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635B1 - 방호형 완충 안전띠 - Google Patents

방호형 완충 안전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635B1
KR100525635B1 KR1020050042304A KR20050042304A KR100525635B1 KR 100525635 B1 KR100525635 B1 KR 100525635B1 KR 1020050042304 A KR1020050042304 A KR 1020050042304A KR 20050042304 A KR20050042304 A KR 20050042304A KR 100525635 B1 KR100525635 B1 KR 100525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strap
head
rotating shaft
link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영
정길자
Original Assignee
이부영
정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영, 정길자 filed Critical 이부영
Priority to KR1020050042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635B1/ko
Priority to PCT/KR2006/001847 priority patent/WO2006135153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81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mechanical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05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head-rest or seat used as an anchorage point, for an object not covered by groups in B60N, e.g. for a canv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2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73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automatically movabl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case of collision or impending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022/027Four-point seat belt systems, e.g. with the two upper points connec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호형 완충 안전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호형 완충 안전띠는 한쌍의 안전띠가 한쌍의 회동축과 연결되어 충격시 안전띠가 전방으로 당겨질 때, 상기 회동축 하단에 설치된 탄성수단이 압축되어 안전띠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이때 동시에 두부 보호부가 승차자의 두부 상부로부터 하강 회동되어 안면과 두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방호형 완충 안전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호형 완충 안전띠는 시트의 상부에서 하부로 설치되는 한쌍의 어깨끈과 상기 어깨끈 고정부와 어깨끈 회동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어깨끈 고정부와 회동부는 상기 회동축의 중간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회동축의 하단에는 완충을 위한 탄성수단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회동축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회동축의 상단을 연결한 고정축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는 두부 보호부가 설치되어, 충격시에 안전띠가 전방으로 당겨질 때, 안전띠의 완충 및 안면과 두부 보호를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호형 완충 안전띠{Shock Absorbing Seat Belt for Protecting Face and Head}
본 발명은 방호형 완충 안전띠에 관한 것으로, 안전띠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 및 두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호형 완충 안전띠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안전띠는 급정지나 추돌 및 충돌 등과 같은 충격시에 승차자의 안전을 위하여 수송수단의 좌석에 설치된다.
특히, 수송수단 중에서도 승용차의 경우, 안전띠는 승차자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한쪽 어깨와 허리를 감싸도록 하여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충격이 가해지면 안전띠가 승차자의 한쪽 어깨와 허리를 감싸고 있어 승차자가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종래의 안전띠는 충격시에 완충되는 작용이 전혀 없으며, 승차자의 어깨가 안전띠에 걸리게 될 때 어깨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쪽 어깨를 감싸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충격이 심한 경우에는 승차자가 회전되게 되며 관성에 의해 두부의 측면부위가 전방으로 쏠리게 되므로 전방으로의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여 충격 후에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안전띠가 서서히 풀리게 되면 안전띠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안전띠는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장치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당기는 상태이므로 안전띠 착용시부터 어깨쪽에 받게 되는 압박감은 장거리 운전시에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사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관성에 의해 인체에서 가장 무거운 부분인 두부가 가장 먼저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데 충격이 큰 경우에는 인체에서 취약한 경추부가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되어 경추부의 부상 등의 대형 인명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승차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승차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에어백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충격시 두부의 충격을 완충하는 데에 큰 효과를 발휘하지만, 승차자가 호흡하는데 지장을 주게 되고 에어백이 작동되게 되면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되며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쪽 어깨에만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양쪽 어깨 모두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방호형 완충 안전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경추부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호형 완충 안전띠를 제공하는 것이다.
어깨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여 장시간 승차하여도 거리낌 없이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경제적인 방호형 완충 안전띠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호형 완충 안전띠는, 시트의 상부에서 하부로 설치되는 한쌍의 어깨끈과, 상기 어깨끈의 상부를 고정하는 어깨끈 고정부와, 상기 어깨끈 고정부를 외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어깨끈 회동부와, 상하로 설치되며, 상기 어깨끈 회동부가 고정되어 상기 어깨끈 고정부의 전방이동시에 전후로 회동되는 한쌍의 회동축과, 상기 어깨끈 회동부가 고정되는 위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축 고정부와, 상기 회동축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동시에 완충되도록 하며 상기 회동축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회동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동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어 충격시에 두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두부 보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두부 보호부는 상기 회동축의 단부에 결합되며 좌우로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1 링크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 2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 사이를 연결하며 두부를 보호하는 연질의 두부 완충부와, 일단이 상기 베어링의 하측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3 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 3 링크와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회동축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 4 링크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축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3 링크가 회동되게 되고 상기 제 3 링크에 의해 상기 베어링이 회전되어 상기 제 1 링크의 회전으로 상기 제 2 링크가 회전됨으로써 두부 완충부가 승차자의 두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어깨끈 회동부는 상기 회동축과 각각 결합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어깨끈 회동부 회동시에 다른 어깨끈 회동부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회동축 고정부와 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며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로 구성되는 승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깨끈 고정부와 상기 어깨끈 회동부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회동축의 연결부에 좌우 대칭되게 하나이상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동시에 상기 탄성수단과 함께 작용하여 완충되도록 하며 상기 회동축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보조탄성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가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의 하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의 좌우 이동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헤드 고정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충격전과 충격시의 두부 보호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의 승강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는 시트(1)의 상부에서 하부로 설치되는 한쌍의 어깨끈(10)과, 상기 어깨끈(10)의 상부를 고정하는 어깨끈 고정부(20)와, 상기 어깨끈 고정부(20)를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어깨끈 회동부(30)와, 상하로 설치되며 상기 어깨끈 회동부(30)가 고정되는 한쌍의 회동축(40)과, 상기 회동축(40)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축 고정부(50)와, 상기 회동축(40)의 회동시에 완충되도록 하며 상기 회동축(40)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수단(60) 및 충격시에 승차자의 두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두부 보호부(70)로 구성된다.
상기 어깨끈(10)은 시트(1)의 상부에서 하부로 설치되며 좌우 한쌍으로 되어 있다. 상기 어깨끈(10)은 승차자의 신체에 따라 착용할 수 있도록 길이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어깨끈(10)의 하부에는 어깨끈(10)을 서로 연결하는 허리끈(11)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깨끈 고정부(20)는 상기 어깨끈(10)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깨끈 고정부(20)는 상기 어깨끈 회동부(30)의 외부에 고정된 고정구(31)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어깨끈 고정부(20)와 고정구(31)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2)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22)은 충격시에 상기 어깨끈(10)이 이동하게 되면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어깨끈 회동부(30)는 상기 회동축(40)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어깨끈 고정부(20)를 외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깨끈 회동부(30)는 상기 회동축(40)에 결합되는 베어링(33)이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33)의 외부에는 상기 어깨끈 고정부(20)와 결합되는 고정구(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어깨끈 회동부(30)는, 도 5에서와 같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코일스프링(32)이 구비되어 이 코일스프링(32)에 의해 하나의 상기 어깨끈 회동부(30)가 외측으로 회동되게 되면 나머지 하나의 상기 어깨끈 회동부(30)가 동시에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승차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하나의 어깨끈 회동부(30)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승차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어깨끈(10)의 길이조정을 하게 되면 안전띠의 착용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어깨끈(10)을 늘어뜨리고 어깨끈 회동부(30)를 회동시키게 되면 안전띠를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이격되게 되므로 승차자는 자유로운 상태로 되게 된다.
상기 회동축(40)은 상하로 설치되며 상기 어깨끈 회동부(30)가 고정되어 있고 한쌍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40)의 하단부에는 탄성수단(60)이 결합되어 있다. 이 탄성수단(60)은 충격시에 상기 어깨끈 고정부(20)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되면 회동축(40)이 전방으로 회동될 때 압축되어 완충역할을 하게 되며, 충격후에는 전방으로 회동된 회동축(40)을 인장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탄성수단(60)은 코일스프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동축(40)은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41)가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상기 어깨끈 고정부(20)가 전방으로 이동시에도 한쌍의 상기 회동축(40)이 함께 회동되게 된다.
상기 회동축 고정부(50)는 상기 어깨끈 회동부(30)가 고정되는 위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동축 고정판(51)과 회동축 고정힌지축(52) 및 회동축 고정앵글(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 고정판(51)에는 회동축 결합공(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동축 결합공(54)에 상기 회동축(40)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축(40)에는 회동축 고정앵글(53)이 고정되게 되며 이 회동축 고정앵글(53)은 상기 회동축 고정판(51)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회동축 고정앵글(53)에는 상기 회동축(40)을 관통한 회동축 고정힌지축(52)이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40)과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40)이 상기 어깨끈 고정부(2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게 되면 상기 회동축 고정부(50)에 의해 상기 회동축(40)을 힌지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축(40)이 회동되어 상기 회동축(40)의 하단부에 결합된 탄성수단(60) 및 상기 회동축(40)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41)에 결합된 보조탄성수단(61)을 압축되게 한다.
상기 탄성수단(60)은 상기 회동축(4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어깨끈 고정부(20)가 이동에 의해 상기 회동축(40)의 회동시에 완충되도록 하며, 상기 회동축(40)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수단(60)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회동축(40)의 회동시에 완충되도록 하며, 상기 회동축(40)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보조탄성수단(61)이 상기 회동축(40)을 연결하는 연결부(41)에 좌우 대칭되게 하나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부 보호부(70)는 상기 회동축(4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40)의 회동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어 충격시에 승차자의 두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a는 충격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충격시의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며, 도 7의 (A)는 충격전 (B)는 충격시의 두부 보호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두부 보호부(70)는 상기 회동축(40)의 단부에 결합되며 좌우로 설치되는 고정축(71)과, 상기 고정축(7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베어링(72)과, 상기 베어링(72)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링크(73)와, 상기 제 1 링크(73)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1 링크(73)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 2 링크(74)와, 상기 제 2 링크(74) 사이를 연결하며 승차자의 두부를 보호하는 연질의 두부 완충부(75)와, 일단이 상기 베어링(72)의 하측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3 링크(76)와, 일단이 상기 제 3 링크(76)와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회동축 고정부(50)에 고정되는 제 4 링크(77)로 이루어져 있다.
충격시에 상기 어깨끈 고정부(20)가 상기 회동축(40)을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축 고정부(50)의 회동축 고정판(51)에 고정되어 있는 제 4 링크(77)에 힌지결합되며 베어링(72)의 하측부에 결합된 상기 제 3 링크(76)에 의해 상기 베어링(7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베어링(72)에 고정결합된 상기 제 1 링크(73)가 회전되게 되며 제 1 링크(73)와 결합된 상기 제 2 링크(74)가 회전됨으로써 두부 완충부(75)가 승차자의 두부 전방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충격시에 승차자의 두부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두부 완충부(75)는 승차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되며 안면부위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면부위의 형상과 비슷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격이 완충된 후에는 상기 탄성수단(60) 및 상기 보조탄성수단(61)에 의해 상기 회동축(40)이 원래위치로 복귀되게 되며, 상기 회동축(40)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기 베어링(72)이 원래위치로 회동복귀되게 되며 상기 베어링(72)과 고정결합된 상기 제 1 링크(73)와 상기 제 2 링크(74)가 원래 위치로 회전됨으로써 두부 완충부(75)가 승차자의 두부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충격시 상기 어깨끈 고정부(20)의 이동에 따라 회동축(40) 회동시에 탄성수단(60)에 의해 어깨끈(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되게 하며, 회동축(40) 회동시에 두부 보호부(70) 또한 회동되도록 하여 승차자의 두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도 6은 시트헤드 고정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시트헤드 고정부(90)는 공지된 것으로 시트헤드를 뒤로 단계적으로 제쳐지도록 하며 완전 제쳐진 경우에는 원래 처음 위치로 되돌아 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축 고정부(50)와 결합되는 스크류(81)와, 상기 스크류(81)를 회전시키며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82)로 구성되는 승강수단(8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승강수단(8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방호형 완충 안전띠의 전체 높이를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앉은 키의 크기에 상관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형태의 방호형 완충 안전띠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71)의 양단부에 베어링(72)을 고정시키기 위한 베어링 고정부(78)를 이용하여 베어링(72)을 시트의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두부보호부(70)가 전방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승차자의 두부 상부에 배치되는 두부 완충부(75)의 설치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어 충격시 두부보호부(75)가 차 실내의 천장에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앉은 키가 큰 승차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충격시 두부 완충부(75)의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승차자의 안전에 더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호형 완충 안전띠는 한쪽 어깨에만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양쪽 어깨 모두에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하도록 하여 어깨의 부상을 보호할 수 있으며, 관성에 의해 승차자의 두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며 두부의 전방이동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경추부의 부상과 같은 대형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어깨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여 장시간 승차하여도 거리낌 없이 착용할 수 있으며, 충격이 가해져도 두부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정신을 잃지 않고 2차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 부착이 용이하며, 시트에 내장되어 사용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시트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새로 시트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가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의 하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의 좌우 이동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헤드 고정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충격전과 충격시의 두부 보호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방호형 완충 안전띠의 승강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형태의 방호형 완충 안전띠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트 10: 어깨끈
11: 허리끈 20: 어깨끈 고정부
21: 체결공 22: 코일스프링
30: 어깨끈 회동부 31: 고정구
32: 코일스프링 33: 베어링
40: 회동축 41: 연결부
50: 회동축 고정부 51: 회동축 고정판
52: 회동축 고정힌지축 53: 회동축 고정앵글
54: 회동축 결합공 60: 탄성수단
61: 보조탄성수단 70: 두부 보호부
71: 고정축 72: 베어링
73: 제 1 링크 74: 제 2 링크
75: 두부 완충부 76: 제 3 링크
77: 제 4 링크 78: 베어링 고정부80: 승강수단
81: 스크류 82: 모터
90: 시트헤드 고정부

Claims (6)

  1. 시트의 상부에서 하부로 설치되는 한쌍의 어깨끈과,
    상기 어깨끈의 상부를 고정하는 어깨끈 고정부와,
    상기 어깨끈 고정부를 외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어깨끈 회동부와,
    상하로 설치되며,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어깨끈 회동부가 고정되어 상기 어깨끈 고정부의 전방이동시에 전후로 회동되는 한쌍의 회동축과,
    상기 어깨끈 회동부가 고정되는 위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축 고정부와,
    상기 회동축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동시에 완충되도록 하며 상기 회동축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회동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동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어 충격시에 두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두부 보호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형 완충 안전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보호부는,
    상기 회동축의 단부에 결합되며 좌우로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1 링크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 2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 사이를 연결하며 두부를 보호하는 연질의 두부 완충부와,
    일단이 상기 베어링의 하측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3 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 3 링크와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회동축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 4 링크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축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3 링크가 회동되게 되고 상기 제 3 링크에 의해 상기 베어링이 회전되어 상기 제 1 링크의 회전으로 상기 제 2 링크가 회전됨으로써 두부 완충부가 승차자의 두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형 완충 안전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 회동부는,
    상기 회동축과 각각 결합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어깨끈 회동부 회동시에 다른 어깨끈 회동부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형 완충 안전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 고정부와 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며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로 구성되는 승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형 완충 안전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 고정부와 상기 어깨끈 회동부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형 완충 안전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의 연결부에 좌우 대칭되게 하나이상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동시에 상기 탄성수단과 함께 작용하여 완충되도록 하며 상기 회동축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보조탄성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형 완충 안전띠.
KR1020050042304A 2005-05-20 2005-05-20 방호형 완충 안전띠 KR100525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304A KR100525635B1 (ko) 2005-05-20 2005-05-20 방호형 완충 안전띠
PCT/KR2006/001847 WO2006135153A1 (en) 2005-05-20 2006-05-17 Shock absorbing seat belt for protecting face and h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304A KR100525635B1 (ko) 2005-05-20 2005-05-20 방호형 완충 안전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635B1 true KR100525635B1 (ko) 2005-11-02

Family

ID=37305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304A KR100525635B1 (ko) 2005-05-20 2005-05-20 방호형 완충 안전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25635B1 (ko)
WO (1) WO20061351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35B1 (ko) 2009-05-04 2009-09-21 이부영 이동식 방호형 헤드레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2487C2 (nl) * 2008-02-05 2009-11-04 Savas Seating B V Stoel met een in hoogte verstelbare hoofdsteun.
JP6499093B2 (ja) * 2016-01-14 2019-04-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6499096B2 (ja) * 2016-02-10 2019-04-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3461A (en) * 1993-12-20 1996-04-02 Alliedsignal Inc. Five-point safety system for a seat
DE19516921A1 (de) * 1995-05-09 1996-11-14 Daimler Benz Ag Sonnen- und Windschott für offene Kraftfahrzeuge
US6623075B2 (en) * 2001-03-05 2003-09-23 Britax Child Safety Inc. Child safety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35B1 (ko) 2009-05-04 2009-09-21 이부영 이동식 방호형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35153A1 (en)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0546B (zh) 车辆座椅
KR100947497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KR101398172B1 (ko) 차량용 안전벨트
KR100525635B1 (ko) 방호형 완충 안전띠
EP1773147A1 (en) Protective helmet for children in automobiles
EP3409532A1 (en) Portable car seat
US10653200B1 (en) Head and neck restraint for automobile occupants
KR100193883B1 (ko) 안전벨트의 완충장치
KR101397631B1 (ko) 인장압축식 완충댐퍼가 구비된 아동용 안전벨트
CN220076200U (zh) 一种汽车座椅靠背骨架、汽车座椅骨架及汽车座椅
CN205674919U (zh) 一种安全效果好的汽车座椅骨架
EP0941171A1 (en)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KR100440227B1 (ko) 승객보호용 버스의 시트백 프레임구조
KR10124210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호대가 결합된 안전벨트
KR200368510Y1 (ko) 선회 완충식 자동차용 범퍼 가드
KR0130165B1 (ko)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CN211139096U (zh) 一种汽车安全座椅
CN212088200U (zh) 人体保护装置
KR100918235B1 (ko) 이동식 방호형 헤드레스트
SI9600306A (sl) Pripomoček za varovanje vratu voznika ali potnika, varovanega s čelado in varnostnim pasom
KR930012100B1 (ko)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KR100551780B1 (ko) 자동차의 서브마린 방지용 승객 구속장치
KR20200139857A (ko)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사고시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에어가 설치된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KR200259876Y1 (ko) 신체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부드러운 안전띠커버
KR960005994B1 (ko) 자동차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