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840A - 혈행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행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840A
KR20210052840A KR1020190138310A KR20190138310A KR20210052840A KR 20210052840 A KR20210052840 A KR 20210052840A KR 1020190138310 A KR1020190138310 A KR 1020190138310A KR 20190138310 A KR20190138310 A KR 20190138310A KR 20210052840 A KR20210052840 A KR 20210052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lood circulation
preventing
nutrient powder
treating arterioscler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352B1 (ko
Inventor
윤화순
윤재용
Original Assignee
윤화순
윤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화순, 윤재용 filed Critical 윤화순
Priority to KR102019013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35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gluc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2Thermotherapy; Hyperthermia; Magnetic induction; Induction heating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Botan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은 근원적외선이 조사되어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하거나 혈행을 개선하는 조성물로서, 근원적외선을 흡수하는 콩, 백반, 녹두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영양분말; 및 쑥뜸재료를 태워서 얻어지되 공기보다 무거운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쑥진액;을 포함하며, 상기 영양분말에 상기 쑥진액을 도포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eriosclerosis or composition for blood circulation}
본 발명은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픈 자리나 경혈에 간단하게 도포한 후 근원적외선을 조사하면 뜸 및 원적외선 효과를 갖는 인체의 의학적 또는 치료상의 처치/예방을 위한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을 통한 치료는 피부의 특정부위에 쑥 등의 약초를 놓고 태움으로써 생체의 변화를 바로잡는 한방 치료요법으로 쑥의 연소를 통하여 온열적 자극을 생체에 미치게 하여 일정한 생체반응을 일으켜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뜸치료는 피부에 직접 뜸쑥을 놓고 태워 작은 화상을 일으키게 하는 방법이 주로 시술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시술후 화상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라믹용기에 부가된 커버를 피부에 대고 전원을 공급하면 원적외선 발생전구로부터 다량의 원적외선에 생성되어 피부의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구현할 수 있는 원적외선 찜질기 등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단지 뜸 조성물에 기반한 원적외선을 조사하지 않아, 그 효능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며, 특히 뜸 조성물의 배합에 따라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적외선의 영역 구분은 화학이나 물리학에서 규정하는 영역과 업계에서 규정하고 있는 영역이 다소 다르나, CIE 국제조명 용어집에 의하여 근적외선을 0.78 ~ 1.5㎛, 중적외선을 1.5 ~ 4.0㎛, 원적외선을 4.0 ~ 1000㎛의 파장대로 세분화하고 있으며 이중 2.5 ~ 25㎛의 파장대가 주로 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적외선은 특히 물질의 분자 진동에 의한 선택적 공명흡수현상의 특징을 갖는다. 자세히 말하면, 각종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 구조는 그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와 원자의 질량, 구조상의 접합방법이나 결합력, 배열상태의 차이 등에 따라 다양한 진동수를 갖게 되는데 이 진동수에 따라서 물질에 흡수되는 적외선의 파장이 달라지게 된다.
즉, 적외선을 특정 물질에 조사할 때 이 분자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는 파장의 적외선을 조사하면 공명현상에 의해 적외선의 에너지는 그 분자에 흡수되어 분자 내에서 에너지가 발생된다. 하지만 이 분자의 고유 진동수가 일치하지 않는 파장의 적외선은 분자 내를 투과 또는 반사하게 된다. 이처럼 적외선은 특정 물질에 대한 파장 선택성이 있으며 이것을 적외선 선택흡수라 한다. 일반적으로 공유결합성이 강한 분자의 적외선흡수는 2.5 ~ 25㎛의 범위에서 나타나고 이온결합이 강한 분자는 약 10 ~ 30㎛의 범위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7743호 "원적외선 뜸기구" (2018.04.1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아픈 자리나 경혈에 간단하게 도포한 후 근원적외선을 조사하면 뜸 및 근원적외선 효과를 가지게 되어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은, 근원적외선이 조사되어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하거나 혈행을 개선하는 조성물로서, 근원적외선을 흡수하는 콩, 백반, 녹두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영양분말; 및 쑥뜸재료를 태워서 얻어지되 공기보다 무거운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쑥진액;을 포함하며, 상기 영양분말에 상기 쑥진액을 도포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있어, 상기 콩은, 2.5 내지 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고, 4 내지 5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고, 7 내지 8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며, 11 내지 1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있어, 상기 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백반 50 내지 150 중량부, 상기 녹두 80 내지 100 중량부, 상기 구연산 5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은, 동맥경화, 암, 노화 등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고 혈압을 낮춤으로써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같은 심혈관질환과 고혈압 등을 예방하며, 뇌의 혈류 개선에 따라 노인성 치매나 뇌졸중에도 효과가 있고, 피로감과 스트레스를 덜어주고 집중력을 상승시키며, 신경 안정 및 우울증 개선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쑥 성분과, 보조생약제인 영양분말이 피부에 침투하여 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쑥의 경우, 문화, 중화, 무화로 가열하여 농축한 엑기스를 모두 포함하므로, 무연 뜸임에도 불구하고, 실제의 쑥뜸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쑥뜸 효과 이외에 소염, 항균, 진통 작용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의 구성 및 효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있어, 상기 콩에 대한 근원적외선 흡광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 및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근원적외선"은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합한 용어로서, 대략 0.7 내지 1000 ㎛의 파장 범위 중에서 하나 이상의 피크파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근원적외선이 조사되어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하거나 혈행을 개선하는 조성물로서, 근원적외선을 흡수하는 콩, 백반, 녹두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영양분말; 및 쑥뜸재료를 태워서 얻어지되 공기보다 무거운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쑥진액;을 포함하며, 상기 영양분말에 상기 쑥진액을 도포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의 구성 및 효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영양분말에 근원적외선이 조사되는 경우 공명 반응을 일으켜 인체 또는 동물의 피부에 열 전달을 행하며, 특히 상기 콩을 포함하는 경우 열 전달을 용이하게 하고 약리작용을 보다 증대시키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에 좋다.
더불어, 상기 근원적외선은 인체에 흡수되면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하고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근원적외선은 각종 성인병, 만성피로, 노화방지, 인체의 기(氣)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냉·대하, 스트레스, 치질에 좋다는 것은 한의학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상기 근원적외선과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있어, 상기 쑥진액은 쑥뜸재료를 태워서 얻어지되, 단 상기 쑥뜸재료가 태워질 때 외부와 공기 유통이 부분적으로 단절된 소정 용기 내에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공기보다 무거운 쑥뜸 연기를 대류 현상에 의해 가라 앉혀 응축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쑥뜸재료는 분말형태, 쑥 분말을 봉형상으로 성형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쑥은 엉시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써 어린 잎을 식용으로, 잎, 줄기는 약용으로 쓰이며, 성숙된 쑥으로 만든 대황색의 솜같이 된 것은 뜸쑥을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쑥에는 씨네올이 함유되어 있어 혈전을 예방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인진 쑥은 위장과 손과 발을 따뜻하게 하고 간 기능 개선과 비타민 A1(체질개선, 노화억제), B1, B2 및 C, 칼슘, 철분 등을 함유하여 해독작용과 항균작용이 우수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 쑥은 지혈, 정혈, 창상 회복, 풍한, 항균, 소염, 진통 및 탈취 작용을 가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쑥의 한약이름은 "애엽"으로 약 30여 종류가 있으며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예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는데, 흔히 먹는 부드럽고 어린 쑥은 '애쑥' 또는 '참쑥'이라 하며 말려서 약으로 쓰거나 쑥뜸에 쓰는 것은 보통 '약쑥'이라 한다.
특히, 약쑥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쑥뜸재료를 태워서 얻어지되 공기보다 무거운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쑥진액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있어, 상기 영양분말 반죽은 상기 영양분말에 상기 쑥진액을 도포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상기 영양분말 반죽은 상기 영양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쑥진액이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쑥진액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한 쑥의 효과가 저하되고 반죽형태로 잘 되지 않아 원하는 부위에 도포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숙진액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쑥진액 증가에 의한 효능이 크게 개선되지 않고 경제성이 떨어진다. 상기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영양분말 반죽은 상기 영양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쑥진액이 2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있어, 상기 영양분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양분말은 콩, 백반, 녹두 및 구연산을 포함하며, 그외에도 치료하는 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콩은 쑥의 기운을 잘 흡수되게 도와주는 기능을 가지므로, 상기 콩은 백반, 녹두 및 구연산과 함께 영양분말에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콩의 예로는 검은콩, 밤콩, 병아리콩, 새알콩, 강낭콩, 완두콩, 작두콩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있어, 상기 콩에 대한 근원적외선 흡광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콩은 2.5 내지 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고, 4 내지 5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고, 7 내지 8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며, 11 내지 1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술함에 있어 "흡수피크"라 함은, 흡광 세기 최대 100을 기준으로 적어도 30 이상의 흡광세기를 가지는 피크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7 내지 8 ㎛ 파장을 갖는 근원적외선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조사하면, 상기 근원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하여 복사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방출된 복사열에 의해 쑥진액이 콩으로 흡수되고, 쑥진액이 흡수된 콩을 열전달 매개체로 하여 인체 내 모세혈관, 세포, 골수 등으로 상기 근원적외선과 함께 침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은 인체의 순환기가 막혀 혈체, 기체, 임파선, 순환기가 오염돼 막혀 있는 걸 빼주고, 혈행 개선을 향상함으로써 활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반은 콩, 녹두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영양분말에 포함됨으로써 사균, 해독, 정혈 및 백혈구 증강에 효능을 부여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백반은 피부에 대한 친화감이 좋고, 화장독 및 지루성 여드름 등 피부해독 작용을 가지므로 막힌 혈행을 풀어주는데 효과적이므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좋다.
또한, 상기 백반은 타 물질을 끌어 들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백반은 상술한 콩, 녹두, 구연산, 쑥진액을 흡수하는 담지체 역할을 한다. 상기 백반은 상기 근원적외선 조사시 인체 내 모세혈관, 세포, 골수 등으로 침투함에 따라 악성종양, 근종의 치료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효과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백반 5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녹두는 비타민류, 단백질, 탄수화물, 필수유로 구성되어 있어 백독(百毒)을 풀어주고 원기를 돋우어 주고 오장을 조화롭게 한다. 또한 몸 안에 쌓인 열을 다스리고 소변을 잘 배출되도록 도우며 인체의 12경맥을 잘 돌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녹두는 성질이 차고 맛이 달며 독이 없으며 부작용이 없으므로, 상기 녹두는 백반, 콩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영양분말에 함께 포함되어도 각종 효능을 잘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녹두는 상기 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됨으로써, 인체 내에 쌓인 노폐물을 직접 해독하며 열을 내리고 식욕을 돋우는 구실과 복수(腹水), 땀띠나 여드름, 부스럼 등의 각종 피부질환을 치료하는 약리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연산은 피로회복과 지방분해 및 항산화작용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있어, 상기 구연산은 상기 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됨으로써, 신진 대사 촉진, 해독작용, 노폐물 제거, 항산화 작용 등으로 두피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하기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 제조
상측에 삽입홈이 구비되고, 외부와 공기 유통이 부분적으로 단절된 구조로서, 외부와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 내부로 상술한 영양분말을 로딩하는 이송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뜸기구를 마련하였다.
상기 내부공간으로 영양분말을 로딩한 후, 상기 삽입홈에 봉형태로 성형된 쑥뜸재료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상기 쑥뜸재료의 상부를 불로 태웠다.
이후, 상기 쑥뜸재료가 태워져 생성된 공기보다 무거운 연기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동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무거운 쑥뜸 연기는 대류현상에 의해 응축되었다. 이에 따라, 응축되어 얻어진 쑥진액을 상기 영양분말에 서서히 도포시킴으로써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과정 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쑥뜸재료의 개수, 횟수를 공정변수로 함으로써,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의 조성을 하기 하기 표 1과 같이 하였다. 이때,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의 조성은 상기 영양분말을 로딩하기 전 후 중량 변화를 체크하여 계산하였다.
쑥진액 영양분말 쑥진액:영양분말
(중량부)
백반 녹두 구연산
실시예 1 100 150 100 80 50 100:26
실시예 2 100 100 120 90 70 100:26
실시예 3 100 50 130 100 80 100:28
상기 표 1에서 단위는 중량부이다.
실험예 : 임상실험
실험대상으로 2019년 6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시술하였다. 시술받은 90명 중 결과가 확인된 75명을 선정하였다.
피실험자의 연령으로는 20대는 7명, 30대는 20명, 40대는 36명, 50대는 17명, 60대는 10명이었고, 성별로는 남자 40명, 여자 45명이었다. 피실험자의 직업으로는 가정주부는 37명, 공무원: 20명, 운전기사: 12명, 회사원 11명, 무직 6명, 기타 3명이었다.
피실험자들에게 아픈 곳이나 경혈을 소독 솜으로 닦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도포하였다.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이 도포된 부위에 발광다이오드, 램프, 레이저를 구비한 적외선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근원적외선을 조사하였다. 여기서, 근원적외선은 0.7 내지 1000㎛ 파장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피크를 가지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콩이 근원적외선을 잘 흡수하도록 2.5 내지 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 피크를 가지고, 4 내지 5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 피크를 가지고, 7 내지 8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 피크를 가지며, 11 내지 1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 피크를 가질 수 있다.
이후, 동일한 피실험자들에게 아픈 곳이나 경혈을 소독 솜으로 닦고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도포하고, 상기 근원적외선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피실험자들에게 아픈 곳이나 경혈을 소독 솜으로 닦고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도포하고, 상기 근원적외선을 조사하였다.
상기 실험예에 따른 임상 실험결과를 하기 표 2에 수록하였다.
환자수 증상소실 호전 미확인
고혈압 9 2 6 1
혈액순환장애 15 2 11 2
고지혈증 11 1 7 3
신경쇠약 20 3 14 3
편두통 20 3 14 3
표 2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 고혈압 환자는 전체 9명 중 8명이 고혈압 증상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상세하게, 혈압이 180/100mmHg로 고혈압을 앓고 있는 55세 남자(공무원)에 대하여 내관 심수 격수 백회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하여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도포한 후 근원적외선을 조사하였더니, 3일 후 130/92mmHg로 혈압이 하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개월 이후에는 120~130/80~88mmHg로 증상이 호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예로서, 눈 옆 관자놀이(태양혈)가 아프고 머리 왼쪽이 아프면서 혈압은 130/85mmHg으로 변비와 피로 및 불면증을 호소하는 46세 가정주부의 경우 편두통으로 진단되어 족임읍과 협계 흉쇄유돌근 하부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을 도포한 후 근원적외선을 조사하였고, 환자에게 잠을 충분히 자고 과로를 금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5일 후에 증상이 호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혈액순환 장애, 고지혈증, 신경쇠약 등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가정주부, 공무원, 운전기사, 회사원 등의 직업을 가지고 있어서 직업군이 다양하였다. 혈액순환 장애, 고지혈증, 신경쇠약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모세혈관 모양을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임상 실험전 대부분의 환자에서 모세혈관은 명확하게 보이지 않았으며, 꼬여있는 상태의 비정상적인 모세혈관의 형태를 보여주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상적인 모세혈관은 통상적으로 1mm 크기 내에 7~9개의 모세혈관이 관찰되어야 하나 환자들의 모세혈관 개수는 3~4개로 현저히 적었으며, 또한 정상적인 모세혈관의 형상은 적정 직경을 유지하면서 주위 모세혈관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어야 하나, 환자들의 모세혈관 형상은 단독으로 꼬여 있거나 주위 혈관과 뭉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왜곡현상이라 함). 그리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하여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도포한 후 근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과정을 하루에 한번씩 6주간 실시하였더니, 모세혈관의 왜곡현상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혈행이 개선되고 모세혈관의 활성이 증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3)

  1. 근원적외선이 조사되어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하거나 혈행을 개선하는 조성물로서,
    근원적외선을 흡수하는 콩, 백반, 녹두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영양분말; 및
    쑥뜸재료를 태워서 얻어지되 공기보다 무거운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쑥진액;을 포함하며,
    상기 영양분말에 상기 쑥진액을 도포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포함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은,
    2.5 내지 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고, 4 내지 5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고, 7 내지 8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며, 11 내지 1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백반 50 내지 150 중량부, 상기 녹두 80 내지 100 중량부, 상기 구연산 5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KR1020190138310A 2019-11-01 2019-11-01 보조식품 KR102400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310A KR102400352B1 (ko) 2019-11-01 2019-11-01 보조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310A KR102400352B1 (ko) 2019-11-01 2019-11-01 보조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840A true KR20210052840A (ko) 2021-05-11
KR102400352B1 KR102400352B1 (ko) 2022-05-20

Family

ID=7591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310A KR102400352B1 (ko) 2019-11-01 2019-11-01 보조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544A (ko) * 2021-04-13 2022-10-20 윤화순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7710A (en) * 1981-12-23 1984-01-24 Nissin Shokuhin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tant bean curd or tofu, and the toju made by such method
WO1996018745A1 (en) * 1994-12-16 1996-06-20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Conserved yeast nucleic acid sequences
KR20110059473A (ko) * 2009-11-27 2011-06-02 변지민 뜸 쑥 및 그 제조방법
JP2012075415A (ja) * 2010-10-05 2012-04-19 Okuno Chemical Industries Co Ltd 野菜の鮮度保持方法
KR20180037743A (ko) 2016-10-05 2018-04-13 이미향 원적외선 뜸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7710A (en) * 1981-12-23 1984-01-24 Nissin Shokuhin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tant bean curd or tofu, and the toju made by such method
WO1996018745A1 (en) * 1994-12-16 1996-06-20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Conserved yeast nucleic acid sequences
KR20110059473A (ko) * 2009-11-27 2011-06-02 변지민 뜸 쑥 및 그 제조방법
JP2012075415A (ja) * 2010-10-05 2012-04-19 Okuno Chemical Industries Co Ltd 野菜の鮮度保持方法
KR20180037743A (ko) 2016-10-05 2018-04-13 이미향 원적외선 뜸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544A (ko) * 2021-04-13 2022-10-20 윤화순 쑥 진액 고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파스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352B1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5066B2 (en) Composition having effect of moxibustion and press pellet using the same
CN106474444A (zh) 一种外用中药药包配方、药包及其使用方法
KR20080095002A (ko)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KR102400352B1 (ko) 보조식품
CN101336863A (zh) 激光辐照穴位体表复合能量玉石拔罐仪
CN109420128A (zh) 一种外用中药药包配方、药包及其使用方法
CN106259533A (zh) 驱蚊组合物及由驱蚊组合物制成的驱蚊包及其驱蚊包的使用方法
CN1042799C (zh) 活血化瘀止痛膏
CN108904265B (zh) 一种手持式烯热艾疗器及其使用方法
CN106860928A (zh) 光子热疗罐
KR20140137155A (ko) 원적외선수가 포함되는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CN109700856A (zh) 一种具有活血通络、舒筋止痛的中药外用方剂
KR101365410B1 (ko) 온열찜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KR20160020187A (ko) 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605372A (zh) 一种基于恶性肿瘤放疗患者的营养药膳及制备方法
CN102319313A (zh) 艾灸熏蒸囊
CN210644584U (zh) 一种药灸火罐
KR102109957B1 (ko)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CN106727967A (zh) 红豆杉足浴粉及制备方法
KR200275614Y1 (ko) 다목적 한방 치료를 위한 이중구조 부항컵과 보조기구
CN106491568A (zh) 一种治疗皮肤外伤及感染的海洋生物喷膜及其制备方法
CN112107666A (zh) 一种药灸治疗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207575491U (zh) 光子热疗罐
KR100690075B1 (ko) 죽염 또는 송염을 이용한 뜸용 쑥의 제조방법
KR20200104979A (ko) 한방 약침 마이크로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