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286B1 - 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286B1
KR101961286B1 KR1020170107799A KR20170107799A KR101961286B1 KR 101961286 B1 KR101961286 B1 KR 101961286B1 KR 1020170107799 A KR1020170107799 A KR 1020170107799A KR 20170107799 A KR20170107799 A KR 20170107799A KR 101961286 B1 KR101961286 B1 KR 101961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charcoal
adhesive
mold
water
charcoa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053A (ko
Inventor
정경균
Original Assignee
정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균 filed Critical 정경균
Priority to KR102017010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2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4Elemental carbon, e.g. charcoal, carbon bl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灸, moxa cautery)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나무숯이 분쇄기를 통하여 분쇄되어 대나무숯 분말이 수득되는 대나무숯의 분쇄 단계, 접착풀과 물이 일정 비율대로 혼합기를 통하여 혼합되어 점착물이 수득되는 접착풀과 물의 혼합단계, 상기 대나무숯 분말과 상기 점착물이 교반기를 통하여 균일한 상태로 혼합되어 배합물이 수득되는 교반단계, 상기 배합물이 몰드를 통해 성형되는 성형단계, 및 상기 배합물이 건조되어 탈형을 통하여 애주가 수득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거치면서 수득되는 은은한 향내와 더불어 통일된 온열 온도 및 온열의 지속성을 갖는 애주를 수득하고, 이러한 애주를 이용한 뜸 치료 과정을 통해 인체의 면역력 회복 강화에 따른 질병 치유에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애주 제조를 위한 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oxa cautery}
본 발명은 뜸(灸, moxa cautery)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뜸 시술에 요구되는 애주(艾炷)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뜸(灸, moxa cautery)은 한의학적 치료법 가운데 하나로, 뜸(灸, moxa cautery)에 사용되는 재료는 다양하지만 주로 쑥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혈자리나 환부에 쑥이나 약물을 태워 온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병을 치료하게 된다.
불의 온열 자극과 약물의 효과가 경락 경혈을 통과하여 몸속의 기혈을 정상적으로 소통되게 하고 정기를 회복하게 함으로써 인체 생리 기능의 평형을 찾아 주는 일종의 외치법이다. 뜸(灸, moxa cautery)에 사용되는 재료는 다양하지만 주로 쑥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뜸(灸, moxa cautery) 치료는 온열 자극이므로 기운을 보충해주며 한랭 질환에 유효한데, 특히 허약질환 및 만성질환에 효력이 있다. 이외에도 세포조직의 기능 촉진, 면역 기능 강화, 적혈구의 혈색소 증가 그리고 지혈, 진통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뜸(灸, moxa cautery)에는 애주(艾炷)구, 애권구, 온통구, 전기구, 및 천구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쑥을 작은 원추 형태로 뭉쳐 치료하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애주구(艾炷灸)는 원뿔 뜸(灸, moxa cautery)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혈자리에 놓고 뜸(灸, moxa cautery)을 뜨는 방법의 하나인데, 직접구는 애주(艾炷)를 혈에 직접 놓고 뜸(灸, moxa cautery)을 뜨는 방법이며 애주(艾炷)를 이용한다. 특히, 직접구는 애주(艾炷)를 피부 위에 직접 올려놓고 연소시키기 때문에 피부에 생기는 화상으로 물집이 잡힐 우려가 있다.
반면, 간접구는 뜸(灸, moxa cautery) 뜰 자리에 애주(艾炷)를 직접 올려놓지 않고 소금, 마늘, 약물 등을 먼저 놓은 다음 그 위에 애주(艾炷)를 놓고 뜨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간편하게 뜸(灸, moxa cautery)을 들 수 있도록 흉터를 일으키지 않는 간접구를 많이 애용하고 있으며 병정(病情, 질병의 상태)에 따라 반복 시술하며 복통, 설사, 관절, 마비 등의 치료로 활용되고 있다.
여기서, 애주(艾炷)는 원추형으로 된 쑥 덩어리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직접구 및 간접구에 모두 사용되는데, 이러한 애주(艾炷)의 대부분은 쑥의 연소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온열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애주(艾炷)의 연소 과정에서 쑥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매캐한 연기가 많이 발생되어 주변 공간이 연기로 자욱하고, 뜸(灸, moxa cautery)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매캐한 연기를 맡는 사용자들 입장에서는 매우 불쾌한 기분을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기분은 뜸(灸, moxa cautery)의 치료 과정에 불안감 요인으로 작용되어 오히려 치유 개선에 방해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애주(艾炷)는 쑥과 함께 참숯을 사용하는바, 연소 과정에서 참숯에 의해 타는 냄새가 많이 나는 문제가 있으며, 연소 시간이 짧고, 온열감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여 사용자들의 뜸(灸, moxa cautery) 치료에서의 진정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밖에 없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뜸 제조와 관련된 특허문헌들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001 : 등록특허 제10-1674163호(등록일자 2016.11.02) 특허문헌 002 : 등록특허 제10-0998411호(등록일자 2010.11.29) 특허문헌 003 : 등록특허 제10-1155597호(등록일자 2012.06.05) 특허문헌 004 : 등록특허 제10-1066717호(등록일자 2011.09.15)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뜸 치료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심적 안정감과 안락감을 제공하면서 질병 치유에 탁월한 온열감을 제공하기 위한 뜸(灸, moxa cautery) 제조방법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나무숯이 분쇄기를 통하여 분쇄되어 대나무숯 분말이 수득되는 대나무숯의 분쇄 단계, 접착풀과 물이 일정 비율대로 혼합기를 통하여 혼합되어 점착물이 수득되는 접착풀과 물의 혼합단계, 상기 대나무숯 분말과 상기 점착물이 교반기를 통하여 균일한 상태로 혼합되어 배합물이 수득되는 교반단계, 상기 배합물이 몰드를 통해 성형되는 성형단계, 및 상기 배합물이 건조되어 탈형을 통하여 애주가 수득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뜸(灸, moxa cautery) 제조방법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교반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배합물이 몰드의 내부로 투입시켜 충진되게 하는 배합물의 몰드 충진단계, 및 상기 몰드 내부에 충진된 배합이 타격부에 의한 일정한 압력으로 다져지는 배합물의 다짐단계를 더 포함하는 뜸(灸, moxa cautery) 제조방법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교반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의 사이로, 부가물의 첨가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부가물의 첨가단계는, 부가물로서 천연색소 또는 미생물 색소 중 어느 한 색소의 첨가와 함께 천연오일이 첨가되며, 상기 천연색소 및 상기 천연오일은 상기 건조단계 다음으로 재첨가되는 뜸(灸, moxa cautery) 제조방법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대나무숯은 0.05cm3 내지 0.1cm3의 입자 굵기 범위로 분쇄되며, 상기 접착풀과 물은 각각 1 : 0.8~1.2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대나무숯 분말과 상기 점착물은 각각 4~6 : 1의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몰드 내부에 충진된 배합물은 100kgf/㎠ 내지 300kgf/㎠ 압력 범위로 다져지는 뜸(灸, moxa cautery) 제조방법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뜸(灸, moxa cautery) 용도의 애주 제조방법은, 애주의 연소를 통하여 면역회복이 빠르며, 면역력 강화에 따른 질병 치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뜸(灸, moxa cautery) 용도의 애주 제조방법은, 애주의 연소 과정에서 천연오일의 은은한 향내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의 심신 안정감 및 안락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뜸(灸, moxa cautery) 용도의 애주 제조방법은, 애주의 연소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크랙 방지뿐만 아니라, 연기 발생을 줄이며, 천연 색소 적용에 따른 애주의 컬러풀한 색상으로 인하여 젊은층으로부터 각광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한 뜸(灸, moxa cautery) 용도의 애주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 단계들을 순선화하여 블록으로 도시한 공정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성형단계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도시됨을 밝히고,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뜸(灸, moxa cautery)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숯의 분쇄 단계, 접착풀과 물의 혼합단계, 교반단계, 성형단계, 및 건조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대나무숯의 분쇄단계는, 덩어리로 형성된 대나무숯을 분쇄기를 통하여분쇄되어 대나무숯의 분말화를 구현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대나무숯의 분말화는 0.05cm3 내지 0.1cm3 크기 범위 정도로 분쇄됨에 따라, 대나무숯 분말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여기서 상기 대나무숯 분말은 상기 크기 범위에 적정한 예컨대 설탕 입자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대나무숯 분말이 0.05cm3 미만일 경우 애주(艾炷)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산소의 유입 어려움으로 인한 연소의 어려움과 연기의 발생률이 높아지며, 상기 대나무숯 분말이 0.1cm3 초과일 경우 연소 지속 시간이 짧아지는 문제와 함께, 분말의 입자 굵기가 큰 관계로 연소 과정에서 불똥이 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접착풀과 물의 혼합단계는 접착풀과 물을 각각 1 : 0.8~1.2의 비율로 혼합기를 통하여 혼합되는 과정으로서 접착풀에 대한 점착성을 낮추는 방식으로 점착물이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풀은 곡류를 이용한 접착풀일 수 있으며, 예컨대 찹쌀풀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찹쌀풀은 일정량의 찹쌀을 물에 불린 다음 풀을 쑤어 가열하는 방식으로 찹쌀풀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러한 찹쌀풀은 찹쌀을 이용하는 천연접착성인 관계로 사용자(체험자)들의 피부에 올려 뜸(灸, moxa cautery) 치료를 위한 애주(艾炷)의 접착제로 바람직하다.
만일, 애주(艾炷)에 이용된 접착제가 합성접착제인 경우 합성접착제의 유해성에 기인하여 피부에도 유해한 부작용 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가 있다. 합성접착제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으로 톨루엔, 초산에틸, 메틸알콜, 노르말 핵산, 시클로 핵산 등이 함유되어 있는 관계로 뜸(灸, moxa cautery) 치료 과정에서 피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피부 부작용으로는 예컨대 접촉성 피부염, 피부의 화학적 화상, 피부의 알레르기 증상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접착풀과 물의 비율에 있어 물의 비율이 0.8~1.2의 비로 정하여진 것은 여름과 겨울철의 계절 변화 요인에 따라 물의 비율 설정을 달리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두기 위함이다. 즉, 여름과 겨울철은 대기의 습도량이 매우 다를 수 있으며, 더군다나 여름철만 하더라도 우기와 건기에 따라 그 습도량이 다르기 때문에 계절별 대기의 습도 변화량에 따라 상기 물의 비율을 조절하여 대처하기 위함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이 상기 접착풀의 상기 비율 대비 그 비율이 초과일 경우 점착물의 접착 정도가 약화되어 애주(艾炷)의 연소 과정에서 크랙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상기 물이 상기 접착풀의 상기 비율 대비 그 비율이 미만일 경우 점착물의 접착 정도 강화되어 애주(艾炷)의 연소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상기 교반단계는 상기 대나무숯 분말과 상기 점착물이 교반기에 투입되어 균일한 혼합되는 과정으로서, 상기 대나무숯 분말과 상기 점착물의 고른 혼합에 따라 배합물이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나무숯 분말과 상기 점착물은 각각 4~6 : 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단계는 배합물의 몰드 충진단계, 및 배합물의 다짐단계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배합물의 몰드 충진단계는, 상기 교반단계에서 획득된 배합물을 몰드의 내부로 투입시켜 몰드 내부에 가득 채우게 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몰드는 그 내부의 형태가 원추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합물의 다짐단계는 상기 몰드 내부에 충진된 배합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다져주는 과정으로서, 그 압력은 100kgf/㎠ 내지 300kgf/㎠ 범위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합물의 다짐에 요구되는 상기 압력이 100kgf/㎠ 미만일 경우 배합물의 응집(cohesion)력이 약화되어 후술되는 건조단계를 통하여 획득된 애주(艾炷)가 쉽게 부서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이 300kgf/㎠ 초과일 경우 배합물의 응집(cohesion)력이 강화되어 산소 유입 어려움에 따른 불완전 연소의 발생률이 높아지며, 연소 시발점의 소요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상기 배합물의 다짐은 자동 타격 장치를 통해서도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자동 타격 장치의 타격부가 일정한 힘으로 수직의 상하 진동을 통하여 타격할 수 있기 때문이며, 상기 타격부는 도면에 미도시 되었으나 그 내부의 좌 우로 축설된 편심회전구의 회전을 통하여 수직의 상하 진동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타격부 내부의 좌측에 축설된 편심회전구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우측에 축설된 편심회전구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편심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합치되는 결과를 토대로 타격부의 상하 진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좌우의 편심회전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두 편심 부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지점에서 편심 회전력들이 합치되어 수직 하 방향으로 작용됨에 따라, 타격부의 수직 하 방향 진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좌우의 편심회전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두 편심 부위의 거리가 멀어지는 지점에서 편심 회전력들이 수직 상 방향으로 작용됨에 따라, 타격부의 수직 상 방향 진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단계와 상기 성형단계의 사이에는, 부가물의 첨가단계가 더 포함되는데, 상기 부가물의 첨가단계는, 부가물로서 천연오일과 천연색소를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천연오일은 예컨대, 라벤다(Lavender), 일랑일랑(Ylang Ylang), 캐머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캐머마일 로먼(Chamomile Roman), 로즈메리(Rosemary), 사이프러스(Cypress), 페퍼민트(Peppermint), 유칼립투스(Eucalyptus)들로부터 추출된 한 종 이상의 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라벤다(Lavender)로부터 추출된 천연오일은 꽃과 잎 부위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일랑일랑(Ylang Ylang)으로부터 추출된 천연오일은 꽃 부위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캐머마일 저먼(Chamomile German)으로부터 추출된 천연오일은 꽃 부위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캐머마일 로먼(Chamomile Roman)으로부터 추출된 천연오일은 꽃 부위로부터 추출되고, 로즈메리(Rosemary)로부터 추출된 천연오일은 꽃 부위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사이프러스(Cypress)로부터 추출된 천연오일은 잎과 열매 부위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페퍼민트(Peppermint)로부터 추출된 천연오일은 잎으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유칼립투스(Eucalyptus)로부터 추출된 천연오일은 잎으로부터 추출된다.
이들 상기의 천연오일들은 정서의 진정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애주(艾炷)를 이용한 뜸(灸, moxa cautery) 치료 과정에서 상기 천연오일들로부터 풍기는 향내를 통하여 사용자(체험자)들은 심신 진정 효과를 체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연색소는 후술되는 건조단계를 통하여 획득된 애주(艾炷)의 색상을 다양한 컬러 색상으로 연출할 수 있으며, 애주(艾炷)의 여러 컬러 색상은 뜸(灸, moxa cautery) 치료 과정에서 사용자(체험자)들에게 미관의 심미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색소는 식물성 색소 사용이 바람직한데, 식물성 색소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황색), 안토시안(anthocyan, 붉은색), 카사민(붉은색), 루틴(rutin, 노란색), 퀘르세틴(Quercetin, 갈색), 타닌(tannin, 적갈색), 클로리필 chlorophyll(초록색), 카로티노이드 carotinoid(적황색), 크로신 crocin(적황색), 퀴논류 quinone(황색, 등적색), 퀴논류 quinone(황색, 등적색), 시코닌 shikonin(보라색), 알리자린 alizarin(붉은색), 적 양배추(적색, 적자색), 파프리카(붉은색, 주황색), 홍국(모나스커스, 붉은색), 쪽(짙은 지량), 플라빈(황색), 치자(적홍생), 오미자(홍색), 오배자(자갈색), 다목(홍색), 자단(적색), 로그우드(홍색), 꼭두서니(적황색) 중 어느 둘 또는 그 이상의 색소를 조합하여 다양한 색소 연출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황색)는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염료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상기 안토시안(anthocyan, 붉은색)은 꽃이나 단풍의 붉은 색소이며, 카사민(붉은색)은 잇꽃(홍화)에서 추출되는 카르타몬, 카르타민, 식용으로도 이용되고, 루틴(rutin, 노란색)은 노란 개나리꽃, 메밀의 전초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이고, 퀘르세틴(Quercetin, 갈색)은 퀘르세틴 회화나무 꽃봉오리나 양파 외피의 갈색 색소이며, 타닌(tannin, 적갈색)은 설익은 열매나, 홍차, 녹차의 쓴맛에 영향을 주는 적갈색 색소이고, 클로리필(chlorophyll, 초록색)은 엽록소, 식물 잎의 광합성 역할을 하는 초록색 색소이고, 카로티노이드( carotinoid, 적황색)은 당근, 토마토, 호박, 은행나무 노란 잎 등에 있는 색소이며, 크로신 (crocin, 적황색은 수용성 색소로 사프란(saffron) 암술머리는 약용으로 치자나무 열매는 식용염료로 사용 가능하며, 퀴논류(quinone, 황색 및 등적색)은 세균로에서 고등식물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는 색소이고, 시코닌(shikonin, 보라색)은 지치뿌리의 보라색 염료 색소이며, 알리자린(alizarin, 붉은색)은 꼭두서니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터키레드(turkey red)의 색소이고, 적 양배추(적색 및 적자색)은 유채과 붉은 양배추의 잎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지는 색소이며, 파프리카(붉은색 및 주황색)은 가지과 식물인 파프리카의 과실로부터 추출한 색소이고, 홍국(모나스커스, 붉은색)은 홍국 속의 균이 생산하는 색소이며, 쪽(짙은 파랑)은 쪽의 잎에서 추출하는 색소이고, 플라빈(황색)은 수용성 색소로서 초록색의 강한 형광을 발하며, 치자(적홍색)는 치자나무 과실로부터 황색, 청색, 적색의 3종류 색소 추출, 주로 밝은 황색이 주로 추출되며, 수용성이고, 오미자(홍색는 오미자에서 추출하는 홍색 색소이며, 오배자(자갈색)은 오배자 잎에서 추출하는 자갈색 색소이며, 다목(홍색)은 다목의 나무껍질이나 줄기에서 추출하는 색소이고, 자단(적색)은 자단의 나무껍질이나 줄기에서 추출된 색소이며, 로그우드(홍색)는 로그우드의 나무껍질이나 줄기에서 추출된 색소이고, 꼭두서니(적황색)는 꼭두서니 뿌리에서 추출된 적황색 색소이다.
이와 같은 천연색소는 무엇보다 인체에 무해하고 살균이나 가열공정에서 퇴색, 변색되지 않으며 내열성이 탁월한 관계로, 애주(艾炷) 제조용으로 적용되는 점에 안성맞춤이다.
천연오일과 천연색소는 상기 교반단계 이후에 첨가되는 이유는 상기 교반단계에서 대나무숯 분말과 점착물 간의 균일한 혼합 과정에서 대나무숯 분말 입자들의 점착성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인데, 즉 점착물에 함유된 물 성분이 천연오일의 오일 성분과 상극인 관계로 대나무숯 분말 입자들 속으로 점착물의 침투를 어렵게 하여 대나무숯 분말 입자들의 점착성을 무력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극성 물질에 해당되는 물은 무극성 물질에 해당되는 기름이나 벤젠과 섞이지 않는 이유에서다.
만일 상기 교반단계에서 천연오일이 첨가될 경우 오일과 물이 상극인 관계로 물을 함유한 점착물이 대나무숯 분말 입자들 속으로 침투되기 어려워 이로 인한 대나무숯 분말 입자들의 점착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천연오일과 천연색소는 상기 교반단계 이후에 첨가되면, 대나무숯 분말 입자들 속으로 점착물이 먼저 침투되어 대나무숯 분말 입자들 간의 점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애주(艾炷)의 연소 과정에서 점착물에 함유된 물의 증발로 인하여 천연오일의 향내가 은은하게 외부로 퍼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천연색소뿐만 아니라, 미생물 색소도 본 발명의 애주 제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 색소는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미생물은 2차대사산물로 색소를 균체 내에 축적하거나 균체 외로 분비한다. 미생물은 생산균주와 배양조건에 따라 다양한 색소를 생산할 수 있다.
미생물 색소는 예컨대 β-카로틴(B. trispora, M. circinelloides, P. blakesleeanus), arprink red(P. oxalicum), 리보플라빈(E. ashbyii, A. gossypii, C. flaleri, S. cerevisiae, B. subtilis), 홍국색소(M. pilosus, M. purpureus, M. ruberand, M. froridanus), 라이코펜(F. sporotrichioides)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단계는 몰드에 충진된 배합물의 다짐 이후 몰드를 서늘한 장소에서 24시 내지 36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으로서, 배합물의 건조가 완료되면 배합물이 몰드로부터 탈형화되면서 원추형의 고형화된 애주(艾炷)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배합물의 건조 과정에서 상기의 천연오일의 향기 증발 및 천연색소의 수분 증발을 감안하여, 배합물의 건조 완료 이후에 상기 천연오일 및 천연색소를 재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물의 건조 이후 상기 천연오일 및 천연색소의 재첨가는 배합물의 건조 과정으로 수득된 애주(艾炷)에 향내 및 색상의 지속성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애주(艾炷)는 이와 같은 공정의 단계들을 거치면서 획득되는바, 상기 애주(艾炷)의 원료인 대나무숯에 있어 대나무는 찬 성질로 냄새 제거와 같은 공기 정화 효과 및 마음을 안정시키며 기분을 좋게 만드는 효과가 있어 뜸(灸, moxa cautery) 치료시 애주(艾炷)의 연소를 통하여 주변 대기의 공기를 정화시킴과 동시 사용자(체험자)의 심신을 안정화시켜 줄 수 있다. 다시 말해 대나무의 음의 기운과 뜸의 양의 기운이 어우러지는 음양의 조화로 뜸(灸, moxa cautery) 시술 과정에서 사용자(체험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주(艾炷)는 그 내부가 기존의 애주(艾炷)와 같이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충진 구조인 관계로, 연소 과정에서도 열감을 지속적으로 보존하며 물(수분) 증발의 억제로 애주(艾炷)의 크랙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애주(艾炷)는 대나무숯이 이용되는 관계로 참숯 대비 중량이 가볍고, 특히 대나무는 목재의 결(texture) 분석에 있어 특정 방향으로 통일되게결(texture)이 나있는 규칙적 한결 패턴을 유지하기 때문에 기존 참숯의 연소에서 야기되는 온열(온기)의 지속성 문제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온열감을 사용자(체험자)들에게 제공하며, 애주에 적용된 컬러풀한 색상으로 심미적 즐거움도 배가되어 젊은층에서도 본 발명의 애주를 이용한 뜸 치료에 대한 인지도가 상당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애주(艾炷) 제조방법을 통하여 수득된 애주(艾炷)를 이용하여 사용자(체험자) 100명을 대상으로 뜸 시술 임상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애주는 시편으로 기존 애주는 대조시편으로 명명한다. 뜸 시술 임상 실험에서 대기의 온도와 습도는 모두 동일한 조건하에서이고, 시편에는 대나무숯을 대조시편에는 참숯을 적용한 점이 상이한 조건이다.
하기 표 1에서는 사용자(체험자) 100명에 대하여 심신안정도, 안락감, 심미감, 온열감, 면역력회복도에 대한 만족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표이다.
애주 심신안정도 안락감 심미감 온열감 면역력회복도
시편 85% 89% 81% 91% 93%
대조시편 33% 41% 35% 53% 46%
상기 표 1에서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심신안정도, 안락감, 심미감, 온열감, 면역력회복도 모든 항목에서 시편의 탁월함이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시편은 대나무숯을 사용한 점뿐만 아니라 상술된 단계에서 개시된 대나무숯의 분쇄 입자 및 천연오일과 천연색상이 적용되어 표 1과 같은 시편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더욱이, 시편의 면역회복도가 제일 높은 수치로 도출될 수 있었던 것은, 본 발명에서의 애주를 이용한 뜸 시술을 통한 신체의 작용에 기인한 것이며, 이를 상세히 후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애주를 이용하여 뜸 체험을 하게 되면, 온열의 온도가 규칙적임에 따라, 신체에 일정한 온도의 온열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오일의 향내와 함께 시너지로 작용하는 심적 안정감 및 안락감 요인에 따라, 신체에 전달되는 지속적인 적정 온열에 기인하여 신체 내에는 열충격단백질(HSP, Heat Shock Protein)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상기 열충격단백질(HSP, Heat Shock Protein)은 이름 그대로 열 충격을 받아 만들어지는 단백질로서 모든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불량 단백질 복원, 면역력 강화, 세포 보호 등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열충격단백질은 인간뿐 아니라 모든 생명체에서 발견되는 일종의 보호 장치로 볼 수 있는데, 피로나 굶주림, 세균감영증이나 경색(뇌경색, 심근경색), 수술, 암치료, 자외선 등 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에 의해 세포가 손상을 입으면 전신 세포에서 열충격 단백질이 증가하여 세포를 강화시킨다.
열충격단백질은 단백질 구조가 꼬이는 불량 단백질을 찾아 풀어주어 손상을 복원시키며, 여러 면역 세포들이 잘 작동되도록 도와 종양제거 등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바, 즉, 대식세포, NK세포, T세포 등 면역세포의 활동력을 증가시켜 종양 제거력을 높이고 면역 기억을 증가시킨다.
전신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따뜻하게 유지하면 약 이틀 후에 열충격단백질이 최대량에 도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애주는 열충격단백질이 최대량에 도달하도록 하는 매개체로 작용되는 것이다.
열충격단백질의 면역반응 촉진은 첫째 수지상세포, NK세포, T세포, 대식세포 등 면역세포들의 활동을 증진시킨다. 둘째 NK세포가 종양세포를 잘 소멸시킬 수 있도록 협조작용을 통하여 면역반응을 촉진키며, 셋째 T세포가 면역반응을 잘 기억할 수 있도록 수지상세포와 T세포간의 항원제시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면역력이 강해진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서의 애주를 이용한 뜸(灸, moxa cautery)의 효능은 체온을 상승시켜 열충격단백질이 잘 생성되어 면역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체온 상승은 혈액순환 강화, 인체내 효소활동 강화, 면역세포 활동성 강화 등 여러 장점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의 애주를 이용한 뜸(灸, moxa cautery)은 순환기 문제인 손발시림, 복부냉감, 추위감을 해소하며, 신경계 문제인 손발 저림, 이상 감각, 불명증, 우울감을 해소시키고, 근육계 문제인 목의 통증, 어깨결림, 허리통증, 종아리 통증을 해소시킨다. 또한 소화기의 문제인 식욕부진, 소화불량, 속쓰림, 가스참, 변비, 복부비만을 해소시킨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대나무숯이 분쇄기를 통하여 분쇄되어 대나무숯 분말이 수득되는 대나무숯의 분쇄단계; 접착풀과 물이 일정 비율대로 혼합기를 통하여 혼합되어 점착물이 수득되는 접착풀과 물의 혼합단계; 상기 대나무숯 분말과 상기 점착물이 교반기를 통하여 균일한 상태로 혼합되어 배합물이 수득되는 교반단계; 상기 배합물이 몰드를 통해 성형되는 성형단계; 및 상기 배합물이 건조되어 탈형을 통하여 애주가 수득되는 건조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교반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배합물이 몰드의 내부로 투입시켜 충진되게 하는 배합물의 몰드 충진단계; 및 상기 몰드 내부에 충진된 배합이 타격부에 의한 일정한 압력으로 다져지는 배합물의 다짐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의 사이로, 부가물의 첨가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부가물의 첨가단계는, 부가물로서 천연색소 또는 미생물 색소 중 어느 한 색소의 첨가와 함께 천연오일이 첨가되며, 상기 천연색소 및 상기 천연오일은 상기 건조단계 다음으로 재첨가되고,
    상기 대나무숯은 0.05cm3 내지 0.1cm3의 입자 굵기 범위로 분쇄되고, 상기 대나무숯 분말과 상기 점착물은 각각 4~6 : 1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몰드 내부에 충진된 배합물은 100kgf/㎠ 내지 300kgf/㎠ 압력 범위로 다져지며,
    상기 접착풀과 물의 혼합단계에서는 접착풀과 물이 각각 1 : 0.8~1.2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배합물은 자동 타격 장치로서 내부에 축설된 좌 우의 편심회전구를 갖는 타격부의 상하 진동을 이용하여 다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제조방법.
KR1020170107799A 2017-08-25 2017-08-25 뜸 제조방법 KR101961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99A KR101961286B1 (ko) 2017-08-25 2017-08-25 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99A KR101961286B1 (ko) 2017-08-25 2017-08-25 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53A KR20190022053A (ko) 2019-03-06
KR101961286B1 true KR101961286B1 (ko) 2019-07-17

Family

ID=6576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799A KR101961286B1 (ko) 2017-08-25 2017-08-25 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947A (ko) 2019-06-26 2021-01-06 (주)시솔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880Y1 (ko) * 2004-10-01 2005-03-16 김세영 대나무 숯 나노세라믹 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630B1 (ko) * 2000-09-28 2003-08-21 박창근 한방 뜸의 제조방법
KR100998411B1 (ko) 2008-10-16 2010-12-03 김진섭 무연 쑥뜸 및 쑥뜸 기구의 제조방법
KR101066717B1 (ko) 2008-10-18 2011-09-21 배삼훈 팽화된 대나무분말을 이용한 뜸연소재 및 제조방법.
KR20100043115A (ko) * 2008-10-18 2010-04-28 배삼훈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
KR101155597B1 (ko) 2009-11-27 2012-06-19 변지민 뜸 쑥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8968A (ko) * 2011-06-16 2012-12-27 배삼훈 현미를 주재로한 곡물뜸 연소재
KR101674163B1 (ko) 2014-08-13 2016-11-08 박치영 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880Y1 (ko) * 2004-10-01 2005-03-16 김세영 대나무 숯 나노세라믹 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947A (ko) 2019-06-26 2021-01-06 (주)시솔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53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8696B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urmeric-containing cooking oils and fats
JP4685506B2 (ja) 漢方温灸剤
JP6541888B2 (ja) しわを改善した機能性化粧品の製造方法
CN103960717B (zh) 一种牡丹植物蛋白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454315B1 (ko) 인삼열매발효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연질 흑삼 제조 방법
CN1718029A (zh) 沙棘茶保健茶、复方沙棘茶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1961286B1 (ko) 뜸 제조방법
CN104711154A (zh) 一种中药养生酒的制备方法
KR20100083210A (ko) 발아 쥐눈이콩 한방 화장재 및 그 제조 방법
JPH02154662A (ja) 活性酸素抑制組成物
CN104116684B (zh) 一种纯天然沐浴粉
KR101781410B1 (ko) 연잎분말과 왕겨,왕겨탄,미강의 분말이 혼합 성형된 연뜸봉 및 그제조방법.
KR100852777B1 (ko) 자수정을 이용한 미용 팩의 제조 방법
CN107468737A (zh) 一种艾叶驱蚊虫膏及用法食品药膏日化品理疗药膏含护肤
KR101727201B1 (ko)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
KR20120138968A (ko) 현미를 주재로한 곡물뜸 연소재
KR101443114B1 (ko) 쌀막걸리에 숙성된 백미와 미강을 이용한 쌀뜸봉 제조방법.
CN106490401A (zh) 一种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00100144A (ko) 라벤더오일 분말이 포함된 목초액 혼합분말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목초수액패치
KR20100043114A (ko) 팽화된 대나무분말을 이용한 뜸연소재 및 제조방법.
KR20100043115A (ko) 대나무를 이용한 뜸 연소재 및 제조방법
KR100869910B1 (ko)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JP2000024078A (ja) 温熱灸治療具及び灸治療発熱材
KR102640760B1 (ko) 가시오가피추출물, 홍화씨추출물, 강황추출물 및 해송껍질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차의 제조방법
KR100593469B1 (ko) 옻 성분을 포함한 생약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