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578B1 - 음극선관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578B1
KR100529578B1 KR10-2002-7001361A KR20027001361A KR100529578B1 KR 100529578 B1 KR100529578 B1 KR 100529578B1 KR 20027001361 A KR20027001361 A KR 20027001361A KR 100529578 B1 KR100529578 B1 KR 100529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elastic support
ray tube
fram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932A (ko
Inventor
쿠로카와히데오
아키야마코지
와타나베미치아키
나카타니토시후미
스즈키히데오
오오키시게루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6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5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05Mounting arrangement of assembly to vessel
    • H01J2229/0711Spring and plate (clip)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38Mitigating undesirable mechanical effects
    • H01J2229/0744Vibration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축상 SP 구조에서, 탄성지지체가 실질적으로 프레임 또는 탄성지지체 유지판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또한, 쉐도우 마스크 중앙부 근방의 텐션이 상기 쉐도우 마스크 단부의 텐션보다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복수의 탄성지지체가 실질적으로 스프링 정수가 다른 적어도 2종 이상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CATHODE-RAY TUBE AND IMAGE DISPLA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극선관(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컬러 수상관이라 칭함)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크가 인장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가장(架張)된 프레임의 지지에 사용되는 탄성 지지체의 특징을 구비하는 컬러 수상관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컬러 수상관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에 측벽(51)이 형성된 패널(52)과 이 패널(52)에 접합된 퍼널(funnel)(53)로 이루어지는 외위기(外圍器)를 구비하고, 패널 유효부의 내면에는 R, G, B의 3색으로 이루어지는 형광체 스크린(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형광체 스크린(54)과 대향하여 다수의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된 쉐도우 마스크(55)가 배치된다. 한편, 퍼널(53)의 넥(neck)(56)에는 3개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57)이 배치되어 있고, 이 3개의 전자빔을 퍼널(53)의 외측에 장착한 편향 요크(80)에서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편향시켜 상기 쉐도우 마스크(55)를 통하여 형광체 스크린(54)을 수평, 수직 주사함으로써, 컬러 화상을 표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최근의 컬러 수상관은 외부광이 비춰 들어가는 것이 적어 보기가 좋다는 점에서, 패널면이 평면화 되어 있고, 이것에 따라 쉐도우 마스크(55)도 평면화 되어 있다. 쉐도우 마스크(55)를 평면화 하게 되면, 쉐도우 마스크(55) 본체를 프레임(58)으로 지지하는 것만으로는 그 평면을 유지할 수 없다. 또, 간단히 프레임(SP)으로 지지하는 것만으로는 외부에서의 진동에 의해 용이하게 쉐도우 마스크(55)가 진동해 버리며, 컬러 수상관의 표시화상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쉐도우 마스크(55)에 일정한 장력(tension)을 가하여 프레임(58)에 가장(架張)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 쉐도우 마스크(55)에 전자빔이 충돌하는 것에 의해 쉐도우 마스크(55) 면이 변형하는 도밍(doming) 현상에 있어서도, 쉐도우 마스크(55)가 평면화 하는 것에 의해, 특히 화면의 좌우 양단면 근방에서 전자빔의 변위량이 커진다. 이 때문에 쉐도우 마스크(55)의 가장(架張) 유지에 있어서, 전자빔의 충돌에 의한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해, 쉐도우 마스크(55)에는 탄성한계에 가까운 실용 최대한의 장력을 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컬러 수상관에 있어서, 형광체 스크린(54)상에 올바른 컬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광체 스크린(54)을 구성하는 3색 형광체 층에 대하여 쉐도우 마스크(55)를 소정의 정합관계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쉐도우 마스크(55)와 형광체 스크린(54)과의 정합관계를 무너뜨리는 요인의 하나로서, 쉐도우 마스크(55)의 진동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쉐도우 마스크(55)에는 텐션이 인가되어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쉐도우 마스크(55)의 진동을 완전하게 억제하는 것은 어렵다. 쉐도우 마스크(55)의 진동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예컨대 패널(52)의 측부에 설치한 스피커 등의 진동)이 패널(52)에서 탄성지지체(59), 프레임(58)을 통하여 쉐도우 마스크(55)에 전달함으로써 발생한다. 쉐도우 마스크(55)가 진동함으로써 쉐도우 마스크(55) ·형광체 스크린(54)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전자빔의 랜딩(landing) 어긋남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쉐도우 마스크(55)의 진동은, 가능한 한 작고 단시간에 감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쉐도우 마스크(55)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쉐도우 마스크(55) 자신의 진동억제와 프레임(58)의 진동억제가 필요하다.
쉐도우 마스크(55) 자신의 진동을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쉐도우 마스크(55)의 단면에 댐퍼(damper)를 설치하는 예가 보고되어 있다. 도 2에 댐퍼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 댐퍼(61)는 와이어의 단부를 접어서 구부린 구조로, 접어 구부린 부분을 쉐도우 마스크(55)의 홀(62)에 통하여 설치한다. 쉐도우 마스크(55)의 홀(62)은, 댐퍼(61)가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설정된다. 쉐도우 마스크(55)가 진동하면, 쉐도우 마스크(55)를 진동시키는 에너지의 일부가 댐퍼(61)를 진동시키는데 사용되며, 쉐도우 마스크(55)의 진동은 감쇠한다. 이와 같은 댐퍼(61)를 설치한 구조로도 쉐도우 마스크(55) 전역에서 진동감쇠 효과를 발휘시키는 데는 불충분하다.
한편, 프레임(58)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프레임(58)의 진동 에너지를 예컨대 열 에너지 등으로 변환하여 흡수하는 작용(이후 댐퍼 작용이라 칭함)을 부가할 필요가 있다. 종래 예로서는 일본특허공개평 9-293459호 공보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지지체(59) 자신에 접동부를 설치하여 마찰에 의해 프레임(58)의 진동을 억제하는 방법이 보고 되고 있다. 도 3에 일본특허공개 평 9-293459호 공보에 개시된 탄성지지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에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을 나타내는 도이고, 스터드 핀(stud pin)(63)에 감합(嵌合)하는 감합홀(64)을 구비한 감합부(65)와, 프레임(58)에 고정되는 고정부(66) 및 감합부(65)와 고정부(66)를 연결하는 연결부(67)로 구성된다. 연결부(67)는 도중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며, V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고정부(66)에는 익변(翼邊)(68)이 설치되고, 이 익변(68)은 감합부(65)에 설치된 홀(69)을 삽통(揷通)하는 구조이다. 프레임의 진동에 따라 이 탄성지지체가 화살표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면, 익변(68)과 홀(69)이 접동함으로써 댐퍼 작용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탄성지지체는 구조가 복잡해서 제작하기 어렵고, 비용이 높아진다는 과제로, 실제로 채용하는 것은 곤란했다.
부가하여, 쉐도우 마스크(55)는 이 쉐도우 마스크(55)를 포토마스크로서 사진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는 형광체 스크린(54)의 형성공정에서, 복수회의 착탈(着脫)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쉐도우 마스크(55)가 가장된 프레임(58)을 장착 유지하는 탄성지지체(59)에 대해서는 착탈이 용이하며 또한 그 착탈에 대하여 재현성 좋게 동일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진동 억제에 더하여, 탄성지지체(59)에는 하기의 특성도 요구된다.
(1) 도밍 특성, 냉고온 특성의 개선.
(2) 내(耐)충격성의 확보.
상기 (1)의 도밍 특성(현상)은 상술과 같이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쉐도우 마스크(55)의 온도가 상승하여 패널(52)(통상은 글라스)과의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고, 쉐도우 마스크(55)와 패널(52)을 구성하는 재료의 열팽창률의 차에서 소정의 정합관계가 어긋나는 현상이다. 냉고온 특성도 마찬가지로, 패널(52)의 주변온도 환경에 의한 쉐도우 마스크(55)와 패널(52)과의 온도차이로 양자의 위치정합 관계가 어긋나는 현상이다. 어느 것이나 쉐도우 마스크(55)와 패널(52)과의 온도차이로 양자의 위치정합 관계가 어긋나는 현상이며, 색 어긋남 ·색얼룩의 원인이 된다. 이들 어긋남은 쉐도우 마스크(55)에 장력을 가하여도 완전히 흡수할 수는 없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쉐도우 마스크(55)가 팽창했을 경우에는 쉐도우 마스크(55)와 형광체 스크린(54)이 형성된 패널 내면과의 거리를 작게 하여 양자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역으로 패널(52)이 팽창했을 경우는 쉐도우 마스크(55)와 패널(55)과의 사이의 거리를 넓힐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탄성지지체(59)에는 패널(52)과 쉐도우 마스크(55)와의 온도차이에 따라, 쉐도우 마스크(55)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기능이 필요하다.
또, 컬러 수상기를 반송할 때에는 불려(不慮)의 사태(예컨대 운반중인 적화가 허물어짐 등)에 의해,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생각할 수 없는 충격이 가해지는 일이 있다. 이 충격으로 탄성지지체(59)의 소성변형이나 감합부 좌굴(挫屈)에 의해 쉐도우 마스크(55)가 변위하면, 쉐도우 마스크 ·패널간의 위치정합에 어긋남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탄성지지체(59)에는 특정의 충격(가속도)이 가해졌을 때에도 쉐도우 마스크(55)에 변위를 발생시키지 않는 강도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프레임, 쉐도우 마스크, 탄성지지체로 이루어지는 구조체(이후 이것을 프레임 구조체라 칭함)는 쉐도우 마스크의 진동억제, 도밍 ·냉고온 특성, 내(耐)충격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우수한 특성이 요망된다.
이하에, 종래 프레임 구조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프레임(58)이 띠판(帶板) 모양의 탄성지지체(59)에 의해 패널(62)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도이고, 도 4의 (b)는 띠판 모양의 탄성지지체(59)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띠판모양의 탄성지지체(59)는 패널(62)의 스터드 핀(63)에 계지(係止)하는 계지부(60(a))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60(b))와, 계지부(60(a))와 고정부(60(b))를 연결하는 연결부(60(c))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띠 모양의 탄성지지체는 TCM형이라 칭하며, 내(耐)충격성에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 도밍 ·냉고온 대책을 위해 열팽창이 다른 2종류의 재료 α(사선부)와 β(비사선부)로 이루어지는 바이메탈 구조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 탄성지지체(59)는 탄성지지체(59) 자신의 온도가 변화하지 않으면 바이메탈 효과가 발휘되지 않기 때문에, 환경변화나 급격한 쉐도우 마스크 온도상승에 대하여 응답성이 나쁘다는 과제가 있다. 또 탄성지지체(59)의 온도변화량이 작기 때문에 보정량은 크게 취하지 않고, 패널 재료와 열팽창 계수가 크게 다른 쉐도우 마스크 재료는 사용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이 프레임 구조체에 있어서, 프레임(58)의 코너부(74)는 프리하므로 진동이 발생하기 쉽고, TCM형의 탄성지지체에는 댐퍼 효과가 없기 때문에 한 번 진동이 발생하면 좀처럼 감쇠하지 않으며, 그 결과 쉐도우 마스크도 진동하여 화질에 색 어긋남 등의 악영향을 미친다는 과제가 있었다.
도 5의 (a)에 다른 종래예의 프레임 구조체를 나타낸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70) 대각부의 내측벽에 스터드 핀(71)을 설치하고, 그 스터드 핀(71)에 계지하는 계지부(72(a))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72(b)) 및 이들 계지부(72(a))와 고정부(72(b))를 연결하는 V형 형상의 연결부(72(c))로 구성되며, 그 연결부(72(c))를 형광체 스크린측으로 하여 장착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다음의 과제가 있다.
(1) 패널(70)의 대각부에 탄성지지체(72)를 설치하기 때문에, 패널(70)과 프레임(73)과의 사이의 간격이 좁고, 장착이 어렵다. 이 때문에 프레임(73)의 패널(70)로의 장착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탄성지지체(72)나 스터드 핀(71), 패널(70)의 손상에 의한 수율의 저하가 과제로 된다.
(2) 패널(70)의 대각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탄성지지체(72)의 폭은 크게 할 수 없고, 내충격 특성이 나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고, 외부 진동에 강하며, 도밍 ·냉고온 특성, 내(耐)충격성에도 우수하며, 또한 조립하기 쉬운 구성의 컬러 수상관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제 1의 발명은, 적어도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복수의 전자빔 통과부를 구비한 쉐도우 마스크와, 이 쉐도우 마스크가 인장력(tension)이 인가된 상태로 가장(架張) 유지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과 쉐도우 마스크가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과 상기 프레임이 탄성지지체에 장착 유지되는 음극선관으로서, 상기 탄성지지체가 실질적으로 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쉐도우 마스크의 중앙부 근방의 텐션이 상기 쉐도우 마스크 단부의 텐션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과 같이, 탄성지지체가 실질적으로 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성이나 프레임 지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쉐도우 마스크 중앙부 근방의 텐션이 단부의 텐션보다 크므로, 쉐도우 마스크 단부뿐만 아니라 중앙부에서도 진동감쇠 효과가 인정된다.
또, 본원 제 2의 발명은, 적어도,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복수의 전자빔 통과부를 구비한 쉐도우 마스크와, 이 쉐도우 마스크가 인장력(tension)이 인가된 상태로 가장 유지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과 쉐도우 마스크가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과 상기 프레임이 탄성지지체에 장착 유지되는 음극선관으로서, 상기 탄성지지체가 프레임의 거의 중앙에 설치된 탄성지지체 유지판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쉐도우 마스크 중앙부 근방의 텐션이 상기 쉐도우 마스크 단부의 텐션보다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이라면, 탄성지지체가 프레임의 거의 중앙에 설치된 탄성지지체 유지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프레임 사이가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탄성지지체 유지판의 연설(延設)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탄성지지체를 동일 평면내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발명의 작용 효과가 한 층 발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에 있어서, 탄성지지체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패널 측벽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핀에 감합하는 감합부 및 이들 고정부와 감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결부가 거의 V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양호한 도밍 특성 ·냉고온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탄성지지체 고정부의 면적이 5c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고정부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프레임에 걸리는 힘을 분산시켜 프레임 변형에 의한 쉐도우 마스크 텐션 분포의 패턴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탄성지지체 고정부의 면적과 탄성지지체가 고정되는 프레임 면적과의 비가 적어도 1/25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탄성지지체가 제진(制振)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쉐도우 마스크의 진동이 감쇠되어도, 프레임의 진동이 감쇠되지 않으면, 이 진동이 쉐도우 마스크에 전파한다는 이유에 의한다.
탄성지지체의 스프링 정수는 탄성지지체의 연결부에 홀을 형성하고, 홀의 크기로 조정하도록 하면, 탄성지지체의 크기를 변하게 하지 않고, 비교적 용이하게 스프링 정수를 변하게 할 수 있다.
탄성지지체에 의해 프레임에 가해진 힘은 1kg중 이상 8kg중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지지체의 스프링 정수는 0.1kg중/mm~2.5kg중/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된 쉐도우 마스크에는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되어 있고, 쉐도우 마스크는 중앙부가 가장 크고 단면부로 향함에 따라 작아지게 되는 텐션 분포를 구비함으로써, 쉐도우 마스크 전체의 진동을 확실하게 감쇠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쉐도우 마스크 전체로 댐퍼의 감쇠 효과를 넓히기 위해서는 쉐도우 마스크의 텐션 분포를, 쉐도우 마스크 중앙부의 텐션을 T1, 단부의 텐션을 T3, 중앙부와 단부와의 사이의 중간부의 텐션을 T2라 하면, T1 ≥T2 ≥T3, 또한, T1 ≥1. 1 ×T3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퍼는 감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쉐도우 마스크와의 고착부분이 없고, 또한 유동 가능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댐퍼가 쉐도우 마스크에 형성된 홀을 삽통하고 있는 구성에서, 댐퍼가 와이어 형상부재나 링(ring) 형상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쉐도우 마스크의 재질로서는 고온으로 가열해도 크리프(creep)가 적은 Fe-Ni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제 3의 발명은, 적어도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복수의 전자빔 통과부를 구비한 마스크와, 이 마스크가 유지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과 마스크가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과 상기 프레임이 복수의 탄성지지체에 장착 유지되는 음극선관으로서, 상기 복수의 탄성지지체가 실질적으로 스프링 정수가 다른 적어도 2종 이상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과 같이, 복수의 탄성지지체가 실질적으로 스프링 정수가 다른 적어도 2종 이상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진동의 억제가 용이한 단진동 모드가 강하게 되어 가고 있으므로, 프레임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발명에서, 마스크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탄성지지체가 실질적으로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도밍 특성 ·냉고온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탄성지지체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패널 측벽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핀에 감합하는 감합부 및 이들 고정부와 감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결부가 거의 V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진동 모드의 강도를 보다 높이는 데는 탄성지지체중 대향하는 탄성지지체는 동일한 스프링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탄성지지체 고정부의 면적이 5c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고정부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프레임에 걸리는 힘을 분산시켜 프레임의 변형에 의한 쉐도우 마스크 텐션 분포의 패턴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탄성지지체 고정부의 면적과 탄성지지체가 고정되는 프레임 면적과의 비가 적어도 1/25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지지체가 제진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쉐도우 마스크의 진동이 감쇠되어도, 프레임의 진동이 감쇠되지 않으면, 이 진동이 쉐도우 마스크에 전파한다는 이유에 의한다.
탄성지지체의 스프링 정수는 탄성지지체의 연결부에 홀을 형성하고, 홀의 크기로 조정하도록 하면, 탄성지지체의 크기를 변하게 하지 않고, 비교적 용이하게 스프링 정수를 변하게 할 수 있다.
탄성지지체에 의해 프레임에 가해진 힘은 1kg중 이상 8kg중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지지체의 스프링 정수는 0.1kg중/mm~2.5kg중/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가 인장력(tension)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가장(架張)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마스크의 텐션 분포가 중앙부 근방의 텐션이 단부의 텐션보다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은 가장된 쉐도우 마스크에는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되어 있고, 쉐도우 마스크는 중앙부가 가장 크고 단면부로 향함에 따라 작아지게 되는 텐션 분포를 구비함으로써, 쉐도우 마스크 전체의 진동을 확실하게 감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쉐도우 마스크 전체로 댐퍼의 감쇠 효과를 넓히기 위해서는 쉐도우 마스크의 텐션 분포를, 쉐도우 마스크 중앙부의 텐션을 T1, 단부의 텐션을 T3, 중앙부와 단부와의 사이의 중간부의 텐션을 T2라 하면, T1 ≥T2 ≥T3, 또한, T1 ≥1.1 ×T3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댐퍼는 감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쉐도우 마스크와의 고착부분이 없고, 또한 유동 가능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댐퍼가 쉐도우 마스크에 형성된 홀을 삽통하고 있는 구성에서, 댐퍼가 와이어 형상부재나 링 형상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쉐도우 마스크의 재질로서는 고온으로 가열해도 크리프가 적은 Fe-Ni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1 ~ 제 3 발명에서 상기 음극선관만이 아니라, 이 음극선관에 전자빔 제어회로, 캐비넷(cabinet) 등을 더한 TV 수상장치 등의 화상표시장치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컬러 수상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컬러 수상관의 댐퍼가 설치된 쉐도우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 (b)는 댐퍼 작용을 구비한 종래의 탄성지지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도의 (a)는 정면도, 동도의 (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컬러 수상관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동도의 (a)는 정면도, 동도의 (b)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컬러 수상관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동도의 (a)는 정면도, 동도의 (b)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형태에 사용하는 탄성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쉐도우 마스크 텐션 분포의 일예를 나타내는 상태도로서, 동도의 (a)는 A형 분포인 것, 동도의 (b)는 M형 분포인 것이다.
도 9는 쉐도우 마스크의 텐션분포 변화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0은 댐퍼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댐퍼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T1/T3과 제진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탄성지지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도의 (a)는 사시도, 동도의 (b)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탄성지지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도의 (a)는 사시도, 동도의 (b)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 2 형태에 사용하는 탄성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 3 형태에 사용하는 탄성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 3 형태에서의 프레임 진동의 감쇠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8은 프레임 진동모드의 해석결과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9는 비틀림 진동모드시의 탄성지지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단진동 모드시의 탄성지지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 4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컬러 수상관의 쉐도우 마스크는 평판 마스크이며,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컬러 수상관의 구성은,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제 1 형태)
도 6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프레임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에서 1은 좌우 프레임, 2는 상하 프레임이며, 쉐도우 마스크(3)는 상하방향(화살표 방향)에 인장의 텐션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하 프레임(2)에 가장(架張) 유지되어 있다. 쉐도우 마스크(3)의 좌우 단면부에는, 쉐도우 마스크(3)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와이어 형상의 댐퍼(4)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9형용의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고, 쉐도우 마스크(3)에는 중앙부가 4.3kg중/mm2, 좌우 단면부가 3.4kg중/mm2 중앙부와 단면부와의 중간부가 3.6kg중/mm2의 텐션 분포가 설정되어 있다. 또, 쉐도우 마스크(3)에는 36% Ni-Fe 합금을 사용했다.
또 프레임(1, 2)을 패널에 장착하는 탄성지지체(5)는 조립성이나 프레임(1, 2)의 지지성을 고려하여 프레임(1, 2)의 거의 중앙부에 설치된다(축상 SP구조). 도 7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탄성지지체(5)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탄성지지체(5)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6), 패널 측벽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핀(stud pin)에 감합하는 감합부(7) 및 이들 고정부(6)와 감합부(7)를 연결하는 V형 형상의 연결부(8)로 구성되고, 연결부(8)에는 홀(13)이 형성되어 있다. 홀(13)의 크기(특히 길이 L)와 연결부(8)의 판 두께를 변하게 함으로써, 탄성지지체(5)의 스프링 정수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L이 25mm, 판 두께 0.6mm에서 스프링 정수는 1.2kg중/mm이다.
여기서, 쉐도우 마스크(3)의 전역에서 진동감쇠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쉐도우 마스크의 중앙부가 가장 높고 단부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낮아지게 되는 텐션 분포(이하, A형 분포라 칭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 이외에서 텐션의 피크를 갖는 분포(이하, M형 분포라 칭함)에서는 단부에서 텐션이 피크로 되기까지의 영역(a)은 댐퍼에 의한 진동감쇠 효과가 인정되지만, 중앙부의 영역(b)에는 진동감쇠 효과가 넓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텐션이 피크로 되는 부분 P가 마디로 되어 진동하기 때문이며, 댐퍼의 진동감쇠 효과의 넓음은 텐션 피크 중에서 억제된다는 이유에 의한다. 또, 쉐도우 마스크에 주름이나 텐션 기복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이유로 진동감쇠 효과가 넓어지지 않는다.
[실험]
이상과 같은 쉐도우 마스크 ·프레임을 CRT화 하여 평가했다.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표 1에서는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띠판(帶板) 모양의 탄성지지체(이하, TCM형이라 칭함) 및 하기 제 2의 형태에서 나타내는 것에 대해서도 기재하고 있다.
표 1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목표를 클리어 하고 있고, 외부진동에 강하며, 도밍 ·냉고온 특성, 내충격성에도 우수하다. 또 축상 SP구조이므로 조립하기 쉽고, 프레임을 패널에 장착하는 공정(포토리소그래피 공정도 포함)에서의 불량률은 1/10 이하로 비약적으로 저하했다.
또, 종래의 TCM형에서는 도밍 특성, 냉고온 특성, 내충격성이 충분하지는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탄성지지체 구조(이하, 메카니컬형이라 칭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사항]
(1) 본 제 1 형태에서 사용한 탄성지지체(5)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6)의 면적은 10cm2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 이 면적은 큰 편이 바람직하고, 최저라도 5cm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고정부(6)의 면적이 작으면, 탄성지지체(5)에서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이 집중함으로써 프레임이 변형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쉐도우 마스크(3) 텐션 분포의 패턴을 변화시켜 버리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쉐도우 마스크 텐션 분포의 패턴이 변화하면, 쉐도우 마스크의 진동이 감쇠하기 어려운 영역이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이유로, 탄성지지체(5)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6)의 면적은 큰 편이 바람직하며, 최저라도 5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2) 본 제 1 형태(패널의 크기 29형)에서는 상기와 같이 탄성지지체(5)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6)의 면적을 5cm2보다 크게 함으로써, 쉐도우 마스크(3)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지만, 기타 크기의 패널에 대해서도, 이 방법은 적응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지지체(5) 고정부(6)의 면적(A1cm2)과 탄성지지체(5)가 고정되는 프레임의 면적(A2cm2)의 비(A1/A2)를 1/25보다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실험에 의해 확인했다.
(3) 본 제 1 형태에서는 스프링 정수가 1.2kg중/mm의 메카니컬형 탄성지지체(5)를 사용하고 있고, 프레임을 패널에 설치했을 때의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은 약 3.5kg중이지만, 본 발명에 적응하는 메카니컬형 탄성지지체(5)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은 1kg중 이상 8kg중 이하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1kg중보다 작으면 마스크에 대한 프레임의 설치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한편, 8kg중을 초과하면 프레임이 변형하여 쉐도우 마스크(3)의 텐션 분포가 M형으로 변하며, 진동이 감쇠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설치상태를 실현하는 메카니컬형 탄성지지체(5)의 스프링 정수는 0.1kg중/mm 이상 2.5kg중/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실험에 의해 확인했다. 왜냐하면, 프레임과 패널과의 사이의 간격은 현실적으로 최대 20mm가 한계(패널 사이즈가 작아지면 더 작음)이고, 상기 설치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0.1kg중/mm 이상의 스프링 정수가 필요하게 되는 한편, 스프링 정수가 2.5kg중/mm 이상이 되면, 스프링 강성이 너무 커져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워지고, 극단적으로 조립성이 나빠지며, 더욱이 같은 힘을 가하여도 변형하는 양이 적어지므로, 도밍 특성이나 냉고온 특성이 저하하기(보정범위가 극단하게 좁아짐) 때문이다.
(4) 본 제 1 형태에서, 쉐도우 마스크(3)의 좌우 단면부에 설치한 댐퍼(4)는 와이어 형상부재를 일부 절곡(切曲)시켜 쉐도우 마스크(3)에 형성한 홀(21)에 삽통한 구성이지만, 본 발명에 적응하는 댐퍼(4)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0과 같은 링 형상부재(9)라도 상관없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가 쉐도우 마스크 단면(12)에 접촉하고, 다른 일부가 프레임(10)에 고착한 구성의 댐퍼(11)라도 상관없다.
(5) 쉐도우 마스크의 재료로서는 텐션이 부가된 상태에서 고온시의 열 크리프 양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CRT제조 프로세스에서는 쉐도우 마스크 가장(架張)시에 발생하는 응력완화를 위한 열처리나 외위기(外圍器) 형성을 위한 프리트(frit) 공정 등, 복수회의 고온열처리 공정이 필요하다. 쉐도우 마스크가 텐션을 구비하여 프레임에 가장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시에 쉐도우 마스크의 열 크리프가 발생하면, 텐션의 감소, 텐션 분포의 변화, 쉐도우 마스크의 주름 등 현상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 열 크리프를 흡수하기 위해, 매우 큰 텐션을 쉐도우 마스크에 가할 필요가 있고, 프레임 강도 상승(up)에 의해 프레임 중량의 증가, 가장설비의 복잡화 ·비용 상승(up), 프로세스의 번잡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쉐도우 마스크의 재료로서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Ni-Fe 합금(인버재) 등 텐션이 부가된 상태에서 고온시의 열 크리프 양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6) 쉐도우 마스크 전체로 댐퍼의 감쇠 효과를 넓히기 위해서는 쉐도우 마스크의 텐션 분포를, 쉐도우 마크스 중앙부의 텐션을 T1, 단부의 텐션을 T3, 중앙부와 단부와의 사이의 중간부의 텐션을 T2라 하면, T1 ≥T2 ≥T3, 또한, T1 ≥1.1 ×T3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1 <1.1 ×T3로 되면, 제진시간이 길어진다는 이유에 의한다. 또, 도 12에서 제진시간이란 진동진폭이 1/10 이하로 되기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7) 도 13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터드 핀(34)의 선단에 접동하는 단면원통 모양의 접동용 부재(33)를 고정부(6)에 용접하거나, 혹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터드 핀(34)의 선단에 접동하는 띠 모양의 접동용 부재(35)를 고정부(6)에 용접하는 것 등의 방법에 의해, 탄성지지체가 제진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쉐도우 마스크의 진동이 감쇠되어도, 프레임의 진동이 감쇠되지 않으면, 이 진동이 쉐도우 마스크에 전파한다는 이유에 의한다.
(제 2 형태)
도 15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프레임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제 1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을 패널에 장착하는 탄성지지체(5)의 내, 상하 프레임(2)으로의 설치에 대해서는 상하 프레임(2)의 거의 중앙부에 설치된 탄성지지체 유지판(20, (탄성지지체 유지판(20)의 상하 프레임(2)에 고정되는 면적은 15cm2임)에 고정된다는 것 및 쉐도우 마스크(3)에는 중앙부가 4.0kg중/mm2, 좌우 단면부가 3.2kg중/mm2, 중앙부와 단면부와의 중간부가 3.5kg중/mm2의 텐션 분포가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한 이외는 상기 제 1 형태와 동일한 구조이다.
[실험]
이상과 같은 쉐도우 마스크 ·프레임을 CRT화 하여 평가했다. 상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목표를 클리어 하고 있고, 외부 진동에 강하며, 도밍 ·냉고온 특성, 내충격성에도 우수하다. 또 축상 SP구조이므로 조립하기 쉬우며, 프레임을 패널에 장착하는 공정(포토리소그래피 공정도 포함함)에서의 불량률은 1/10 이하로 비약적으로 저하했다.
[기타 사항]
상기 제 1 형태의 (1) ~ (7)에 대해서는 본 제 2 형태에서도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형태)
도 16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탄성지지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제 1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하 프레임(2)에는 스프링 정수가 0.2kg중/mm(L1:50mm, L2:25mm, t:0.3mm)의 탄성지지체를, 또 좌우 프레임(1)에는 스프링 정수가 1.2kg중/mm(L1:50mm, L2:25mm, t:0.6mm)의 탄성지지체를 설치한 이외는, 상기 제 1 형태와 동일한 구조이다. 또, 이와 같은 탄성지지체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패널에 설치했을 때의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은 각각 1.2kg중, 3.5kg중이었다.
[실험]
이상과 같은 프레임 구조체를 CRT로서 평가했다.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표 2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목표를 클리어 하고 있고, 외부 진동에 강하며, 도밍 ·냉고온 특성, 내충격성에도 우수하다. 특히 진동에 대해서는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에 가속도 3G가 걸리게 충격을 주어도, 0.5초 이하의 시간으로 프레임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 축상 SP구조이므로 조립하기 쉬우며, 프레임을 패널에 장착하는 공정(포토리소그래피 공정도 포함한다)에서의 불량률은 1/10 이하로 비약적으로 저하했다.
한편, 종래의 TCM형에서는 도밍 특성, 냉고온 특성, 내충격성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메카니컬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제 3 형태의 것에서는, 프레임 진동억제에 효과가 있지만, 그 원리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프레임의 거의 중앙부에 메카니컬형의 탄성지지체를 배치한 프레임 구조체의 진동 모드를 해석하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모드가 존재한다(도 18의 해석결과는 29형 패널의 것이다. 패널의 크기가 변하면, 모드 형태는 동일하지만 모드의 발생주파수가 변함).
(1) 비틀림 진동모드:프레임이 비틀리도록 진동하는 모드(29형용의 프레임에서는 85Hz 근방에서 발생).
(2) 단진동 모드:상하 프레임에 설치된 탄성지지체 또는 좌우 프레임에 설치된 탄성지지체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 진동하는 모드(29형용의 프레임에서는 115Hz 및 130Hz 근방에서 발생).
(3) 평행진동 모드:프레임이 관축(管軸)방향(도면의 A 화살표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는 진동 모드(29형용의 프레임에서는 140Hz 근방에서 발생).
패널면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각 진동 모드가 발생하는 주파수의 진동만을 인가한 후, 스피커를 OFF로 하여 진동감쇠 상태를 측정하면(스피커 단음시험이라 칭함), 비틀림진동 모드에서는 진동이 좀처럼 감쇠하지 않고 진동을 계속한다. 단진동 모드에서는 비틀림진동 모드에 비해 1/10 이하의 시간으로 진동이 억제된다. 평행진동 모드에서는 측정이 곤란할 정도로 빨리 진동이 억제된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탄성지지체의 작동형태에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비틀림진동 모드의 경우,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탄성지지체라도 스터드 핀(85)을 중심으로 탄성지지체의 감합부(86(a))나 연결부(86(c))가 비틀리도록 작동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있어서는, 탄성지지체에는 댐퍼 효과가 없으므로 프레임 진동은 억제되지 않고 계속한다. 단진동 모드에서는, 지점이 되는 탄성지지체는 비틀림 모드와 동일한 동작을 하지만, 그것 이외의 탄성지지체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축 작동한다(화살표 방향으로 신축 작동함). 이때 스터드 핀(85)과 탄성지지체의 감합부(86(a))에서, 탄성지지체의 감합홀(87)과 스터드 핀(85)은 조금이지만 접동한다. 이 감합홀(87)과 스터드 핀(85)의 접동에 의한 마찰이 댐퍼 작용이 되어, 프레임 진동을 억제하도록 동작한다. 평행진동 모드에서는 모든 탄성지지체가 신축 작동으로 되어 매우 큰 댐퍼 작용이 동작하므로, 프레임 진동은 순시에 억제된다.
좌우 프레임, 상하 프레임에 설치되는 탄성지지체는 모두 동일한 것(형상, 스프링 정수 등)이 많지만, 이 경우 프레임 진동은 비틀림 모드가 주체로, 단진동 모드나 평행진동 모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프레임 진동이 억제되지 않게 계속한다. 우리들은, 스프링 정수가 다른 탄성지지체를 이용함으로써, 비틀림진동 모드와 단진동 모드 2개의 진동 모드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표 3은 상하 프레임에 설치하는 탄성지지체의 스프링 정수를 0.2kg중/mm에 고정하고, 좌우 프레임에 설치하는 탄성지지체의 스프링 정수를 0.2kg중/mm에서 1.9kg중/mm로 변화시켰을 때의 비틀림 모드와 단진동 모드의 강도비를 검토한 결과이다.
이 표 3에 나타내는 강도는 외부 진동을 인가했을 때에 발생하는 측정계의 진동강도를 1로 했을 때의 상대치이다. 이 결과로부터 좌우 프레임과 상하 프레임 탄성지지체의 스프링 정수를 다르게 함으로써, 단진동 모드가 강하게 되어 가는 것을 안다.
이와 같이 탄성지지체의 스프링 정수를 다르게 함으로써, 비틀림진동 모드의 일부를 단진동 모드로 치환할 수 있고, 프레임 진동은 억제된다. 단진동 모드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하 프레임에 설치한 대향하는 탄성지지체, 좌우 프레임에 설치한 대향하는 탄성지지체는 각각 동일한 스프링 정수인 것이 효과적이다.
탄성지지체의 스프링 정수는 탄성지지체의 연결부에 홀을 형성하고, 홀의 크기로 조정하도록 하면, 탄성지지체의 크기를 변하지 않게, 비교적 용이하게 스프링 정수를 변하게 할 수 있다.
[기타 사항]
상기 제 1 형태의 (1) ~ (7)에 대해서는 본 제 3 형태에서도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8) 본 제 3 형태에서 탄성지지체는 프레임에 직접 설치하는 구조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형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지지체를 탄성지지체 유지판을 통하여 프레임에 설치하는 구조라도 된다.
(9) 본 제 3 형태에서는 탄성지지체가 실질적으로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 마스크의 진동을 보다 억제하기 위해서는 탄성지지체가 실질적으로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단진동 모드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탄성지지체 중 대향하는 탄성지지체는 동일한 스프링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11) 마스크가 인장력(tension)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가장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마스크의 텐션 분포가 중앙부 근방의 텐션이 단부의 텐션보다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은 가장된 쉐도우 마스크에는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되어 있고, 쉐도우 마스크는 중앙부가 가장 크게 단면부로 향하는데 따라 작아지는 텐션 분포를 구비함으로써, 쉐도우 마스크 전체의 진동을 확실하게 감쇠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 제 3 발명은, 「 복수의 전자빔 통과홀을 구비한 평판 마스크를 화면의 종, 횡 두 방향에 가장 유지한 마스크」「애퍼추어 그릴(apertuer grill)」이라 불리우는 복수의 세조(細條)를 상하 방향에 가장 유지한 마스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쉐도우 마스크는 평면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면(cylinderical)의 가장(架張)면으로 되어 있는 것도 포함한다.
(제 4 형태)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제 1 ~ 제 3 실시형태의 컬러 수상관을 적응한 TV 수상기이다. 도 21에 그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에서, 25는 본 발명의 컬러 수상관, 26은 스피커, 27은 전자빔 제어나 튜너(tuner) 등의 회로이다. 이 구성에 의해, 외부 진동에 대한 색 어긋남이 적고, 반송시 불이의 사고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평면(flat)TV 수상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성은 TV 수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모니터 등의 화상표시장치 전반에도 적응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진동에 강하고, 도밍 · 냉고온 특성, 내(耐)충격성에도 우수하며, 또한 조립하기 쉬운 구성의 컬러 수상관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이 컬러 수상관을 이용한 평면(flat)TV 수상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들을 수 있다.

Claims (6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적어도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복수의 전자빔 통과부를 구비한 마스크와 이 마스크가 유지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과 마스크가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과 상기 프레임이 복수의 탄성지지체로 장착 유지되는 음극선관으로서,
    상기 복수의 탄성지지체가 실질적으로 프레임의 종횡 각 중앙부에 설치되고, 또, 프레임의 종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탄성지지체와, 횡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탄성지지체의 스프링 정수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유지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패널 측벽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핀에 감합하는 감합부 및 이들 고정부와 감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거의 V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7.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 중 대향하는 탄성지지체는 동일한 스프링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의 연결부에 홀을 설치하고, 이 홀의 크기로 스프링 정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9. 삭제
  40. 삭제
  4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 고정부의 면적이 5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2.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 고정부의 면적과, 상기 탄성지지체가 고정되는 상기 프레임 면적과의 비가, 적어도 1/2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3.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가 인장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가장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텐션 분포가 중앙부 근방의 텐션이 단부의 텐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텐션 분포가 마스크 중앙부의 텐션을 T1, 단부의 텐션을 T3 중앙부와 단부와의 사이의 중간부의 텐션을 T2라 하면, T1 ≥T2 ≥T3, 또한, T1 ≥1.1 ×T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6. 삭제
  47. 제 33, 34, 43, 44,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가 제진(制振)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구조는 댐퍼이고, 상기 댐퍼가 상기 마스크에 대하여 유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제 33, 34, 43, 44, 45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음극선관과, 전자빔 제어회로, 캐비넷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가 제진(制振)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가 제진(制振)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1.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가 제진(制振)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2.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가 제진(制振)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3. 제 35 항 기재의 음극선관과, 전자빔 제어회로, 캐비넷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64. 제 37 항 기재의 음극선관과, 전자빔 제어회로, 캐비넷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65. 제 41 항 기재의 음극선관과, 전자빔 제어회로, 캐비넷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66. 제 42 항 기재의 음극선관과, 전자빔 제어회로, 캐비넷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67. 제 47 항 기재의 음극선관과, 전자빔 제어회로, 캐비넷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68. 제 48 항 기재의 음극선관과, 전자빔 제어회로, 캐비넷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10-2002-7001361A 1999-10-21 2000-10-23 음극선관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KR100529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299654 1999-10-21
JP29965499 1999-10-21
JPJP-P-1999-00367205 1999-12-24
JP36720599 1999-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932A KR20020016932A (ko) 2002-03-06
KR100529578B1 true KR100529578B1 (ko) 2005-11-17

Family

ID=2656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361A KR100529578B1 (ko) 1999-10-21 2000-10-23 음극선관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62546B1 (ko)
EP (2) EP1223601A4 (ko)
KR (1) KR100529578B1 (ko)
CN (1) CN100341103C (ko)
MY (1) MY126971A (ko)
TW (1) TW480519B (ko)
WO (1) WO2001029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6364T2 (de) 2001-03-19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Farbkathodenstrahlröhre
CN1849689A (zh) * 2003-08-20 2006-10-18 汤姆森许可公司 用于具有横向扫描的阴极射线管(crt)的拉伸荫罩框架
ITMI20040302A1 (it) * 2004-02-23 2004-05-20 Videocolor Spa Mezzi di supporto dell'insieme quadro-maschera per tubi a raggi catodici
ITMI20040765A1 (it) * 2004-04-19 2004-07-19 Videocolor Spa Mezzi di sospensione di un insieme quadro-maschera per tubo a raggi catodici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21802Y1 (ko) * 1967-05-24 1970-08-29
JPS5612770Y2 (ko) * 1976-05-06 1981-03-24
JPS5612770A (en) 1979-07-11 1981-02-07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US4318025A (en) * 1979-11-21 1982-03-02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Shadow mask microphonic suppressor
NL8102182A (nl) * 1981-05-04 1982-12-0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JPS58179740A (ja) 1982-04-14 1983-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装置
JPS58179740U (ja) * 1982-05-26 1983-12-01 株式会社東芝 カラ−受像管
JP2565899B2 (ja) * 1986-11-20 1996-12-18 株式会社東芝 カラ−受像管
US4827180A (en) * 1986-11-20 1989-05-02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picture tube with support members for the mask frame
US5274301A (en) * 1987-01-27 1993-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panel with shadow mask supports
JP2965254B2 (ja) * 1988-01-22 1999-10-18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の製造方法
JPH0492334A (ja) * 1990-08-08 1992-03-25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カラー陰極管のフレームヘグリッドを取り付ける方法
KR930000577B1 (ko) * 1990-10-27 1993-01-25 삼성전관 주식회사 새도우 마스크 구조체를 가지는 칼라 음극선관
KR940003390Y1 (ko) * 1991-12-06 1994-05-23 삼성전관 주식회사 마스크프레임 지지체
KR960012414B1 (ko) * 1993-07-05 1996-09-20 엘지전자주식회사 칼라수상관의 섀도우마스크 지지용 탄성부재
US5522615A (en) 1994-07-15 1996-06-04 Remin Laboratories, Inc. Cart and Luggage handle assembly with an actuator and release apparatus
JP3354297B2 (ja) * 1994-08-09 2002-12-09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JP3495461B2 (ja) * 1995-07-20 2004-02-09 ソニー株式会社 カラー表示装置の色選別部支持装置および陰極線管
JPH0945256A (ja) * 1995-08-01 1997-02-14 Hitachi Ltd シャドウマスク構体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JPH09153333A (ja) 1995-11-30 1997-06-10 Sony Corp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93459A (ja) 1996-04-26 1997-11-11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JPH10312756A (ja) * 1997-05-12 1998-11-24 Toshiba Corp 陰極線管
JP3343205B2 (ja) * 1997-07-30 2002-1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JP3472710B2 (ja) * 1998-02-06 2003-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
JP3457563B2 (ja) * 1998-03-17 2003-10-20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US5990607A (en) * 1998-07-14 1999-11-23 Chunghwa Picture Tubes, Ltd. Shadow mask for color CRT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3300669B2 (ja) * 1998-09-01 2002-07-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932A (ko) 2002-03-06
EP1830378A2 (en) 2007-09-05
CN1382302A (zh) 2002-11-27
MY126971A (en) 2006-11-30
TW480519B (en) 2002-03-21
EP1223601A4 (en) 2005-12-14
WO2001029865A1 (fr) 2001-04-26
US6762546B1 (en) 2004-07-13
CN100341103C (zh) 2007-10-03
EP1830378A3 (en) 2007-10-24
EP1223601A1 (en) 200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4482B1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529578B1 (ko) 음극선관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US5289080A (en) Mask frame damper for color cathode ray tubes
KR100762755B1 (ko) 음극선관용 컬러 선택 마스크
KR20010000989A (ko) 평면 브라운관용 텐션마스크 구조체
JP3474844B2 (ja) 陰極線管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727572B1 (ko) 섀도우 마스크 진동 감쇠기를 가지는 crt
US7023129B1 (en) Cathode-ray tube and image display comprising the same
US6603251B1 (en) Shadow mask for flat cathode ray tube
JPH0877936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266523Y1 (ko) 칼라음극선관용 스프링
KR100346967B1 (ko) 경화된지지스프링과이것을사용하는음극선관
KR100389543B1 (ko) 개선된 댐퍼스프링 장착 구조를 갖는 컬러 음극선관
KR100709239B1 (ko) 음극선관의 인장 마스크 지지용 프레임
KR100224980B1 (ko) 플랫 텐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KR20000039024A (ko) 평면 브라운관의 텐션마스크 구조체
KR100355833B1 (ko) 칼라음극선관의 프레임 지지 스프링
KR20010096031A (ko) 칼라 브라운관의 마스크 프레임 지지체
KR20030093487A (ko) 텐션마스크 조립체
KR20020083680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
KR20000033104A (ko) 칼라음극선관용 스프링
KR20030059584A (ko) 개선된 스프링을 가지는 칼라 음극선관
JPH0935658A (ja) カラー表示装置の色選別部支持装置および陰極線管
WO2006044269A1 (en) Damper for a cathode-ray tube (crt) tension mask
KR20030049926A (ko) 음극선관용 색선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