접촉점이 제공되기 때문에,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플라스틱 클리트는 금속성 스파이크와는 달리 뗏장 혹은 골프연습장의 플로러나 카펫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통상의 플라스틱 클리트는 일반적으로 잔디 혹은 뗏장상에 금속성 스파이크와 같은 우수한 그립성 혹은 바이트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잔디에 대해 우수한 그립성을 제공하는 클리트 및 스파이크가 요구된다. 통상의 플라스틱 클리트는 종종 젖거나 시든 잔디 혹은 슬로프상에 그립성을 제공하는데 실패하였다.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11-262401호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2 및 13내에서 플라스틱 클리트 30를 도시하고 있다. 이같은 통상의 플라스틱 클리트 30는 도시된 나사결합된 샤프트 31 및 복수개의 레그 32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결합된 샤프트 31는 골프 신발창에 제공된 나사결합된 용기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레그 32는 구조적으로 휨성있게 제작되어진다.
상기 신발창에는 복수개의 플라스틱 클리트 30가 고착된다. 이들은 잔디 혹은 골프연습장의 플로러 혹은 카펫을 거의 손상하지 않는다. 그러나, 설계 특성상 내재한 유약함으로 인해 레그 32가 착용자의 중량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없으므로, 레그 3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쉽게 외방으로 개방되어 뗏장에 대한 그립성을 잃게 된다. 착용자는 변형되면서 제공하는 레그 32의 "독특한 유연성"때문에 경질 표면상에서 반드시 안락한 느낌을 갖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클리트 30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제공하지 않고 신속하게 닳는다. 보다 강성 레그 32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상기 클리트 30가 퍼팅 그린을 다소 손상시킬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갖는 개선된 골프화용 클리트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잔디에 대하여 우수한 그립성과 바이트를 제공하는 개선된 골프화용 클리트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질 표면으로부터 물리적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경질 표면상에서 탁월한 안정성을 갖는 골프화용 클리트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뗏장 혹은 클럽하우스의 플로어를 손상하지 않는 개선된 클리트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모의 진행을 나타낼 수 있는 개선된 골프화용 클리트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같은 개선된 클리트를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또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리트 10의 전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리트 10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나사결합된 고착수단 4을 갖는 클리트 10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클리트 10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클리트 10의 저부도;
도 6은 구두창상에 도 1의 클리트 10를 전형적으로 적용한 저부도;
도 7은 본 발명의 "강제 추출 몰딩"에 의한 클리트 10의 제작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클리트 10의 전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클리트 10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클리트 10의 전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클리트 10의 전개도;
도 12는 통상의 플라스틱 클리트를 도시한 전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통상의 플라스틱 클리트의 측단면도; 및
도 14는 도 13의 변형예를 도시한 통상 플라스틱 클리트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휨성 돌출부 2... 강성 돌출부
3... 클리트 몸체 4... 고착수단
5... 환형 중앙 돌출부 6... 관통홈
7... 맞물림 돌출부 8... 맞물림 톱니
10,100... 클리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도울 목적으로 청구된 특징들을 요약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복수개의 휨성 돌출부 및 복수개의 강성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휨성 돌출부가 일반적으로는 강성 돌출부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롭게 제작된 클리트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이같은 복수개의 휨성 돌출부 및 복수개의 강성 돌출부는 클리트 주변을 따라 클리트상에 제공된다.
상기 클리트 10는 하방으로, 일반적으로는 비스듬하게 외방으로 신장된 복수개의 휨성 돌출부 1와 복수개의 강성 돌출부 2로된 클리트 몸체 3를 포함한다. 상기 용어 "하방"은 도면의 하부 방향을 지시하며, 사용시 잔디 혹은 지면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휨성 돌출부 1는 "휨성"이 있으나, 잔디 혹은 뗏장상에서 거의 굽어지지 않아 잔디를 관통하며, 탁월한 그립성을 제공하나 잠재적인 물리적 손상을 완화하도록 외향으로 굽어지며, 혹은 포장도로와 같은 경질 표면상에서 개방되지 않아 경질 표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일반적으로 휨성 돌출부 1보다 다소 짧게 제작된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경질 표면상에서도 휘어지지 않도록 제작된다. 상기 휨성 돌출부 1가 그 수직 높이와 중량 지지력을 줄이면서 구부러지고 나아가 외방으로 오픈될 때,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그 상부에 있는 잔여 중량을 지지한다. 또한 구부러진 휨성 돌출부 1도 여전히 일부 중량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상술한 바로부터 잔디 경질부를 압압함으로써 잔디 혹은 뗏장상에 우수한 그립성 및 바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보조한다.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경질 표면상에서 휨성 돌출부 1가 과도하게 변형 및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클리트 몸체 3는 고착수단 4에 의해 골프 신발창에 고착된다. 상기 클리트 몸체 3의 전체 구조는 원형, 타원형, 혹은 삼각형, 사각형등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골프 신발창에 복수개의 클리트 10 혹은 클리트 몸체 3를 (고착수단 4없이) 일체로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클리트 10는 합성고무 물질, ABS 물질, 폴리카보네이트 물질, 나일론 물질 혹은 폴리우레탄 물질 혹은 기타 적당한 플라스틱 물질 혹은 비플라스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물질이 바람직하다.
클리트 몸체 3, 휨성 돌출부 1 및 강성 돌출부 2 각각을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 제공함으로써 컴파운드-타입 클리트 10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휨성 돌출부 1는 휨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강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적당한 연질 금속 혹은 세라믹 물질이 최소 일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클리트 10, 4개의 휨성 돌출부 1 및 4개의 강성 돌출부 2가 상기 클리트 몸체 3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제공된다.
상기 휨성 돌출부 1 및 강성 돌출부 2의 돌출각도 및/또는 형태 및/또는 치수 및/또는 갯수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그립성 혹은 바이트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립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방향은 비교적 크게 그리고 "B"방향은 비교적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신발창에 클리트 10를 최대한 적당히 위치 및 배향시킴으로써 "소수" 클리트 10에 의해 뗏장 혹은 잔디상에 탁월한 방향성 그립성 및 바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단일 클리트 10에 사용되는 휨성 돌출부 1 및 강성 돌출부 2의 갯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휨성 돌출부 1가 2개의 강성 돌출부 2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상기 휨성 돌출부 1과 강성 돌출부 2의 "교대" 배치란 서로 다른 갯수의 돌출부 1, 2의 배치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돌출부 1,2의 재질뿐만 아니라 치수, 각도, 형태, 경질도 혹은 완충도, 갯수 및 배치 그리고 배향은 모두 클리트 10의 요구되는 성능 및 특성에 따라 적당히 선택될 수 있는 요소들이다.
상기 휨성 돌출부 1는 다른 간격으로 클리트 몸체 3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강성 돌출부 2 또한 휨성 돌출부 1과 다른 간격으로 클리트 몸체 3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리트 10는 뗏장상에 우수한 그립성과 바이트를 제공하며, 이때 어떠한 휨성 돌출부 1 혹은 강성 돌출부 2도 구부러지지 않는다. 상기 휨성 및 강성 돌출부 1 및 2는 잔디 잎 및 줄기와 적당히 엉키게 된다. 상기 클리트 10는 구부러진 휨성 돌출부 1 및 강성 돌출부 2로 경질 표면상에 잔류하는 중량을 안정하게 지지한다.
또다른 청구범위에 의한 클리트 10는 넓게 외방으로 혹은 보다 방사상으로 개방되는 휨성 돌출부 1를 가지며, 이는 휨성 돌출부 1와 강성 돌출부 2사이에 전술한 청구범위에 의한 클리트의 상응하는 공극보다 큰 공극을 제공한다. 보다 큰 공극은 진흙 혹은 잘린 잔디로 인한 막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같은 휨성 돌출부 1는 사용시 경질 표면상에 외방으로 쉽게 잘 구부러질 것이다.
이들 "방사상으로" 개방된 휨성 돌출부 11는 경질 표면상에 개선된 쿠션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휨성 돌출부 1와 강성 돌출부 2간 공극이 진흙 혹은 잔디 조각으로 거의 막히지 않기 때문에 뗏장상에 견고한 그립성 및 바이트를 제공한다.
다른 청구범위에 의하면, 클리트 10는 구두창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제작되므로 닳은 클리트 10를 손쉽게 대체할 수 있다.
또다른 청구범위에 의하면, 클리트 10는 상술한 청구범위의 클리트와 구두창으로부터 탈부착되는 고착수단 4을 갖을 수 있다.
상기 고착수단 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맞물림 돌출부 7 혹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나사결합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떠한 적당한 통상의 맞물림 수단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착수단 4의 보강 및 맞물림을 위하여 금속핀이 고착수단 4내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클리트 10는 대체를 손쉽게 하기 위하여 구두창으로부터 쉽게 탈부착될 수 있다.
부가하여, 또다른 청구범위에 의한 클리트 10는 상기 클리트 몸체 3의 저부측상에 중앙 돌출부 5를 포함하며, 이는 일반적으로는 강성 돌출부와 같거나 혹은 약간 짧은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중앙 돌출부 5는 강성 돌출부 2가 닳았을 때 경질 표면상에 중량을 지지한다. 상기 중앙 돌출부 5는 경질 표면상에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중앙 돌출부 5는 본 발명에서 임의 사항에 해당한다.
또다른 청구범위에 의하면, 클리트 10의 각 강성 돌출부 2는 강성 돌출부 2의 닳음도를 지시하기 위해 그 자유 단부상에 관통홈 6을 갖으며, 이는 차 타이어의 "슬립 마크"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홈 6 또한 잔디상에 부가적인 그립성 및 바이트를 제공한다.
또다른 청구범위에 의하면, 플라스틱 클리트 10는 본 발명의 "강제 추출 몰딩"을 손쉽게 이용하는 범주내에서 외방으로 개방된 휨성 돌출부 1 및 강성 돌출부 2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강제 추출 몰딩"이란 삽입물질이 몰드내에서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사출성형 몰드로부터 삽입된 플라스틱 물질을 "강제로 떼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공정을 도 7에 구조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사출 성형은 설계된 클리트의 최대 너비보다 "좁은" 추출 개방구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강제 추출 몰딩은 좁은 개방구를 통하여 몰드로부터 강제로 추출된 물질이 몰드외부에서 완전 경화하기에 앞서 설계된 형태로 정확하게 회복되는 범위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삽입물질이 몰드내에서 완전히 경화된 다음에는 "좁은" 추출 개방구를 갖는 몰드 외부로 설계된 물질을 밀어낼 수는 없다.
추출된 물질 혹은 클리트 10는 결국 설계된 대로 돌아가서 정확하게 경화되게 된다. 몰드의 좁은 추출 개방구와 최대 너비(내부)간 사이즈가 과도하게 차이나면, 본 발명의 강제 추출 몰딩은 적절하게 이용될 수 없다.
상기 클리트 10는 본 발명의 "강제 추출 몰딩"의 사용을 손쉽게하도록 돌출부 1, 2사이에 비교적 큰 공극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휨성 돌출부 1와 강성 돌출부 2는 "멀리" 떨어져있다. 따라서, 상기 휨성 돌출부 1와 강성 돌출부 2는 쉽게 "포위되거나" 자체로 내부 변형되어 완전히 단단해지기 전까지 경화되었을 때 몰드의 작은 추출 개방구를 통하여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리트 10의 돌출부 1,2는 비교적 큰 강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골프화용 플라스틱 클리트 10를 제조하는 방법은 클리트 몸체 3, 및 그 둘레를 따라 클리트 몸체 3상에 일반적으로 교대 제공되는 복수개의 휨성 돌출부 1와 복수개의 강성 돌출부 2를 포함하도록 적당히 설계된 클리트 10에 대하여 "좁은" 추출 개방구를 갖는 적당한 몰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휨성 돌출부 1는 이들이 몰드로부터 "강제 추출"후 설계된 전체 구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외방으로 개방된다. 적당한 플라스틱 물질이 몰드내에 삽입하고 몰드내에서 완전히 단단해지기 전까지 경화되게끔 방치한다. 그런다음 상기 물질은 좁은 개방구를 통하여 몰드외에 핀 수단과 함께 강제로 밀어내어지고 추출물이 회복 특성을 통해 원래 설계 형태를 회복할 때 몰드 외부에서 완전 경화시키게 된다.
상기 "강제 추출" 단계는 휨성 돌출부 1와 강성 돌출부 2사이에 큰 공극을 제공하면 보다 쉽게 수행될 수 있다. 홈 6을 통하여 강제 추출을 보조할 것이다.
수평면(혹은 구두창)에 대한 휨성 돌출부 1의 각도는 45-90°인 것이 적당하다. 각도 약67°(정확하게는 66.9°)가 바람직하다.
"강제 추출 몰딩"의 잇점으로는 몰드가 간단히 설계되고 쉽게 제작될 뿐만 아니라 몰딩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쉽게 인지될 수 있으므로 몰드 제작비용을 저감시킴으로써 생산 단가를 충분히 줄인다는데 있다. 몰딩 공정 또한 간단하다.
테스트 및 실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클리트 10는 적정수의 클리트 10가 구두창에 고정되어 탑재될 때, 통상의 금속성 스파이크에 필적하는 그립성 및 바이트를 잔디 혹은 뗏장상에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스트는 각각 중금속 플레이트의 저부측에 탑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복수개의 클리트 10와 통상의 금속성 스파이크를 인위적인 뗏장상에서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수평력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클리트 10와 통상의 플라스틱 클리트를 사포상에 재치하고 사포상에서 중량(1kg)을 부가하면서 "8"자 형태로 선을 그어 마모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본 발명의 클리트 10가 통상의 플라스틱 클리트보다 덜 마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클리트는 잔디 혹은 뗏장을 손상시키지 않고, 우수한 내마모성 및 그립성을 제공하며, 경질 표면으로부터 물리적 충격을 적당히 흡수하고 경질 표면에 우수한 안정성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클리트는 경제적인 몰드 및 가공공정을 사용하는 "강제 추출 몰딩"을 사용하여 제작되므로 낮은 비용으로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쉽게 대규모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 클리트 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클리트 10는 본 발명의 "강제 추출 몰딩"에 의해 폴리우레탄 물질과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 클리트 10는 환형 클리트 몸체 3, 고착수단 4, 4개의 휨성 돌출부 1 및 4개의 강성 돌출부 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 1 및 2는 클리트 몸체 3의 둘레에 교대로 제공된다. 상기 클리트 10는 나아가 클리트 몸체 3상에 제공된 환형 중앙 돌출부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리트 몸체 3상에 강성 돌출부 2보다 휨성 돌출부 1를 다수 제공하며 클리트 몸체 3상에 "교대" 배치하는 것, 즉 하나이상의 휨성 돌출부가 어떠한 2개의 강성 돌출부사이, 혹은 강성 돌출부 2보다 작은 수의 휨성 돌출부를 "교대" 배치하는 것이 모두 본 발명의 사상범위내임을 주지하라.
부가하여, 휨성 돌출부 1와 강성 돌출부 2가 클리트 3의 둘레를 따라 이롭게 배치될 수 있을뿐 아니라, 클리트 몸체 3의 둘레에서 떨어져 돌출부 1과 2를 제공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사상내에 있음을 주지하라.
상기 클리트 10는 3개의 맞물림 돌출부 7를 갖는 고착수단 4에 의해 구두창(미도시)의 용기(미도시)에 고착되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착수단 4은 짧은 컬럼형태 돌출부이며, 상기 맞물림 돌출부 7는 상기 용기내에 제공되는 해당 용기 홈(미도시)에 맞물린다. 상기 맞물림 단계에서 사용되는 클리트 몸체 3의 저부측에 2개의 맞물림 톱니 8가 제공된다. 상기 맞물림 톱니 8에는 핸들 수단(미도시)이 맞물리며, 상기 클리트 10를 용기상으로 복귀시켜 용기에 맞물림 돌출부 7가 강하게 고착되게 한다. 상기 고착수단 4은 금속으로 보강될 수 있다.
각 휨성 돌출부 1는 이들 휨성 돌출부 1가 잔디상에서 실질적으로 형태를 유지하며, 강성 돌출부 2와 실질적으로 직각이 되어도 경질 표면상에서 외방으로 구부러지도록 제공된다.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짧고 두꺼우므로 휨성 돌출부 1보다 내변형성이 크다.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휨성 돌출부 1가 변형되어 수직 높이(중량의 지지부)가 줄어들 때 그 상부에 잔류하는 중량을 보지한다. 각 강성 돌출부 2는 직경 방향으로 신장하는 관통홈 6을 갖으며, 이는 적당한 대체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돌출부 5는 (상기 클리트 몸체 3의 저부측으로부터 측정된 바에 따르면) 상기 관통홈 6의 최대 깊이와 대충 맞는 높이를 갖는다.
상술한 바로부터, 경질 돌출부 2가 잔디 경질을 압압하는 동안 상기 휨성 돌출부 1는 잔디 혹은 뗏장을 관통한다. 상기 돌출부 1,2 모두는 잔디 잎 및 줄기와 적당하게 엉켜 우수한 그립성 및 바이트를 제공한다. 잔디 저부 지면내로 휨성 돌출부 1에 의한 관통이 있더라도 최소한도이므로 잔디는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카펫 또한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잘린 잔디잎 혹은 진흙과의 막힘을 적당히 방지하기 위하여 넓은 공극을 휨성 돌출부 1와 강성 돌출부 2사이에 제공한다. 따라서, 만족스러운 그립성 혹은 바이트 효과가 일정하고 견고하게 제공된다.
상기 휨성 돌출부 1는 경질 표면상에 우수한 쿠션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경질 표면상에 사용될 때, 상기 휨성 돌출부 1는 경질 표면으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을 서서히 안락하게 흡수한다. 이같은 클리트 10는 이들이 경질 표면과의 적당한 접촉점 수를 제공하기 때문에 또한 경질 표면상에 안정성을 제공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 클리트 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클리트 10는 "강제 추출 몰딩"에 의해 폴리우레탄 물질로부터 일체로 제공된다. 상기 클리트 10는 둥근 클리트 몸체 3, 고착수단 4(미도시), 3개의 휨성 돌출부 1 및 3개의 강성 돌출부 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돌출부 1,2는 클리트 몸체 3의 둘레에 교대로 제공된다. 상기 클리트 10는 나아가 중앙 돌출부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리트 10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된 맞물림 돌출부 7(미도시)를 갖는 고착수단 4에 의하여 구두창(미도시)의 용기(미도시)에 고착될 수 있다. 또한 클리트 몸체 3의 저부측상에 2개의 맞물림 톱니 8가 제공된다. 핸들 수단(미도시)이 상기 맞물림 톱니 8와 맞물리며 상기 맞물림 돌출부 7가 회전되어 상기 용기에 굳게 맞물린다. 상기 고착수단 4은 금속성 수단으로 보강된다.
상기 고착수단 4은 구두창상에 제공된 돌출부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수단일 수 있으며, 상기 맞물림 돌출부 7는 상기 돌출부 수단상에 제공된 맞물림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맞물림 용기 수단일 수 있다.
상기 휨성 돌출부 1는 휨성 돌출부 1가 강성 돌출부 2에 실질적으로 수직 높이내가 되더라도 경질 표면상에 외방으로는 굽어지나 잔디 혹은 뗏장상으로는 굽어지지 않도록 설계된다.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짧고 두껍게 제작되므로 휨성 돌출부 1보다 내변형성을 갖는다.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휘어짐없이 경질 표면상에서 그 상부에 잔류하는 중량을 보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 강성 돌출부 2는 직경 방향으로 신장하는 관통홈 6을 갖으며, 이는 클리트 10를 대체할 적당한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돌출부 5는 관통홈 6의 최대 수직 깊이와 대충 맞는 높이를 갖는다.
상기 휨성 돌출부 1는 잔디를 관통하며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상술한 바로부터 경질 잔디를 압압한다. 상기 돌출부 1, 2는 잔디 잎 및 줄기와 효과적으로 얽혀 잔디상에 우수한 그립성 및 바이트를 제공한다. 잔디하부 지면내로 휨성 돌출부 1에 의한 관통이 있더라면 최소한도이므로 잔디는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상응하는 공극보다 큰 공극이 휨성 돌출부 1와 강성 돌출부 2사이에 생성되므로 절단된 잔디잎 혹은 진흙의 엉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클리트 10의 돌출부 1, 2사이 공극이 클수록 "좁은" 추출 개방구를 통해 몰드로부터 삽입된 물질의 추출을 손쉽게 하므로 이같은 타입의 플라스틱 클리트 10가 전술한 타입의 클리트보다 제작하기 쉽다.
도 9는 맞물림 돌출부 7(미도시), 4개의 휨성 돌출부 1 및 4개의 강성 돌출부 2뿐 아니라 중앙 돌출부 5와 함께 고착수단 4(미도시)을 갖는 둥근 클리트 몸체 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클리트 1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클리트 10는 "강제 추출 몰딩"에 의해 폴리우레탄 물질로부터 제작된다.
상기 고착수단 4의 특징은 상술한 클리트 10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타입의 고착수단 4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구두창(미도시)상에 클리트 10를 고착하는데 2개의 맞물림 톱니 8가 제공된다. 상기 고착수단 4은 금속성 핀(미도시)으로 보강된다.
휨성 돌출부 1 및 강성 돌출부 2 모두는 수평면에서 66.9°하방 및 외방으로 신장된다. 각 휨성 돌출부 1는 이 실시예내에서 2개의 관통홈 6으로 제공되며, 이때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관통홈없이 제공된다. 이들 관통홈 6은 잔디 잎 및 줄기와 얽히지 않을 것이며, 부가하여 잔디상에 그립성을 제공할 것이다.
상기 강성 돌출부 2는 휨성 돌출부 1보다 짧으며 중앙 돌출부 5의 높이는 관통홈 6의 최대 깊이에서도 알맞게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된 플라스틱 클리트 10는 3개의 휨성 돌출부 1 및 3개의 강성 돌출부 2로 제공된다. 홈 6을 통하여 강성 돌출부 2가 제공된다. 상기 클리트 몸체 3에서 떨어진 저부측에 접하는 공극부는 이(제4) 실시예내에서 "편평"하게 제조된다.
잔디상에 추가 그립성 및 바이트를 제공하도록 리브 R가 휨성 돌출부 1와 중앙 돌출부 5, 및 강성 돌출부 2와 중앙 돌출부 5사이에 스트레칭을 제공하며, 이는 나아가 클리트 10에 강성을 제공한다.
도 11에 도시된 플라스틱 클리트 10 또한 상기 리브 R과 함께 제공된다. 이(제5) 실시예내 리브 R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휨성 돌출부 1사이에 클리트 몸체 3의 저부측을 가로질러 신장된다. 이때 중앙 돌출부 5는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 리브 R는 부가하여 클리트 10에 대한 보강뿐만 아니라 잔디상에 그립성 및 바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수의 개질 및 변화를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중앙 돌출부 5"는 제2-4실시예에서 제외할 수 있으며, "휨성 돌출부 1" 및/또는 "강성 돌출부 2" 의 수 또한 변화시킬 수 있다.
이같은 개질 및 변화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9)

  1. 클리트 몸체;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휨성 돌출부; 및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강성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강성 돌출부는 휨성 돌출부보다 짧으며, 상기 휨성 돌출부와 강성 돌출부는 교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용 클리트.
  2. 클리트 몸체;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외방으로 비스듬하게 신장된 휨성 돌출부; 및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휨성 돌출부보다 짧은 강성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휨성 돌출부와 강성 돌출부는 교대로 제공되고,
    상기 휨성 돌출부와 강성 돌출부사이에 생성된 각 공극은 진흙으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충분히 크며,
    상기 강성 돌출부는 휨성 돌출부가 경질 표면상에서 외방으로 구부러질 때 상기 클리트상에 잔류하는 중량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용 클리트.
  3. 골프 신발창상에 제공된 용기 수단내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클리트 몸체;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휨성 돌출부; 및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며, 상기 휨성 돌출부보다 짧은 복수개의 강성 돌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휨성 돌출부와 강성 돌출부는 교대로 제공되며,
    상기 강성 돌출부는 상기 휨성 돌출부가 경질 표면상에서 외방으로 구부러질 때 상기 클리트상에 잔류하는 중량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용 클리트.
  4. 클리트 몸체;
    상기 클리트 몸체의 상면에 제공되고, 골프 신발창에 분리가능하게 고착되는 고착수단;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외방으로 비스듬하게 신장하는 복수개의 휨성 돌출부;및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며, 상기 휨성 돌출부보다 짧은 복수개의 강성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휨성 돌출부와 강성 돌출부는 교대로 제공되며,
    상기 휨성 돌출부와 강성 돌출부사이에 생성된 각 공극은 진흙으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충분히 크며,
    상기 강성 돌출부는 휨성 돌출부가 경질 표면상에서 외방으로 구부러질 때 상기 클리트상에 잔류하는 중량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용 클리트.
  5. 제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클리트 몸체상에 중앙 돌출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강성 돌출부가 클리트상에 잔류하는 중량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게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용 클리트.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강성 돌출부는 그 자유 말단상에 관통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용 클리트.
  7. 클리트 몸체;
    상기 클리트 몸체의 상면에 제공되고, 상기 골프 신발창에 분리가능하게 고착되는 고착수단;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외방으로 비스듬하게 신장되는 복수개의 휨성 돌출부; 및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휨성 돌출부보다 짧은 복수개의 강성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휨성 돌출부와 강성 돌출부는 교대로 제공되며,
    상기 강성 돌출부는 휨성 돌출부가 경질 표면상에 외방으로 구부러질 때, 클리트상에 잔류하는 중량을 지지하며,
    상기 클리트 몸체로부터 비스듬하게 외방으로 돌출된 휨성 돌출부는 강제 추출 몰딩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범주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용 플라스틱 클리트.
  8. 클리트 몸체;
    상기 클리트 몸체의 상면에 제공되고, 골프 신발창상에 분리가능하게 고착되는 고착수단;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비스듬하게 외방으로 신장하는 복수개의 휨성 돌출부; 및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휨성 돌출부보다 짧은 복수개의 강성 돌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휨성 돌출부와 강성 돌출부는 교대로 제공되며,
    상기 강성 돌출부는 휨성 돌출부가 경질 표면상에서 외방으로 구부러질 때, 클리트상에 잔류하는 중량을 지지하며,
    상기 클리트 몸체로부터 비스듬하게 외방으로 돌출된 휨성 돌출부는 강제 추출 몰딩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휨성 돌출부와 강성 돌출부사이에 생성된 공극에 의해 보조되는 범주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용 플라스틱 클리트.
  9. 클리트 몸체,
    상기 클리트 몸체의 상면에 제공된 고착수단,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외방으로 비스듬하게 신장되는 복수개의 휨성 돌출부, 및
    상기 클리트 몸체의 측면에 제공되며, 상기 휨성 돌출부보다 짧은 강성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휨성 돌출부와 강성 돌출부는 교대로 제공되며,
    여기서 추출 개방을 위하여 클리트의 최대 너비보다 좁은 플라스틱 클리트용 추출 개방구를 갖는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몰드내로 플라스틱 물질을 삽입하고 몰드내 플라스틱 물질을 완전히 단단해지기 전까지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물질이 몰드내에서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몰드로부터 완전히 단단해지기 전까지 경화된 물질을 추출 개방구를 통해 강제로 추출해내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몰드 외부에서 설계된 클리트 형태대로 완성해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프화용 플라스틱 클리트의 제조방법.
KR10-2002-7008840A 2000-01-24 2001-01-04 골프화용 클리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530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14944 2000-01-24
JP2000014944A JP3134155B1 (ja) 2000-01-24 2000-01-24 ゴルフシューズ用スパイク鋲
JP2000024036A JP3134156B1 (ja) 2000-02-01 2000-02-01 ゴルフシューズ用スパイク鋲
JPJP-P-2000-00024036 2000-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068A KR20020068068A (ko) 2002-08-24
KR100530473B1 true KR100530473B1 (ko) 2005-11-23

Family

ID=2658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840A KR100530473B1 (ko) 2000-01-24 2001-01-04 골프화용 클리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675505B2 (ko)
EP (2) EP1253833B1 (ko)
KR (1) KR100530473B1 (ko)
CN (2) CN1171549C (ko)
AT (2) ATE275352T1 (ko)
AU (2) AU766961B2 (ko)
CA (2) CA2396703C (ko)
DE (2) DE60104819T2 (ko)
HK (2) HK1050302A1 (ko)
TW (2) TW464483B (ko)
WO (2) WO2001054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7750D0 (en) * 2000-11-14 2000-12-27 Trisport Ltd Studded footwear
US7559160B2 (en) 2002-04-09 2009-07-14 Trisport Limited Studded footwear
GB0208145D0 (en) * 2002-04-09 2002-05-22 Trisport Ltd Studded footwear
US7137213B2 (en) 2002-04-09 2006-11-21 Trisport, Limited Studded footwear
GB0208144D0 (en) * 2002-04-09 2002-05-22 Trisport Ltd Studded footwear
US6834446B2 (en) * 2002-08-27 2004-12-28 Softspikes, Llc Indexable shoe cleat with improved traction
US20040250451A1 (en) * 2003-06-12 2004-12-16 Mcmullin Faris Traction cleat for use on surfaces of variable hardnes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904707B2 (en) * 2003-07-01 2005-06-14 Softspikes, Llc Indexable shoe cleat with improved traction
ATE500759T1 (de) * 2003-08-11 2011-03-15 Softspikes Llc Schuhnagel
WO2005029993A1 (en) * 2003-09-25 2005-04-07 The Timberland Company Footwear with articulating outsole lugs
US7726047B1 (en) 2004-01-26 2010-06-01 Cleats Llc Cleats and footwear for providing customized traction
TWM266736U (en) * 2004-09-24 2005-06-11 Gan Ching Yi Hobnail set
US20060242863A1 (en) * 2005-04-28 2006-11-02 Hi-Tec Sports Plc Cleated sports shoes
EP1723865A1 (en) * 2005-05-17 2006-11-22 Kan, Ching-I Shoe cleat set
US7685745B2 (en) * 2005-09-09 2010-03-30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Traction member for shoe
US20070101618A1 (en) * 2005-11-07 2007-05-10 Frederick Peake Cleat for athletic shoe
GB0609808D0 (en) * 2006-05-17 2006-06-28 Berghaus Ltd Footwear sole
WO2007143443A1 (en) * 2006-05-30 2007-12-13 Cleats Llc Removable footwear cleat with cushioning
US20080000102A1 (en) * 2006-07-01 2008-01-03 Rastegar Johangir S Shoe covering for traction and/or sports
US8020322B2 (en) * 2007-02-16 2011-09-20 Pride Manufacturing Company, Llc Multi-traction effect shoe cleat
US20080301973A1 (en) * 2007-06-06 2008-12-11 Pei-Yi Lee Tsai Non-slip shoe cover for various slippery conditions such as snow, golf, fishing and the like
ITMO20070205A1 (it) * 2007-06-14 2008-12-15 Lotto Sport Italia Spa Calzatura sportiva particolarmente per terreni in erba sintetica
WO2008156825A1 (en) * 2007-06-20 2008-12-24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traction members having a low profile sole
US20090211118A1 (en) * 2008-02-26 2009-08-27 Softspikes, Llc Traction Cleat for Field Sports
EP2252173B1 (en) * 2008-03-06 2015-10-14 Softspikes, LLC Improved athletic shoe cleat with dynamic traction
JP5340319B2 (ja) * 2008-03-07 2013-11-13 グリップ・フォース・テクノロジーズ・アーベー 滑り止め付き靴のソールのためのスパイク装置
WO2009158137A1 (en) * 2008-05-30 2009-12-30 Softspikes, Llc Adjustable 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footwear
US8256145B2 (en) 2008-09-26 2012-09-04 Nike, Inc. Articles with retractable traction elements
US8079160B2 (en) 2008-09-26 2011-12-20 Nike, Inc. Articles with retractable traction elements
EP2378912B1 (en) * 2009-01-21 2020-05-20 Implus Footcare LLC Personal traction device
US8616892B2 (en) * 2009-04-02 2013-12-31 Nike, Inc. Trai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traction system
EP2413730B1 (en) 2009-04-02 2018-05-23 NIKE Innovate C.V. Traction elements
WO2010118329A1 (en) 2009-04-10 2010-10-14 Pride Manufacturing Compan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traction cleats and receptacles
US8632342B2 (en) * 2009-05-28 2014-01-21 Nike, Inc. Trai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573981B2 (en) * 2009-05-29 2013-11-05 Nike, Inc. Trai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ball control portion
US8286371B2 (en) * 2009-08-26 2012-10-1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cleat members
US8453354B2 (en) 2009-10-01 2013-06-04 Nike, Inc. Rigid cantilevered stud
US20110099847A1 (en) * 2009-11-05 2011-05-05 Pedro Eduardo Koe-Krompecher Temporary Removable Sole with Removable Cleats
US9565890B2 (en) * 2009-12-30 2017-02-14 Brendan Walsh Retaining device and spike devices for shoes
US8533979B2 (en) 2010-02-18 2013-09-17 Nike, Inc. Self-adjusting studs
US8322051B2 (en) * 2010-02-23 2012-12-04 Nike, Inc. Self-adjusting studs
KR101037514B1 (ko) * 2010-07-30 2011-05-26 변종익 직물원단 먼지 제거장치
US9210967B2 (en) 2010-08-13 2015-12-15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traction elements
EP2608690B1 (en) * 2010-08-26 2016-07-20 Cleats LLC Cleat attachment system
US8529267B2 (en) 2010-11-01 2013-09-10 Nike, Inc. Integrated training system for articles of footwear
US8713819B2 (en) 2011-01-19 2014-05-06 Nike, Inc. Composite sole structure
US9295300B2 (en) * 2011-03-08 2016-03-29 Athalonz, Llc Athletic shoe with athletic positioning pattern
US9504293B2 (en) 2011-04-18 2016-11-29 Nike, Inc. Outsole with extendable traction elements
US8997381B2 (en) 2011-08-29 2015-04-07 Nike, Inc. Interchangeable cleat system for footwear
US9220320B2 (en) 2011-09-16 2015-12-29 Nike, Inc. Sole arrangement with ground-engaging member support features
US8966787B2 (en) 2011-09-16 2015-03-03 Nike, Inc. Orientations for footwear ground-engaging member support features
US9138027B2 (en) 2011-09-16 2015-09-22 Nike, Inc. Spacing for footwear ground-engaging member support features
US8806779B2 (en) 2011-09-16 2014-08-19 Nike, Inc. Shaped support features for footwear ground-engaging members
CN102349729A (zh) * 2011-10-09 2012-02-15 北京航空航天大学 跑钉鞋的鞋钉钉体结构
US20130255102A1 (en) * 2012-04-02 2013-10-03 Rayford Terrell Supplemental removable stick on cleat for footwear
US9402442B2 (en) 2012-04-27 2016-08-02 Nike, Inc. Sole structure and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same
US9032645B2 (en) 2012-07-30 2015-05-19 Nike, Inc. Support features for footwear ground engaging members
JP6109331B2 (ja) 2012-12-18 2017-04-05 プライ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牽引クリートおよびレセプタクル
USD734934S1 (en) * 2013-10-02 2015-07-28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shoe outsole
US20150208755A1 (en) * 2014-01-24 2015-07-30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shoe with non-removable cleat and associate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9750299B2 (en) * 2014-08-14 2017-09-05 Teng-Jen Yang Method for integrally forming a sole with hobnails
USD761544S1 (en) 2015-04-22 2016-07-19 Saber Golf, LLC Removable golf spike
TWI576058B (zh) * 2015-07-24 2017-04-01 楊登任 具有多材質高爾夫球鞋爪釘的鞋底製造方法
WO2017165376A1 (en) * 2016-03-22 2017-09-28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having a divided cleat
US10568391B2 (en) * 2016-05-17 2020-02-25 Under Armour, Inc. Athletic cleat
USD796228S1 (en) * 2016-06-23 2017-09-05 Custom Accessories, Inc. Floor mat retaining cleat
WO2019217561A1 (en) 2018-05-08 2019-11-14 Tyler Reece Stuart Footwear clea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4197A (en) * 1958-04-21 1962-09-18 John T Riddell Inc Snap-on shoe cleat asembly
DE1962430U (de) * 1967-02-16 1967-06-15 Hans Goldschmidt Auswechselbarer polyp-schraubstollen fuer sport-, insbesondere fussballschuhe.
US3512275A (en) * 1968-04-01 1970-05-19 John L Leavitt Non-penetrating cleat arrangement
FR2026051A1 (ko) * 1968-12-13 1970-09-11 Rieter Ag Maschf
US4014114A (en) * 1975-11-28 1977-03-29 Three Line Research & Development Co., Inc. Spike cluster
USD387548S (en) * 1996-10-30 1997-12-16 Softspikes, Inc. Golf cleat
USD385988S (en) * 1996-10-30 1997-11-11 Softspikes, Inc. Golf cleat
US5887371A (en) * 1997-02-18 1999-03-30 Curley, Jr.; John J. Footwear cleat
US5794367A (en) * 1997-02-20 1998-08-18 Greenkeepers, Inc. Sports shoe cleats
GB9704562D0 (en) * 1997-03-05 1997-04-23 Trisport Ltd Ground-gripping elements for shoe soles
US6338208B1 (en) * 1997-05-28 2002-01-15 Concurrent Technologies Corporation Short shoe spike
USD398749S (en) * 1997-07-24 1998-09-29 Lisco Inc. Golf shoe cleat
USD410693S (en) * 1997-11-10 1999-06-08 Robert Brockman Golf shoe spike
US6023860A (en) * 1997-12-11 2000-02-15 Softspikes, Inc. Athletic shoe cleat
US5940993A (en) * 1998-02-26 1999-08-24 Ronci; Fernando F. Golf cleat
USD440750S1 (en) * 1999-05-13 2001-04-24 Concurrent Technologies Corp. Sport shoe spike
USD432770S (en) * 1999-06-21 2000-10-31 Macneill Engineering Company, Inc. Non-penetrating golf cleat
USD452947S1 (en) * 2000-01-21 2002-01-15 Japana Co., Ltd. Cleat
USD452064S1 (en) * 2000-06-28 2001-12-18 Macneill Engineering Company, Inc. Removable tread device for footwear
USD452062S1 (en) * 2000-06-28 2001-12-18 Macneill Engineering Company, Inc. Removable tread device for footwear
USD449431S1 (en) * 2000-08-14 2001-10-23 Macneill Engineering Company, Inc. Cleat for footwear
USD473699S1 (en) * 2000-08-23 2003-04-29 Macneill Engineering Company, Inc. Cleat for footwear
USD463902S1 (en) * 2001-12-10 2002-10-08 Chin Lin Yang Spike for a golf sh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74257B2 (en) 2004-06-24
AU2405701A (en) 2001-08-07
EP1253833B1 (en) 2004-08-11
US7073280B2 (en) 2006-07-11
AU2405801A (en) 2001-08-07
WO2001054527A1 (en) 2001-08-02
DE60105395T2 (de) 2005-09-22
ATE275352T1 (de) 2004-09-15
CN1171549C (zh) 2004-10-20
DE60104819T2 (de) 2005-08-18
CN1395472A (zh) 2003-02-05
DE60104819D1 (de) 2004-09-16
EP1253834B1 (en) 2004-09-08
HK1050302A1 (en) 2003-06-20
ATE272956T1 (de) 2004-08-15
CA2396703C (en) 2006-12-19
TW512053B (en) 2002-12-01
CA2396707A1 (en) 2001-08-02
AU766961B2 (en) 2003-10-30
TW464483B (en) 2001-11-21
CN1418066A (zh) 2003-05-14
US6675505B2 (en) 2004-01-13
HK1052279B (zh) 2005-08-19
HK1052279A1 (en) 2003-09-11
CN1199599C (zh) 2005-05-04
CA2396703A1 (en) 2001-08-02
DE60105395D1 (de) 2004-10-14
US20030131502A1 (en) 2003-07-17
KR20020068068A (ko) 2002-08-24
CA2396707C (en) 2007-12-11
WO2001054528A1 (en) 2001-08-02
EP1253833A1 (en) 2002-11-06
US20030172556A1 (en) 2003-09-18
EP1253834A1 (en) 200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0473B1 (ko) 골프화용 클리트 및 그 제조 방법
US9861166B2 (en) Footwear cleat with cushioning
EP3164025B1 (en) Method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segmented plate
US3487563A (en) Sports shoes
AU2014215444B2 (en) Cleats, cleated sole structures, molds, and molding methods for in-molding articles
US4920663A (en) Athletic shoe, particularly a tennis shoe,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a shoe
JP2003009905A (ja) ゴルフシューズ用スパイク鋲
US10813412B2 (en) Spike for footwear having rigid portion and resilient portion
US6519879B2 (en) Golf shoe soft spike/cleat design
KR100535184B1 (ko) 골프화용 클리트
JP3134155B1 (ja) ゴルフシューズ用スパイク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