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473A - 뜸 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뜸 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9473A KR20110059473A KR1020090116219A KR20090116219A KR20110059473A KR 20110059473 A KR20110059473 A KR 20110059473A KR 1020090116219 A KR1020090116219 A KR 1020090116219A KR 20090116219 A KR20090116219 A KR 20090116219A KR 20110059473 A KR20110059473 A KR 201100594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ugwort
- moxa
- powder
- grain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 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된 쑥 분말과 곡물 분말을 성형기에서 열 압축으로 고착화시켜 제조한 뜸 쑥을 사용하여 쑥 뜸을 함으로써, 쑥이 탈 때 발생하는 강한 매운 향이 곡물에서 발산하는 부드러운 향에 의해 중화되므로 인해 누구나 거부감 없이 뛰어난 쑥의 효능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쑥에 다른 물질이 혼합되지 않으므로 인해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그리고 쑥 뜸을 할 때 쑥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갈색의 타르성 물질인 가테고르가 피부조직 깊숙이 침투하여 약리작용을 일으켜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다.
쑥 분말, 곡물 분말, 쑥 뜸, 향, 성형, 연소로.
Description
본 발명은 뜸 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된 쑥 분말과 곡물 분말을 성형기에서 열 압축으로 고착화시켜 제조한 뜸 쑥을 사용하여 쑥 뜸을 함으로써, 쑥이 탈 때 발생하는 강한 매운 향이 곡물에서 발산하는 부드러운 향에 의해 중화되므로 인해 누구나 거부감 없이 뛰어난 쑥의 효능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성인병이 있거나 기가 약할 경우 따뜻한 성질이 있는 쑥을 사용하여 뜸을 뜨거나 부항을 뜸으로서 몸속으로 흐르는 기혈과 경맥을 따뜻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향상시켜 몸의 상태를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많이들 사용하고 있지만 뜸 쑥을 가공하여 고착화시키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출원된 뜸 쑥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5065호(2003. 3. 9)에는 쑥 뜸이 탈 때 심한 쑥향의 연기로 인해 눈이 매운 것을 완화시키기 위해 쑥 줄기로부터 분리한 쑥잎을 고온의 압력 찜통에서 장시간 찌기를 수회 반복하여 쑥의 강한 냄새를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 매운 뜸쑥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뜸쑥의 경우 고온 압력 찜통에서 반복적으로 쪄 가공함으로 인해 쑥의 강한 향은 완화시킬 수 있지만 사용시 쑥의 약효가 손실될 뿐만 아니라 쑥 뜸의 가공시간은 물론 에너지의 소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78682호(1999.11. 5)에는 쑥 분말 또는 쑥 섬유질에 물과 전분이 함유된 풀을 첨가하여 배합한 쑥을 금형에서 성형하여 자연건조 또는 70~100℃에서 건조시키는 쑥 뜸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제조된 쑥 뜸의 경우 쑥 분말에 물과 전분 풀을 혼합하여 뜸 쑥을 제조하므로 인해 자연건조시 쑥 뜸의 고착력의 저하로 쑥이 탈락할 우려가 있고 그리고 열 건조시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쑥을 고착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물이나 접착 풀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분쇄된 쑥 분말과 곡물 분말을 성형기에서 열 압축으로 고착화시켜 제조한 뜸 쑥을 사용하여 쑥 뜸을 함으로써, 쑥 뜸시 쑥에서 발산하는 강한 매운 향이 곡물에서 발산하는 부드러운 향에 의해 중화되므로 인해 쑥 뜸을 할 때 누구나 거부감 없이 쑥의 효능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쑥 분말을 열이 가해지는 금형에 의해 압축 성형할 때 쑥에서 발생하는 진액으로 인해 쑥이 고착화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쑥에 다른 물질을 혼합하지 않아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그리고 뜸을 뜰 때 뜸 쑥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갈색의 타르성 물질인 가테고르가 피부조직 깊숙이 침투하여 약리작용을 일으켜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뜸 쑥에 있어서,
상기 쑥은 0.001~2.0mm 크기로 분쇄한 쑥 분말을 50~300℃의 성형기에서 압축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뜸 쑥은 뜸 쑥의 상부나 하부 또는 그 양쪽에 쑥 분말 100 중량부에 곡물 분말 5~40 중량부를 고착시키거나 쑥 분말 100 중량부에 곡물 분말 5~40 중량부를 혼합하거나 또는 표면에 곡물분말 60~90 중량%에 정제수 10~40 중량%를 혼합하여 도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뜸 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쑥을 건조시키는 쑥건조 단계와;
2) 상기 건조된 쑥을 분쇄기로 0.001~2.0m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와;
3) 상기 분쇄한 쑥을 성형 형틀에 넣고 열을 가한 후 뜸 쑥을 성형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의 제조방법을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뜸 쑥의 제조방법은 상기 3)단계에서 쑥은 50~300℃의 온도에서 100~500kg/㎠의 압력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3)단계에서 상기 뜸 쑥은 뜸 쑥의 상부나 하부 또는 이들의 양쪽에 곡물 분말을 고착화시키거나 쑥 분말에 곡물 분말을 혼합하거나 또는 표면에 곡물을 도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쇄된 쑥 분말과 곡물 분말을 성형기에서 열 압축으로 고착화시켜 제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쑥에 다른 물질이 혼합되지 않아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그리고 쑥 뜸을 할 때 쑥의 강한 매운 향을 곡물의 부드러운 향으로 중화시키므로 인해 쑥 뜸을 할 때 누구나 거부감 없이 뜸을 뜰 수 있으면서 쑥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갈색의 타르성 물질인 가테고르가 피부조직 깊숙이 침투하여 약리작용을 일으켜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뜸 쑥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뜸 쑥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뜸 쑥의 표면에 곡물이 고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은 뜸 쑥(100)에 있어서,
상기 뜸 쑥(10)은 0.001~2.0mm 크기로 분쇄한 분말 쑥을 50~300℃의 성형기에서 압축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뜸 쑥으로 사용하는 쑥잎의 특징을 살펴보면, 쑥은 그 성질이 따뜻하고 항암작용을 하는 엽록소와 다량의 정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정유의 주성분은 치네올을 약 50% 함유하고 그 외에 츄온, 세스키테루펜알코올, 아데닌, 콜린, 칼슘, 철분, 비타민 A,C가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기가 약하거나 성인병 등이 있는 경우 뜸을 뜰 때 뜸쑥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갈색의 타르성 물질 중의 하나인 가테고르가 약리작용을 일으키고, 그리고 리그닌의 열분해에 의해 포도상 구균, 대장균, 녹농간균 등을 억제시켜 면역능력을 강화시키고 혈액소를 증가시키며 진통, 지혈작용 등을 향상시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뜸 쑥(100)은 쑥(10)의 하단부를 절단하고 줄기를 제거한 다음 남은 쑥잎을 수거하여 건조 판에 널어 자연건조시킨 쑥을 0.001~2.0mm 크기로 분쇄한 다음 성형기에서 압축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분쇄시 쑥의 입자가 0.001mm 미만일 경우에는 성형시 쑥이 충분히 엉키지 않아 성형기로부터 탈기될 때 쑥이 부스러질 우려가 있고, 분쇄시 쑥의 입자가 2.0mm 초과할 경우에는 성형시 쑥 점액의 유출량에 반해 쑥 입자가 크 뜸 쑥의 고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뜸 쑥(100)을 성형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보 면, 먼저 분쇄된 쑥 분말을 도 2a에 도시된 하형(20)에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22)에 넣고 히터(24)에 의해 50~300℃로 열을 가한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32)가 형성되어 있는 상형(30)을 압착하여 뜸 쑥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뜸 쑥(10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쑥(10)의 중심부에 홀(14)이 형성되어 질 수도 있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쑥(10)의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과 같이 그 형태는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뜸 쑥을 성형시 가열온도가 50℃ 미만이 될 경우에는 쑥 분말에 함유된 점액의 배출량 저하로 성형시 쑥 분말이 충분히 엉키지 않아 쑥 뜸을 할 때 사용시간이 짧아질 우려가 있고, 뜸 쑥을 성형시 가열온도가 3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쑥 분말에 함유된 점액은 충분히 배출되어 뜸 쑥의 고착력은 향상되지만 고온으로 인해 뜸 쑥의 색상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은 뜸 쑥(100)을 성형시 하형(20)에 구성되어 있는 캐비티(22)의 상부 또는 하부나 이들의 양쪽에 쑥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곡물 분말 5~40 중량부를 배치하여 뜸 쑥을 성형할 수 있는데 적합하게는 상부와 하부의 양쪽에 곡물 분말을 배치할 경우에는 곡물 분말을 각각 동일하게 2.5~20 중량부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곡물(12)은 쑥 뜸시 발산하는 쑥(10)의 강한 매운 향을 중화시켜 쑥뜸을 할 때 누구나 거부감 없이 뜸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곡물을 적용하는 방법은 하형(20)에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22)의 하부에 곡물 분말을 깔고 그 상부에 쑥 분말을 넣고 상부에 곡물 분말을 덮어 상형(30)을 압착하여 뜸 쑥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곡물을 배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쑥 뜸의 상부나 하부를 적절히 선택하여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쑥이 연소시에 발생하는 쑥의 강한 매운 향이 곡물의 향에 의해 중화될 수 있도록 쑥 분말 100 중량부에 곡물 분말 5~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곡물 분말의 사용량은 쑥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쑥 분말의 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곡물 분말의 사용량 부족으로 쑥 뜸시 쑥 고유의 향이 충분히 중화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곡물 분말의 혼합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혼합량의 과다로 쑥 향은 충분히 중화시킬 수 있지만 혼합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그리고 상기의 곡물 분말의 입자의 크기는 상기 쑥 분말 입자의 크기 이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쑥 분말을 성형한 뜸 쑥의 외측면에 곡물분말 60~90 중량%와 정제수 10~40 중량%를 혼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물 분말이 60 중량% 미만이 되거나 정제수가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곡물 분말 혼합량에 비해 정제수의 혼합량 과다로 혼합물이 너무 묽어 곡물 분말이 충분히 도포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곡물 분말이 90 중량%를 초과하거나 정제수가 10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정제수 혼합량에 비해 곡물 분말의 혼합량 과다로 혼합물이 너무 데어 도포에 어려움이 우려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곡물은 쌀, 녹두, 현미, 깨, 밀, 보리, 들깨, 콩, 메밀,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곡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성형기에 의해 성형되는 뜸 쑥(100)을 연소로에서 탄화시켜 무연 뜸 쑥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소로에서 뜸 쑥을 탄화시킬 경우 뜸 쑥이 빠르게 연소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은 연소로 내부에 점화 불꽃이 완전히 번질 시점에 공기의 유 입을 차단하여 뜸 쑥을 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탄화시킨 무연 뜸 쑥을 사용하여 쑥 뜸을 할 경우 매연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발열과 쑥 뜸 효과가 좋아지는 장점이 있으므로 인해 쑥 고유의 냄새로 쑥 뜸을 기피하는 사람들도 불편없이 쑥 뜸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뜸 쑥(100)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뜸 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쑥을 건조시키는 쑥건조 단계와;
2) 상기 건조된 쑥을 분쇄기로 0.001~2.0m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와;
3) 상기 분쇄한 쑥 분말을 성형 형틀에 넣고 열을 가한 후 뜸 쑥을 성형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건조단계는 주재료인 쑥의 하단부를 절단하여 수거한 후 줄기를 제거한 다음 남은 쑥잎을 건조 판에 널어 수분함량이 1.0~5.0%되게 쑥을 자연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수분함량이 1.0% 미만이 될 경우에는 쑥이 너무 건조되어 수거할 때 쑥이 부스러져 손실률이 높아질 우려가 있고, 건조시 수분함량이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쑥이 건조가 덜되어 수분의 과다로 성형시 뜸 쑥의 고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쑥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합하게는 참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분쇄단계는 건조된 쑥을 분쇄기로 0.001~2.0mm 크기로 분쇄하여 분말화 시키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분쇄시 쑥의 입자가 0.001mm 미만일 경우에는 성형시 쑥이 충분히 엉키지 않아 성형기로부터 탈기될 때 쑥이 부스러질 우려가 있고, 분쇄시 쑥의 입자가 2.0mm 초과할 경우에는 성형시 쑥 점액의 유출량에 반해 쑥 입자가 크 뜸 쑥의 고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성형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라 분쇄된 쑥 분말을 먼저 하형(20)에 형성된 캐비티(22)에 넣고, 히터(24)를 가열하여 50~300℃의 온도로 열을 가한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32)가 형성된 상형(30)을 100~500kg/㎠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뜸 쑥(100)을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성형할 때 적용되는 온도 및 압력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금형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뜸 쑥(100)의 성형방법은 먼저 쑥을 성형하기 전에 금형형틀의 하형(20)에 형성되는 캐비티(22)에 쑥 분말을 투입하고 히터(24)에 의해 열을 가하면 쑥 분말에 함유된 점액이 배출되어 생성되는 점착력으로 인해 쑥 분말 간에 서로 엉키게 되고 이때 열이 가해진 상형(30)을 압착하면 성형시 점액에 의해 쑥 분말이 고착되어 뜸 쑥을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뜸 쑥(100) 의 형태는 도 1a와 같이 상형(30)에 형성되는 코어(32)에 의해 중심부에 홀(14)이 형성되는 형태로 제조하거나 또는 도 1b와 같이 뜸 쑥의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지 않게 제조될 수 있지만 이는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변형하여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뜸 쑥(100)을 성형시 가열온도와 압력이 상기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쑥 분말에 함유된 점액의 배출량 저하로 쑥 분말이 충분히 엉키지 않아 뜸 쑥의 고착력 저하로 쑥 뜸을 할 때 사용시간이 짧아질 우려가 있고, 뜸 쑥을 성형시 가열온도와 압력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쑥 분말에 함유된 점액은 충분히 배출되어 뜸 쑥의 고착력은 향상될 수 있지만 그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미약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뜸 쑥(100)에 곡물을 고착화시키는 방법은 먼저 성형기의 하형(20)에 형성되는 캐비티(22)에 곡물 분말을 깔고, 그 상부에 쑥 분말을 넣고, 쑥 분말의 상부에 곡물 분말을 덮어 상형(30)으로 압축 성형함으로써,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뜸 쑥(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곡물 층이 형성되지만 이와 같이 형성되는 곡물 층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뜸 쑥의 상부 또는 하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쑥 분말에 곡물 분말을 혼합하여 성형하 거나 또는 성형기에 의해 압축 성형된 뜸 쑥(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곡물(12)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곡물의 혼합량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미 상기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성형기에 의해 압축 성형한 뜸 쑥을 연소로(미도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연소로를 착화시켜 상기 뜸 쑥이 탄화되면 이때 개폐문을 밀봉하여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탄화된 뜸 쑥은 더 이상 연소가 되지 않고 숯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숯으로 이루어진 무연 뜸 쑥을 사용하여 쑥뜸을 할 경우 연소시 매연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면서 발열과 쑥뜸효과가 좋은 장점이 있으면서 쑥 고유의 냄새로 인해 쑥뜸을 기피하는 사람들도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뜸 쑥을 탄화시키는 연소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구성은 반드시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뜸 쑥의 제조
(실시예 1)
성형기의 하형에 형성된 캐비티의 바닥면에 0.1~1.0mm의 흰콩 분말 15g을 골고루 깔고, 그 상부에 0.1~1.0mm 크기의 쑥 분말 150g 넣고, 상기 쑥 분말 상부에 0.1~1.0mm의 흰콩 분말 15g을 골고루 덮은 다음 150℃의 온도로 열을 가한 후 코어가 형성된 상형을 120kg/㎠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뜸 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0.1~1.0mm의 쑥 분말 150g과 0.1~1.0mm의 흰콩 분말 30g을 혼합한 다음 성형기의 하형에 형성된 캐비티에 넣고 150℃의 온도로 열을 가한 후 코어가 형성된 상형을 120kg/㎠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뜸 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성형기의 하형에 형성된 캐비티에 0.1~1.0mm의 쑥 분말을 150g 넣고, 150℃의 온도로 열을 가한 후 코어가 형성된 상형을 120kg/㎠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뜸 쑥을 성형한 다음 뜸 쑥의 상부와 하부에 0.1~1.0mm의 흰콩 분말 80 중량%에 정제수 20 중량%를 혼합하여 1mm 두께로 도포하여 쑥 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성형기의 하형에 형성된 캐비티의 바닥면에 0.1~1.0mm의 흰콩 분말 3g을 골고루 깔고, 그 상부에 0.1~1.0mm의 쑥 분말을 150g 넣고, 상기 쑥 분말 상부에 0.1~1.0mm의 흰콩 분말 3g을 골고루 덮은 다음 150℃의 온도로 열을 가한 후 코어 가 형성된 상형을 120kg/㎠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뜸 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0.1~1.0mm의 쑥 분말 150g과 0.1~1.0mm의 흰콩 분말 6g을 혼합한 다음 성형기의 하형에 형성된 캐비티에 넣고 150℃의 온도로 열을 가한 후 코어가 형성된 상형을 120kg/㎠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뜸 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성형기의 하형에 형성된 캐비티에 0.1~1.0mm의 쑥 분말 150g 넣고, 150℃의 온도로 열을 가한 후 코어가 형성된 상형을 120kg/㎠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뜸 쑥을 성형한 다음 뜸 쑥의 상부와 하부에 0.1~1.0mm의 흰콩 분말 20 중량%에 정제수 80 중량%를 혼합하여 0.3mm 두께로 도포하여 쑥 뜸을 제조하였다.
2. 평가방법
상기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뜸 쑥을 쑥뜸기를 이용하여 몸이 허약한 성인 중에서 남자 6명과 여자 6명을 선정하여 일정한 공간에서 쑥뜸을 실시한 다음 30분, 60분, 90분, 120분 간격으로 발산되는 쑥 향에 대한 관능적 평가를 하였으며, 평가기준은 쑥의 향이 매우 강하게 느껴질 경우 1점, 쑥의 향이 강하게 느껴질 경우 2점, 쑥의 향이 약간 강하게 느껴질 경우 3점, 쑥의 향이 약간 느껴지는 경우 4 점, 쑥의 향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 경우 5점으로 평가하여 평가된 점수를 합산한 다음 8로 나눈 정수값으로 표현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1 | 2 | 3 | ||
쑥향 |
30분 | 4 | 4 | 4 | 2 | 2 | 2 |
60분 | 5 | 5 | 4 | 2 | 2 | 2 | |
90분 | 5 | 5 | 4 | 3 | 3 | 2 | |
120분 | 5 | 5 | 5 | 4 | 4 | 3 |
상기 [표 1]의 내용에 의하면, 쑥뜸기를 이용하여 찜질을 할 때 쑥향에 대한 평가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쑥과 흰콩의 적합한 배합으로 인해 흰콩의 부드러운 향에 의해 쑥의 강한 매운 향이 중화되어 찜질을 할 때 처음 30분 동안은 쑥의 향이 약간 느껴지지만 그 후 90분 동안은 쑥의 향이 거의 느껴지지 않고, 실시예 3의 경우에는 뜸 쑥의 상부와 하부에 단순히 정제수에 흰콩을 혼합하여 도포함으로 인해 처음 60분 동안은 쑥의 향이 약간 느껴지지만 그 후 60분 동안은 쑥의 향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쑥의 혼합량에 반해 흰콩의 혼합량 부족으로 강한 쑥의 매운 향이 잘 중화되지 않아 찜질을 할 때 처음 60분 동안은 쑥의 매운 향이 강하게 느껴지고 그 후 30분 동안은 쑥의 향이 약간 강하게 느껴졌으며, 그리고 또 그 후 30분 동안은 쑥의 향이 약간 느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뜸 쑥의 상부와 하부에 단순히 정제수에 흰콩을 혼합하여 소량 도포함으로 인해 처음 90분 동안은 쑥의 향이 강하게 느껴졌고 그 후 30분 동안은 쑥의 향이 약간 강하게 느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물성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뜸 쑥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뜸 쑥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뜸 쑥의 표면에 곡물이 고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뜸 쑥 12 : 곡물 도포층
14 : 홀 20 : 하형
22 : 캐비티 24 : 히터
30 : 상형 32 : 코어
Claims (11)
- 뜸 쑥에 있어서,상기 뜸 쑥은 0.001~2.0mm 크기로 분쇄한 쑥 분말을 50~300℃의 성형기에서 압축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뜸 쑥은 뜸 쑥의 상부나 하부 또는 그 양쪽에 쑥 분말 100 중량부에 곡물 분말 5~40 중량부를 고착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뜸 쑥은 쑥 분말 100 중량부에 곡물 분말 5~4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뜸 쑥은 표면에 곡물분말 60~90 중량%와 정제수 10~40 중량%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뜸 쑥은 연소로에서 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
- 뜸 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1) 쑥을 건조시키는 쑥건조 단계와;2) 상기 건조된 쑥을 분쇄기로 0.001~2.0m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와;3) 상기 분쇄한 쑥을 성형기에 넣고 열을 가한 후 뜸 쑥을 성형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의 제조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3)단계에서 쑥은 50~300℃의 온도에서 100~500kg/㎠의 압력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의 제조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3)단계에서 상기 뜸 쑥은 뜸 쑥의 상부나 하부 또는 이들의 양쪽에 곡 물 분말을 고착화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의 제조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3)단계에서 뜸 쑥은 쑥 분말에 곡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의 제조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3)단계에서 성형한 뜸 쑥은 표면에 곡물을 도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의 제조방법.
-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뜸 쑥은 연소로에서 탄화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쑥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6219A KR101155597B1 (ko) | 2009-11-27 | 2009-11-27 | 뜸 쑥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6219A KR101155597B1 (ko) | 2009-11-27 | 2009-11-27 | 뜸 쑥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9473A true KR20110059473A (ko) | 2011-06-02 |
KR101155597B1 KR101155597B1 (ko) | 2012-06-19 |
Family
ID=4439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6219A KR101155597B1 (ko) | 2009-11-27 | 2009-11-27 | 뜸 쑥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55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2840A (ko) * | 2019-11-01 | 2021-05-11 | 윤화순 | 혈행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1286B1 (ko) | 2017-08-25 | 2019-07-17 | 정경균 | 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9075B1 (ko) * | 1993-11-26 | 1997-06-05 | 곽태근 | 쑥뜸질용 쑥관의 제조방법 |
KR19990040782U (ko) * | 1998-05-08 | 1999-12-06 | 유태우 | 쑥뜸구 |
KR20040066075A (ko) | 2004-07-02 | 2004-07-23 | 황성철 | 쑥뜸용 쑥봉 |
KR100714371B1 (ko) * | 2006-06-07 | 2007-05-04 | 김근식 | 증기를 이용한 쑥봉 제조방법. |
-
2009
- 2009-11-27 KR KR1020090116219A patent/KR1011555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2840A (ko) * | 2019-11-01 | 2021-05-11 | 윤화순 | 혈행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5597B1 (ko) | 2012-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005904B (zh) | 苦荞麦皮保健垫及其制造方法 | |
KR101155597B1 (ko) | 뜸 쑥 및 그 제조방법 | |
JPH0469344A (ja) | 無煙無臭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 |
KR102113444B1 (ko) | 항균탈취제 및 항균탈취기능을 갖는 발가락 패드의 제조방법 | |
CN108713789A (zh) | 一种应用于低温卷烟的具有枣香的高疏松度的烟草薄片及其生产工艺 | |
CN108175689A (zh) | 艾灸器 | |
KR101640066B1 (ko) | 블루베리를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루베리를 이용한 누룽지 | |
CN111135068A (zh) | 一种中草药艾条的制备方法 | |
CN108420123A (zh) | 一种具有果香的疏松一体烟草段的低温卷烟及其制备方法 | |
CN104542738A (zh) | 一种百合香薰蚊香 | |
KR100611527B1 (ko) | 쑥뜸용 쑥봉 | |
KR20180056903A (ko) | 왕겨분말 뜸봉과 그 제조방법 | |
KR100714371B1 (ko) | 증기를 이용한 쑥봉 제조방법. | |
KR101781410B1 (ko) | 연잎분말과 왕겨,왕겨탄,미강의 분말이 혼합 성형된 연뜸봉 및 그제조방법. | |
KR101366058B1 (ko) | 쑥뜸봉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443114B1 (ko) | 쌀막걸리에 숙성된 백미와 미강을 이용한 쌀뜸봉 제조방법. | |
KR20060104346A (ko) | 목탄필터 | |
KR20010104791A (ko) | 민들레차제조방법 | |
KR102136027B1 (ko) | 쑥뜸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20138968A (ko) | 현미를 주재로한 곡물뜸 연소재 | |
KR101465942B1 (ko) | 쑥 방향제를 이용한 침구류 제조방법 | |
KR100939797B1 (ko) | 뜸질용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 |
KR100319243B1 (ko) | 황토를 이용한 가구 제조방법 | |
KR102384967B1 (ko) | 바비큐용 한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60058223A (ko) | 녹차를 포함한 누룽지와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