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190B1 -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 - Google Patents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190B1
KR100525190B1 KR10-2003-0048099A KR20030048099A KR100525190B1 KR 100525190 B1 KR100525190 B1 KR 100525190B1 KR 20030048099 A KR20030048099 A KR 20030048099A KR 100525190 B1 KR100525190 B1 KR 10052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essential oil
additive
steam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8234A (ko
Inventor
고운맘
Original Assignee
김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기 filed Critical 김희기
Priority to KR10-2003-004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1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0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정유와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쑥에서 추출한 쑥정유 또는 쑥연기진액을 단독 또는 2종이상 50% 이하로 함유하고 있는 술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ADDITIVE FOR ALCHOLIC DIRINK CONTAINING MUGWORT ESSENTIAL OIL AND MUGWORT PROLYSIS ESSENCE}
본 발명은 쑥정유와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쑥에서 추출한 쑥정유 또는 쑥연기진액을 단독 또는 2종이상 50% 이하로 함유하고 있는 술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술은 그 제조 방법에 따라 와인, 청주, 맥주, 막걸리 등의 발효주, 위스키, 버번, 소주, 고량주 등의 증류주가 있으며, 칵테일 등의 용도로 널리 애용되는 리큐르, 즉 조미주가 있다. 조미주는 증류주에 주로 과일의 향을 배합하여 제조한 술로, 사과주, 체리주, 복숭아주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쑥의 맛과 향을 이용한 조미주는 보고된 예가 없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특1994-0000326호, "쑥을 넣어서 양조한 술"은 쑥을 넣어서 발효시킨 형태의 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쑥을 누룩과 쌀과 함께 발효시켜 제조하는 방식의 술은 발효주에는 적당하나, 최근들어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는 리큐르 형태의 조미주로는 이용할수 없는 방법이다.
쑥에는 사람에 유익한 성분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예로부터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쑥에 포함된 유효 성분을 생약학적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쑥에 포함된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혈액순환촉진, 이뇨작용, 강장작용, 지혈, 피부질환치료, 건위, 황달 치료, 항암작용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흔히 쑥이라 불리울수 있는 식물로는 지구 북반구에 200여종이 있고 국내에는 38종이 보고되고 있으나, 흔히 통칭하는 쑥은 종이 명확하지가 않고 쑥속(Artemisia)과 유사종인 떡쑥(Anaphalis, Antennaria)과 쑥부장이(Aster)로 구별할 수 있다. 이들 쑥에 속하는 식물들은 독특한 향기와 맛을 가지고 있어 종래로 부터 식용 또는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 쑥의 추출물을 채취하여 다양하게 활용하는 기술들이 보고되어 왔으며, 음료수에 이용하기 적당한 쑥추출물 제조방법으로, 한국특허 특1995-0004327호에 기술된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한 쑥속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 이미 공지된 바 있다.
또 다른 한국특허 특0181751호에는 고농도 에탄올을 이용하여 위장질환 치료제용 쑥추출물이 보고된 바 있다. 이외에도 수증기 증류법으로 쑥의 정유를 채취한 후 이를 이용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즉, 구취 억제제를 보고한 한국 공개특허 특2002-0067332호의 예도 있다.
수증기 증류법에 기초한 쑥 정유 추출법은 물을 가열하여 얻은 수증기를 쑥에 통과시켜 쑥의 정유 성분을 수증기와 함께 증발 시키는 방법으로서, 에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침출하는 방법에 비하여 쑥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분리하는데 있어서 매우 탁월한 방법이다. 즉, 용매를 이용하여 쑥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면 사용한 용매에 대한 각 성분의 용해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부 성분이 미추출된 상태로 남는 것이 일반적이나, 수증기 증류법을 사용하면 이런 점을 극복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쑥정유의 주요 성분을 일률적으로 열거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약전 등의 문헌에 의하면 대체로 시네올 (cineol), 투존 (α- thujon), 세스퀴터핀 (sesquiterpene), 세스퀴터핀 알콜 (sesquiterpene alchol), 아데닌 (adenine), 콜린(choline), 아쥴렌(azulene), 보네올(borneol), 캠퍼 (camphor) 등이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쑥의 정유는 쑥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중량 대비 0.02%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구성 성분은 최소 100 종 이상의 다양한 생화합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의 함량과 종류는 쑥의 산지, 정유제조의 전처리방법, 증류법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쑥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쑥연기를 이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쑥을 공기중에서 연소시키거나, 산소가 제한된 환경에서 건류(pyrolysis)시키면 쑥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들이 연기의 형태로 추출되며, 이를 냉각시켜 수집하면 쑥연기진액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쑥연기를 이용하여 수집한 추출물은 용매 추출물이나 수증기 추출물에서 얻은 정유와는 그 구성성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는 연소나 열분해 과정에서 새로운 물질들이 생성되기 때문으로, 최근 식용과 농업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목초액이 이와 유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제품이라 할 수 있지만,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음료수의 제조방법은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은 상태이다. 다만, 한국특허 10-0345774에 쑥의 훈연을 이용하기 위한 추출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부황과 뜸의 불편함을 대체할수 있는 수단으로서 발표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건대 쑥에서 추출한 정유(essential oil)을 이용하여 세제 등의 생활 용품과 위생용품 등을 제조하는 방법은 이미 여러 차례 보고된 바가 있으나, 쑥정유나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조미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한 아직까지 그 종례가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쑥의 맛과 향을 가지는 조미주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한 쑥 정유와 건류법으로 추출한 쑥연기진액을 배합한 술 첨가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쑥에서 추출한 정유와 연기진액을 배합하여 혈액순환촉진, 이뇨작용, 강장작용, 지혈, 피부질환치료, 건위, 황달 치료, 항암작용 등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조미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내용은 수증기 증류법으로 얻은 쑥정유와 건류법으로 얻은 연기진액을 이용하여 술 첨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쑥정유는 도 1의 압력 용기의 내부에 충전된 쑥을 105oC, 1 기압의 수증기로 30분 내지 4시간 1차 증류하고, 140oC, 2 기압의 수증기로 30분 내지 4시간 2차 증류하여 얻어진다.
도 1은 본 쑥의 정유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수증기 증류 장치의 개략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쑥(11)은 스팀자켓(12)이 설치된 압력 용기(13)의 내부에 치밀하게 충전된다. 수증기는 증기공급기(14)에서 스팀자켓(12)과 압력용기(13)의 내부로 보온 파이프(15)를 통하여 공급된다. 이때, 공급되는 수증기의 양은 유량조절 밸브(16,17)에 의하여 조절된다.
충전된 쑥을 통과하면서 유효성분을 추출한 수증기는 냉각 파이프(18)가 설치된 응축기(19)로 보내지며, 여기에서 수증기와 정유가 응축되어 수집기(10)에 수집된다.
본 발명의 쑥연기진액은 도 2의 건류 장치를 통하여 추출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쑥연기진액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쑥(21)은 건류장치(22)내부에 충전되며, 충전된 쑥은 건류장치의 하층에 설치된 전열선(27)에 의해서 가열된다. 가열시 온도는 쑥의 건조 상태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데, 대체로 20일 이상 냉암소에서 잘 건조된 쑥의 경우 200oC 내지 500oC 의 온도 범위에서 건류하면 쑥연기진액을 얻어낼 수 있다.
이때, 건류장치 내부의 산소 농도는 산소공급제어장치(28)을 통하여 조절 할 수 있다. 산소공급제어장치는 대기중 공기와 압축가스형태의 질소를 이용하여 건류장치 내부의 산소농도를 조절하며, 이러한 방법으로 산소 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이 분야에서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서술을 생략한다.
가열된 쑥에서 발생한 쑥연기진액은 냉각기(23)에서 응축되어 액상으로 수집된다. 냉각기에 필요한 냉각수는 별도의 냉각수 공급장치(24)를 통하여 공급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술 첨가제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 쑥정유와 쑥연기진액을 함유한 술 첨가제의 제조
냉암소에서 40일간 건조한 인진쑥 200kg을 도1의 증류기 내부에 충전한 다음, 증기공급기에서 105oC, 1기압의 수증기를 압력용기 내부의 쑥 충전층과 스팀 재킷에 동시에 공급하면서 2시간 동안 응축되어 나오는 정유 성분을 수집하였고, 이어 수증기의 온도를 140oC, 2기압으로 하여 나머지 정유성분을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쑥연기진액은 상기 인진쑥 200kg을 도 2의 건류장치를 이용하여 400oC로 4시간 동안 건류하여 추출하였다. 상기한 방법으로 추출한 쑥정유 50중량% 와 쑥연기진액 50 중량%를 배합하여 술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술 첨가제를 이용한 쑥 조미주 제조
알콜 함량 40%인 증류주 1L에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술 첨가제 50g을 투입한 다음, 강하게 교반하여 본 발명의 술 첨가제가 균일하게 녹아들어가도록 하였다. 이때, 증류주에 용해되지 않은 성분은 상층부로 부유하므로 이를 제거하여 쑥 조미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제조한 쑥 조미주의 관능 평가
쑥 조미주의 맛과 기능에 대한 관능을 각각 10인으로 구성된 3개의 군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각 군의 평가인에게 제조한 쑥 조미주를 100mL씩 시음케 한 후 그 결과를 수집하였다. 평가 결과는 향기와 맛이 매우 만족스러울 경우를 5점으로 하였고, 보통을 3점, 불만족스러울 경우를 1점으로 하여 5단계로 표시하였다.
평가 항목중 숙취도는 시음 후 1시간 후 각자 느끼는 취기가 아주 강할 경우 1, 보통일 경우 3, 전혀 없을 경우를 5로 하여 평균 평가한 것이며, 강장 효과역시 개인별 효과를 평균한 것이다.
다음의 표1은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평가군별 시음 결과
평균연령 숙취도 강장효과 향기
A 20 5 4 3 4
B 30 5 4 4 4
C 40 5 5 5 5
본 발명에서 제시한 쑥정유와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를 이용하여 쑥음료수를 제조한 결과, 강장 효과가 뛰어날 뿐더러 숙취도 거의 없으며, 맛과 향기가 뛰어난 쑥 조미주를 제조할 수 있었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증류장치의 개략도 >
10 : 수집기 11 : 쑥 12 : 스팀자켓
13 : 압력 용기 14 : 증기공급기 15 : 보온파이프
16, 17 : 유량조절밸브 18 : 냉각파이프 19 : 응축기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쑥연기진액 추출장치 개략도 >
21 : 쑥 22 : 건류장치 23 : 냉각기 24 : 냉각수공급장치
25 : 수집기 26 : 전원 27 : 전열선 28 : 산소공급제어장치

Claims (2)

  1. 쑥에서 추출한 쑥정유 또는 쑥연기진액은, 상기 쑥정유는 쑥을 105℃, 1기압의 수증기로 30분 ~ 4시간동안 1차 증류하고, 140℃, 2기압의 수증기로 30분 ~ 4시간동안 2차 증류하여 얻어지고, 쑥연기진액은 건류장치를 이용하여 20일 동안 냉암소에서 잘 건조된 쑥을 200 ~ 500℃의 온도범위에서 건류하여 얻어지는 것을 술에 대해 50%이하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 첨가제.
  2. 삭제
KR10-2003-0048099A 2003-07-14 2003-07-14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 KR100525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099A KR100525190B1 (ko) 2003-07-14 2003-07-14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099A KR100525190B1 (ko) 2003-07-14 2003-07-14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234A KR20050008234A (ko) 2005-01-21
KR100525190B1 true KR100525190B1 (ko) 2005-11-02

Family

ID=3722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099A KR100525190B1 (ko) 2003-07-14 2003-07-14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66693A1 (en) * 2006-11-08 2008-05-15 Morning-After Herbal Infusion Corporation Reduced-hangover alcoholic beverage comprising turmeric
CN107151621B (zh) * 2016-03-03 2021-03-19 广东工业大学 一种植物精油配制酒及其调配方法
KR102325985B1 (ko) * 2021-02-01 2021-11-12 윤화순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234A (ko) 200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2871B2 (ja) 新規な蒸留酒とその製造法
CN102337189A (zh) 一种山楂白兰地酒及酿造方法
CN106561845A (zh) 一种生产鲜花椒茶油调味油的加工工艺
KR101957599B1 (ko) 훈제 단무지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훈제 단무지
KR100525190B1 (ko)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
KR100533930B1 (ko)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음료수 첨가제
KR101297610B1 (ko) 석이버섯 발효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석이버섯 발효주
KR100988378B1 (ko) 산돌배 증류주 제조 방법
KR100502960B1 (ko) 목초액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68090B1 (ko) 어성초 발효 음료 조성물
KR101928827B1 (ko) 미나리 즙액의 제조방법
KR101414474B1 (ko) 솔잎엑기스를 첨가한 제품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제품
KR20050008236A (ko)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쑥정유 제조방법
KR20210026953A (ko) 발효 초약 효소의 제조 방법
KR20190082434A (ko)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2387878B1 (ko) 단호박 쉰다리 제조방법
CN112899113B (zh) 一种基于精油快速获得艾蒿露酒的方法
KR101172677B1 (ko) 뽕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막걸리
KR930005204B1 (ko) 오미자 과실의 수증기 증류액 제조방법 및 기호식품원액
JPH0349894B2 (ko)
CN106942545A (zh) 一种大蒜饮料及其制作方法
KR20070042246A (ko)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쑥 정유 제조방법
KR10043043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함유된 과일주의 제조방법
KR20090086833A (ko) 어성초와 삼백초 추출액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김치
KR101700861B1 (ko) 황칠 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발효 숙성액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