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985B1 -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5985B1 KR102325985B1 KR1020210014370A KR20210014370A KR102325985B1 KR 102325985 B1 KR102325985 B1 KR 102325985B1 KR 1020210014370 A KR1020210014370 A KR 1020210014370A KR 20210014370 A KR20210014370 A KR 20210014370A KR 102325985 B1 KR102325985 B1 KR 1023259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ugwort
- condensing
- housing
- moxibustion
- smok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8—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suppositories or stic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쑥의 유효 성분 함량이 높고, 추출시 연기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쑥뜸용 고의 제조시 발생하는 연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쑥의 유요 성분을 최대한 농축시켜 포함하게 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쑥의 유효 성분 함량이 높고, 추출시 연기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을 통한 치료는 피부의 특정부위에 쑥 등의 약초를 놓고 태움으로서 생체의 변화를 바로잡는 한방치료요법으로 쑥의 연소를 통하여 온열적 자극을 생체에 미치게 하여 일정한 생체반응을 일으켜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뜸치료는 피부에 직접 뜸쑥을 놓고 태워 작은 화상을 일으키게 하는 방법이 주로 시술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시술후 화상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쑥뜸의 종류로는 직접구와 간접구가 있으며, 직접구는 피부에 쑥을 직접 붙여 놓고 태워서 뜸뜨는 방법으로 화상이 있고 상처 아무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연기가 나서 밀집 공간에서는 곤란하다. 간접구는 쑥뜸용 기구에 쑥모형을 놓고 쑥을 태워 쑥 연기 일부는 피부쪽으로 내려와 피부에 도포가 되면서 쑥이 타는 열이 피부쪽으로 가열이 되면서 뜸뜨는 것이고 연기가 많이 나고 냄새 역시 심하여 밀집 공간에서 뜸뜨기 곤란하며 뜸뜨는 시간이 짧고 능률이 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단지 뜸 조성물에 기반한 원적외선을 조사하지 않아, 그 효능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며, 특히 뜸 조성물의 배합에 따라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에 상처를 경감시키거나 주변에 연기를 발생하지 않는 쑥뜸 제품이나 이를 이용한 치료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아울러 쑥뜸의 치료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은 추출기를 이용하여 쑥뜸의 제조시 무연으로 몇배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쑥뜸의 고를 제조할 때 무연 추출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한 쑥뜸용 고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a) 쑥을 전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b) 전처리된 쑥을 건조시키는 단계;
(c) 건조된 쑥을 추말하는 단계;
(d) 추출된 쑥을 연소실에 넣고 연소시키는 단계;
(e) 연소과정에 의해 생성된 연기를 응축시키는 단계;
(f) 응축된 고를 회수하는 단계;
(g) 회수된 응축고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단계; 및
(h) 배합된 응축고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응축 단계는 생성된 연기가 응축 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응축 플레이트들이 구비된 응축 수단에 의해 고 상태로 응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용 고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쑥뜸용 고의 제조시 발생하는 연기를 100% 고로 응축시킨 쑥의 유요 성분을 100% 그대로 응축시켜 포함하게 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쑥뜸용 고의 제조를 위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사진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좌, 우 사진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응축실의 내부 사진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응축실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외기유입구의 배치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가습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방진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사진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좌, 우 사진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응축실의 내부 사진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응축실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외기유입구의 배치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가습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방진 부재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쑥을 태운 연기를 응축시켜 고로 만들어 환처, 병증, 통증 부위에 바르고 근적외선 바이오세라믹 히터에 일정 열로 가열하면서 쑥의 성분과 근적외선의 열로 쑥 고 도포부위에 조사하면 골수까지 밀고 들어가면서 근육혈관을 확장시켜 병처 세포가 필요한 영양 면역력 임파액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조건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많은 시간 자유 자재로 뜸을 할 수 있으며 무연 뜸이기 때문에 밀폐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부담없이 뜸을 뜰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직접구와 간접구에 수반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쑥을 태워 연기를 응축시켜 고를 만들어 병처, 통증부위 뜸 뜰 자리에 도포하고 세라믹히터로 환자 조건에 맞는 온도로 35~50cm 간격 거리에 조사시켜 쑥의 유용 성분과 세라믹 히터의 근적외선이 피부를 통해 골수까지 들어가 사정권에 들어온 병이 그대로 낮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쑥뜸용 고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더욱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통상의 밸브 및 배관은 임의로 생략하나, 이러한 밸브 및 배관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전문가 수준에서 볼 때 자명한 것으로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구성하는 통상의 장치의 일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포함될 수 있는 것들이다.
본 발명은 연소실에서 태운 연기를 흡수하면서 응축고를 얻는 방법을 제공하며, 연소실에서 태운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고는 쑥 성분 그대로 100% 성분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식, 예를 들면 쑥을 끓여 고를 얻고 보면 끓이는 동안 쑥의 약성이 증발되어 날라간 찌꺼기는 약효가 미미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쑥뜸용 고의 제조를 위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사진 사시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좌, 우 사진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응축실의 내부 사진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응축실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외기유입구의 배치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가습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방진 부재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쑥 뜸용 고의 제조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처리 단계, 건조 단계, 추말(분쇄) 단계, 연소 단계, 응축 단계, 회수 단계, 첨가제 배합 단계 및 포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전처리 단계
전처리 단계에서는 쑥을 선별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써, 입수한 쑥 재료는 친환경 무농약으로 재배한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쑥을 세척하면 쑥의 유효 성분이 빠져 나갈 우려가 있으므로 세척은 가급적 생략할 필요가 있다.
(b) 건조 단계
그 다음, 건조 단계에서는 쑥을 자연 건조시키거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다.
자연 건조의 경우, 예를 들면, 쑥을 바람이 잘 통하는 실내에서 1~2cm의 두께로 넓게 펴서 선반 또는 그물 위에 놓고 실온에서 12 ~ 30 시간 동안 간헐적으로 뒤집어 주면서 수분이 골고루 증발되게 건조하여 재료가 적절하게 산화되는 상태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직사광선하에서 건조할 때의 건조시간은 일조량에 따라 0.2 ~ 1 시간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1 시간 또는 그 이상 건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건조 단계에서 재료의 함수량이 50~65%(w/w)로 되게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c) 추말 단계
건조된 쑥을 일정 크기의 입도(예, 10~50 메쉬)로 추말(분쇄)한다.
(d) 연소 단계
추말된 쑥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소 장치(100)의 쑥 연소실(110)에 꼭 차게 넣고 연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연소 장치(100)는 상부의 연소실(110), 상기 연소실(110)의 하부에 위치한 쑥박스 필터(120), 상기 쑥박스 필터(120)의 하부에 위치한 쑥 연기 정화실(130), 상기 쑥 연기 정화실(130)의 하부에 위치한 쑥연기 정화실 박스(140)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소실(110)은 별도의 점화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건조된 쑥을 점화시킬 수 있고, 상부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통로에 댐퍼(111-1)를 설치하며, 산소공급부(111)가 구비되어 쑥의 연소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점화장치를 가동하면 쑥의 표면이 타면서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연소실(110)에서 많은 쑥을 넣기 때문에 안타고 불이 꺼질 수도 있어 댐퍼(111-1)와 산소 공급부(111)의 회로 구성으로 완전 연소시켜 고순도 응축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실(110)은 측면에 손잡이, 개폐 도어(미도시)와 하부에 쑥을 태우고 난 후의 재를 회수하는 2중 받침대(쑥 박스필터(120)와 쑥 정화필터(121))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연소실(110)의 내부 청소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쑥박스필터(120)는 상기 연소실(110)의 하부에 연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위치하여 쑥을 태우고 난 고형물은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쑥 연기 정화실(130)의 상부 측면에는 가이드관(150)이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관(150)의 내부에는 캔버스(151)가 구비된다. 또한, 공기 정화실(130)의 상부 경사판에는 미세그물망인 연기가이드판(131)이 경사지게 구비되어 연기만 통과하게 하고, 미세한 재를 포함하는 불순물은 자유 낙하하면서 물에 침전되어 배수된다.
쑥박스필터(120)를 통과한 연기는 쑥 연기 정화실(130)의 상부 측면에 배치된 가이드관(150)의 내부에 설치된 캔버스(151)를 통과하여 응축실(200)로 이동된다.
한편 쑥 연기정화실(130)의 하부에는 쑥연기 정화실 박스(140)가 설치되고 쑥연기 정화실 박스(140)의 상부에는 외부의 물 공급관(141)이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물을 드레인 박스(140)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박스(120)를 통과한 재를 포함한 불순물은 자유 낙하하여 물 공급관(141)에 의해 공급되는 물에 침전되어 쑥연기 정화실 박스(140)의 배수공(14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e)(f) 응축 및 회수 단계
연소된 쑥의 연기는 캔버스(151)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 배관(150)을 통하여 응축 장치(200) 내로 유입된다.
상기 (e) 응축 단계는 생성된 연기가 응축 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된 응축 플레이트들(211, 212)이 구비된 응축 수단에 의해 고 상태로 응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응축 장치(20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 구비된 투시창(220),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된 온도계(230)와 온도자동센서(231), 불응축가스 배출 하부에 구비된 습도센서(241),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반복 규칙적으로 배치된 응축 플레이트(211, 212),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 하부 양면에 부착된 바이브레이터(250),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응축고 회수구(260),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에 복수개 부착된 방진 스프링(295), 상기 하우징(210)의 후단에 연통되게 설치된 불응축 가스관(270), 상기 불응축 가스관(270)의 유출구측 내부에 차례대로 설치된 댐퍼(280) 및 블로워(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10)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은 상기 쑥 연기 정화실(130)의 상부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관(150)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일정 각도(예, 25ㅀ가 가장 바람직함)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응축고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는 2개 이상의 격벽으로 구획된다.
상기 투시창(220)은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기의 순환 상태 및 응축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응축실(200)의 하부 측면 및 바닥에는 지지프레임(SF)이 구비되어 응축실(200)을 지지한다.
상기 온도계(230)는 상기 응축실(200)의 상단 중앙에 구비하고, 온도자동센서(231)는 응축실(200) 중앙 상단에 위치하며,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 등(231, 241)을 포함하여 구비한 것은 연기의 응축 상태에 따라 제어반(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도와 습도를 승하강시켜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쑥 연기는 응축실 진입과 동시 가습 수증기와 쑥 연기가 혼합되어 응축 과정을 겪게 된다.
수증기식 가습기(16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 장치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고, 독립 하우징 내에 히터(H)가 2개 이상 내장되고, 습도계(M) 및 온도계(T)가 상부에 구비되고, 좌측 상부에는 물 유입구(WI)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배수공(D)가 구비되며, 좌측 하부에는 온도 센서(TS)가 구비되는 일반적인 구조로서, 제어반(300)에 의하거나 별도의 작동 수단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발생된 수분을 수증기의 형태로 습도 센서(241)에 공급되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조건에 따라 쑥 연기와 가습 수증기가 혼합되고, 응축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자동센서(231), 습도 센서(241) 및 외기 유입구(245)를 통한 외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외기 유입구(245)를 구성하는 장치는 히터(247), 블로워(248), 및 댐퍼(249)로 구성되고, 장치의 온도가 너무 냉각 상태로 되면 히터에 열을 가하여 조절함으로써 항온 항습 회로 구성을 완벽하게 이루어 놓았다.
상기 하우징(210)의 연기 유입구측 저면에는 외기 유입구(245)가 구비되어 응축 장치(2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연기가 응축이 잘되도록 한다.
상기 응축 플레이트(211, 212)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반복 규칙적으로 배치되고, 중심 격벽을 기준으로 한 플레이트(211)는 측면에 부착되고, 다른 플레이트(212)는 중심 격벽에 반복적으로 부착되고, 단부는 연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쑥 연기 정화실(130)의 가이드관(150)을 통과한 연기가 상기 응축 플레이트(211, 212)의 단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응축 과정이 진행되게 된다.
상기 응축 플레이트(211, 212)의 재질은 SUS 스테인레스 304가 바람직 할 수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250)는 상기 하우징(210)의 양 측면에 하나 이상(4개) 부착되어 응축된 고가 좀 더 용이하게 응축고 회수구(260)로 흘러가게 한다.
상기 응축고 회수구(260)는 상기 하우징(210)의 양측면에 하나 이상 마련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250)의 작동에 의한 진동에 의해 응축고가 잘 흐르도록 이송한다. 도면부호 246은 응축고의 회수 유로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서 응축실의 저면은 격벽 사이에 응축고의 경사 회수를 위하여 일정 형태롤 통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방진 스프링(295)은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에 복수개(6개 이상) 부착되어 바이브레이터(250)의 진동을 지면에서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의 후단에는 불응축 가스관(270)이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데 설치 높이는 저면 보다는 약간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응축 가스관(270)의 유출구측 내부에는 차례대로 댐퍼(280) 및 블로워(290)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응축되지 않은 불응축 가스의 일부는 외부 공기와 혼합하여 재공급되거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제어반(300)은 콘트롤 기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및 기능을 제어한다. 물론, 온도 자동 센서(231) 및 습도 센서(241)를 제어하고, 공기 공급 및 흡입량을 조절하며, 캔버스(151)는 응축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이 연소실로 전달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점화장치, 산소공급부(111), 공기댐퍼(111-1), 바이브레이터(250), 외기 유입구(245)의 공기량, 댐퍼(280) 및 블로워(29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반(300)은 입력부 및 표시부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기입력한 설정된 정보 즉, 온도 및 작동 시간, 공기 공급량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저장된 설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추출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의 장치를 이용한 쑥 연기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자면, 먼저 제어반(300)을 통하여 필요한 추출 정보들을 입력한 후 공기댐퍼(111-1)를 열고 추말된 쑥을 투입하여 공기댐퍼(111-1)를 밀폐한 다음 연소 과정을 개시하고, 산소공급수단(111)을 통하여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한다. 가습이 시작되면서 쑥 연기와 가습 수증기가 혼합되면서 응축 플레이트(211, 212)를 순환하면서 좁은 벽에 부딪혀 응축된다. 응축된 쑥 연기와 습기가 너무 묽으면 가습을 조절해 응축 플레이트를 통해 흘러 내려가면서 바이브레이터(250)의 진동은 쑥 연기가 플레이트에서 강한 충격과 충돌로 응축이 잘되도록 도움을 주며, 회수구(260)에서는 응축고가 잘 회수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흘러서 회수되도록 한다.
또한, 추가로 필요 의약을 군신좌사의 비율로 첨가하여 쑥과 같이 태워 고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쑥은 군(君)에 해당되고, 병증 처방에 따라 군신좌사(10:7:5:3)의 중량비율로 처방에 고를 생산할 수 있다. 필요의약 중에서 유향, 몰약, 제피나무, 봉선화씨, 옻껍질은 신에 속하고, 천오초오, 부자는 좌에 속하고, 향신료, 박하상 등은 사에 속한다.
회수 작업이 끝나면 내부를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여 물세척한다.
(g) 첨가제 배합 단계
회수된 쑥뜸용 고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고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쑥뜸용 고를 상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첨가제와 배합하여 보관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쑥고를 군으로 한 배합비율은 군신좌사:10:7:5:3의 중량비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제로써는 참기름은 신이고, 글리세린는 좌이며, 바세린, 페트롤리움 젤리, 프로폴리스, 로얄제리 등은 사이다. 이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쑥 고를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병증 처방에 따라 군신좌사(10:7:5:3)의 중량비율로 처방에 배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첨가제는 소주를 포함하는 주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쑥고와 주류의 혼합비는 1:50의 중량비 내에서 선택하여 혼합한 후 음용하여 복용할 수 있다.
(h) 포장 단계
이와 같이 얻어진 쑥뜸용 고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일정 단위로 포장한다. 또한, 제품은 알루미늄 팩 또는 나이론 합지, 피이합지 팩 또는 PET 수지 용기에 일정량 넣고 실리카겔을 넣고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순도 높은 고급의 쑥뜸용 고를 얻을 수 있는 조건의 찾아낸 본 발명은 순도 높은 고급의 쑥뜸용 고를 환처에 바르고 바이오 세라믹의 근원적외선을 조사시켜 골수까지 순도 높은 쑥 고를 피부를 통하여 침투시켜 무수히도 많은 모세혈관 막힌 것도 뚫어 주면서 해당 세포에 필요한 영양 및 임파 면역력을 공급함으로써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쑥뜸용 고는 독성은 불응축 가스로 증발되고 순한 약성만 남아 부작용이 없으며 바이오세라믹 근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가장 이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쑥뜸용 고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공정을 나타내었으나 쑥과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한 다른 성분은 한약재에 국한되지 않고 이용가능한 모든 식물을 포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쑥 뜸용 고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효 성분을 적절하게 함유함과 동시에 연기 등의 발생 우려가 없어서 친환경적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쑥뜸용 고는 통증 부위의 피부에 패치 형태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고를 붙인 자리에 원적외선을 가하거나 열을 가하여 치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쑥뜸용 고의 제조
전처리된 쑥을 건조시킨 후, 20 메쉬의 크기로 추말한 다음 도 2에 나타낸 바의 연소 및 응축 장치를 이용하여 쑥뜸용 고를 대량 생산하였다.
시험예 1: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고에 대한 관능검사는 관능적 식별 능력이 있는 관능검사요원 30명을 선정하여 쑥뜸 고를 2회 도포(얼굴 팩, 머리 정수리, 신체 장기의 모세혈관 등)한 후 품질의 평가 척도는 7점 척도법(7점: 아주 좋다, 6점: 좋다. 5점: 조금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조금 나쁘다, 2점: 나쁘다, 1점: 아주 나쁘다)으로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으로는 혈액순환장애 및 신경쇠약의 개선의 2가지 관능항목으로 평가하였으며, 결과는 ANOVA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평균값ㅁ표준편차)에 나타내었다. 비교 제품으로는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항목 | 실시예 1 | 비교예 |
혈액순환장애의 개선 | 6.31ㅁ0.35 | 4.20ㅁ1.06 |
신경쇠약의 개선 | 6.05ㅁ0.06 | 4.06ㅁ0.36 |
전체적인 기호도 | 6.21ㅁ0.72 | 4.13ㅁ0.75 |
그 결과 실시예 1의 제품은 혈액순환 장애의 개선에 있어서 현저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임상예 1: 음용 및 약침주사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고를 소주(1:10 중량비)와 혼합하여 음용으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내장에서 쑥뜸고의 효과를 보았고, 약침주사로 피부에 침투시켜 쑥고의 효과를 보았다.
임상예 2: 무릅이 아파 지하철 계단을 못다니는 환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뜸을 직접구로 뜸을 뜨면서 근적외선 히터를 조사하여 본 결과 무릅의 통증 증상이 사라졌다.
임상예 3: 당뇨가 심해 왼쪽 새끼 발가락이 썩어 냄새가 날 정도이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뜸을 직접구로 뜸을 뜨면서 근적외선 히터를 조사하여 본 결과 새살이 돗아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연소 장치
110: 연소실
120: 쑥 박스 필터
130: 쑥 연기 정화실
140: 쑥 연기 정화실 박스
200: 응축 장치
210: 하우징
211, 212: 응축 플레이트
220: 투시창
230: 온도계
231: 온도자동센서
241: 습도센서
250: 바이브레이터
260: 응축고 회수구
270: 불응축 가스관
280: 댐퍼
290: 블로워
295: 방진 스프링
110: 연소실
120: 쑥 박스 필터
130: 쑥 연기 정화실
140: 쑥 연기 정화실 박스
200: 응축 장치
210: 하우징
211, 212: 응축 플레이트
220: 투시창
230: 온도계
231: 온도자동센서
241: 습도센서
250: 바이브레이터
260: 응축고 회수구
270: 불응축 가스관
280: 댐퍼
290: 블로워
295: 방진 스프링
Claims (8)
- (a) 쑥을 전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b) 전처리된 쑥을 건조시키는 단계;
(c) 건조된 쑥을 추말하는 단계;
(d) 추출된 쑥을 연소실에 넣고 연소시키는 단계;
(e) 연소과정에 의해 생성된 연기를 응축시키는 단계;
(f) 응축된 고를 회수하는 단계;
(g) 회수된 응축고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단계; 및
(h) 배합된 응축고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응축 단계는 연소 장치(100)와 응축 장치(200)로 이루어진 연소 및 응축 장치에서 생성된 연기가 응축 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된 응축 플레이트들이 구비된 응축 수단에 의해 고 상태로 응축되고,
상기 연소 장치(100)는 상부의 연소실(110), 상기 연소실(110)의 하부에 위치한 쑥 박스 필터(120), 상기 쑥 박스 필터(120)의 하부에 위치한 쑥 연기 정화실(130), 상기 쑥 연기 정화실(130)의 하부에 위치한 쑥 연기 정화실 박스(140)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응축 장치(20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 구비된 투시창(220),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구비된 온도계(230), 온도자동센서(231) 및 습도센서(241),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반복 규칙적으로 배치된 응축 플레이트(211, 212),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바이브레이터(250),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응축고 회수구(260),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에 복수개 부착된 방진 스프링(295), 상기 하우징(210)의 후단에 연통되게 설치된 불응축 가스관(270), 및 상기 불응축 가스관(270)의 유출구측 내부에 차례대로 설치된 댐퍼(280) 및 블로워(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10)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용 고의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 및 응축 장치는 온도자동센서(231), 습도센서(241), 캔버스(151), 점화장치, 공기댐퍼(111-1), 산소공급(111), 바이브레이터(250), 외기 유입구(245)는 전기히터, 블러워, 댐퍼를 통해 공기량이 공급되고, 댐퍼(280) 및 블로워(290)의 작동을 포함한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및 기능이 제어반(3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용 고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쑥은 산소 공급 비율에 의해 연소되고, 쑥 연기는 블로워의 작동에 이송되며,
응축 고는 바이브레이션 진동에 의해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용 고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바세린, 페트롤리움 젤리, 프로폴리스, 로얄제리,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쑥 고를 기준으로 군신좌사(10:7:5:3)의 중량비로 첨가제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용 고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소주와 혼합하여 음용하여 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용 고의 제조 방법. -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용 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4370A KR102325985B1 (ko) | 2021-02-01 | 2021-02-01 |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4370A KR102325985B1 (ko) | 2021-02-01 | 2021-02-01 |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5985B1 true KR102325985B1 (ko) | 2021-11-12 |
Family
ID=7849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4370A KR102325985B1 (ko) | 2021-02-01 | 2021-02-01 |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598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1544A (ko) * | 2021-04-13 | 2022-10-20 | 윤화순 |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6768A (ko) * | 2000-03-28 | 2000-07-05 | 신윤호 | 뜸과 부황을 겸한 소염진통기와 뜸용 액기스 훈연 추출장치 |
KR100353613B1 (ko) | 2000-08-11 | 2002-09-27 | 이성철 | 쑥뜸기구, 그 제조방법 및 조성물 |
KR20050008234A (ko) * | 2003-07-14 | 2005-01-21 | 고운맘 |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 |
KR20050008235A (ko) * | 2003-07-14 | 2005-01-21 | 고운맘 |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음료수 첨가제 |
KR100524149B1 (ko) | 2002-08-20 | 2005-10-26 | 김진섭 | 뜸 효과를 가지는 쑥뜸 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제제 |
KR20110115779A (ko) * | 2010-04-16 | 2011-10-24 | 김종빈 | 쑥봉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봉 및 쑥뜸구 |
KR20160134974A (ko) * | 2015-05-14 | 2016-11-24 | 강태영 | 담배연기 정화 배출장치 |
KR102069447B1 (ko) | 2018-09-14 | 2020-01-22 | 김향숙 | 강화된 결합력에 의해 분할과 성형이 용이한 기능성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
-
2021
- 2021-02-01 KR KR1020210014370A patent/KR1023259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6768A (ko) * | 2000-03-28 | 2000-07-05 | 신윤호 | 뜸과 부황을 겸한 소염진통기와 뜸용 액기스 훈연 추출장치 |
KR100353613B1 (ko) | 2000-08-11 | 2002-09-27 | 이성철 | 쑥뜸기구, 그 제조방법 및 조성물 |
KR100524149B1 (ko) | 2002-08-20 | 2005-10-26 | 김진섭 | 뜸 효과를 가지는 쑥뜸 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제제 |
KR20050008234A (ko) * | 2003-07-14 | 2005-01-21 | 고운맘 |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술 첨가제 |
KR20050008235A (ko) * | 2003-07-14 | 2005-01-21 | 고운맘 |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음료수 첨가제 |
KR20110115779A (ko) * | 2010-04-16 | 2011-10-24 | 김종빈 | 쑥봉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봉 및 쑥뜸구 |
KR20160134974A (ko) * | 2015-05-14 | 2016-11-24 | 강태영 | 담배연기 정화 배출장치 |
KR102069447B1 (ko) | 2018-09-14 | 2020-01-22 | 김향숙 | 강화된 결합력에 의해 분할과 성형이 용이한 기능성 무연 쑥뜸의 제조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1544A (ko) * | 2021-04-13 | 2022-10-20 | 윤화순 |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2556188B1 (ko) | 2021-04-13 | 2023-07-19 | 윤화순 |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85506B2 (ja) | 漢方温灸剤 | |
CN104623710B (zh) | 一种藏香及其制备方法 | |
CN107951696A (zh) | 多功能熏蒸理疗床 | |
KR102325985B1 (ko) |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 | |
CN104305788A (zh) | 一种野菊花安神茶保健药枕及其制备方法 | |
CN108309757A (zh) | 可转换按摩方式的充气式熏蒸床 | |
CN107789186A (zh) | 具有药物熏蒸功能的节水型多功能保健仪 | |
CN106822316A (zh) | 一种活血通经无烟艾灸条及其制备方法 | |
CN106177754A (zh) | 一种预防、治疗母猪和奶牛乳房炎的组合物 | |
CN108392396A (zh) | 全方位熏蒸按摩理疗床 | |
KR101398057B1 (ko) |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 |
KR102556188B1 (ko) |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 |
CN113998925A (zh) | 一种液体涂料及其制备方法 | |
CN104560563A (zh) | 一种银杏保健酒 | |
CN209033155U (zh) | 一种除烟艾灸仪 | |
CN104887736A (zh) | 一种中药材的脱硫方法 | |
KR101387047B1 (ko) |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 |
CN204951571U (zh) | 一种儿科感冒康复用的熏疗装置 | |
KR200300135Y1 (ko) | 자연발효를 이용한 찜질방의 구조 | |
CN110368455A (zh) | 一种药酒配制方法 | |
CN206730133U (zh) | 一种艾灸熏蒸舱 | |
CN104666435B (zh) | 一种祛风补肾酒及其制备方法 | |
KR20060128253A (ko) | 쑥뜸제조방법 | |
KR100426583B1 (ko) |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690075B1 (ko) | 죽염 또는 송염을 이용한 뜸용 쑥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