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070B1 -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070B1
KR100529070B1 KR10-2003-0005997A KR20030005997A KR100529070B1 KR 100529070 B1 KR100529070 B1 KR 100529070B1 KR 20030005997 A KR20030005997 A KR 20030005997A KR 100529070 B1 KR100529070 B1 KR 10052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battery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561A (ko
Inventor
김영준
나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070B1/ko
Priority to JP2004021112A priority patent/JP4471344B2/ja
Priority to CNB2004100283346A priority patent/CN100352083C/zh
Priority to US10/767,875 priority patent/US20040253517A1/en
Publication of KR2004006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070B1/ko
Priority to US11/593,691 priority patent/US8313539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음극의 제조 방법은 음극 활물질과 수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음극 전구체를 진공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은 음극, 양극 및 전해질로 조립된 리튬 이차 전지를 진공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초기 충전시 가스 발생량이 적은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METHOD OF PREPARING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 충전시 가스 발생량이 적은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전자 제품, 전자 기기, 통신 기기의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차 전지의 전극은 활물질 합재(바인더, 필요하다면 도전재)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활물질 조성물을 전류 집전체에 도포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전극을 사용한 전지가 충방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활물질 합재가 전류 집전체에 잘 부착되어 있어야 전지 용량 및 사이클 수명을 충분하게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활물질 합재를 집전체에 잘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바인더의 선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때 바인더가 가져야할 성질로는 소량의 첨가만으로 전극에 물리적 강도를 줄 수 있어서 고에너지 밀도의 양극 제조에 용이해야하며 전해액과의 반응성이 없어야 하며 전지 사용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바인더로 최근 스티렌부타디엔 러버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등의 수계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수계 바인더를 사용한 전지는 초기 충전 과정에서 극판 내 수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분해, 음극 표면 피막 형성 반응 등으로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의 부피 팽창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의 초기 충전시 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기 충전시 가스 발생량이 감소된 전지를 제조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 발생량과 가스의 성분을 조절할 수 있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음극을 사용하거나, 상술한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극 활물질과 수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음극 전구체를 진공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음극, 양극 및 전해질로 리튬 이차 전지를 조립하고; 조립된 리튬 이차 전지를 진공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활물질을 집전체에 잘 부착시키기 위해서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스티렌부타디엔 러버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즈 등의 수계 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지를 초기 충전시 극판 내 수분, 카르복실메틸셀룰로즈의 분해, 음극 활물질 표면 피막형성 반응 등으로 인해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가스 발생량이 과도할 경우에는, 전지 부피 팽창에 따라 폭발하는 등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또한 전지 수명 열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발생량을 예측하여 조절해야하는데, 극판의 가스 발생량은 극판 수분량으로 조사할 수 있으나, 최종 전지 조립후에 발생되는 가스 발생량은 극판 수분량으로는 예측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가스 발생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은 예의 연구하던 중, 극판을 진공 건조하거나 전지 제조 공정 중 임의적인 가스 제거 등을 통해 최종 전지에서 발생되는 가스량 및 가스 성분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가스 발생량을 조절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먼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음극 활물질 및 수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음극 전구체를 8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의 온도 및 10 토르(torr) 이하의 압력 하에서 1 내지 72시간 동안 진공 건조한다. 이와 같이, 극판을 진공 건조하면 극판에 잔존할 수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바인더로 주로 사용되는 카르복실메틸셀룰로즈 자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휘발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바인더를 사용함에 따른 가스 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전구체는 음극 활물질 조성물을 전류 집전체에 도포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음극 활물질 조성물은 음극 활물질과 수계 바인더를 포함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에서 음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탄소 화합물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전기화학적인 산화환원이 가능한 물질로서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 가능한 화합물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들중 대표적인 예로, 비정질 탄소 또는 결정질 탄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비정질 탄소의 예로는 소프트 카본(soft carbon: 저온 소성 탄소) 또는 하드 카본(hard carbon), 메조페이스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결정질 탄소의 예로는 무정형, 판상, 린편상(flake), 구형 또는 섬유형의 천연 흑연 또는 인조 흑연을 들 수 있다.
상기 수계 바인더로는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러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러버의 스티렌 계열 러버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의 셀룰로즈 계열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가스 방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음극을 이용하여 전지를 조립한 후, 조립된 전지를 진공 건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진공 건조는 전지에 사용되는 세퍼레이터의 연신을 고려하여 100℃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10분 이상 실시하면 된다.
물론, 상술한 극판을 진공 건조한 후, 진공 건조된 음극 극판을 이용하여 전지를 조립하고, 이 전지를 다시 진공 건조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가 가스 발생량을 가장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술한 진공 건조 공정을 실시한 음극 극판을 사용하여 전지를 제조하거나 진공 건조 공정을 실시한 전지는 초기 충전시 발생되는 총 가스량 중 CO의 함량을 50%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초기 충전은 0.1 내지 1.0C의 충전 속도로 1 내지 5 사이클했을때를 말한다. 상기 초기 충전시 발생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해보면 H2, N2, O2, CO, CO2, CH4 및 C 2H4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수소 가스는 수분의 분해에 의해 발생되며 CO 가스는 음극 표면 피막 형성에 의해서도 소량 발생하지만 주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의 분해에 의해 발생된다. 특히 CO의 함량이 전지의 두께 등을 제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의 전지는 총 가스량 중에서 CO 및 CO2의 총 함량이 전체 가스량의 30 부피% 이하, 질소 대비 구성성분비 50 부피% 이하이다. 초기 충전시 발생되는 총 가스량이 30 부피% 보다 클 경우에는 전지 부피가 너무 증가하여 안정성이 떨어지며, 스웰링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수소 가스의 발생량은 총 가스량의 0.2 부피%를 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그라파이트 96g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2g,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2g을 물에서 혼련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Cu 포일에 코팅하고 건조 및 압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을 90℃에서 1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진공 건조된 음극, LiCoO2 양극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메틸렌 카보테이트(1:1 부피비)에 용해된 1M LiPF6 전해액을 사용하여 리튬 이차 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20℃에서 1시간 동안 진공 건조 공정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그라파이트 96g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2g,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2g을 물에서 혼련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Cu 포일에 코팅하고 건조 및 압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 LiCoO2 양극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메틸렌 카보네이트(1:1 부피비)에 용해된 1M LiPF6 전해액을 사용하여 리튬 이차 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그라파이트 96g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1g,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1g을 물에서 혼련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Cu 포일에 코팅하고 건조 및 압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을 90℃에서 1시간 동안 1차 진공 건조하였다. 진공 건조된 음극, LiCoO2 양극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메틸렌 카보네이트(1:1 부피비)에 용해된 1M LiPF6 전해액을 사용하여 리튬 이차 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리튬 이차 온 전지를 100℃에서 2차 진공 건조하였다.
(비교예 1)
진공 건조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 온 전지를 초기 충전(화성 공정)하여 발생되는 가스를 채취하고, 성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낸 결과는 상대 면적을 비교한 결과이고, 표 2에 나타낸 결과는 대기 중에서 혼입된 N2 대비 성분별 면적비를 나타낸 결과이다. 분석 조건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컬럼: Heyasep column) 방법을 사용하여, 채취된 가스를 0.1cc 주입하여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H2 0.3 미량 미량
N2 47.2 63.5 74.7
O2 12.0 10.7 12.2
CO 37.6 23.7 11.2
CH4 1.6 1.5 1.4
C2H4 1.3 0.5 0.3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H2 0.6 미량 미량
N2 100 100 100
O2 25.4 16.9 16.3
CO 79.7 37.3 15.0
CH4 3.4 2.4 1.9
C2H4 2.8 0.8 0.4
아울러,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가스 발생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공 건조한 음극을 사용한 전지(실시예 1)는 가스 발생량이 진공 건조하지 않은 음극을 사용한 전지(비교예 1)보다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의 전지의 초기 두께를 측정한 결과 4.2mm였다. 이 전지의 초기 충전시 전지 두께 변화를 알아보고자, 초기 충전시 전지 두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면, 진공 건조하지 않은 음극을 사용한 비교예 1의 전지가 두께 변화가 가장 심하고, 진공 건조 온도가 90℃(실시예 1)에서 120℃(실시예 2)로 올라갈수록 전지 두께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초기 충전시 가스 발생량이 적은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의 초기 충전시 가스 발생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의 초기 충전을 실시한 이후의 두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음극 활물질과 수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음극 전구체를 80 내지 200℃의 온도 및 10 토르 이하의 압력 하에서 1 내지 72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음극, 및 양극과 전해질을 사용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를 100℃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다시 진공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을 제조하는 단계는 90 내지 150℃의 온도 및 10 토르 이하의 압력 하에서 1 내지 72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03-0005997A 2003-01-29 2003-01-29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0529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997A KR100529070B1 (ko) 2003-01-29 2003-01-29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JP2004021112A JP4471344B2 (ja) 2003-01-29 2004-01-29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CNB2004100283346A CN100352083C (zh) 2003-01-29 2004-01-29 可再充电锂电池负极的制备方法及可再充电锂电池的制备方法和可再充电的锂电池
US10/767,875 US20040253517A1 (en) 2003-01-29 2004-01-29 Method of preparing a negative electrode for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of fabricating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11/593,691 US8313539B2 (en) 2003-01-29 2006-11-06 Method of fabricating an anode and a lithium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997A KR100529070B1 (ko) 2003-01-29 2003-01-29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561A KR20040069561A (ko) 2004-08-06
KR100529070B1 true KR100529070B1 (ko) 2005-11-16

Family

ID=3296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997A KR100529070B1 (ko) 2003-01-29 2003-01-29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40253517A1 (ko)
JP (1) JP4471344B2 (ko)
KR (1) KR100529070B1 (ko)
CN (1) CN10035208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3143A (zh) * 2018-12-26 2019-06-14 深圳市卓能新能源股份有限公司 锂电池烘干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716B1 (ko) * 2005-09-27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7819615B2 (en) * 2005-12-06 2010-10-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finishing sheets for a bound document
US7531309B2 (en) 2005-12-06 2009-05-12 Michigan State University PCR based capsular typing method
JP2007280907A (ja) * 2006-04-12 2007-10-25 Seiko Epson Corp 電極の製造方法、電極の製造装置、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101148B1 (ko) * 2008-01-18 2012-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조 공정성이 향상된 전극 제조방법
KR101423944B1 (ko) * 2012-11-02 2014-08-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카바이드 유도 탄소 기반 음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음극 활물질
US9806335B2 (en) 2012-11-30 2017-10-31 Lg Chem, Ltd. Composite including conductive material and binder on surface of (semi) metal oxide and method of preparing anode slurry including the same
US9590238B2 (en) 2012-11-30 2017-03-07 Lg Chem, Ltd. Composite for an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EP2760065B1 (en) * 2012-11-30 2018-06-13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ode slurry
WO2014157420A1 (ja) * 2013-03-26 2014-10-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4142045B (zh) * 2013-07-11 2016-03-23 中航锂电(江苏)有限公司 一种大容量锂离子动力电池电芯的干燥方法
CN103785599B (zh) * 2013-12-18 2016-11-02 陈佩 电极片/电池芯去水干燥设备及方法
JP6573254B2 (ja) * 2015-07-31 2019-09-11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
KR102144883B1 (ko) * 2016-03-17 2020-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라이딩 방식의 전지셀 이송 장치
US10199635B2 (en) * 2016-09-22 2019-02-05 Grst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of drying electrode assemblies
CN111780500A (zh) * 2019-04-04 2020-10-16 苏州合乾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锂电池正极片的低能耗高效率真空烘烤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5751A (en) * 1984-06-18 1986-01-21 Eastman Kodak Company Cathode for high current density and high power density electrochemical cells
US5618640A (en) * 1993-10-22 1997-04-08 Fuji Photo Film Co., Lt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US5658685A (en) * 1995-08-24 1997-08-19 Motorola, Inc. Blended polymer gel electrolytes
US5753387A (en) * 1995-11-24 1998-05-19 Kabushiki Kaisha Toshiba Lithium secondary battery
CN1042875C (zh) * 1996-01-22 1999-04-07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用于锂电池的弥散阳极及其制备方法
CN1086845C (zh) * 1997-09-25 2002-06-26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锂离子电池碳材料负极的制备
WO1999025039A1 (en) * 1997-11-10 1999-05-20 Nippon Zeon Co., Ltd. Binder containing vinyl alcohol polymer, slurry,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with nonaqueous electrolyte
JPH11219730A (ja) * 1998-02-03 1999-08-10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496274B1 (ko) * 1998-08-24 2005-09-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JP3471244B2 (ja) * 1999-03-15 2003-12-02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1023630A (ja) 1999-07-05 2001-01-26 Nippon Carbon Co Ltd リチウム電池負極用炭素材料の製造方法
KR100456648B1 (ko) * 1999-10-28 2004-11-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리튬 이온 폴리머 2차 전지의 제조방법
US6465121B1 (en) * 2000-08-30 2002-10-15 Lev M. Dawson Method for distributing electrolyte in batteries
JP4768912B2 (ja) 2000-11-28 2011-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イン形電池の製造方法
US20040146786A1 (en) * 2001-05-10 2004-07-29 Takaya Sato Nonaqueous electolytic solution, composition for polymer gel electrolyte, polymer gel electrolyte, secondary cell, and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US20030152835A1 (en) * 2002-02-08 2003-08-14 Sankar Dasgupta Carbon fibre containing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battery
US7008722B2 (en) * 2002-04-10 2006-03-07 Sui-Yang Huang Polymer-gel lithium ion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3143A (zh) * 2018-12-26 2019-06-14 深圳市卓能新能源股份有限公司 锂电池烘干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2083C (zh) 2007-11-28
JP2004235151A (ja) 2004-08-19
CN1523692A (zh) 2004-08-25
KR20040069561A (ko) 2004-08-06
US8313539B2 (en) 2012-11-20
US20070051010A1 (en) 2007-03-08
JP4471344B2 (ja) 2010-06-02
US20040253517A1 (en)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3539B2 (en) Method of fabricating an anode and a lithium battery
KR101397415B1 (ko) 리튬화된 금속 탄소 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화된 금속 탄소 복합체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JP3823683B2 (ja)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837235B1 (ko) 다공성 탄소-황 복합체와 다층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그 제조방법
KR101229570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0416503B (zh) 一种软碳包覆磷酸钛钠介孔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1042841B1 (en) Non-aqueous electrolyte for electrochemical system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0424644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KR2014007025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04303496A (ja) 2次電池用正極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2次電池
KR101783435B1 (ko) 나트륨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커패시터 시스템
CN111490239A (zh) 磷酸钒钠/氮掺杂碳复合钠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正极极片以及钠离子电池
KR101072068B1 (ko) 이차 전지
KR102168789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용 리튬코발트산화물-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7669A (ko) 리튬 이차전지 음극재
CN110165170B (zh) 一种锂离子电池用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962232B (zh) 正极活性材料、制备方法、正极和电池
KR100855802B1 (ko) 2차 전지용 음극재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
CN117199575B (zh) 负极极片及其制备方法、钠离子电池
CN112341546B (zh) 一种氟化生物质膜材料的制备方法
CN111146438A (zh) 正极活性材料及其制备方法和电池正极片以及锂电池
WO2008146995A1 (en) An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886529B1 (ko) 2차 전지용 음극재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지
CN117747787A (zh) 一种具有筛分型结构的硅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093540A (zh) 一种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二次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