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957B1 -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 Google Patents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957B1
KR102109957B1 KR1020190138318A KR20190138318A KR102109957B1 KR 102109957 B1 KR102109957 B1 KR 102109957B1 KR 1020190138318 A KR1020190138318 A KR 1020190138318A KR 20190138318 A KR20190138318 A KR 20190138318A KR 102109957 B1 KR102109957 B1 KR 10210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irculation
moxa
lower body
mugwort
arterioscler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화순
윤재용
Original Assignee
윤화순
윤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화순, 윤재용 filed Critical 윤화순
Priority to KR102019013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61B2018/06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one of the reactants being oxygen
    • A61B2018/064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는 쑥뜸재료가 담긴 제1 제품용기;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이 담긴 제2 제품용기; 대소환이 담긴 제3 제품용기; 쑥뜸기; 및 상기 제1, 제2, 제3 제품용기 및 상기 쑥뜸기가 상호 독립적으로 수납되는 수납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쑥뜸기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상광하협 형상의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하광상협 형상의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는, 그 상단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공간과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격판;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고 하단에 내향 굴곡된 거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쑥뜸재료를 지지하는 중공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중공몸체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 연장되어 육각형상으로 마련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쑥뜸재료 안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Moxa cautery se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eriosclerosis or composition for blood circulation}
본 발명은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약리 성분이 병든 세포까지 침투하게 함으로써 뜸 및 원적외선 효과와, 환제의 복용효과를 가지게 되어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 효과를 발현하는 쑥뜸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을 통한 치료는 피부의 특정부위에 쑥등의 약초를 놓고 태움으로서 생체의 변화를 바로잡는 한방 치료요법으로 쑥의 연소를 통하여 온열적 자극을 생체에 미치게 하여 일정한 생체반응을 일으켜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뜸치료는 피부에 직접 뜸쑥을 놓고 태워 작은 화상을 일으키게 하는 방법이 주로 시술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시술후 화상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라믹용기에 부가된 커버를 피부에 대고 전원을 공급하면 원적외선 발생전구로부터 다량의 원적외선에 생성되어 피부의 경혈을 자극하므로서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구현할 수 있는 원적외선 찜질기 등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단지 뜸 조성물에 기반한 원적외선을 조사하지 않아, 그 효능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며, 특히 뜸 조성물의 배합에 따라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적외선의 영역 구분은 화학이나 물리학에서 규정하는 영역과 업계에서 규정하고 있는 영역이 다소 다르나, CIE 국제조명 용어집에 의하여 근적외선을 0.78 ~ 1.5㎛, 중적외선을 1.5 ~ 4.0㎛, 원적외선을 4.0 ~ 1000㎛의 파장대로 세분화하고 있으며 이중 2.5 ~ 25㎛의 파장대가 주로 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적외선은 특히 물질의 분자 진동에 의한 선택적 공명흡수현상의 특징을 갖는다. 자세히 말하면, 각종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 구조는 그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와 원자의 질량, 구조상의 접합방법이나 결합력, 배열상태의 차이 등에 따라 다양한 진동수를 갖게 되는데 이 진동수에 따라서 물질에 흡수되는 적외선의 파장이 달라지게 된다.
즉, 적외선을 특정 물질에 조사할 때 이 분자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는 파장의 적외선을 조사하면 공명현상에 의해 적외선의 에너지는 그 분자에 흡수되어 분자 내에서 에너지가 발생된다. 하지만 이 분자의 고유 진동수가 일치하지 않는 파장의 적외선은 분자 내를 투과 또는 반사하게 된다. 이처럼 적외선은 특정 물질에 대한 파장 선택성이 있으며 이것을 적외선 선택흡수라 한다. 일반적으로 공유결합성이 강한 분자의 적외선흡수는 2.5 ~ 25㎛의 범위에서 나타나고 이온결합이 강한 분자는 약 10 ~ 30㎛의 범위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 세계 사망원인의 약 39%를 차지하고 있는 혈전관련 질환은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의 서구화, 과도한 스트레스, 인구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더욱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세계의 항혈전 및 항응고제 시장 규모가 2015년 24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2년까지 서서히 매출이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중국이나 인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의 발병률, 유병률, 진단 건수 증가가 매출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전성과 유효성 측면에서 더 우수한 새로운 경구 항응고제의 출시와 간편한 처방 및 규정 준수를 실현하는 약물전달 방법이 도입된 의약품 및 치료제가 기존의 치료제를 대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사용 중인 혈전분해효소제로는 스트렙토키나아제(streptokinase), 유로키나아제(urokinase),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t-PA) 등이 알려져 있으며, 주로 생체 내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을 플라스민(plasmin)으로 활성화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혈전을 용해시킨다. 위와 같은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의 경우 알러지, 발열, 국소출혈, 짧은 반감기 및 고가의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혈전치료제에 국한되어 이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트렙토키나아제 및 유로키나아제는 플라스미노겐을 플라스민으로 전환시키는 외래성 효소 물질로써 발열, 알러지, 국소출혈, 저혈압유발 등의 부작용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매우 비싼 의약치료제로 분류되어 있어 치료제에 국한되어 있으며, 체내 혈전형성 예방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7743호 "원적외선 뜸기구" (2018.04.1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 효과를 가지는 약리 성분을 쑥뜸기구와 근원적외선 조사를 통해 병든 세포까지 침투하게 함으로써, 뜸 및 원적외선 효과를 가지게 되어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 효과를 발현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뜸 및 원적외선 효과 뿐 아니라 환제의 복용효과를 가지게 되어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 효과를 발현하는 쑥뜸 세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는, 쑥뜸재료가 담긴 제1 제품용기;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이 담긴 제2 제품용기; 대소환이 담긴 제3 제품용기; 쑥뜸기; 및 상기 제1, 제2, 제3 제품용기 및 상기 쑥뜸기가 상호 독립적으로 수납되는 수납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쑥뜸기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상광하협 형상의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고,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하광상협 형상의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는, 그 상단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공간과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격판;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고 하단에 내향 굴곡된 거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쑥뜸재료를 지지하는 중공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중공몸체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 연장되어 육각형상으로 마련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쑥뜸재료 안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격판을 관통하며 상기 관통홀 사이에 형성되어 불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환기공; 및 상기 환기공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부 공기를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로 유통시켜 내부 균압을 유지시키는 통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쑥뜸재료 안착부재로부터 하강하는 응축가스를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몸체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외주연에 접선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제2 와류유도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은, 근원적외선을 흡수하는 콩, 백반, 녹두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영양분말; 및 쑥뜸재료를 태워서 얻어지되 공기보다 무거운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쑥진액;을 포함하고, 상기 영양분말 및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에 근원적외선이 조사됨으로써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하거나 혈행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는 동맥경화, 암, 노화 등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고 혈압을 낮춤으로써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같은 심혈관질환과 고혈압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종래는 한약, 조제약, 수술, 침, 뜸 등은 직접 환자를 치료하나,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는 근원적외선을 통해 병든 세포에 직접 영양분말의 조성물이 직접 침투하여 뇌의 혈류 개선과 뇌 세포에 영양분말, 조성물이 직접 침투되어 근원적 치료를 이룰 수 있고, 장부 및 말초신경까지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노인성 치매나 뇌졸중에도 효과가 있고, 피로감과 스트레스를 덜어주고 집중력을 상승시키며, 신경 안정 및 우울증 개선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쑥 성분과, 보조생약제인 영양분말이 피부에 침투하여 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쑥의 경우, 문화, 중화, 무화로 가열하여 농축한 엑기스를 모두 포함하므로, 무연 뜸임에도 불구하고, 실제의 쑥뜸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쑥뜸 효과 이외에 소염, 항균, 진통 작용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 뇌혈전증, 협심증을 포함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아울러 혈류개선 작용, 혈관 경화 개선 작용, 혈관 내피 기능 개선 작용, 중풍 및 치매, 심계항진, 경련 및 통증 완화 작용을 지니므로 이를 요하는 환자에게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뜸기(40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뜸기(400)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뜸기(400)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뜸기(400)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뜸기(400)의 다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의 구성 및 효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콩에 대한 근원적외선 흡광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술함에 있어 "근원적외선"은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합한 용어로서, 대략 0.7 내지 1000 ㎛의 파장 범위 중에서 하나 이상의 피크파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상술함에 있어 "흡수피크"라 함은, 흡광 세기 최대 100을 기준으로 적어도 30 이상의 흡광세기를 가지는 피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술함에 있어, 대소환은 혈전분해 활성, 항고지혈 효과, 용혈활성, 관상혈류 호전, 국소 뇌허혈 동물 모델에서의 호전, 및 혈소판 응집억제능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제형화된 혈행 개선용 제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는 쑥뜸재료가 담긴 제1 제품용기(100);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이 담긴 제2 제품용기(200); 대소환이 담긴 제3 제품용기(300); 쑥뜸기(400); 및 상기 제1, 제2, 제3 제품용기(100)(200)(300) 및 상기 쑥뜸기(400)가 상호 독립적으로 수납되는 수납기재(1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뜸기(40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뜸기(400)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뜸기(400)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뜸기(400)의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쑥뜸기(400)는 상부몸체(410) 및 하부몸체(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상기 상부몸체(410)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상광하협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하부몸체(420)는 상기 상부몸체(410)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고,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하광상협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420)는, 그 상단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410)의 내부공간과 상기 하부몸체(420)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격판(42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격판(421)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고 하단에 내향 굴곡된 거치부(423)가 형성되어 상기 쑥뜸재료를 지지하는 중공몸체(422);와, 상기 하부몸체(42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중공몸체(422)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 연장되어 육각형상으로 마련되는 헤드부(424);로 이루어지는 쑥뜸재료 안착부재(425);를 구비한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상기 상부몸체(410)의 상단은 상기 격판(421)의 상면에 수직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몸체(410)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몸체(410)의 상단은 상기 격판(421)의 상면에 수직한 가상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5 내지 30도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은 상기 하부몸체(420)의 상단에 육각형상으로 마련되는 헤드부(424);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쑥뜸재료의 연소시 대류현상에 의해 응축된 응축가스에 기운을 부여할 수 있고, 쑥진액 등의 영양성분을 인체 내 모세혈관, 세포, 골수 등에 까지 침투하시켜 기(氣)의 흐름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420)는 상기 격판(421)을 관통하며 상기 관통홀 사이에 형성되어 불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환기공(426); 및 상기 환기공(426)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부 공기를 상기 하부몸체(420)의 내부로 유통시켜 내부 균압을 유지시키는 통기공(427);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상부몸체(410) 및 하부몸체(42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410)는 쑥뜸재료가 연소될 때, 연소된 쑥뜸재가 외부로 낙하하여 피부를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몸체(420)는 산소 공급을 충분히 가능케 하여 쑥뜸재료가 불연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뜸기(400)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뜸기(400)의 하부몸체(420)는, 상기 쑥뜸재료 안착부재(425)로부터 하강하는 응축가스를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몸체(420)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420)의 외주연에 접선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제2 와류유도공(428,42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와류유도공(428)에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하부몸체(420)의 내부온도보다 낮아서 상기 하부몸체(420) 내부의 대류운동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와류유도공(428)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와류유도공(429)은 내부에서 가열된 외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하부몸체(420) 내부의 온도를 감소시키므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 와류유도공(428,429)에 별도의 와류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와류가스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와류가스 공급부는 별도의 밸브를 구비하여 와류가스의 주입을 조절할 수 있고, 이때 와류가스는 불활성가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420)의 횡단면은 상기 응축 가스가 와류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2N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 2N각형 단면 형상에서 N은 3 이상의 자연수이다. 예컨대 N이 3인 경우 6각형 단면 형상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쑥뜸재료가 연소될 때, 무거운 쑥 연기는 상기 하부몸체(420)의 내부에서 응축되며, 응축 가스가 충분히 와류하면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불응축 가스와 분리되어 인체의 피부에 안착된다. 이에 반해 응축되지 않은 불응축 가스는 상기 환기공(4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상기 하부몸체(420)의 하단은 상기 격판(421)의 하면에 수직하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상기 하부몸체(420)의 외측으로 향하는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몸체(420)의 하단은 격판(421)의 하면에 수직한 수직방향에 대하여 5 내지 30도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쑥뜸기(400)는 상기 하부몸체(420)의 하단에 지지구(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지지구(430)는 링 형상이며, 탄력을 보유한 고무재질이나 우레탄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구(430)는 상기 쑥뜸기(400)의 안정감과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술한 제2 제품용기(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제품용기(200)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은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은, 근원적외선을 흡수하는 콩, 백반, 녹두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영양분말; 및 쑥뜸재료를 태워서 얻어지되 공기보다 무거운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쑥진액;을 포함하며, 상기 영양분말에 상기 쑥진액을 도포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포함하며, 근원적외선이 조사되어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하거나 혈행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의 구성 및 효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영양분말에 근원적외선이 조사되는 경우 공명 반응을 일으켜 인체 또는 동물의 피부에 열 전달을 행하며, 특히 상기 콩을 포함하는 경우 열 전달을 용이하게 하고 약리작용을 보다 증대시키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에 좋다.
더불어, 상기 근원적외선은 인체에 흡수되면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하고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근원적외선은 각종 성인병, 만성피로, 노화방지, 인체의 기(氣)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냉·대하, 스트레스, 치질에 좋다는 것은 한의학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상기 근원적외선과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쑥진액은 쑥뜸재료를 태워서 얻어지되, 단 상기 쑥뜸재료가 태워질 때 외부와 공기 유통이 부분적으로 단절된 소정 용기 내에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공기보다 무거운 쑥뜸 연기를 대류 현상에 의해 가라 앉혀 응축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쑥뜸재료는 분말형태, 쑥 분말을 봉형상으로 성형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세하게, 쑥은 엉시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써 어린 잎을 식용으로, 잎, 줄기는 약용으로 쓰이며, 성숙된 쑥으로 만든 대황색의 솜같이 된 것은 뜸쑥을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쑥에는 씨네올이 함유되어 있어 혈전을 예방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인진 쑥은 위장과 손과 발을 따뜻하게 하고 간 기능 개선과 비타민 A1(체질개선, 노화억제), B1, B2 및 C, 칼슘, 철분 등을 함유하여 해독작용과 항균작용이 우수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 쑥은 지혈, 정혈, 창상 회복, 풍한, 항균, 소염, 진통 및 탈취 작용을 가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쑥의 한약이름은 "애엽"으로 약 30여 종류가 있으며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예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는데, 흔히 먹는 부드럽고 어린 쑥은 '애쑥' 또는 '참쑥'이라 하며 말려서 약으로 쓰거나 쑥뜸에 쓰는 것은 보통 '약쑥'이라 한다.
특히, 약쑥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쑥뜸재료를 태워서 얻어지되 공기보다 무거운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쑥진액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영양분말 반죽은 상기 영양분말에 상기 쑥진액을 도포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상기 영양분말 반죽은 상기 영양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쑥진액이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쑥진액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한 쑥의 효과가 저하되고 반죽형태로 잘 되지 않아 원하는 부위에 도포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숙진액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쑥진액 증가에 의한 효능이 크게 개선되지 않고 경제성이 떨어진다. 상기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영양분말 반죽은 상기 영양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쑥진액이 2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영양분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양분말은 콩, 백반, 녹두 및 구연산을 포함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콩은 쑥의 기운을 잘 흡수되게 도와주는 기능을 가지므로, 상기 콩은 백반, 녹두 및 구연산과 함께 영양분말에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콩의 예로는 검은콩, 밤콩, 병아리콩, 새알콩, 강낭콩, 완두콩, 작두콩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콩에 대한 근원적외선 흡광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콩은 2.5 내지 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고, 4 내지 5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고, 7 내지 8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며, 11 내지 1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흡수 피크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대, 7 내지 8 ㎛ 파장을 갖는 근원적외선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에 조사하면, 상기 근원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하여 복사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방출된 복사열에 의해 쑥진액이 콩으로 흡수되고, 쑥진액이 흡수된 콩을 열전달 매개체로 하여 인체 내 모세혈관, 세포, 골수 등으로 상기 근원적외선과 함께 침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은 인체의 순환기가 막혀 혈체, 기체, 임파선, 순환기가 오염돼 막혀 있는 걸 빼주고, 혈행 개선을 향상함으로써 활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백반은 콩, 녹두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영양분말에 포함됨으로써 사균, 해독, 정혈 및 백혈구 증강에 효능을 부여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백반은 피부에 대한 친화감이 좋고, 화장독 및 지루성 여드름 등 피부해독 작용을 가지므로 막힌 혈행을 풀어주는데 효과적이므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좋다.
또한, 상기 백반은 타 물질을 끌어 들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백반은 상술한 콩, 녹두, 구연산, 쑥진액을 흡수하는 담지체 역할을 한다. 상기 백반은 상기 근원적외선 조사시 인체 내 모세혈관, 세포, 골수 등으로 침투함에 따라 악성종양, 근종의 치료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효과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백반 5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녹두는 비타민류, 단백질, 탄수화물, 필수유로 구성되어 있어 백독(百毒)을 풀어주고 원기를 돋우어 주고 오장을 조화롭게 한다. 또한 몸 안에 쌓인 열을 다스리고 소변을 잘 배출되도록 도우며 인체의 12경맥을 잘 돌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녹두는 성질이 차고 맛이 달며 독이 없으며 부작용이 없으므로, 상기 녹두는 백반, 콩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영양분말에 함께 포함되어도 각종 효능을 잘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녹두는 상기 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됨으로써, 인체 내에 쌓인 노폐물을 직접 해독하며 열을 내리고 식욕을 돋우는 구실과 복수(腹水), 땀띠나 여드름, 부스럼 등의 각종 피부질환을 치료하는 약리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연산은 피로회복과 지방분해 및 항산화작용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구연산은 상기 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됨으로써, 신진 대사 촉진, 해독작용, 노폐물 제거, 항산화 작용 등으로 두피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술한 대소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대소환은 상술한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과 다르게, 인체에 복용하는 것이다.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은 인체의 피부에 바르는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에 있어, 상기 대소환은, 수질, 불개미, 자충, 구인, 오공, 백반, 건칠피, 쌀뜨물, 새싹보리, 생지황, 구감초, 봉선자, 황기, 노니, 산사, 당귀, 백작약, 차가버섯, 인삼, 대황, 도인, 계심, 백출 및 용뇌를 포함하고, 이러한 다양한 한방 생약재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배합하고 이들을 초(炒) 또는 증(烝)하여 제품의 맛 등을 최적화함으로서 기능성과 기호성을 배가하여 제조되고, 환제, 정제, 캡슐제, 주사제, 파우치제, 드링크제, 음료 수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생약들은 개별적 전처리 후 전체를 적절한 배합 비율로 혼합 및 추출하여 제조하고, 상기 각 성분의 원료 함량은 수질 900~1,800 중량부, 건칠피 900~1,800 중량부, 백반 900~1,800 중량부, 법미 900~1,800 중량부, 새싹보리 900~1,800 중량부, 생지황 900~1,800 중량부, 구감초 600~1,200 중량부, 봉선자 600~1,200 중량부, 황기 600~1,200 중량부, 노니 600~1,200 중량부, 산사 600~1,200 중량부, 불개미 600~1,200 중량부, 당귀 600~1,200 중량부, 자충 600~1,200 중량부, 구인 450~900 중량부, 백작약 450~900 중량부, 차가버섯 450~500 중량부, 인삼 300~600 중량부, 대황 300~600 중량부, 도인 300~600 중량부, 계심 300~600 중량부, 백출 300~600 중량부, 오공 200~400 중량부, 용뇌 200~4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개별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질(水蛭)은 거머리과에 속하는 거머리(Hirudo nipponica Whitman)와 말거머리과에 속하는 말거머리(Whitmaniapigra Whitman)를 말린 것으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잡아 물에 담가 흙을 토하게 한 다음 석회나 알콜에 넣어 죽여서 말린다. 수질은 간경, 방광경에 작용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없애며 월경을 순조롭게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유산시키는 작용이 있고, 거머리에 들어 있는 히루딘 성분은 항응고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칠피는 마른 옻나무 껍질로서 식물성 약재 중 가장 강력한 어혈을 제거한다. 어혈을 삭히고 월경이 중단된 것, 산가증을 낫게 한다. 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회충을 없애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백반은 광물성의 명반석(明礬石, Alumen)을 가공처리한 결정체로 만든 약재로서 만성위장 질환과 위 및 십이지장 궤양에 환을 만들어 복용하면 치유되고 급성간염으로 몸이 붓고 노랗게 되며 소변을 잘 못 볼 때 효력을 나타낸다. 부인의 자궁탈수에 수축작용을 얻고 백대하에도 살균작용과 수렴작용으로 효과를 얻게 된다.또한 살균 작용은 피부의 건선과 옴, 임파선염 등에 효력을 나타낸다. 제해독, 굳은 것을 풀어주는 약제이다.
법미는 쌀을 씻은 물(쌀뜨물)을 말하며, 첨가되는 다른 성분들을 중화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법미는 쌀에 물을 붓고 30분 정도 불린 후 씻고 이를 3회 반복하여 씻은 것을 모아서 사용할 수 있다.
새싹보리는 보리에 싹을 틔워 약 10~15cm 정도 자란 어린 식물체를 의미한다. 새싹보리는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등의 무기성분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 비타민 B1 및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아 영양적으로도 우수한 식품원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항산화, 항염증, 항암기능을 가지는 사포나린(saponarin), 루토나린(lutonarin) 및 이소비텍신(isovitexin) 등의 기능성 이차 대사물질을 함유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소재로 그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 성분은 특히 건칠피 등의 생약재에 기인하는 독성을 완화하거나 중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생지황(Rehmannia glutinosa)은 현삼 과(Scrophulariaceae) 식물인 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sch)의 근경으로, 주성분으로는 카탈폴(Catalpol), 베르바스코스 만니톨(Verbascose mannitol), 글루코스(Glucose), 마니노트리오스(Maninotriose), 비타민 A(Vitamin A)를 포함하고 있다. 생지황은 성분이 차고 맛이 달며 독이 없고 모든 열을 풀어주고 피를 깨뜨리며, 신음을 보하고 정(精)과 혈을 북돋아 주며, 혈증(血症)을 다스리는데 쓰인다.
구감초는 불에 구워 약성(藥性)을 완화하고 약간 변화시킨 감초를 이르는 말로서, 감초를 구워서 쓰면 성질이 따뜻해진다. 비위를 보하고 기를 도우며, 심기부족으로 맥박이 고르지 않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을 보이는데 사용하며, 심음부족과 간울로 장조증, 신지실상, 히스테리 증상을 보이는데 이럴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데 쓴다(장조증은 울증, 히스테리에 해당함) 또한, 폐에 작용하여 담을 제거하고 기침을 멈추게 하고, 위장의 경련과 사지근육의 경련을 풀어주고 통증을 완화시키고 다른 약재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성분들을 중화시킨다.
봉선자는 급성자라고도 하고 봉선화의 씨로서 작용은 씨 달인 액은 자궁수축작용, 피임작용(배란억제, 산소수축 작용)이 있다. 응용은 동의치료에서는 씨를 독풀이, 월경불순에 쓴다. 또한 줄기를 투골초라하여 아픔멎이약, 염증약, 통경약으로 류마티즘, 타박상, 폐경에 쓴다. 민간에서는 봉선화가 활혈, 진통, 소종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습관성 관절통, 월경통, 임파선염, 독사에 물린데 등에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황기(Astragali Radix)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뿌리의 주피를 벗겨 건조한 것을 기원으로 한다. 황기는 한국, 중국 등 아시아 지역과 러시아, 불가리아 등 널리 유럽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한방에서는 황기건중탕, 황기계지오물탕, 십전대보탕, 방기황기탕, 보중익기탕 등 약 300 여종의 처방에 빈용되고 있는 중요한 약재이다. 주요성분은 이소플라보노이드와 트리터펜 사포닌이며, 그 외에도 카나바닌, 페놀 배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뇨작용, 혈압강하 작용, 기를 보하는 강장 작용,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 증강작용, 항염작용, 간과 비장의 alkaline RNase 활성감소 등의 효능이 보고되어 있다.
노니(Noni)는 한자로 격수(檄樹) 또는 해파극(海巴戟)이라 부르는데, 학명은 모린다 시트로폴리아(Morinda Citrifolia)로서 용담목 꼭두서니과 노니속 식물이다. 동남아 베트남, 동말레이시아와 남태평양, 하와이 타이티가 주산지인 과일이다. 말린 뒤 가루로 만들어 팔기도 하는데 이때는 냄새가 안 난다. 우리의 신체에 만성염증을 잡아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우리 신체 몸속에서 염증이 생기거나 조직이 손상될 경우에는 혈중 CRP 농도가 약간 상승되지만 CRP 수치가 05mg/dl 이하일 경우에는 정상적이며, 만성염증, 혈관위축, 혈관벽의 기능 저하가 없으며, 염증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산사는 산사나무의 열매로서 다양한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를 함유하여 혈관 및 심장기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한방에서 산후복통, 숙취, 건위, 소화불량, 만성설사에 처방된다.
불개미(Formica truncicola)는 불개미 속에 속하는 개미의 한 종으로 몸빛깔이 암적황색을 띠고 몸 전체에 연한 황색 털이 나있다. 불개미는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 등지의 썩은 나무나 흙, 돌 밑에서 서식하고, 살아있는 나무 아래에서는 살지 않는다. 불개미는 우리나라에서는 내륙에 널리 분포하고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개체수가 적어진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집개미와 불개미를 비롯한 1과 26속 60여 종의 개미가 살고 있다.
불개미는 동의학에서는 불개미(紅蟻)라고 불리며, 효능으로는 관절 통증, 심뇌혈관병, 호흡계통 기관지염, 비뇨계통, 소화계통, 신경계통, 폐결핵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뱀에 물린 경우와 상처가 아물지 않은 경우 주로 사용되어 온 중요한 약재이다.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당귀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당귀에는 주로 쿠마린(coumarin) 계통의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등이 함유되어 있다. 데커신과 데커시놀은 진정, 진통, 진경작용, 항종양작용, 뇌세포 보호작용 등이 있으며, 특히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이 있어 혈관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당귀가 빈혈증, 부인병, 임산부의 산후 회복에 주로 쓰이며 이외에도 심한 기침, 부스럼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당귀는 자궁을 튼튼하게 할 뿐 아니라 생리를 조절하여 어혈 등의 노폐물을 빼내는 역할을 하며 냉증, 혈색 불량 등을 개선시키며, 산전 산후의 회복에 도움이 되고, 피가 부족할 때 보혈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혈액 정화작용 및 장의 운동을 활발하게 해주므로 손발이 찬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한다.
자충은 별렴과의 땅속에서 사는 자충, 곧 지별(Eupolyphaga sinensis Walker)의 충체를 말린 것으로, 여름에 잡아서 끓는 물에 담그거나 소금물에 삶아내어 햇볕에 말린다. 자충은 심경, 간경, 비경에 작용하며, 어혈과 적을 없애고 경맥을 잘 통하게 하며 부러진 뼈를 이어주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인(蚓, Lumbricus)은 지렁이과(Mrgascilecidae) 동물인 지렁이 (Pheretima communisima Goto et Hatai)를 말린 것으로 비옥한 습지대의 땅속에 있는 지렁이를 봄부터 가을 사이에 잡아 배를 갈라 흙을 씻어내고 햇볕이나 건조실에서 말린 것이다. 구인은 열을 내리고 경련을 진정시키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며 독을 제거한다. 지렁이에는 용혈(溶血) 성분인 럼브리틴(lumbritin), 해열 성분인 럼브리페브린(lumbrifebrine), 기관지 평활근 이완 성분인 히포크산틴, 독성분 등이 들어 있으며 지속적인 혈압 강하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이 몹시 나면서 경련이 이는 데 주로 쓰며, 황달, 후두염, 배뇨 장애, 관절통, 반신불수, 기관지 천식, 고혈압증, 회충증에도 쓰인다.
백작약은 바구지과에 속하는 여러 해살이풀인 집함박꽃, 산함박꽃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가을에 뿌리를 캐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백작약은 간경, 비경, 폐경에 작용하며 혈을 보하고 통증과 땀을 멋게 하고 지혈하며 간화를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페오니플로린 성분은 진정작용, 진통작용, 진경작용, 해열작용, 소염작용, 항궤양작용 혈압강하작용, 관상 혈관확장작용을 나타내고, 페오놀 성분은 진정작용, 해열작용, 진통작용, 진경작용, 소염작용, 지혈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북방 고위도 시베리아 지역의 자작나무에 기생하여 자라는 버섯으로 이를 차와 커피처럼 달여 먹는 원주민들에게는 위장암 환자와 당뇨 환자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고, 차가버섯 추출물의 활성 성분은 다당류, 플라보노이드, 토리텔페노이드, 이노시톨, 차가산, 알칼로이드로 밝혀 졌으며 주로 위장의 항궤양 작용, 항종양 활성, 혈당강하 및 SOD 활성을 높게 나타낸다.
인삼(人蔘, Panax ginseng)은 오가피과 인삼속 식물로서 그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며, 몸이 마르지 않게 하고, 혈이 생기게 하는 작용을 한다.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이 달며, 약간 쓰고, 독이 없다. 중추신경계, 면역증강, 심혈관계질환, 내분비계, 항 노화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생약제이다. 특히 심혈관계질환에 있어서, 인삼은 강심작용, 심근허혈 작용, 혈관 및 혈압에 미치는 작용, 혈액 및 조혈계통에 미치는 작용 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황(Rheum palmatum Linne)은 여뀌과(Polygon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효능은 체내에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열을 내리므로 피부반진·변비·혈압 상승을 치료하고 안구 충혈과 동통을 치료한다. 이질 초기증상에도 쓰이며, 열로 인한 토혈·코피·급성황달에도 유효하고, 피부의 종기가 발열·동통·발적이 심한 증상, 그리고 탕화상 등에 널리 활용된다. 뿐만 아니라, 겨울에 많이 발생하는 동상에 가루를 내어 환처에 바르면 소염작용이 탁월하여 상처가 쉽게 치유된다.
도인(생약명: Persicae semen, 학명: Prunus persica (L) Batsch)은 복숭아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활혈거어(活血祛瘀), 윤장통변(潤腸通便)의 효능이 있어 대부분의 어혈조체(瘀血阻滯)로 인한 증상에 응용할 수 있다.
계심(Cinnamomum cassia)은 녹나무과 계수나무의 건조한 것으로, 계수나무는 약으로 쓰는 부분에 따라 계피(桂皮), 계심(桂心), 육계(肉桂), 계지(桂枝: 계수나무 가지), 유계(柳桂:계수나무 어린가지)로 나누는데 그 중 계심은 계수나무 껍질의 외부는 모두 긁어내고 속 부분만 사용을 하는 약재이다. 계심에는 보양활혈(補陽活血)의 효능, 심통을 다스리고, 어혈을 고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출은 삽주 뿌리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백출의 약효 성분으로는 아트락틸론(atractylonen)을 주성분으로 하는 정유, 카로틴, 이눌린, 비타민, 보르네올 등이다. 삽주는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 것으로 이름난 약초로서, 삽주 뿌리를 가루내어 먹거나 오래 달여 고를 만들어 꾸준히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온갖 병이 사라져 장수하게 된다고 향약집성방 등에 기록되어 있다. 삽주 뿌리는 뱃속을 따뜻하게 하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며 밥맛을 좋게하고 태아를 안정시키며 설사를 멎게 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등의 다양한 약리 작용을 한다. 백출의 효능으로는 소화 효소의 분비촉진과 지속적인 이뇨효과 및 진정작용이 있으며, 건위, 소화 작용이 있어서 만성소화 불량, 장염, 설사 등과 식욕증진에도 탁월하다. 특히 병후에 식욕이 없고 전신이 쇠약하며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에게 유효하고, 이뇨작용도 있어 신장염으로 부종이 있는 데나 임신부의 부종에도 많이 쓰인다.
오공(蜈蚣,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은 왕지네과에 속한 동물인 왕지네의 충체를 건조한 것으로, 이의 약리로서 항경련작용,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 항균작용, 항혈액응고 작용, 항암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뇌는 용뇌수(Dryobalanops aromatica Gaertner)의 진 또는 줄기나 가지를 잘라서 수증기를 증류하여 얻은 액을 식힐 때 생긴 덩어리를 모아 그늘에서 말린 것으로, 심경, 폐경, 비경에 작용을 한다. 용뇌는 정신을 맑게 하고 열을 내리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멎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는 쑥뜸 부위에 발광다이오드, 램프, 레이저를 구비한 적외선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근원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조사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방출하는데, 이러한 전자파에 의한 각종 피해를 사전에 방출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정예에 있어, 적외선 조사장치 사용시 인체에 유해한 유해파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적외선 조사장치의 유해파 차단수단을 접지해야만 유해파 차단수단으로 포집되는 유해파를 그라운드(Ground)시킬수 있다.
예컨대, 유해파를 차단하기 위한 유해파 차단 장치는 적외선 조사장치로 급전되는 전원선 중에서 접지된 전원선의 유무 및 어느 전원선이 접지된 전원선 인가를 검출하는 접지선 검출수단과; 적외선 조사장치 내부의 접지선을 상기 검출된 접지 전원선에 연결해주기 위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접지선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입력 받아 접지 전원선을 판별하고, 이 판별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 하여금 기기 내부의 접지선을 검출된 접지 전원선에 연결해 주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접지선 검출수단은 입력 전원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절연트렌스를 통한 DC 전원부의(-)측과 입력전원선(A,B)중 전원선(A)의 접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1 접지선 검출부와, 전원선(B)의 접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2 접지선 검출부와;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서; 접촉 체난기로서 발열체 및 조절기를 가지는 적외선 조사장치의 접지선으로서 유해파 차단망과 상기 전원선(A)를 연결해주는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유해파 차단망과 상기 전원선(B)을 연결해주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접지선 검출부 및 제2 접지선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입력받아 두 입력신호의 하이 또는 로우레벨에 따른 접지전원선 판별을 수행하고, 이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 또는 제2 스위칭부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하기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제조
상측에 삽입홈이 구비되고, 외부와 공기 유통이 부분적으로 단절된 구조로서, 외부와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 내부로 상술한 영양분말을 로딩하는 이송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뜸기구를 마련하였다.
상기 내부공간으로 영양분말을 로딩한 후, 상기 삽입홈에 봉형태로 성형된 쑥뜸재료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상기 쑥뜸재료의 상부를 불로 태웠다.
이후, 상기 쑥뜸재료가 태워져 생성된 공기보다 무거운 연기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동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무거운 쑥뜸 연기는 대류현상에 의해 응축되었다. 이에 따라, 응축되어 얻어진 쑥진액을 상기 영양분말에 서서히 도포시킴으로써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영양분말 반죽을 포함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을 상술한 제2 제품용기(200)에 넣고 포장하였다.
상기 제조과정 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쑥뜸재료의 개수, 횟수를 공정변수로 함으로써,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의 조성을 하기 하기 표 1과 같이 하였다. 이때,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의 조성은 상기 영양분말을 로딩하기 전 후 중량 변화를 체크하여 계산하였다.
쑥진액 영양분말 쑥진액:영양분말
백반 녹두 구연산
제조예 1 100 150 100 80 50 100:26
제조예 2 100 100 120 90 70 100:26
제조예 3 100 50 130 100 80 100:28
상기 표 1에서 단위는 중량부이다.
실시예 4: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각각의 동물성 생약재(수질 1,200g, 건칠피 1,200g, 백반 1,200g, 법미 1,200g, 새싹보리 1,200g, 생지황 1,200g, 구감초 900g, 봉선자 900g, 황기 900g, 노니 900g, 산사 900g, 불개미 900g, 당귀 900g, 자충 900g, 구인 700g, 백작약 700g, 차가버섯 700g, 인삼 500g, 대황 500g, 도인 500g, 계심 500g, 백출 500g, 오공 300g, 용뇌 300g)의 한방 생약재를 골고루 혼합하여 자연 건조시킨 다음, 150 메쉬의 입도로 분쇄하고 분쇄된 생약재를 교반하에 80℃의 온도에서 5분 동안 초(炒)한 다음, 다음 실온에 방치하여 건조시켰다. 법미는 쌀 500g에 물 500g을 붓고 30분 정도 불린 후 씻고 이를 3회 반복하여 씻은 것을 모아서 1200g을 사용하였다.
건조된 생약재를 모두 혼합한 후 혼합물에 정제수 300리터를 가하여 0.4 기압, 83℃의 온도에서 80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종이 여과지로 걸러서 여액을 수집하고, 남은 고형분에 300리터의 정제수를 가하여 0.7기압, 85℃의 온도에서 80시간 동안 2차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종이 여과지로 거르고 여액들을 합한 후 83℃의 온도에서 -0.06 MPA의 감압하에서 5시간 동안 농축하였다. 고형분의 brix는 60이었다. 이어서, 농축물을 진공하에서 6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저온에서 건조한 후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 임상실험
실험대상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과,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혈행 개선용 제제를 시술하였다. 시술받은 126명 중 결과가 확인된 116명을 선정하였다.
피실험자의 연령으로는 20대는 10명, 30대는 27명, 40대는 59명, 50대는 13명, 60대는 17명이었고, 성별로는 남자 51명, 여자 75명이었다. 피실험자의 직업으로는 가정주부는 53명, 공무원: 28명, 운전기사: 17명, 회사원 15명, 무직 9명, 기타 4명이었다.
상세하게, 피실험자들에게 아픈 곳이나 경혈을 소독 솜으로 닦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도포하였다.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이 도포된 부위에 쑥뜸기(400)을 위치시켰다. 이후, 제1 제품용기(100)에서 봉형상의 쑥뜸재료를 쑥뜸기(400)의 끼움공에 결합시키고 쑥뜸재료를 태움으로써, 쑥뜸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쑥뜸기(400)를 제거한 후, 쑥뜸 부위에 발광다이오드, 램프, 레이저를 구비한 적외선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근원적외선을 조사하였다. 여기서, 근원적외선은 0.7 내지 1000㎛ 파장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피크를 가지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콩이 근원적외선을 잘 흡수하도록 2.5 내지 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 피크를 가지고, 4 내지 5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 피크를 가지고, 7 내지 8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 피크를 가지며, 11 내지 13 ㎛ 파장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 피크를 가질 수 있다.
이후, 동일한 피실험자들에게 아픈 곳이나 경혈을 소독 솜으로 닦고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도포하고, 상기 근원적외선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동일한 피실험자들에게 아픈 곳이나 경혈을 소독 솜으로 닦고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도포하고, 상기 근원적외선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피실험자들에게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혈행 개선용 제제인 상술한 제3 제품용기(300)에 담긴 대소환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실험예에 따른 임상 실험결과를 하기 표 2에 수록하였다.
환자수 증상소실 호전 미확인
고혈압 25 5 17 3
혈액순환장애 28 8 18 2
고지혈증 23 5 17 1
신경쇠약 24 8 15 1
편두통 24 10 13 1
뇌혈전증 16 3 10 3
협심증 20 5 15 5
치매 10 0 5 5
단, 상기 표 2에서 환자 1명당 복수의 질병을 가질 수 있음표 2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를 사용함에 따라, 고혈압 환자는 전체 25명 중 5명이 고혈압 증상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상세하게, 혈압이 180/100mmHg로 고혈압을 앓고 있는 55세 남자(공무원)에 대하여 내관 심수 격수 백회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하여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도포한 후 근원적외선을 조사하고,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혈행 개선용 제제를 복용 하였더니, 3일 후 130/92mmHg로 혈압이 하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개월 이후에는 120~130/80~88mmHg로 증상이 호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예로서, 눈 옆 관자놀이(태양혈)가 아프고 머리 왼쪽이 아프면서 혈압은 130/85mmHg으로 변비와 피로 및 불면증을 호소하는 46세 가정주부의 경우 편두통으로 진단되어 족임읍과 협계 흉쇄유돌근 하부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을 도포한 후 근원적외선을 조사하였고, 환자에게 잠을 충분히 자고 과로를 금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5일 후에 증상이 호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혈액순환 장애, 고지혈증, 신경쇠약 등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가정주부, 공무원, 운전기사, 회사원 등의 직업을 가지고 있어서 직업군이 다양하였다. 혈액순환 장애, 고지혈증, 신경쇠약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모세혈관 모양을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임상 실험전 대부분의 환자에서 모세혈관은 명확하게 보이지 않았으며, 꼬여있는 상태의 비정상적인 모세혈관의 형태를 보여주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상적인 모세혈관은 통상적으로 1mm 크기 내에 7~9개의 모세혈관이 관찰되어야 하나 환자들의 모세혈관 개수는 3~4개로 현저히 적었으며, 또한 정상적인 모세혈관의 형상은 적정 직경을 유지하면서 주위 모세혈관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어야 하나, 환자들의 모세혈관 형상은 단독으로 꼬여 있거나 주위 혈관과 뭉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왜곡현상이라 함). 그리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하여 제조된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을 도포한 후 근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과정과,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혈행 개선용 제제를 복용하는 것을 하루에 한번씩 6주간 실시하였더니, 모세혈관의 왜곡현상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혈행이 개선되고 모세혈관의 활성이 증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 수납기재
100 : 제1 제품용기
200 : 제2 제품용기
300 : 제3 제품용기
400 : 쑥뜸기
410 : 상부몸체
420 : 하부몸체
421 : 격판
422 : 중공몸체
423 : 거치부
424 : 헤드부
425 : 쑥뜸재료 안착부재
426 : 환기공
427 : 통기공
428 : 제1 와류유도공
429 : 제1 와류유도공
430 : 지지구

Claims (4)

  1. 쑥뜸재료가 담긴 제1 제품용기;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이 담긴 제2 제품용기;
    대소환이 담긴 제3 제품용기;
    쑥뜸기; 및
    상기 제1, 제2, 제3 제품용기 및 상기 쑥뜸기가 상호 독립적으로 수납되는 수납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쑥뜸기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상광하협 형상의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고,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하광상협 형상의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는, 그 상단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공간과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격판;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고 하단에 내향 굴곡된 거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쑥뜸재료를 지지하는 중공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중공몸체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 연장되어 육각형상으로 마련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쑥뜸재료 안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격판을 관통하며 상기 관통홀 사이에 형성되어 불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환기공; 및
    상기 환기공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부 공기를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로 유통시켜 내부 균압을 유지시키는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쑥뜸재료 안착부재로부터 하강하는 응축가스를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몸체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외주연에 접선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제2 와류유도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은,
    근원적외선을 흡수하는 콩, 백반, 녹두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영양분말; 및
    쑥뜸재료를 태워서 얻어지되 공기보다 무거운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쑥진액;을 포함하고,
    상기 영양분말 및 상기 쑥진액이 혼합된 영양분말 반죽에 근원적외선이 조사됨으로써 동맥경화를 예방 및 치료하거나 혈행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KR1020190138318A 2019-11-01 2019-11-01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KR10210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318A KR102109957B1 (ko) 2019-11-01 2019-11-01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318A KR102109957B1 (ko) 2019-11-01 2019-11-01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957B1 true KR102109957B1 (ko) 2020-05-12

Family

ID=7067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318A KR102109957B1 (ko) 2019-11-01 2019-11-01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9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532A (ja) * 2000-04-10 2001-10-16 Kamaya Mogusa:Kk 温熱滋養灸
KR200399747Y1 (ko) * 2005-08-16 2005-10-26 호 김 쑥뜸기
KR100538927B1 (ko) * 2005-06-17 2005-12-26 김명식 간접 쑥뜸기
KR20060042438A (ko) * 2004-11-09 2006-05-15 김인석 다목적 쑥뜸장치
KR20180037743A (ko) 2016-10-05 2018-04-13 이미향 원적외선 뜸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532A (ja) * 2000-04-10 2001-10-16 Kamaya Mogusa:Kk 温熱滋養灸
KR20060042438A (ko) * 2004-11-09 2006-05-15 김인석 다목적 쑥뜸장치
KR100538927B1 (ko) * 2005-06-17 2005-12-26 김명식 간접 쑥뜸기
KR200399747Y1 (ko) * 2005-08-16 2005-10-26 호 김 쑥뜸기
KR20180037743A (ko) 2016-10-05 2018-04-13 이미향 원적외선 뜸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1234B (zh) 一种治疗骨伤疾病的中药组合物
CN104855738A (zh) 一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079533B (zh) 一种用于降血糖的茶饮品及其制备方法
CN104127813A (zh) 一种治疗气血两虚型褥疮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09957B1 (ko)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쑥뜸 세트
KR20010067023A (ko) 골다공증, 관절통, 관절염 치료제 및 그 제조 방법
CN105012769A (zh) 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及中药组合物的制备方法
CN102526312B (zh) 一种治疗跟痛症的药物组合物
KR102127706B1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CN104605372A (zh) 一种基于恶性肿瘤放疗患者的营养药膳及制备方法
CN106727967A (zh) 红豆杉足浴粉及制备方法
CN105267467A (zh) 一种治疗烧伤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KR20210052840A (ko) 혈행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620943A (zh) 一种艾灸用的葛艾姜膜制品及其制备工艺
KR102127726B1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10193481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CN108904438A (zh) 一种复方苦豆子油膏
CN105343343A (zh) 一种治疗关节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5596980A (zh) 一种治疗心绞痛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5055840A (zh) 治疗心律失常的药剂及其制备方法
CN105311485A (zh) 一种防治放化疗毒副作用反应的口服液制备方法
CN101987133B (zh) 一种治疗荨麻疹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240063627A (ko) 백출을 이용한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14984147A (zh) 一种温里散寒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