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691B1 - 인체 국부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인체 국부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691B1
KR100525691B1 KR10-2002-0032268A KR20020032268A KR100525691B1 KR 100525691 B1 KR100525691 B1 KR 100525691B1 KR 20020032268 A KR20020032268 A KR 20020032268A KR 100525691 B1 KR100525691 B1 KR 10052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ase
control case
mounting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444A (ko
Inventor
무라까미고오지
데라니시순이찌
오오하라미쯔히로
무또다까시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762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640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83847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33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8387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08240A/ja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도전 부재에 대한 방습성을 한층 높여 수분, 소변, 습기의 침입을 억제하는 데 한층 유리하게 하여, 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케이스의 소형화에 유리한 인체 국부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체 국부 세정 장치는 국부를 세정하는 샤워부와, 샤워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50)를 갖는다. 제어 장치(150)는 수용실(2x)을 형성하여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제어 케이스(2)와, 수용실(2x)에 수용된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실장 부품(52, 56)과, 도전 재료로 형성된 도전 부재(3, 4)를 갖는다. 도전 부재(3, 4)는 제어 케이스(2)의 벽부에 매설되어 실장 부품(52, 56)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일단부를 갖는 동시에, 커넥터부 또는 수용실(2x) 내의 다른 실장 부품(52, 56)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타단부를 갖는다. 복수매의 제어 기판(51, 55)이 수용실(2x) 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

Description

인체 국부 세정 장치{A BIDE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국부에 세정액을 분출하여 국부를 세정하는 샤워부를 갖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인체 국부 세정 장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착좌하는 변기 시트와,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국부에 세정수를 분출하여 국부를 세정하는 샤워부와, 샤워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인체 국부 세정 장치는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점점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으로의 보급이 진행됨에 따라 아파트나 원룸 맨션 등의 좁은 화장실에서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인체 국부 세정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점점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인체 국부 세정 장치는 화장실에서 장기간에 걸쳐 설치되므로, 물, 소변, 습기가 장치 내부로 침입하는 경우가 있고, 제어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 등의 실장 부품은 방습성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일본 특허 공개 평07-321472호 공보에 개시한 바와 같이 실장 부품을 탑재한 제어 기판의 방습을 목적으로 하여, 제어 기판의 전체를 개방형 수지제인 제어 케이스에 넣고, 우레탄이나 에폭시 등의 탄력성이 있는 밀봉제로 제어 기판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 등의 실장 부품을 제어 기판과 함께 피복하여 이들을 밀봉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었다. 이는 제어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 등의 실장 부품의 방습성을 높일 수 있어 장기 수명화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한 공보에 관한 기술에 따르면,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에 있어서 제어 기판의 실장면에 탑재한 실장 부품끼리가 서로 배향하도록, 2매의 제어 기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있다.
상기한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제어 기판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 등의 실장 부품의 각 리드선류는 제어 기판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 그 만큼의 공간을 필요로 하여 제어 케이스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복수매의 제어 기판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있지만, 복수의 제어 기판에 대해서는 실장면에 탑재한 실장 부품끼리를 서로 배향시키고 있으므로, 제어 케이스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케이스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또한 도전 부재에 대한 방습성을 한층 높일 수 있어, 수분, 소변, 습기의 침입을 억제하는 데 한층 유리한 인체 국부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인체 국부 세정 장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착좌하는 변기 시트와,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국부에 세정액을 분출하여 국부를 세정하는 샤워부와, 샤워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내부에 수용실을 형성하고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제어 케이스와,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에 수용된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실장 부품과,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어 상기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일단부를 갖는 동시에 커넥터부 또는 수용실 내의 다른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타단부를 갖는 도전 부재와, 실장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탑재하는 실장면을 갖는 동시에 수용실 내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된 복수매의 제어 기판과, 도전 부재와 제어 케이스 단면의 경계에 도포되어 수용실의 방습성을 높이는 밀봉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따르면,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의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가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제어 케이스의 벽부의 두께 내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도전 부재를 제어 케이스 내에서 배치하는 공간이 불필요하거나 또는 저감된다. 또한, 수용실 내의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가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제어 케이스의 벽부의 두께 내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도전 부재에 대한 방습성을 한층 높일 수 있어, 수분, 소변, 습기에 의한 고장을 억제하는 데 한층 유리하다.
그런데,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실장 부품에 의한 발열, 발열 정지의 반복 등에 의해 수용실에 감압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감압에 수반하여 제어 케이스 내의 호흡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인체 국부 세정 장치의 사용 기간이 장기간 계속되면, 도전 부재가 제어 케이스의 벽부의 두께 내에 은폐되어 매설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도전 부재와 제어 케이스의 경계로부터, 제어 케이스 밖의 수분이 미소하나마, 제어 케이스 수용실 내로 점점 침투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전 부재와 제어 케이스 단부면의 경계에 방습성을 갖는 밀봉제를 도포함으로써 도전 부재와 제어 케이스의 경계로부터 수용실 내로의 수분 침투가 억제되어 있다. 밀봉제로서는 수지를 채용할 수 있고,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어 케이스는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것으로, 전기적 절연성이 높다.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인 공지의 수지를 채용할 수 있어 폴리아미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ABS, PMMA, P0M, PBT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어 케이스에 매설되어 있는 도전 부재로서는 도전 와이어, 인쇄 회로, 리드선을 예시할 수 있다. 도전 부재의 재질로서는 도전 재료이면 되고, 인청동, 구리, 알루미늄, 강철, 스테인레스, 티탄, 금, 이들의 합금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따르면,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에 수용된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실장 부품에 도통하는 도전 부재는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방습성이 확보된다. 방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전 부재는 제어 케이스의 벽부의 두께 내에 완전 은폐 상태로 매설되어 있어도 좋고, 도전 부재가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면서도 도전 부재의 단부가 제어 케이스의 외벽면으로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따르면, 다음의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ㆍ도전 부재로서는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의 실장 부품과 커넥터부를 도통시키는 것이라도 좋고, 혹은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의 실장 부품끼리를 도통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는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어 기판의 탑재면에 탑재되어 있는 실장 부품과, 제어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방열판에 부착된 실장 부품을 도통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혹은,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어 기판의 탑재면에 탑재되어 있는 실장 부품끼리를 도통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ㆍ적어도 일부의 도전 부재는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어 있는 매설 도전부와,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된 노출 도전부를 갖고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전 부재로의 도전에서 발생한 줄열을 노출 도전부로부터 케이스 밖으로 도피시키는 데 유리해진다. 또한, 도전 부재 중 노출 도전부에 수용실 내의 실장 부품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쉽다.
적어도 일부 도전 부재의 노출 도전부의 선단부는 중앙 공간을 갖는 오목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중앙 공간을 갖는 오목 형상으로서는 U자 형상, Y자 형상 또는 C자 형상 등이 예시된다. 이 경우에는, 수용실에 수용되어 있는 실장 부품(방열판에 탑재되어 있는 실장 부품을 포함함)의 리드 단자를 노출 도전부 선단부의 오목 형상을 구성하는 중앙 공간에 배치하면,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접속시에 납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실장 부품으로서는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에 배치되는 제어 기판의 실장면에 탑재되어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어 기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시키도록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제어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부 치수와 대략 동일한 사이즈, 혹은 조금 작은 사이즈로 할 수 있다. 제어 기판은 이에 탑재되어 있는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관통 구멍 등의 구멍을 갖고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구멍이라 함은 상대 도전 부재가 삽통된 상태에서 납땜되는 삽통 구멍을 갖는 도전성을 갖는 부재를 의미한다. 구멍으로서는 관통 상태의 관통 구멍, 미관통 구멍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적어도 일부의 도전 부재는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어 있는 매설 도전부와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된 노출 도전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전 부재의 노출 도전부의 선단부를 제어 기판의 구멍에 삽입하여 납땜하고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된 도전 부재는 제어 기판의 구멍을 거쳐서 제어 기판의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해진다.
ㆍ적어도 2매의 제어 기판은 제어 기판의 실장면의 실장 부품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실장 부품을 탑재한 실장면끼리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어 케이스는 제어 기판의 적층 방향으로 소형화되어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ㆍ제어 케이스는 맞댐면을 갖는 동시에 맞댐면에서 맞추어진 복수개의 케이스와, 복수개 케이스의 맞댐면에 개재하는 동시에 제어 케이스 수용실의 밀폐성을 높이는 밀봉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수용실의 밀폐성, 방습성이 확보된다.
ㆍ제어 케이스는 밀봉 부재의 존재를 제어 케이스의 외측으로부터 확인하는 확인창을 갖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밀봉 부재의 부착 잊음을 방지할 수 있어 제어 케이스 수용실의 밀폐성, 방습성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ㆍ제어 케이스는 도전 부재 중 도전 부재가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근원부에 있어서 밀봉제가 저류하는 저류 오목부를 갖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1개의 저류 오목부에 다수의 도전 부재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1개의 저류 오목부에 밀봉제를 주입하여 고화하면, 다수의 도전 부재를 묶어서 밀봉할 수 있어, 방습성을 높이는 데 유리해진다. 저류 오목부의 바닥면은 수용실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깊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류 오목부에 저류되어 있는 밀봉제가 수용실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ㆍ실장 부품은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에 배치된 제어 기판에 탑재되어 있고, 제어 기판은 저류 오목부에 대면하는 동시에 저류 오목부로의 밀봉제의 주입성을 높이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절결에 의해 저류 오목부로의 밀봉제의 주입성이 높아진다.
ㆍ제어 케이스로서는 방열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방열판을 구비하고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열판은 제어 케이스에 일체적으로 인서트 성형된 매설부와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동시에 발열 소자가 부착되는 노출부를 갖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열판이 제어 케이스에 일체적으로 매설되어 부착되어 있으므로, 방열판을 제어 케이스에 부착하는 부착구를 폐지할 수 있다. 또한 방열판의 노출부는 제어 케이스에 매설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수용실 외측으로의 방열성이 확보된다. 특히, 발열량이 많은 발열 소자가 방열판의 노출부에 부착되면 발열 소자의 발열을 방출시키는 데 유리하다. 이 경우, 실장 부품 중 발열량이 적은 것을 제어 기판에 부착하고, 실장 부품 중 발열량이 많은 것을 방열판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제어 케이스는 개구를 구비하고 있고, 방열판의 노출부가 제어 케이스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방열판의 노출부가 제어 케이스의 개구, 즉 수용실을 폐쇄하고 있으므로, 방열판을 이용하여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을 밀폐화 또는 대략 밀폐화시키는 데 유리하며, 수용실에 대한 방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케이스에 방열판이 매설되어 있으므로, 제어 케이스의 용적을 확보하면서 제어 케이스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수지량을 감소시키는 데 유리해져 비용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방열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면 L자 형상, 단면 역ㄷ자 형상, 단면 I자 형상, 단면 C자 형상 등의 적어도 한 쪽을 예시할 수 있다. 방열판의 재질은 방열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는 금속을 채용할 수 있다. 금속으로서는 알루미늄, 강철, 스테인레스, 구리, 티탄, 이들의 합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ㆍ제어 케이스 중 방열판 근방의 벽부분은 발열 소자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열 소자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방열판은 발열 소자를 부착하는 부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부로서는 암나사, 수나사, 요철 결합의 적어도 한 쪽을 예시할 수 있다.
ㆍ제어 케이스는 제어 케이스의 외벽면측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커넥터부는 상대 커넥터부와 끼워 맞추는 동시에 제어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커넥터 하우징부를 갖고, 적어도 일부의 도전 부재의 노출 도전부는 커넥터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부의 하우징부의 바닥면은 제어 케이스 외벽면보다도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측으로 치우쳐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ㆍ발열 소자 중 서로 인접 설치하는 리드 단자 사이에 인접 설치하는 리드 단자 사이를 잇는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벽부를 제어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형성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인접 설치하는 리드 단자 사이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열 소자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경우라도 발열 소자의 리드 단자 사이의 방전을 방지하는 데 유리해진다.
제어 케이스는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방열판을 갖고 있고, 또한 실장 부품 중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큰 실장 부품은 방열판에 부착되어 있고, 실장 부품 중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작은 실장 부품은 실장면끼리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에 배치된 제어 기판의 실장면에 부착되어 있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에 배치된 제어 기판의 실장면 사이에 있어서의 열 팽창을 억제하는 데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도2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의 전체를 도시한다. 이 인체 국부 세정 장치는 서양식 변기(100)에 부착되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착좌하는 변기 시트(120)와, 베이스부(110)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130)와, 베이스부(11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국부에 세정액으로서의 세정수를 분출하여 국부(항문 등)를 세정하는 샤워부(40)와, 샤워부(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5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10)는 각종 스위치(112)가 설치된 조작 패널(111)을 횡측에 갖는다. 베이스부(110) 내에는 샤워부(140)에 온수를 공급하는 히터 내장식의 온수 탱크(145)가 설치되어 있다. 변기(100) 내로 급수하는 저수 탱크(113)가 변기(10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112)로서는 샤워부(140)로부터 세정수를 분출하여 세정 처리를 개시하는 세정 개시 스위치, 세정 처리를 종료하는 세정 종료 스위치, 변기 시트에 내장한 히터를 온(ON)하는 스위치 등이 있다. 샤워부(140)는 물탱크(113)로부터 급수되는 전진 후퇴 가능한 급수통(141)과, 급수통(141)을 전진 후퇴시키는 모터가 내장된 구동부(142)를 갖는다. 제어 장치(150)는 수지(예를 들어 PBT)를 기초 재료로 하는 상자형을 이루는 제어 케이스(2)를 갖는다.
이하, 제어 케이스(2)에 대해 설명을 추가한다. 도3은 제어 케이스(2)를 구성하는 제1 분할 케이스로서의 상부 케이스(21)를 도시한다. 상부 케이스(21)는 수지(예를 들어 PBT)로 형성되어 있고, 키가 큰 벽부(21a)와 키가 작은 벽부(21b)를 갖고 있고, 내부에 수용실(2x)을 형성한다. 상부 케이스(21)에는 방열성이 좋은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방열판(29)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방열판(29)은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방열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단면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방열판(29)은 상부 케이스(21)의 벽부(21c)의 두께 내에 은폐되어 일체적으로 매설된 매설부(29a)와, 상부 케이스(21)로부터 노출되는 노출부(29b)를 갖는다. 방열판(29) 노출부(29b)의 외벽면은 수용실(2x) 외측에 대면하고, 방열판(29) 노출부(29b)의 내벽면은 수용실(2x)에 대면하고 있고, 이에 의해 방열판(29) 노출부(29b)로부터의 방열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제어 케이스(2)가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방열판(29)의 매설부(29a)는 제어 케이스(29)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1)의 벽부(21c)는 개구(21e)를 갖고 있지만, 이 개구(21e), 나아가서는 수용실(2x)을 방열판(29)이 밀폐하여 폐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방열판(29)이 상부 케이스(21)의 수용실(2x)을 폐쇄하고 있으므로 방열판(29)에 의해 수용실(2x)의 밀폐성, 방습성이 높아진다. 방열판(29)의 매설부(29a)는 상부 케이스(21)의 벽부(21c)의 두께 내에 일체적으로 매설되어 부착되어 있으므로, 방열판(29)을 제어 케이스(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를 폐지할 수 있다. 또한, 방열판(29)에 의한 방열 기능 외에, 제어 케이스(2)의 벽부(21c)를 보강하는 보강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부 케이스(21)를 구성하는 수지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방열판(29)의 노출부(29b)에는 수용실(2x) 내에 위치하도록 발열 소자(57)를 부착하는 암나사 구멍으로 형성된 부착부(29c)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1)에는 방열판(29) 근방에, 발열 소자(57)를 접촉 또는 근접시켜 위치 결정하는 오목 형상의 위치 결정부(29e)가 형성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의 편측에는 제1 연결 구멍(21f)을 갖는 제1 보스부(21h)가 상부 케이스(21)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어 케이스(2)의 다른 편측에는 계지 구멍(21k)을 갖는 계지부(21m)가 상부 케이스(21)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에는 맞댐면에는 상부 케이스(21)를 한바퀴도는 환형의 밀봉 홈(21n)이 형성되어 있다. 밀봉 홈(21n)에는 고무나 수지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된 환형의 밀봉 부재(21p)가 끼워진다. 밀봉 부재(21p)의 밀봉 작용에 의해 제어 케이스(2)의 수용실(2x)의 밀폐성, 나아가서는 방습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 중 높이가 낮은 벽부(21b)의 두께 내에는 도전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1 리드 와이어(3)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매설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케이스(21) 중 높이가 높은 벽부(21a)의 두께 내에는 도전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2 리드 와이어(4)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매설되어 있다. 제1 리드 와이어(3) 및 제2 리드 와이어(4)는 도전 재료인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도전성, 강성, 내식성이 우수한 인청동 등의 구리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스(21) 내에 다수 매설되어 있다.
도5는 제2 분할 케이스로서의 하부 케이스(26)를 도시한다. 하부 케이스(26)는 상부 케이스(21)와 맞추어 제어 케이스(2)를 형성하는 것으로, 수지(예를 들어 PBT)가 기초 재료로서 형성되어 있어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벽부(26a 내지 26e)를 갖는다. 하부 케이스(26)는 제2 연결 구멍(26f)을 갖는 제2 보스부(26h)와, 탄성 아암(26m) 및 갈고리부(26n)를 갖는 케이스 연결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스냅 결합부(26p)와, 상대 커넥터부(7A, 7B)의 리드선 등을 통과시키는 공간(26x)을 하부 케이스(26)의 외벽면 사이에 형성하는 훅부(26r)와, 인체 국부 세정 장치의 베이스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어 케이스 부착부로서 기능하는 스테이(26s)를 갖는다. 하부 케이스(26)의 스냅 결합부(26p)를 상부 케이스(21)의 계지부(21m)의 계지 구멍(21k)에 착탈 가능하게 계지시키는 동시에, 상부 케이스(21)의 제1 보스부(21h)의 제1 연결 구멍(21f) 및 하부 케이스(26)의 제2 보스부(26h)의 제2 연결 구멍(26f)에 연결 나사(27)를 부착함으로써, 하부 케이스(26)와 상부 케이스(21)는 착탈 가능하게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 결과, 수용실(2x)을 밀폐 상태 또는 대략 밀폐 상태로 한 제어 케이스(2)가 형성된다.
도6, 도7, 도8은 상부 케이스(21)와 하부 케이스(26)가 연결되어 제어 케이스(2)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부 케이스(21)와 하부 케이스(26)의 경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맞댐면에 형성된 밀봉 홈(21n)에 삽입된 밀봉 부재(21p)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케이스(21)의 맞댐면과 하부 케이스(26)의 맞댐면의 경계 밀봉성은 확보되고, 수용실(2x)의 밀폐성, 방습성이 높아진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 리드 와이어(3)는 상부 케이스(21)의 두께 내에 은폐 상태로 매설되어 있는 제1 매설 도전부(31)와, 상부 케이스(21)로부터 상부 케이스(21)의 내측으로 노출된 제1 내측 노출 도전부(32)와, 상부 케이스(21)로부터 상부 케이스(21)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1 외측 노출 도전부(33)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리드 와이어(3)의 일부가 상부 케이스(21)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면, 제1 리드 와이어(3)에서 발생한 줄열을 도피시키는 데 유리해진다. 또한, 제1 매설 도전부(31)는 제1 리드 와이어(3)의 중간부를 구성하고, 제1 내측 노출 도전부(32)는 제1 리드 와이어(3)의 일단부를 구성하고, 제1 외측 노출 도전부(33)는 제1 리드 와이어(3)의 타단부를 구성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2 리드 와이어(4)는 마찬가지로 상부 케이스(21)의 두께 내에 은폐 상태로 매설되어 있는 제2 매설 도전부(41)와, 상부 케이스(21)로부터 상부 케이스(21)의 내측으로 노출된 제2 내측 노출 도전부(42)와, 상부 케이스(21)로부터 상부 케이스(2, 1)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 외측 노출 도전부(43)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2 리드 와이어(4)의 일부가 상부 케이스(21)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면, 제2 리드 와이어(4)에서 발생한 줄열을 도피시키는 데 유리해진다. 또한, 제2 매설 도전부(41)는 제2 리드 와이어(4)의 중간부를 구성하고, 제2 내측 노출 도전부(42)는 제2 리드 와이어(4)의 일단부를 구성하고, 제2 외측 노출 도전부(43)는 제2 리드 와이어(4)의 타단부를 구성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의 외벽면(210)에는 커넥터부(25)가 상부 케이스(21)로부터 표출되어 상부 케이스(21)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25)는 도선부(7p)를 갖는 상대 커넥터부(7A)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것으로, 상부 케이스(21)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끼워 맞춤 공간(25r)을 갖는 상자형의 커넥터 하우징부(25h)를 갖는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 리드 와이어(3)의 제1 외측 노출 도전부(33)가 핀 커넥터부를 구성하여 커넥터 하우징부(25h)의 끼워 맞춤 공간(25r)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25)의 커넥터 하우징부(25h)의 끼워 맞춤 공간(25r)에 상대 커넥터부(7A)가 끼워 맞추어지면, 제1 리드 와이어(3)의 제1 외측 노출 도전부(33)는 상대 커넥터부(7)의 상대 도전 부재에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 외벽면(210)의 다른 부분에는 상부 케이스(21)와 일체적인 커넥터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24)는 상부 케이스(21)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끼워 맞춤 공간(24r)을 갖는 상자형의 커넥터 하우징부(24h)를 갖는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2 리드 와이어(4)의 제2 외측 노출 도전부(43)가 커넥터 하우징부(24h)의 끼워 맞춤 공간(24r)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24)의 커넥터 하우징부(24h)의 끼워 맞춤 공간(24r)에 상대 커넥터부(7B)가 끼워 맞추어지면, 제2 리드 와이어(4)의 제2 외측 노출 도전부(43)는 상대 커넥터부(7B)의 상대 도전 부재에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25, 24)의 커넥터 하우징부(25h, 24b)의 바닥면(25k, 24k)은 상부 케이스(21)의 외벽면(210)보다도 수용실(2x)측으로 치우치고, 제어 케이스(2)의 수용실(2x)측을 향해 후퇴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대 커넥터부(7A)와 커넥터부(25)의 끼워 맞춤 길이를 확보하면서 커넥터 하우징부(25h)가 상부 케이스(21)의 외벽면(210)으로부터 돌출하는 치수 β1(도8 참조)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대 커넥터부(7B)와 커넥터부(24)의 끼워 맞춤 길이를 확보하면서, 커넥터 하우징부(24h)가 상부 케이스(21)의 외벽면(210)으로부터 돌출하는 치수 β2(도8 참조)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수 β1, β2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어 케이스(2)의 소형화에 유리해진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케이스(2)의 수용실(2x)에는 제1 제어 기판(51) 및 제2 제어 기판(55)이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제1 제어 기판(51) 및 제2 제어 기판(55)은 제어 케이스(2)의 수용실(2x) 내부 치수와 대략 동일한 사이즈이거나, 혹은 조금 작은 사이즈로 되어 있다. 제1 제어 기판(51)의 실장면(51a)에는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실장 부품(52), 실장 부품(52)에 인쇄 도전 통로를 지나 도통하는 도전 재료로 형성된 구멍으로서의 환형 복수개의 관통 구멍(51a)이 탑재되어 있다. 관통 구멍(51c)은 제1 제어 기판(51)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제2 제어 기판(55)의 실장면(55a)에는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실장 부품(56), 실장 부품(56)에 인쇄 도전 통로를 지나 도통하는 도전 재료로 형성된 환형 복수개의 관통 구멍(55c)이 탑재되어 있다. 관통 구멍(55c)은 제2 제어 기판(55)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어 기판(51)의 관통 구멍(51C)은 제1 리드 와이어(3)의 제1 내측 노출 도전부(3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제1 리드 와이어(3)의 제1 내측 노출 도전부(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제어 기판(55)의 관통 구멍(55c)은 제2 리드 와이어(4)의 제2 내측 노출 도전부(4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제2 리드 와이어(4)의 제2 내측 노출 도전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어 기판(51)의 실장면(51a)과 제2 제어 기판(55)의 실장면(55a)을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제1 제어 기판(51)과 제2 제어 기판(55)이 제어 케이스(2)의 수용실(2x)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때, 제1 제어 기판(51)의 실장면(51a)에 탑재되어 있는 돌기형의 실장 부품(52)과, 제2 제어 기판(55)의 실장면(55a)에 탑재되어 있는 돌기형의 실장 부품(56)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간섭하지 않는 구조로 하면, 제1 제어 기판(51)과 제2 제어 기판(55)을 서로 근접시킨 상태로 수용실(2x)에 수용할 수 있고, 제1 제어 기판(51)과 제2 제어 기판(55)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제어 케이스(2)의 소형화에 유리해진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제어 기판(51)의 실장면(51a)과 제2 제어 기판(55)의 실장면(55a)을 서로 대향시키고 있으므로, 제어 기판(51, 55)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제어 케이스(2) 치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데 유리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용실(2x) 내에 배치되어 있는 실장 부품 중 발열성이 높은 것은 제1 제어 기판(51)의 실장면(51a), 제2 제어 기판(55)의 실장면(55)에 부착하는 것은 아니고, 방열판(29)에 부착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제어 기판(51)의 실장면(51a), 제2 제어 기판(55)의 실장면(55a)에 부착되는 실장 부품(52, 56)은 발열 소자(57)보다도 발열량이 적다. 이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케이스(2)의 수용실(2x) 내에 있어서 제1 제어 기판(51)의 돌기형의 실장 부품(52)과, 제2 제어 기판(55)의 실장 부품(56)을 서로 대향시켜 마주 보게 하였다고 해도, 제1 제어 기판(51)의 실장면(51a)과 제2 제어 기판(55)의 실장면(55a) 사이에 있어서의 열 팽창은 억제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어 기판(51)은 상부 케이스(21)로 치우쳐 수용실(2x)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부(7A)에 접속되는 제1 리드 와이어(3)의 제1 내측 노출 도전부(32)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어 기판(51)의 관통 구멍(51c)에 삽입된 상태에서 납땜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납땜 부분에 밀봉제를 도포할 수 있다. 납땜에 의해 제1 리드 와이어(3)는 제1 제어 기판(51)의 관통 구멍(51c)을 거쳐서 제1 제어 기판(51)의 실장 부품(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결과, 커넥터부(25)와 제1 제어 기판(51)의 실장 부품(52)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부(7B)에 접속되는 제2 리드 와이어(4)의 제1 내측 노출 도전부(42)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어 기판(55)의 관통 구멍(55c)에 삽입된 상태에서 납땜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납땜 부분에 밀봉제를 도포할 수 있다. 납땜에 의해 제2 리드 와이어(4)는 제2 제어 기판(55)의 관통 구멍(55c)을 거쳐서 제2 제어 기판(55)의 실장 부품(5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결과, 커넥터부(24)와 제2 제어 기판(55)의 실장 부품(56)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장 부품 중 발열량이 큰 발열 소자(57)(예를 들어 3단자 레귤레이터, 트라이악 등)는 방열판(29) 노출부(29b) 중 수용실(2x)에 대면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열 소자(57)의 관통 구멍(57a)에 삽통한 부착구로서 기능하는 태핑 스크류(58)를 방열판(29) 노출부(29b)의 부착부(29c)에 나사 부착함으로써, 발열 소자(57)가 방열판(29)에 밀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발열 소자(57)에서 발생한 열은 방열판(29)으로 전열되어 방열판(29)으로부터 수용실(2x) 외측으로 방출되므로, 수용실(1x) 내로부터 배출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 외벽면(210)에 밀봉 돌출부(21w)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밀봉 돌출부(21w)는 태핑 스크류(58)의 수나사를 갖는 축부(58m)를 씌우고 있는 동시에, 방열판(29) 구멍형의 부착부(29c)를 밀봉하여 제어 케이스(2) 수용실(2x)의 방습성을 높이고 있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 소자(57)의 본체부(57c)는 상부 케이스(21)의 오목형 위치 결정부(29e) 벽면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발열 소자(57)는 복수의 리드 단자(57f)를 갖는다. 그리고, 입벽부(21v)가 상부 케이스(21) 중 수용실(2x)에 대면하는 부분에 일체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입벽부(21v)는 서로 인접 설치되는 리드 단자(57f)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 설치되는 리드 단자(57f)를 잇는 전계 거리를 증가시키고 있다. 즉, 입벽부(21v)는 발열 소자(57)가 서로 인접 설치되는 리드 단자(57f) 사이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발열 소자(57)가 압력 전압이 높은 경우라도 발열 소자(57)가 서로 인접 설치되는 리드 단자(57f) 사이의 방전을 방지하는 데 유리해진다. 따라서, 입벽부(21v)는 연면 거리 증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어 기판(55)은 상부 케이스(21)의 높이가 높은 벽부(21a)의 정상부(21ao)에 접촉되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제2 리드 와이어(4)의 제2 내측 노출 도전부(42)의 선단부는 제2 제어 기판(55)의 관통 구멍(55c)에 삽입된 상태로 납땜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리드 와이어(4)의 제2 내측 노출 도전부(42)의 근원부에는 저류 오목부로서의 저류 공간(23w)이 형성되어 있다. 저류 공간(23w)에 도포된 밀봉제(6)에 의해 상부 케이스(21)의 벽부 단부면(21u)과 제2 리드 와이어(4)의 근원부의 경계를 밀봉하여 방지성을 높이고 있다. 제2 리드 와이어(4)의 제2 내측 노출 도전부(42)는 상부 케이스(21) 벽부(21a)의 벽부 단부면(21u)으로부터 치수 M 노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화 전의 밀봉제(6)를 저류 공간(23w)에 도포할 때, 납땜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밀봉제(6)가 제2 리드 와이어(4)의 제2 내측 노출 도전부(42)의 선단부에 접촉하기 어려워져 제2 내측 노출 도전부(42)에 있어서의 납땜성이 확보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의 벽부 단부면(21u)은 벽부 단부면(21u)에 도포한 저류 공간(23w) 내의 고화 전의 밀봉제(6)의 유출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상부 케이스(21)의 벽부 단부면(21u)은 수용실(2x)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 얕아지도록(화살표 Y1 방향) 경사져 있는 동시에, 수용실(2x)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깊어지도록(화살표 Y2 방향)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벽부 단부면(21u)이 경사져 있으므로, 저류 공간(23w)에 주입한 고화 전의 밀봉제(6)의 유출이 억제되어 제2 리드 와이어(4)와 상부 케이스(21) 벽부 단부면(21u)의 경계 밀봉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벽부 단부면(21u)은 밀봉제 유출 방지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밀봉제(6)로서는 수지를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리드 와이어(3)에는 제1 매설 도전부(31B)가 상부 케이스(21)의 두께 내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출되어 있다. 제1 리드 와이어(3)의 제1 매설 도전부(31B)는 방열판(29)에 부착된 발열 소자(B7)와, 제1 제어 기판(51)의 실장 부품(52)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제1 매설 도전부(31B)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내측 노출 도전부(32B)는 발열 소자(57) 근방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1)로부터 노출되면서 수용실(2x)을 향하고 있다. 이 제1 내측 노출 도전부(32B)의 선단부는 중앙 공간(32m)을 갖는 오목형으로 되어 있다. 이 결과, 제1 리드 와이어(3)의 내측 노출 도전부(32B)의 선단부는 중앙 공간(32m)을 갖는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판(29)에 부착되어 있는 발열 소자(57)의 리드 단자(57f)를 제1 내측 노출 도전부(32B) 선단부 중앙 공간(32m)에 끼워서 배치하면,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접속시에 양자를 납땜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수지로 된 밀봉제를 접속 부분에 도포하여 접속 부분의 방습성을 높이고 있다. 발열 소자(57)의 리드 단자(57f)는 고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리드 와이어(3)의 제1 내측 노출 도전부(32B)의 선단부는 중앙 공간(32m)을 갖는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1 내측 노출 도전부(32B)에 있어서의 납땜량, 납땜 면적, 밀봉제 도포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 노출 도전부(32B)의 선단부가 U자 형상이므로, 발열 소자(57)의 리드 단자(57f)가 복수인 경우라도 그 발열 소자(57)의 리드 단자(57f)를 용이하게 끼워서 접속하는 데 유리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11,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에는 저류 오목부 형상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돌기 벽부(69)가 상향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제어 기판(51)의 표면은 상부 케이스(21)의 돌기 벽부(69)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돌기 벽부(69)에 의해 얕은 바닥면을 갖는 저류 공간(69p)이 상부 케이스(21)의 벽부에 형성되어 있다. 저류 공간(69p)에 수지로 된 밀봉제(6)가 주입 고화되어 밀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케이스(21)와 이에 매설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리드 와이어(3)의 근원부의 경계 밀봉성을 높여 방습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로 된 밀봉제(6)는 제1 기판(51)의 표면에 접합하고 있어 제1 기판(51)의 보유 지지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저류 공간(69p) 내의 밀봉제(6)가 돌기 벽부(69)에 의해 저류 공간(69p)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밀봉제(6)에 의한 밀봉성이 유지된다. 또한, 밀봉제(6)를 도포하는 것은 이 부분에 있어서의 전기적 접촉 부분에 고전압이 인가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어 기판(51) 중 상기한 저류 공간(69p)측의 모서리에는 인접 설치하는 관통 구멍(51c) 사이를 화살표 S1 방향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오목 형상의 다수의 절결부(82)로 이루어지는 절결군(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군(80)에 의해 상부 케이스(21)의 내연 사이의 거리(C)가 확보되므로, 고화 전의 수지로 된 밀봉제(6)를 상부 케이스(21)의 저류 공간(69p)에 장전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 중 밀봉 홈(21n) 부근에는 작은 확인창(21i)이 형성되어 있다. 밀봉 홈(21n) 내의 밀봉 부재(21p)의 존재 유무를 제어 케이스(2)의 외측으로부터 확인창(21i)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밀봉 부재(21p)의 부착 잊음을 확인할 수 있어 이 의미에 있어서도 수용실(2x) 내의 방습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확인창(21i)은 밀봉 부재(21p)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밀봉 부재 확인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런데, 제어 케이스(2)의 수용실(2x) 내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 소자(57)에 의한 발열, 발열 정지의 반복 등에 의해 수용실(2x)에 감압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감압에 수반하여 제어 케이스(2) 내의 호흡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인체 국부 세정 장치의 사용 기간이 장기간 계속되면, 제1 리드 와이어(3), 제2 리드 와이어(4)가 상부 케이스(21)의 두께 내에 은폐되어 매설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제1 리드 와이어(3)와 상부 케이스(21)의 경계, 제2 리드 와이어(4)와 상부 케이스(21)의 경계로부터, 제어 케이스(2) 밖의 수분이 미소하지만, 제어 케이스(2) 수용실(2x) 내로 침투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실(2x)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미소한 릴리프 구멍(26t)을 하부 케이스(26)에 형성하고 있다. 릴리프 구멍(26t)에 의해 수용실(2x) 내외 사이의 압력차를 항상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상기한 호흡 작용을 억제하여 제1 리드 와이어(3), 제2 리드 와이어(4)와 상부 케이스(21)의 경계로부터 수용실(2x) 내로의 수분 침투를 억제하고 있다. 이 의미에 있어서도 수용실(2x)의 방습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리프 구멍(26t)은 방열판(29)에 의해 차폐되어 있고, 먼지, 수분 등이 수용실(2x)로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릴리프 구멍(26t)은 상부 케이스(21) 또는 방열판(29)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케이스(2)의 조립 순서로서는 상부 케이스(21)에 제1 제어 기판(51)을 부착하고, 또한 제2 제어 기판(55)을 부착하고, 그 후에 상부 케이스(21)에 하부 케이스(26)를 연결하여 조립하도록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150)에 관한 실장 부품(52, 5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1 리드 와이어(3), 제2 리드 와이어(4)가 수지로 된 제어 케이스(2) 벽부의 두께 내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제1 리드 와이어(3), 제2 리드 와이어(4)를 수용실(2x) 내에서 배치하는 공간이 불필요해져 제어 장치(150)에 관한 제어 케이스(2)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따라서, 넓은 화장실에 있어서도, 좁은 화장실에 있어서도 인체 국부 세정 장치를 설치하는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리드 와이어(3), 제2 리드 와이어(4)가 수지로 된 제어 케이스(2)의 벽부의 두께 내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제1 리드 와이어(3), 제2 리드 와이어(4)에 대한 방습성을 한층 높일 수 있고, 수분, 소변, 습기가 수용실(2x)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수분, 소변, 습기에 기인하는 고장을 억제하는 데 한층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케이스(2)의 수용실(2x) 내에 배치되어 있는 실장 부품(52, 56)에 의한 발열, 발열 정지의 반복 등에 의해 수용실(2x)에 감압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감압에 수반하는 제어 케이스(2) 내의 호흡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인체 국부 세정 장치의 사용 기간이 장기간 계속되면 제1 리드 와이어(33), 제2 리드 와이어(4)가 상부 케이스(21)의 벽부의 두께 내에 은폐되어 매설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제1 리드 와이어(3), 제2 리드 와이어(4)와 상부 케이스(21)의 경계로부터, 제어 케이스(2) 밖의 수분이 미소하지만, 제어 케이스(2) 수용실(2x) 내로 점점 침투할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리드 와이어(3), 제2 리드 와이어(4)와 상부 케이스(21)의 단부면의 경계에 밀봉제(6)가 도포되어 있으므로, 제1 리드 와이어(3), 제2 리드 와이어(4)에 대한 방습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에 있어서는 제2 리드 와이어(4) 중 이들이 상부 케이스(21)로부터 노출되는 근원부에 있어서 밀봉제(6)가 저류하는 저류 공간(23w)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에 있어서는 제1 리드 와이어(3) 중 이들이 상부 케이스(21)로부터 노출되는 근원부에 있어서 밀봉제(6)가 저류하는 얕은 바닥의 저류 공간(69p)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저류 공간(23w, 69p)에 저류된 밀봉제(6)에 의해 제1 리드 와이어(3)의 근원부를 양호하게 밀봉할 수 있다. 특히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 공간(69p)에는 다수개의 제1 리드 와이어(3)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수개의 제1 리드 와이어(3)의 근원부를 묶어서 저류 공간(69p)에 두고 양호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의 벽부 단부면(21u)은 수용실(2x)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깊어지도록(화살표 Y2 방향)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벽부 단부면(21u)이 경사져 있으므로, 저류 공간(23w)에 주입한 밀봉제(6)의 유출이 억제되고, 제2 리드 와이어(4)와 상부 케이스(21)의 벽부 단부면(21u)의 경계 밀봉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제어 기판(51)은 저류 공간(69p)에 대면하는 동시에 저류 공간(69p)으로의 밀봉제(6)의 주입성을 높이는 절결부(8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결부(80)에 의해 저류 공간(80p)으로의 고화 전의 밀봉제(6)의 주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1매의 제어 기판이 아닌, 이를 복수로 분할하고 있다. 즉, 제1 제어 기판(51), 제2 제어 기판(55)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어 케이스(2)의 수용실(2x) 내에 적층되어 있으므로, 제어 케이스(2)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게다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제어 기판(51)의 실장면(51a)의 실장 부품(52)과 제2 제어 기판(55)의 실장면(55a)의 실장 부품(56)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제1 제어 기판(51), 제2 제어 기판(55)은 실장 부품(52, 55)을 탑재한 실장면(51a, 55a)끼리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제어 케이스(2)는 제어 기판(51, 55)의 적층 방향의 소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케이스는 맞댐면을 갖는 동시에 맞댐면에서 맞추어진 상부 케이스(21) 및 하부 케이스(26)와, 상부 케이스(21) 및 하부 케이스(26)의 맞댐면에 개재하는 밀봉 부재(21p)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어 케이스(2)의 수용실(2x)의 밀폐성, 나아가서는 방습성을 높일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케이스(2)에는 밀봉 부재(21p)의 존재를 확인하는 확인창(21i)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밀봉 부재(21p)의 부착 잊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이 의미에 있어서도 수용실(2x)의 밀폐성, 나아가서는 방습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예)
상기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리드 와이어(3) 및 제2 리드 와이어(4)는 상부 케이스(21)에 매설되어 있지만, 이 대신에 하부 케이스(26)에 매설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상부 케이스(21) 및 하부 케이스(26)의 양 쪽에 매설되어 있어도 좋다. 수용실(2x)에는 제1 제어 기판(51)과 제2 제어 기판(55)이 소정 간격을 두고 포개어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 기판의 수는 1매 혹은 3매, 그 이상이라도 좋고, 이 경우에도 실장 부품을 탑재한 실장면끼리를 대향시키면 좋다. 또 상기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금속제의 제1 리드 와이어(3) 및 제2 리드 와이어(4)를 상부 케이스(21)의 두께 내에 매설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부재를 절연막으로 피복한 도전 부재를 수지제의 상부 케이스(21)의 두께 내에 매설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부기) 상기한 기재로부터 다음의 기술적 사상도 파악할 수 있다.
[부기항1]
사용자의 국부에 세정액을 분출하여 상기 국부를 세정하는 샤워부를 갖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장착되는 제어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실을 형성하여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제어 케이스와, 상기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에 수용된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실장 부품과,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어 상기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일단부를 갖는 동시에 커넥터부 또는 수용실 내의 다른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타단부를 갖는 도전 부재와, 실장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탑재하는 동시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된 복수매의 제어 기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이 경우, 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케이스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또한 도전 부재에 대한 방습성을 한층 높일 수 있어, 수분, 소변, 습기에 의한 제어 장치의 고장을 억제하는 데 한층 유리해진다.
[부기항2]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실을 형성하여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제어 케이스와, 상기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에 수용된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실장 부품과,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어 상기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일단부를 갖는 동시에 커넥터부 또는 수용실 내의 다른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타단부를 갖는 도전 부재와, 실장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탑재하는 동시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된 복수매의 제어 기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이 경우, 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케이스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또한 도전 부재에 대한 방습성을 한층 높일 수 있어, 수분, 소변, 습기에 의한 제어 장치의 고장을 억제하는 데 한층 유리해진다.
[부기항3]
부기항 1, 2에 있어서, 수용실을 밀폐 상태로 폐쇄하는 방열판이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케이스를 갖는 제어 장치 또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의 제어 장치.
[부기항 4]
각 청구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기판의 모서리는 제어 케이스에 대어져 있고, 또한 제어 케이스와 제어 기판 사이에 저류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저류 공간에 밀봉제가 주입되어 고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 밀봉제는 방습성 뿐만 아니라 상대 결합성도 가지므로 제어 기판의 보수성도 향상된다.
[부기항 5]
사용자의 국부에 세정액을 분출하여 상기 국부를 세정하는 샤워부를 갖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장착되는 제어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실을 형성하여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제어 케이스와, 상기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에 수용된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실장 부품과,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어 상기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일단부를 갖는 동시에 커넥터부 또는 수용실 내의 다른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타단부를 갖는 도전 부재와, 도전 부재와 제어 케이스 단부면의 경계에 도포된 밀봉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 이 경우, 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케이스의 소형화에 유리하며, 또한 도전 부재에 대한 방습성을 한층 높일 수 있어, 수분, 소변, 습기에 의한 제어 장치의 고장을 억제하는 데 한층 유리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따르면,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의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가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제어 케이스의 벽부의 두께 내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도전 부재를 제어 케이스 내에서 배치하는 공간이 불필요 또는 저감되어 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케이스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또한 수용실 내의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가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제어 케이스의 벽부의 두께 내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도전 부재의 방습성을 한층 높일 수 있어, 수분, 소변, 습기에 의한 고장을 억제하는 데 한층 유리하다.
또한, 발열 소자를 부착하는 방열판이 제어 케이스에 매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방열판을 제어 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를 폐지할 수 있다. 또한 방열판의 노출부는 제어 케이스에 매설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방열판의 노출부로부터 제어 케이스 수용실 외측으로의 방열성이 확보된다. 특히, 발열량이 많은 발열 소자가 방열판의 노출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발열 소자의 발열을 방출시키는 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따르면 실장 부품을 탑재하는 제어 기판을 큰 한 매가 아닌 복수매로 분할하고, 그리고 그 복수매의 제어 기판을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에 적층 상태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제어 케이스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판의 실장면의 실장 부품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실장 부품을 탑재한 실장면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복수매의 제어 기판을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에 적층 상태로 배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케이스의 소형화에 한층 유리하다.
게다가, 도전 부재와 제어 케이스 단면의 경계에 도포된 밀봉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전 부재에 대한 방습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케이스는 도전 부재 중 도전 부재가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근원부에 있어서 밀봉제가 저류하는 저류 오목부를 갖는 경우에는 저류 오목부에 저류된 밀봉제에 의해 도전 부재의 근원부를 양호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실장 부품은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에 배치된 제어 기판을 갖고, 제어 기판은 저류 오목부에 대면하는 동시에 저류 오목부로의 밀봉제의 주입성을 높이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결에 의해 저류 오목부로의 밀봉제의 주입성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인체 국부 세정 장치가 변기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2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가 변기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매설된 리드 와이어, 방열판을 갖는 상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상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부에 상대 커넥터부를 접속하는 형태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도5는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연결하여 형성한 제어 케이스의 측면도.
도7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연결하여 형성한 제어 케이스의 평면도.
도8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연결하여 형성한 제어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동시에 도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9는 제2 제어 기판을 상부 케이스에 대고 있는 동시에 제2 제어 기판의 관통 구멍에 제2 리드 와이어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10은 발열 소자를 태핑 스크류에 의해 방열판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평면도.
도11은 도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12는 도11의 화살표 W12 방향으로부터 본 구조를 도시한 화살표도.
도13은 도11의 화살표 W12 방향으로부터 본 제1 제어 기판의 주요부를 도시한 화살표도.
도14는 밀봉 부재의 존재 유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도12의 화살표 W14 방향으로부터 본 부분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어 케이스
2x : 수용실
3 : 제1 리드 와이어(도전 부재)
4 : 제2 리드 와이어(도전 부재)
6 : 밀봉제
21 : 상부 케이스(분할 케이스)
26 : 하부 케이스(분할 케이스)
29 : 방열판
29a : 매설부
29b : 노출부
29e : 위치 결정부
31 : 제1 매설 도전부
32 : 제1 내측 노출 도전부
33 : 제1 외측 노출 도전부
41 : 제2 매설 도전부
42 : 제2 내측 노출 도전부
43 : 제2 외측 노출 도전부
51 : 제1 제어 기판
51a, 55a : 실장면
51c : 관통 구멍(구멍)
52, 56 : 실장 부품
55 : 제2 제어 기판
55c : 관통 구멍(구멍)
57 : 발열 소자(실장 부품)
110 : 베이스부
120 : 변기 시트
140 : 샤워부
150 : 제어 장치

Claims (18)

  1. 삭제
  2. 사용자의 국부에 세정액을 분출하여 상기 국부를 세정하는 샤워부를 갖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에 장착되는 제어 장치이며,
    내부에 수용실을 형성하고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제어 케이스와,
    상기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에 수용된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실장 부품과,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어 상기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일단부를 갖는 동시에 커넥터부 또는 수용실 내의 다른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타단부를 갖는 도전 부재를 갖고,
    상기 실장 부품은 상기 수용실에 배치된 제어 기판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멍을 갖고 있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어 있는 매설 도전부와, 상기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구성하는 노출 도전부를 갖고 있고, 상기 노출 도전부는 상기 제어 기판의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구멍을 거쳐서 상기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케이스는 방열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방열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제어 케이스에 일체적으로 인서트 성형된 매설부와, 상기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동시에 발열 소자가 부착되는 노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노출부는 상기 제어 케이스의 상기 수용실을 폐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발열 소자이고, 상기 제어 케이스 중 방열판 근방의 벽 부분은 상기 발열 소자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케이스는 상기 제어 케이스의 외벽면측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부와 끼워 맞추어 지는 동시에 상기 제어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커넥터 하우징부를 갖고, 상기 도전 부재의 상기 일단부 또는 타단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의 상기 커넥터 하우징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어 케이스의 외벽면보다도 상기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측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탑재하는 실장면을 갖는 동시에 상기 수용실 내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된 복수매의 제어 기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용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2매의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제어 기판의 실장면의 실장 부품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실장 부품을 탑재한 상기 실장면끼리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케이스는 상기 제어 기판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소형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케이스는 맞댐면을 갖는 동시에 상기 맞댐면에서 맞추어진 복수개의 분할 케이스와, 복수개의 상기 분할 케이스의 맞댐면에 개재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의 밀폐성을 높이는 밀봉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케이스는 상기 밀봉 부재의 존재를 상기 제어 케이스의 외측으로부터 확인하는 확인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케이스는 상기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방열판을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실장 부품 중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큰 실장 부품은 상기 방열판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실장 부품 중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작은 실장 부품은 상기 실장면끼리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어 케이스의 수용실 내에 배치된 상기 제어 기판의 상기 실장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와 상기 제어 케이스 단면의 경계에 도포되어 상기 수용실의 방습성을 높히는 밀봉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케이스는 상기 도전 부재 중 상기 도전 부재가 상기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근원부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가 저류하는 저류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부품은 상기 제어 케이스의 상기 수용실 내에 배치된 제어 기판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저류 오목부에 대면하는 동시에 상기 저류 오목부로의 상기 밀봉제의 주입성을 높이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오목부의 바닥면은 상기 수용실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깊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용 제어 장치.
  17.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국부에 세정액을 분출하여 상기 국부를 세정하는 샤워부와 상기 샤워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내부에 수용실을 형성하고 수지를 기초 재료로 하는 제어 케이스와,
    상기 제어 케이스의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전자 부품 또는 전기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실장 부품과,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어 상기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일단부를 갖는 동시에 커넥터부 또는 상기 수용실 내의 다른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타단부를 갖는 도전 부재를 갖고,
    상기 실장 부품은 상기 수용실에 배치된 제어 기판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멍을 갖고 있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제어 케이스의 벽부에 매설되어 있는 매설 도전부와, 상기 제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구성하는 노출 도전부를 갖고 있고, 상기 노출 도전부는 상기 제어 기판의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구멍을 거쳐서 상기 실장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재료에 피착되는 변기 시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
KR10-2002-0032268A 2001-06-11 2002-06-10 인체 국부 세정 장치 KR100525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76238A JP2002364054A (ja) 2001-06-11 2001-06-11 人体局部洗浄装置
JPJP-P-2001-00176238 2001-06-11
JP2001183847A JP4623352B2 (ja) 2001-06-18 2001-06-18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1183873A JP2003008240A (ja) 2001-06-18 2001-06-18 人体局部洗浄装置
JPJP-P-2001-00183847 2001-06-18
JPJP-P-2001-00183873 2001-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444A KR20030023444A (ko) 2003-03-19
KR100525691B1 true KR100525691B1 (ko) 2005-11-03

Family

ID=2734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268A KR100525691B1 (ko) 2001-06-11 2002-06-10 인체 국부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55753B2 (ko)
KR (1) KR100525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352A1 (de) * 2012-06-20 2013-12-24 Lear Corporation Gmbh Positionierelement
KR20170093900A (ko) * 2014-12-19 2017-08-16 지안웨이 중 요액, 체중, 심전도, 인체 임피던스 검출 기능을 구비한 변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1472A (ja) * 1994-05-30 1995-12-08 Inax Corp 便器用コントロールボックス
JPH08102574A (ja) * 1994-09-30 1996-04-16 Sanyo Electric Co Ltd 混成集積回路装置
JPH08264671A (ja) * 1995-03-27 1996-10-11 Sumise Device:Kk パッケージの防湿装置
KR20000010166U (ko) * 1998-11-17 2000-06-15 김종수 전원단자조립체
JP2001094274A (ja) * 1999-09-20 2001-04-06 Hitachi Ltd 自動車用電子回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4151B2 (ja) * 1990-09-29 1999-07-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の温水タンク
TW290453B (ko) * 1993-12-30 1996-11-11 Toto Ltd
US6430366B1 (en) * 1995-06-05 2002-08-06 Inax Corporation Water heating appliance with tipover and float switches
DE19648710C1 (de) * 1996-11-25 1998-02-19 Bosch Gmbh Robert Vielpoliger Steckverbinder
KR20000010166A (ko) 1998-07-30 2000-02-15 윤종용 반도체소자의 층간절연막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1472A (ja) * 1994-05-30 1995-12-08 Inax Corp 便器用コントロールボックス
JPH08102574A (ja) * 1994-09-30 1996-04-16 Sanyo Electric Co Ltd 混成集積回路装置
JPH08264671A (ja) * 1995-03-27 1996-10-11 Sumise Device:Kk パッケージの防湿装置
KR20000010166U (ko) * 1998-11-17 2000-06-15 김종수 전원단자조립체
JP2001094274A (ja) * 1999-09-20 2001-04-06 Hitachi Ltd 自動車用電子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444A (ko) 2003-03-19
US20020184702A1 (en) 2002-12-12
US7155753B2 (en)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7919B2 (ja) 電気接続箱
JP4986053B2 (ja) 電気接続箱
JP5109812B2 (ja) 電気接続箱
JP5333436B2 (ja) 電気接続箱
JP2006161599A (ja) 燃料供給装置
JP5080156B2 (ja) 電子部品内蔵ユニット
JP2009200010A (ja) 防水型電気コネクタ
JP2004214486A (ja) 電子制御機器のケース及びこのケースを使用する電子制御機器
KR100525691B1 (ko) 인체 국부 세정 장치
JP2005117741A (ja) 電気接続箱
JP4718891B2 (ja) 電気接続箱
JP4623352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3008240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5390091B2 (ja) コネクタ
JP2002364054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7202367A (ja) 電気接続箱
EP0805617B1 (en) Integrated terminal board-filter assembly, particularly for electric household appliances
JP5316358B2 (ja) 燃料供給装置
JP5136275B2 (ja) 電気接続箱
US7763796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ic connection box
JP4764175B2 (ja) 電気接続箱
JP5384817B2 (ja) 電気接続箱
JP2007014156A (ja) 電動モータ
JP5799813B2 (ja) 回路ユニット及び電気接続箱
JP2004248447A (ja) 配電ユニット及びこの配電ユニットを含む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