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544A -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544A
KR20220141544A KR1020210047788A KR20210047788A KR20220141544A KR 20220141544 A KR20220141544 A KR 20220141544A KR 1020210047788 A KR1020210047788 A KR 1020210047788A KR 20210047788 A KR20210047788 A KR 20210047788A KR 20220141544 A KR20220141544 A KR 20220141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layer
weight
active ingredien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188B1 (ko
Inventor
윤화순
윤재용
Original Assignee
윤화순
윤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화순, 윤재용 filed Critical 윤화순
Priority to KR102021004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1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241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hot packs, hot compresses, cooling pads, e.g. heaters or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1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resistor,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8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ays of manufacturing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6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organic solids or fibres
    • A61F2007/0207Plants, dried plants, seeds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 A61F2007/026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made of a substance with therapeutic action, e.g. copper or sil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Abstract

본 발명은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패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쑥의 유효 성분 함량이 높고, 추출시 연기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쑥 진액 고 패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쑥 진액 고의 제조시 발생하는 연기를 100% 고로 응축시킨 쑥의 유효 성분을 100% 그대로 응축시켜 패치로 제조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패치 및 그의 제조 방법{Moxa cautery concentrate cake patch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패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쑥의 유효 성분 함량이 높고, 추출시 연기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쑥 진액 고 패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을 통한 치료는 피부의 특정 부위에 쑥 등의 약초를 놓고 태움으로서 신체의 이상을 바로잡는 한방치료요법으로 쑥의 연소를 통하여 온열적 자극을 생체에 미치게 하여 일정한 생체반응을 일으켜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뜸치료는 피부에 직접 쑥뜸을 놓고 태워 작은 화상을 일으키게 하는 방법이 주로 시술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시술후 화상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쑥뜸의 종류로는 직접구와 간접구가 있으며, 직접구는 피부에 쑥을 직접 붙여 놓고 태워서 뜸뜨는 방법으로 화상이 있고 상처 아무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연기가 나서 밀집 공간에서는 곤란하다. 간접구는 쑥뜸용 기구에 쑥모형을 놓고 쑥을 태워 쑥 연기 일부는 피부쪽으로 내려와 피부에 도포가 되면서 쑥이 타는 열이 피부쪽으로 전달되면서 뜸뜨는 것이고 연기가 많이 나고 냄새 역시 심하여 밀집 공간에서 뜸뜨기 곤란하며 뜸뜨는 시간이 짧고 능률이 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그 효능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며, 특히 뜸 조성물의 배합에 따라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에 상처를 경감시키거나 주변에 연기를 발생하지 않는 쑥 진액고 제품이나 이를 이용한 치료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번호 제10-0353613호(2002년09월09일) 한국 등록번호 제10-1353478호(2014년01월14일) 한국 등록번호 제10-1834794호(2018년02월27일)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아울러 쑥진액 고의 치료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은 추출기를 이용하여 얻은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패치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포함하는 쑥 진액 고 패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의 불투과성 지지체층(10);
상기 지지체층(10) 하부에 위치하는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써 포함하는 약물 전달층(20);
상기 약물 전달층(20)의 하부에 위치하고 피부에 접촉하는 방출 조절형 접착제층(30) 및
상기 접착제층(30)의 이면에 부착되고 사용시 박리하는 이형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약물 전달층(20)은 쑥 진액 고 20~40 중량부, 매트릭스 형성을 위한 수용성 고분자 용매 50~60 중량부, 및 피부투과 촉진제 2~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진액 고 패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쑥 진액 고의 제조시 발생하는 연기를 100% 고로 응축시킨 쑥의 유효 성분을 100% 그대로 응축시켜 패치로 제조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쑥 진액 고 패치의 층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쑥 진액 고의 제조를 위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사진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좌, 우 사진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응축실의 내부 사진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응축실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외기유입구의 배치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가습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방진 부재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상부의 불투과성 지지체층(10);
상기 지지체층(10) 하부에 위치하는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써 포함하는 약물 전달층(20);
상기 약물 전달층(20)의 하부에 위치하고 피부에 접촉하는 방출 조절형 접착제층(30) 및
상기 접착제층(30)의 이면에 부착되고 사용시 박리하는 이형층(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약물 전달층(120)은 쑥 진액 고 20~40 중량부, 매트릭스 형성을 위한 수용성 고분자 용매 50~60 중량부, 및 피부투과 촉진제 2~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진액 고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쑥 진액 고는
(a) 쑥을 전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b) 전처리된 쑥을 건조시키는 단계;
(c) 건조된 쑥을 추말하는 단계;
(d) 추출된 쑥을 연소실에 넣고 연소시키는 단계;
(e) 연소과정에 의해 생성된 연기를 응축시키는 단계;
(f) 응축된 고를 회수하는 단계;
(g) 회수된 응축고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단계; 및
(h) 배합된 응축고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 고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진액 고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쑥을 태운 연기를 응축시켜 고로 만들어 환처, 병증, 통증 부위에 바르고 근적외선 바이오세라믹 히터에 일정 열로 가열하면서 쑥의 성분과 근적외선의 열로 쑥 고 도포부위에 조사하면 골수까지 밀고 들어가면서 근육혈관을 확장시켜 병처 세포가 필요한 영양 면역력 임파액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조건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많은 시간 자유 자재로 뜸을 할 수 있으며 무연 뜸이기 때문에 밀폐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부담없이 뜸을 뜰 수 있고, 이러한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추가의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쑥 진액고 패치는 먼저 쑥 진액고를 포함하는 유효 성분을 매트릭스 형성을 위한 수용성 고분자 용매 및 피부투과 촉진제와 혼합하여 약물 전달층(20)을 형성한 후 이를 지지체(10) 상에 도포하고, 40~80℃에서 건조하여 유효성분 담지층을 형성한 다음 접착제층(30)과 이형층(40)을 합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진액 고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층(10)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출조절형 접착제층(30)은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공중합체 80~95 중량부, 수용성 고분자 1~10 중량부, 및 피부투과 촉진제 2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형층(40)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쑥 진액 고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직접구와 간접구에 수반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쑥을 태워 연기를 응축시켜 고를 만들어 병처, 통증부위 뜸 뜰 자리에 도포하고 세라믹히터로 환자 조건에 맞는 온도로 35~50cm 간격 거리에 조사시켜 쑥의 유용 성분과 세라믹 히터의 근적외선이 피부를 통해 골수까지 들어가 사정권에 들어온 병이 그대로 낮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응축 고를 진액의 유효 성분으로 이용하여 패치를 제조하여 본 결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쑥 진액 고 패치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더욱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통상의 밸브 및 배관은 임의로 생략하나, 이러한 밸브 및 배관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전문가 수준에서 볼 때 자명한 것으로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구성하는 통상의 장치의 일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포함될 수 있는 것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쑥 진액 고 패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의 불투과성 지지체층(10); 상기 지지체층(10) 하부에 위치하는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써 포함하는 약물 전달층(20); 상기 약물 전달층(20)의 하부에 위치하고 피부에 접촉하는 방출 조절형 접착제층(30) 및 상기 접착제층(30)의 이면에 부착되고 사용시 박리하는 이형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쑥 진액고 패치는 먼저 쑥 진액고를 포함하는 유효 성분을 매트릭스 형성을 위한 수용성 고분자 용매 및 피부투과 촉진제와 혼합하여 약물 전달층(20)을 형성한 후 이를 지지체(10) 상에 도포하고, 40~80℃에서 건조하여 유효성분 담지층을 형성한 다음 접착제층(30)과 이형층(40)을 합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층(10)은 약물이 투과되지 아니하며 투습성과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예컨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물 전달층(20) 및 방출 조절형 접착제층(30)은 합하여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약물 전달층(20)은 쑥 진액 고 20~40 중량부, 매트릭스 형성을 위한 수용성 고분자 용매 50~60 중량부, 및 피부투과 촉진제 2~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인 쑥 진액 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 형성을 위한 고분자 용매는 상기 유효성분 담지층의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옥산,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렌,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매트릭스 형성을 위한 고분자 용매는 유효성분 담지층 용액 전체 중량에서 50 내지 6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초과하는 경우 유효성분 투과가 잘 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만인 경우 충분한 담지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피부투과 촉진제는 유효성분이 이행되는 투과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N-cyclohexyl-2-pyrrolidone), 1-부틸-3-도데실-2-피롤리돈(1-butyl-3-dodecyl-2-pyrrolidone), 1,5-디메틸-2-피롤리돈(1,5-dimethyl-2-pyrrolidone), 1-에틸-2-피롤리돈(1-ethyl-2-pyrrolidone), 1-헥실-4-메틸옥시카르보닐-2-피롤리돈(1-hexyl4-methyloxycarbonyl-2-pyrrolidone), 1-헥실-2-피롤리돈(1-hexyl-2-pyrrolidone),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돈(1-(2-hydroxyethyl)pyrrolidone), 3-하이드록시-N-메틸-2-피롤리돈(3-hydroxy-N-methyl-2-pyrrolidone),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카프릴릴-2-피롤리돈(N-carprylyl-2-pyrrolidone), 글리세롤 라우릴알코올(glycerol lauryl alcohol), 올레일알코올(oleylalcohol), 이소프로필 미리스트레이트(isopropyl myristrate),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프로필렌 모노라우레이트(propylene monolaurate), 프로필렌 모노올레이트(propylene mono-oleate), 올레일 마크로골 글리세라이드(oleyl macrogolglyceride), 올레인산(oleic acid), 라우로일 마크로고 글리세라이드(lauroyl macrogoglyceride), 리놀레오일 마크로고 글리세라이드(linoleoyl macrogoglyceride), 프로필렌글리콜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Propylene glycol caprylate/caprate),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mono-oleate),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glycerol monolaurate), 프로필렌 글릴콜 모노라우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laurate),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monocaprylate),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라우릴 락테이트(lauryl lactate),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옥수수유 PEG-8 에스터, 옥수수유 PEG-6 에스터, 트리아세틴, 지방산 알코올,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n,n-디에틸-m-톨루아미드, 미리스틴산, N-메틸-2-피롤리돈 및 시네올 중에서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로 투과 촉진제로도 사용할 수 있는 용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적합한 용제로는 약물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고, 또한 끓는 점이 높아 코팅 후 건조시 잘 휘발되지 않는 디에틸톨루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부투과 촉진제는 피부 부작용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효성분 담지층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출조절형 접착제층(30)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공중합체 80~95 중량부, 수용성 고분자 1~10 중량부, 및 피부투과 촉진제 2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출조절 접착층(30)은 점착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로서 관능기가 없거나 -COOH, -OH 또는 -NH2의 관능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공중합체로서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N-비닐-2피롤리돈, 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t-옥틸 아크릴아마이드, 2-(디메틸 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점착제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의 함량은 방출조절 접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80~9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출조절 접착층(30)은 유효성분 담지층과 피부의 접촉을 긴밀하게 하면서도 과도한 땀의 방출로 인한 피부로 부터의 제제 이탈 방지 및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를 조절하기 위해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 폴리머(ethylcellulose polymers), 폴리비닐피돌리돈(PVP),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아크릴산(PAA), 하이드록실프로필셀룰로스(HPC), 풀루란, 젤라틴, 펙틴,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카라기난, 아라비아검,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겔란 검 및 아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방출조절 접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부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출조절 접착층(30)은 피부와 접촉하는 접착층의 표면적을 넓히고 공극형성을 통하여 피부에 유효성분이 잘 전달되도록 광물 코팅된 마이크로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마이크로입자 크기는 1㎛ 내지 10㎛ 직경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이크로 입자의 함량은 방출조절 접착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층(40)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층(10)과 이형층(40)의 두께는 각각 40 ∼ 300 ㎛, 10 ∼ 40 ㎛가 적당하다. 각각의 층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굴곡부위의 피부에 적용시 적절한 유연성을 잃어 점착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쑥 진액 고는
(a) 쑥을 전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b) 전처리된 쑥을 건조시키는 단계;
(c) 건조된 쑥을 추말하는 단계;
(d) 추출된 쑥을 연소실에 넣고 연소시키는 단계;
(e) 연소과정에 의해 생성된 연기를 응축시키는 단계;
(f) 응축된 고를 회수하는 단계;
(g) 회수된 응축고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단계; 및
(h) 배합된 응축고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 고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소실에서 태운 연기를 흡수하면서 응축고를 얻는 방법을 제공하며, 연소실에서 태운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고는 쑥 성분 그대로 100% 성분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식, 예를 들면 쑥을 끓여 고를 얻고 보면 끓이는 동안 쑥의 약성이 증발되어 날라간 찌꺼기는 약효가 미미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쑥 진액 고의 제조를 위한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사진 사시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좌, 우 사진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응축실의 내부 사진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응축실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외기유입구의 배치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가습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장치의 방진 부재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쑥 진액 고의 제조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처리 단계, 건조 단계, 추말(분쇄) 단계, 연소 단계, 응축 단계, 회수 단계, 첨가제 배합 단계 및 포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전처리 단계
전처리 단계에서는 쑥을 선별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써, 입수한 쑥 재료는 친환경 무농약으로 재배한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쑥을 세척하면 쑥의 유효 성분이 빠져 나갈 우려가 있으므로 세척은 가급적 생략할 필요가 있다.
(b) 건조 단계
그 다음, 건조 단계에서는 쑥을 자연 건조시키거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다.
자연 건조의 경우, 예를 들면, 쑥을 바람이 잘 통하는 실내에서 1~2cm의 두께로 넓게 펴서 선반 또는 그물 위에 놓고 실온에서 12 ~ 30 시간 동안 간헐적으로 뒤집어 주면서 수분이 골고루 증발되게 건조하여 재료가 적절하게 산화되는 상태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직사광선하에서 건조할 때의 건조시간은 일조량에 따라 0.2 ~ 1 시간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1 시간 또는 그 이상 건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건조 단계에서 재료의 함수량이 50~65%(w/w)로 되게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c) 추말 단계
건조된 쑥을 일정 크기의 입도(예, 10~50 메쉬)로 추말(분쇄)한다.
(d) 연소 단계
추말된 쑥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소 장치(100)의 쑥 연소실(110)에 꼭 차게 넣고 연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연소 장치(100)는 상부의 연소실(110), 상기 연소실(110)의 하부에 위치한 쑥박스 필터(120), 상기 쑥박스 필터(120)의 하부에 위치한 쑥 연기 정화실(130), 상기 쑥 연기 정화실(130)의 하부에 위치한 쑥연기 정화실 박스(140)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소실(110)은 별도의 점화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건조된 쑥을 점화시킬 수 있고, 상부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통로에 댐퍼(111-1)를 설치하며, 산소공급부(111)가 구비되어 쑥의 연소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점화장치를 가동하면 쑥의 표면이 타면서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연소실(110)에서 많은 쑥을 넣기 때문에 안타고 불이 꺼질 수도 있어 댐퍼(111-1)와 산소 공급부(111)의 회로 구성으로 완전 연소시켜 고순도 응축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실(110)은 측면에 손잡이, 개폐 도어(미도시)와 하부에 쑥을 태우고 난 후의 재를 회수하는 2중 받침대(쑥 박스필터(120)와 쑥 정화필터(121))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연소실(110)의 내부 청소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쑥박스필터(120)는 상기 연소실(110)의 하부에 연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위치하여 쑥을 태우고 난 고형물은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쑥 연기 정화실(130)의 상부 측면에는 가이드관(150)이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관(150)의 내부에는 캔버스(151)가 구비된다. 또한, 공기 정화실(130)의 상부 경사판에는 미세그물망인 연기가이드판(131)이 경사지게 구비되어 연기만 통과하게 하고, 미세한 재를 포함하는 불순물은 자유 낙하하면서 물에 침전되어 배수된다.
쑥박스필터(120)를 통과한 연기는 쑥 연기 정화실(130)의 상부 측면에 배치된 가이드관(150)의 내부에 설치된 캔버스(151)를 통과하여 응축실(200)로 이동된다.
한편 쑥 연기정화실(130)의 하부에는 쑥연기 정화실 박스(140)가 설치되고 쑥연기 정화실 박스(140)의 상부에는 외부의 물 공급관(141)이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물을 드레인 박스(140)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박스(120)를 통과한 재를 포함한 불순물은 자유 낙하하여 물 공급관(141)에 의해 공급되는 물에 침전되어 쑥연기 정화실 박스(140)의 배수공(14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e)(f) 응축 및 회수 단계
연소된 쑥의 연기는 캔버스(151)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 배관(150)을 통하여 응축 장치(200) 내로 유입된다.
상기 (e) 응축 단계는 생성된 연기가 응축 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된 응축 플레이트들(211, 212)이 구비된 응축 수단에 의해 고 상태로 응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응축 장치(20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 구비된 투시창(220),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된 온도계(230)와 온도자동센서(231), 불응축가스 배출 하부에 구비된 습도센서(241),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반복 규칙적으로 배치된 응축 플레이트(211, 212),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 하부 양면에 부착된 바이브레이터(250),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응축고 회수구(260),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에 복수개 부착된 방진 스프링(295), 상기 하우징(210)의 후단에 연통되게 설치된 불응축 가스관(270), 상기 불응축 가스관(270)의 유출구측 내부에 차례대로 설치된 댐퍼(280) 및 블로워(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10)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은 상기 쑥 연기 정화실(130)의 상부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관(150)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일정 각도(예, 25ㅀ가 가장 바람직함)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응축고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는 2개 이상의 격벽으로 구획된다.
상기 투시창(220)은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기의 순환 상태 및 응축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응축실(200)의 하부 측면 및 바닥에는 지지프레임(SF)이 구비되어 응축실(200)을 지지한다.
상기 온도계(230)는 상기 응축실(200)의 상단 중앙에 구비하고, 온도자동센서(231)는 응축실(200) 중앙 상단에 위치하며,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 등(231, 241)을 포함하여 구비한 것은 연기의 응축 상태에 따라 제어반(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도와 습도를 승하강시켜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쑥 연기는 응축실 진입과 동시 가습 수증기와 쑥 연기가 혼합되어 응축 과정을 겪게 된다.
수증기식 가습기(16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 장치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고, 독립 하우징 내에 히터(H)가 2개 이상 내장되고, 습도계(M) 및 온도계(T)가 상부에 구비되고, 좌측 상부에는 물 유입구(WI)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배수공(D)가 구비되며, 좌측 하부에는 온도 센서(TS)가 구비되는 일반적인 구조로서, 제어반(300)에 의하거나 별도의 작동 수단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발생된 수분을 수증기의 형태로 습도 센서(241)에 공급되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조건에 따라 쑥 연기와 가습 수증기가 혼합되고, 응축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자동센서(231), 습도 센서(241) 및 외기 유입구(245)를 통한 외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외기 유입구(245)를 구성하는 장치는 히터(247), 블로워(248), 및 댐퍼(249)로 구성되고, 장치의 온도가 너무 냉각 상태로 되면 히터에 열을 가하여 조절함으로써 항온 항습 회로 구성을 완벽하게 이루어 놓았다.
상기 하우징(210)의 연기 유입구측 저면에는 외기 유입구(245)가 구비되어 응축 장치(2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연기가 응축이 잘되도록 한다.
상기 응축 플레이트(211, 212)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반복 규칙적으로 배치되고, 중심 격벽을 기준으로 한 플레이트(211)는 측면에 부착되고, 다른 플레이트(212)는 중심 격벽에 반복적으로 부착되고, 단부는 연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쑥 연기 정화실(130)의 가이드관(150)을 통과한 연기가 상기 응축 플레이트(211, 212)의 단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응축 과정이 진행되게 된다.
상기 응축 플레이트(211, 212)의 재질은 SUS 스테인레스 304가 바람직 할 수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250)는 상기 하우징(210)의 양 측면에 하나 이상(4개) 부착되어 응축된 고가 좀 더 용이하게 응축고 회수구(260)로 흘러가게 한다.
상기 응축고 회수구(260)는 상기 하우징(210)의 양측면에 하나 이상 마련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250)의 작동에 의한 진동에 의해 응축고가 잘 흐르도록 이송한다. 도면부호 246은 응축고의 회수 유로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서 응축실의 저면은 격벽 사이에 응축고의 경사 회수를 위하여 일정 형태롤 통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방진 스프링(295)은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에 복수개(6개 이상) 부착되어 바이브레이터(250)의 진동을 지면에서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의 후단에는 불응축 가스관(270)이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데 설치 높이는 저면 보다는 약간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응축 가스관(270)의 유출구측 내부에는 차례대로 댐퍼(280) 및 블로워(290)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응축되지 않은 불응축 가스의 일부는 외부 공기와 혼합하여 재공급되거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제어반(300)은 콘트롤 기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및 기능을 제어한다. 물론, 온도 자동 센서(231) 및 습도 센서(241)를 제어하고, 공기 공급 및 흡입량을 조절하며, 캔버스(151)는 응축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이 연소실로 전달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점화장치, 산소공급부(111), 공기댐퍼(111-1), 바이브레이터(250), 외기 유입구(245)의 공기량, 댐퍼(280) 및 블로워(29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반(300)은 입력부 및 표시부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기입력한 설정된 정보 즉, 온도 및 작동 시간, 공기 공급량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저장된 설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추출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의 장치를 이용한 쑥 연기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자면, 먼저 제어반(300)을 통하여 필요한 추출 정보들을 입력한 후 공기댐퍼(111-1)를 열고 추말된 쑥을 투입하여 공기댐퍼(111-1)를 밀폐한 다음 연소 과정을 개시하고, 산소공급수단(111)을 통하여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한다. 가습이 시작되면서 쑥 연기와 가습 수증기가 혼합되면서 응축 플레이트(211, 212)를 순환하면서 좁은 벽에 부딪혀 응축된다. 응축된 쑥 연기와 습기가 너무 묽으면 가습을 조절해 응축 플레이트를 통해 흘러 내려가면서 바이브레이터(250)의 진동은 쑥 연기가 플레이트에서 강한 충격과 충돌로 응축이 잘되도록 도움을 주며, 회수구(260)에서는 응축고가 잘 회수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흘러서 회수되도록 한다.
또한, 추가로 필요 의약을 군신좌사의 비율로 첨가하여 쑥과 같이 태워 고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쑥은 군(君)에 해당되고, 병증 처방에 따라 군신좌사(10:7:5:3)의 중량비율로 처방에 고를 생산할 수 있다. 필요의약 중에서 유향, 몰약, 제피나무, 봉선화씨, 옻껍질은 신에 속하고, 천오초오, 부자는 좌에 속하고, 향신료, 박하상 등은 사에 속한다.
회수 작업이 끝나면 내부를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여 물세척한다.
(g) 첨가제 배합 단계
회수된 쑥 진액 고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고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쑥 진액 고를 상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첨가제와 배합하여 보관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쑥고를 군으로 한 배합비율은 군신좌사:10:7:5:3의 중량비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제로써는 참기름은 신이고, 글리세린는 좌이며, 바세린, 페트롤리움 젤리, 프로폴리스, 로얄제리 등은 사이다. 이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쑥 고를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병증 처방에 따라 군신좌사(10:7:5:3)의 중량비율로 처방에 배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첨가제는 소주를 포함하는 주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쑥고와 주류의 혼합비는 1:50의 중량비 내에서 선택하여 혼합한 후 음용하여 복용할 수 있다.
(h) 포장 단계
이와 같이 얻어진 쑥 진액 고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일정 단위로 포장한다. 또한, 제품은 알루미늄 팩 또는 나이론 합지, 피이합지 팩 또는 PET 수지 용기에 일정량 넣고 실리카겔을 넣고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순도 높은 고급의 쑥 진액 고를 얻을 수 있는 조건의 찾아낸 본 발명은 순도 높은 고급의 쑥 진액 고를 환처에 바르고 바이오 세라믹의 근원적외선을 조사시켜 골수까지 순도 높은 쑥 고를 피부를 통하여 침투시켜 무수히도 많은 모세혈관 막힌 것도 뚫어 주면서 해당 세포에 필요한 영양 및 임파 면역력을 공급함으로써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쑥 진액 고는 독성은 불응축 가스로 증발되고 순한 약성만 남아 부작용이 없으며 바이오세라믹 근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가장 이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쑥 진액 고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공정을 나타내었으나 쑥과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한 다른 성분은 한약재에 국한되지 않고 이용가능한 모든 식물을 포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쑥 뜸용 고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효 성분을 적절하게 함유함과 동시에 연기 등의 발생 우려가 없어서 친환경적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쑥 진액 고는 통증 부위의 피부에 패치 형태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고를 붙인 자리에 원적외선을 가하거나 열을 가하여 치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쑥 진액 고의 제조
전처리된 쑥을 건조시킨 후, 20 메쉬의 크기로 추말한 다음 도 4에 나타낸 바의 연소 및 응축 장치를 이용하여 쑥 진액 고를 대량 생산하였다.
시험예 1: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쑥 진액 고에 대한 관능검사는 관능적 식별 능력이 있는 관능검사요원 30명을 선정하여 쑥뜸 고를 2회 도포(얼굴 팩, 머리 정수리, 신체 장기의 모세혈관 등)한 후 품질의 평가 척도는 7점 척도법(7점: 아주 좋다, 6점: 좋다. 5점: 조금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조금 나쁘다, 2점: 나쁘다, 1점: 아주 나쁘다)으로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으로는 혈액순환장애 및 신경쇠약의 개선의 2가지 관능항목으로 평가하였으며, 결과는 ANOVA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평균값±표준편차)에 나타내었다. 비교 제품으로는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혈액순환장애의 개선 6.31±0.35 4.20±1.06
신경쇠약의 개선 6.05±0.06 4.06±0.36
전체적인 기호도 6.21±0.72 4.13±0.75
그 결과 실시예 1의 제품은 혈액순환 장애의 개선에 있어서 현저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임상예 1: 음용 및 약침주사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고를 소주(1:10 중량비)와 혼합하여 음용으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내장에서 쑥뜸 고의 효과를 보았고, 약침주사로 피부에 침투시켜 쑥고의 효과를 보았다.
임상예 2: 무릅이 아파 지하철 계단을 못다니는 환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뜸을 직접구로 뜸을 뜨면서 근적외선 히터를 조사하여 본 결과 무릅의 통증 증상이 사라졌다.
임상예 3: 당뇨가 심해 왼쪽 새끼 발가락이 썩어 냄새가 날 정도이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뜸을 직접구로 뜸을 뜨면서 근적외선 히터를 조사하여 본 결과 새살이 돗아났다.
실시예 2: 쑥 진액 고 패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쑥 진액고 3g, 매트릭스 형성을 위한 고분자 용매 Eudragit E-100 6.6g, 이소프로필 미리스트레이트 0.4g 을 혼합하여 유효성분 담지층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35~42% 사이의 고형분인 아크릴계 점착제로서 DT-9301 25g을 방출조절 접착층에 사용될 용액으로 하여 폴리비닐피롤리돈(Kollidon 25) 0.3g을 투입하여 방출조절 접착층을 제작하였다.
상기 유효성분 담지층 용액은 랩코터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도포한 후, 50℃ 및 100RPM의 조건에서 5분간 완전히 건조하여 유효성분 담지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방출조절 접착층은 방출조절 접착층 용액을 PET 이형 필름 위에 도포한 후, 랩코터에서 100℃, 1300RPM 조건에서 5분간 건조하여 용매를 완전히 건조시켰고, 그후 상기 유효성분 담지층의 이형 필름을 제거하여 상기 방출조절 접착층과 합지하였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이 담지된 패치를 완성하였다.
임상예 4: 허리가 아파 거동이 어려운 환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쑥 진액 고 패치를 붙여 치료한 결과 허리의 통증 증상이 사라진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연소 장치 110: 연소실 120: 쑥 박스 필터 130: 쑥 연기 정화실 140: 쑥 연기 정화실 박스 200: 응축 장치 210: 하우징 211, 212: 응축 플레이트 220: 투시창 230: 온도계 231: 온도자동센서 241: 습도센서 250: 바이브레이터 260: 응축고 회수구 270: 불응축 가스관 280: 댐퍼 290: 블로워 295: 방진 스프링

Claims (4)

  1. 상부의 불투과성 지지체층(10);상기 지지체층(10) 하부에 위치하는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써 포함하는 약물 전달층(20); 상기 약물 전달층(20)의 하부에 위치하고 피부에 접촉하는 방출 조절형 접착제층(30) 및 상기 접착제층(30)의 이면에 부착되고 사용시 박리하는 이형층(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약물 전달층(20)은 쑥 진액 고 20~40 중량부, 매트릭스 형성을 위한 수용성 고분자 용매 50~60 중량부, 및 피부투과 촉진제 2~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진액 고 패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쑥 진액 고는(a) 쑥을 전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b) 전처리된 쑥을 건조시키는 단계;(c) 건조된 쑥을 추말하는 단계;(d) 추출된 쑥을 연소실에 넣고 연소시키는 단계;(e) 연소과정에 의해 생성된 연기를 응축시키는 단계;(f) 응축된 고를 회수하는 단계;(g) 회수된 응축고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단계; 및(h) 배합된 응축고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 고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진액 고 패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쑥 진액고 패치는 먼저 쑥 진액고를 포함하는 유효 성분을 매트릭스 형성을 위한 수용성 고분자 용매 및 피부투과 촉진제와 혼합하여 약물 전달층(20)을 형성한 후 이를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40~80℃에서 건조하여 유효성분 담지층을 형성한 다음 접착제층(30)과 이형층(40)을 합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진액 고 패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지지체층(10)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출조절형 접착제층(30)은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공중합체 80~95 중량부, 수용성 고분자 1~10 중량부, 및 피부투과 촉진제 2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형층(140)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쑥 진액 고 패치.
KR1020210047788A 2021-04-13 2021-04-13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56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788A KR102556188B1 (ko) 2021-04-13 2021-04-13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788A KR102556188B1 (ko) 2021-04-13 2021-04-13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544A true KR20220141544A (ko) 2022-10-20
KR102556188B1 KR102556188B1 (ko) 2023-07-19

Family

ID=8380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788A KR102556188B1 (ko) 2021-04-13 2021-04-13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188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715A (ko) * 1987-09-21 1989-05-09 반금돌 약쑥 액정의 추출방법
KR100353613B1 (ko) 2000-08-11 2002-09-27 이성철 쑥뜸기구, 그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20050008235A (ko) * 2003-07-14 2005-01-21 고운맘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음료수 첨가제
KR20050008233A (ko) * 2003-07-14 2005-01-21 고운맘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의약품 첨가제
KR200436479Y1 (ko) * 2006-11-27 2007-08-27 김정모 발열 팩을 이용하는 파스형태의 쑥뜸구
KR101353478B1 (ko) 2011-11-04 2014-01-20 주식회사 동일팜텍 펜타닐을 함유하는 경피투여용 패취 제제
KR101834794B1 (ko) 2016-10-25 2018-03-06 (주)에스디생명공학 피부각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각질 제거용 패치
KR102110571B1 (ko) * 2019-12-30 2020-05-13 이정음 유효성분이 담지된 패치의 제조방법
KR102173192B1 (ko) * 2020-03-11 2020-11-03 이정음 내구성이 향상된 패치 제조방법
KR20210052840A (ko) * 2019-11-01 2021-05-11 윤화순 혈행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KR102325985B1 (ko) * 2021-02-01 2021-11-12 윤화순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715A (ko) * 1987-09-21 1989-05-09 반금돌 약쑥 액정의 추출방법
KR100353613B1 (ko) 2000-08-11 2002-09-27 이성철 쑥뜸기구, 그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20050008235A (ko) * 2003-07-14 2005-01-21 고운맘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음료수 첨가제
KR20050008233A (ko) * 2003-07-14 2005-01-21 고운맘 쑥정유 및 쑥연기진액을 이용한 의약품 첨가제
KR200436479Y1 (ko) * 2006-11-27 2007-08-27 김정모 발열 팩을 이용하는 파스형태의 쑥뜸구
KR101353478B1 (ko) 2011-11-04 2014-01-20 주식회사 동일팜텍 펜타닐을 함유하는 경피투여용 패취 제제
KR101834794B1 (ko) 2016-10-25 2018-03-06 (주)에스디생명공학 피부각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각질 제거용 패치
KR20210052840A (ko) * 2019-11-01 2021-05-11 윤화순 혈행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KR102110571B1 (ko) * 2019-12-30 2020-05-13 이정음 유효성분이 담지된 패치의 제조방법
KR102173192B1 (ko) * 2020-03-11 2020-11-03 이정음 내구성이 향상된 패치 제조방법
KR102325985B1 (ko) * 2021-02-01 2021-11-12 윤화순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188B1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1939B2 (ja) 艾條、お灸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4694564B2 (ja) 灸効果を持つ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圧鋒
CN110124178A (zh) 一种具有安神助眠功效的沉香线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796960A (zh) 一种护理清洗伤口的中药药液
CN106822316A (zh) 一种活血通经无烟艾灸条及其制备方法
CN110314033A (zh) 一种医用冷敷贴
CN105853263A (zh) 一种中药驱蚊液及其制备方法
CN104274546B (zh) 一种外用中药组合物、外用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148059A (zh) 一种用于驱蚊虫的植物油复方外用擦剂及其制备方法
CN104857290A (zh) 一种治疗烧烫伤的中药消毒膏及其制备方法
KR101398057B1 (ko)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KR102556188B1 (ko)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25985B1 (ko) 쑥뜸용 진액 고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3998925A (zh) 一种液体涂料及其制备方法
CN108553572A (zh) 一种功能性熏香及其制备方法
CN103142727B (zh) 治疗人体烧烫伤的中草药组合物
CN112107666A (zh) 一种药灸治疗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727245B (zh) 一种清热保湿护唇膏及其制备方法
CN105641504A (zh) 用于制备保健枕的药物组合物和安神助眠保健枕
KR101387047B1 (ko) 뜸 기능을 하는 쑥 패치 복합체
KR20150144118A (ko)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61871A (zh) 白秃疮(白癣)外用搓涂酒剂及其制备方法
WO2019074959A1 (en) COMPOSITION OF CANNABINOIDS AND PRODUCTS COMPRISING ALPHA-TOCOPHEROL
CN106421073A (zh) 一种治疗冻疮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5106069A (zh) 一种具备预防变应性鼻炎功能的保健香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