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007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문양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문양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007B1
KR100529007B1 KR10-2003-0009599A KR20030009599A KR100529007B1 KR 100529007 B1 KR100529007 B1 KR 100529007B1 KR 20030009599 A KR20030009599 A KR 20030009599A KR 100529007 B1 KR100529007 B1 KR 100529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mold
breakwater
front wal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854A (ko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10-2003-000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007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파제 상치콘크리트 또는 안벽 상면을 사람들이 보행함에 있어 구조물자체가 가지는 위압감을 해소하도록 여러가지 형태의 문양 또는 글씨 등을 구조물 표면에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문양 형성 방법{Surface pattern formation method of concret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文樣)을 형성시키므로써 구조물의 표면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는 문양 형성방법에 대한 것으로 여기서 지칭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라 함은 비교적 큰 중량이 요구되는 방파제나 안벽 등의 상치콘크리트 또는 수력 댐(Dam;堤堰) 등 도로가 아니면서 사람의 통행이 빈번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람이 통행하는 보도로 사용되는 구조물 표면에 다양한 형태와 색상을 형성하도록한 발병으로서 종래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대형구조물의 표면에는 시각적 미감을 환기시킬만한 별다른 제안이나 시도가 없었다.
종래 일반적인 도로상의 보도는 다양한 형태의 보도블럭을 포설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질서정연하여 미감을 환기시키도록 보도시설을 하고 있으나 방파제 또는 안벽 등의 상치콘크리트는 사람(관광객 또는 시설 관계자등)의 통행이 빈번하지만 구조물 구축목적에 부합되는 조건 만을 고려하여 설계시공하므로 구조물 자체의 규모가 거대하고 육중하여 사람들에게 위압감을 주는 형태로 되어 있어 시각적인 친밀감과 평안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친수시설로서의 구조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방파제 상치콘크리트 또는 안벽 상면을 사람들이 보행함에 있어 구조물자체가 가지는 위압감을 해소하도록 도면 도 3 ~ 도 6에 실시예로 도시한 여러가지 형태의 문양 또는 글씨 등을 구조물 표면에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안출한 바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문양형성 방법을 방파제 캡콘크리트(C) 타설 시공에 적용시킨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 실시예로 격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소정 높이와 폭과 길이로 되는 사석(1) 방파제(BW) 상면(2)에 바닥판과 상판이 없고 일정한 가로, 세로 높이로 되는 중공블럭형태의 단위 거푸집(3)을 거치하되 이 단위 거푸집(3) 전면벽(3a)과 배면벽(3b) 외면측 상단에 방파제(BW)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핀(4)을 삽탈자재하게하는 다수개의 고정핀 삽입공(5)들을 전, 후 대칭되게 천설한 단위 거푸집(3)을 거치하고 이 거푸집(3)의 전면벽(3a)과 배면벽(3b) 상단에 형틀지지간(10)을 걸쳐지도록 상치하되 이 형틀지지간(10) 하면에 소정크기의 가로, 세로, 높이로 되는 다수개의 정사각 형틀(11)(도면 도 3~도 6에 도시한 다양한 문양을 선택할 수 있음)을 장착하고 이러한 형틀 지지간(10) 전, 후 선단에는 형틀지지간(10)을 조립, 분해 자재하게 조립하도록 고정핀(4) 삽입공(5a)이 대략 2개 정도 천설되는 조립판(12)(12a)을 직각으로 연설하여 이러한 구조의 다수개의 형틀지지간(10)을 차례로 전면벽(3a)과 배면벽(3b) 상부에 병설하고 고정핀(4)을 조립판(12)(12a) 및 전면벽(3a)과 배면벽(3b)에 각각 천설된 고정핀 삽입공(5)(5a)에 삽입하여 고정하되 각 형틀지지간(10)의 정사각 형틀(11)을 지그자그식으로 서로 어긋지게 장착하므로써 콘크리트 타설완료시 격자문양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배열한 다음 형틀지지간(10)과 지지간 사이 틈새에 콘크리트 타설호스(13)를 삽입한 다음 단위 거푸집(3)의 전면벽(3a)과 배면벽(3b) 상단부까지 콘크리트(14)를 타설하여 콘크리트(14)를 양생한 다음 고정핀(4)을 제거하고 형틀지지간(10)들을 분리하면 타설 양생된 캡콘크리트(14)는 콘크리트괴(塊) 상태가 되고 형틀지지간(10)의 형틀(11)이 있었든 위치에는 형틀(11)의 모양과 동일한 공동부(cavity)(20)가 교호로 격자형태로 형성되고 이 공동부(20)에 여러 색상이 가미된 별도의 콘크리트 또는 몰탈(21) 등을 충전 양생하므로써 본 발명상으로 방파제, 호안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다양한 문양, 글씨 등을 아름답고 자유롭게 인각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문양을 캡콘크리트(C)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상면에 형성하면 형성된 문양 또한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밀크(21)등으로 인각 양생되어 있으므로 문양이 인위적으로 파괴하기전에는 반 영구적으로 유지되며 이러한 다양하고 아름다운 모양이 인각된 구조물 상면을 산책하면 심미감이 느껴지므로 종래의 구조물에서 느끼든 위압감이 해소되어 친수시설로도 일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문양 형성방법으로 시공하는 일실시예로서 방파제 캡콘크리트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상의 문양 형성방법으로 방파제 캡콘크리트 타설 시공완료시의 A-A' 단면도
도 3, 도 4, 도 5, 도 6은 본 발명상의 문양 형성방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시공 완료된 여러가지 문양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BW. 방파제 C. 캡콘크리트 1. 사석
2. 방파제 상면 3. 단위거푸집 3a. 전면벽
3b. 배면벽 4. 고정핀 5,5a. 고정핀 삽입공
10. 형틀지지간 11. 형틀 12,12a. 조립판
13. 콘크리트 타설호스 14. 콘크리트 20. 공동부
21. 콘크리트 또는 몰탈

Claims (1)

  1. 방파제 또는 호안 등의 캡콘크리트(C)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을 형성하도록 함에 있어서, 사석방파제(BW) 상면(2)에 바닥판과 상판이 없고 일정한 가로, 세로 높이로 되는 중공블럭형태의 단위 거푸집(3)을 거치하되 이 단위 거푸집(3) 전면벽(3a)과 배면벽(3b) 외면측 상단에 방파제(BW)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핀 삽입공(5)들을 전, 후 대칭되게 천설한 단위 거푸집(3)을 거치하고 이 거푸집(3)의 전면벽(3a)과 배면벽(3b) 상단에 형틀지지간(10)을 거치하되 이 형틀지지간(10) 하면에 소정크기의 형태와 높이로 되는 다수개의 형틀(11)을 장착하고 이러한 형틀 지지간(10) 전, 후 선단에는 고정핀(4) 삽입공(5a)이 대략 2개 정도 천설되는 조립판(12)(12a)을 직각으로 연설하여 이러한 구조의 다수개의 형틀지지간(10)을 차례로 전면벽(3a)과 배면벽(3b) 상부에 병설하고 고정핀(4)을 고정핀 삽입공(5)(5a)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장착한 다음 형틀지지간(10)과 지지간 사이 틈새에 콘크리트 타설호스(13)를 삽입하고 다음 단위 거푸집(3)의 전면벽(3a)과 배면벽(3b) 상단부까지 콘크리트(14)를 타설하여 콘크리트(14)를 양생한 다음 고정핀(4)을 제거하고 형틀지지간(10)들을 분리하면 타설 양생된 캡콘크리트(C)괴(塊) 상태가 되고 형틀지지간(10)의 형틀(11)이 있었든 위치에는 형틀(11)의 모양과 동일한 공동부(cavity)(20)가 형성되고 이 공동부(20)에 여러 색상이 가미된 별도의 콘크리트 또는 몰탈(21) 등을 충전 양생하여 문양을 형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문양 형성 방법.
KR10-2003-0009599A 2003-02-15 2003-02-15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문양 형성 방법 KR100529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599A KR100529007B1 (ko) 2003-02-15 2003-02-15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문양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599A KR100529007B1 (ko) 2003-02-15 2003-02-15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문양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854A KR20040073854A (ko) 2004-08-21
KR100529007B1 true KR100529007B1 (ko) 2005-11-16

Family

ID=3736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599A KR100529007B1 (ko) 2003-02-15 2003-02-15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문양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0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854A (ko) 200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8815A (en) Concrete structural member
US20080277561A1 (en) Mold bo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ple blocks
US20170167086A1 (en) Permeable surface covering units and permeable surface covering
PT2179105E (pt) Bloco de construção translúcido e método para o fabrico do mesmo
BRPI0710555A2 (pt) elemento de construção, estrutura de parede, sistema de elemento de construção, e, método para fazer paredes usando material de enchimento
NZ584081A (en) Permanent or sacrificial plastic shuttering for concrete
US20130214227A1 (en) Fence
KR101328436B1 (ko) 조립식 옹벽블록
KR10052900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문양 형성 방법
KR10042105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0629427B1 (ko) 교량 난간의 식재박스용 보강구조
CN212336084U (zh) 一种异型块后浇式轻型挡土墙支护结构
BR102018006847A2 (pt) Conjunto de perfis para sustentação, moldagem e acabamento, na concretagem de laje, viga e coluna
CN206581283U (zh) 临时围墙预制装配式基础
KR100970959B1 (ko) 보·차도 확보용 암거연장공법
KR101037594B1 (ko) 날개형 블록
KR200348534Y1 (ko) 날개형 보도 블록
CN210288108U (zh) 现浇混凝土护栏
KR200390365Y1 (ko) 세골방지용 호안블록
KR200242401Y1 (ko) 기초석
KR100389535B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 및 그 패널
JP3662207B2 (ja) 建築用コンクリート基礎の連結ブロック及び建築用コンクリート基礎の施工方法
CN217174352U (zh) 一种局部悬挑人行道结构
KR200226684Y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의 패널
JPH06294109A (ja) 道路用安全障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