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193B1 - 캔-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캔-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193B1
KR100524193B1 KR10-2003-0010920A KR20030010920A KR100524193B1 KR 100524193 B1 KR100524193 B1 KR 100524193B1 KR 20030010920 A KR20030010920 A KR 20030010920A KR 100524193 B1 KR100524193 B1 KR 10052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ometry
communication
identifier
data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432A (ko
Inventor
최은성
권혁제
심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to KR10-2003-0010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193B1/ko
Publication of KR2004007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8Arrangement of plural eye-testing or -examining apparatus

Abstract

검안기, 자동 포롭터, 렌즈미터 등 다수의 검안 또는 안과 기기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경우에, 하드웨어적인 결선이 용이하고,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이 편리한,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검안기기 제어 장치는 양끝에 종단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통신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통신선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차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 네트워크; 및 상기 버스 네트워크로부터 분기되어 연결된 둘 이상의 검안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안기기 제어장치는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 명령어 필드 및 상기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를 마스크하기 위한 구분자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하여 동작한다.

Description

캔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ye-testing equipments using controller area network}
본 발명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안기, 자동 포롭터, 렌즈미터 등 다수의 검안 또는 안과 기기를 네트워크(Network)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경우에, 하드웨어적인 결선이 용이하고,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이 편리한,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시력에 적합한 굴절력을 가지는 안경을 처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초적인 검안을 한 후에, 다수의 트라이얼(trial) 렌즈세트를 사용자의 눈앞에 교대로 위치시켜, 안경을 쓰는 것과 같은 상태를 만든 후, 사용자가 자신의 시력에 적합한 렌즈를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적절한 렌즈의 선택에 장시간이 소요될 뿐 만 아니라, 양안시 기능 이상 등에 대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치가 수동 포롭터(phoropter)이다. 수동 포롭터는 원형 디스크에 다수의 렌즈를 배치하고,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사용자의 시력에 적합한 렌즈 세트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빠르고 편리한 검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동 포롭터 역시 조작이 불편하고, 검안사가 일일이 렌즈를 돌려주어야 하며, 양안시 검사 등이 여전히 곤란하다. 따라서 렌즈가 장착된 디스크의 회전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포롭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자동 포롭터는 통상 디지털 리프렉터(Digital Refractor)라고도 한다.
도 1a 및 1b는 이와 같은 통상적인 자동 포롭터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포롭터는 콘트롤 박스(10, Operation Controller Box: Op box)와 모터로 구동되는 포롭터 본체(12)로 구성되며, 포롭터 본체(12)는 좌측부(16)와 우측부(14)로 다시 나누어진다. 콘트롤 박스(10)에서 작용키나 조그 다이얼을 조작하면 해당하는 지령이 포롭터 본체(12)로 전달되는데, 콘트롤 박스(10)와 본체(12)와의 거리가 통상 3m 정도이므로, 일반적으로 2 내지 3 선의 통신선(18)을 통하여 지령이 전달된다. 도 1b는 이와 같은 자동 포롭터 제어장치를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포롭터(12)를 이용하여 검안을 하는 경우에, 상기 포롭터(12)와 연동된 검안기(22)나 렌즈미터(20)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검안기(22)나 렌즈미터(20)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자동 포롭터(12)로 전송되어, 이 값에 맞추어 포롭터(12)의 렌즈가 잠입되므로 훨씬 편리한 검안 및 처방을 할 수 있다. 또한, 대형 안경점에서는 자동 포롭터가 2대 이상 사용되기도 하며, 2대의 렌즈미터(30, 31)와 2대의 검안기(32, 33), 및 3대의 자동 포롭터(34, 35, 36)가 사용되는 경우의 제어 네트워크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중앙의 굵은 선은 통신 네트워크(37)를 의미하며 각각의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 구성이 달라진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상적인 자동 포롭터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 등에 의해 콘트롤 박스(10)에서 명령이 발생하면,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포롭터의 좌측부(16) 또는 우측부(14)로 명령이 전송된다. 이때 하나의 통신 포트(COM 1) 및 통신선(18)을 통하여 통신이 되므로, 통신 프로토콜에는 좌, 우측 수신처가 반드시 포함되어,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이 구성된다.
수신처 ID 명령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장 간단한 검안기기 제어 네트워크에 있어서도, 1 : 2 양방향 통신을 하려면 232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없으며, 485 방식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 경우 제어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도 5는 좌측부(16) 및 우측부(14)를 포함하는 자동 포롭터, 렌즈미터(20), 검안기(22) 등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의 제어 네트워크 구성으로서, 이 경우의 통신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이 송신처, 수신처 등을 포함하여 좀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수신처 ID 송신처 ID 명령어 및 데이터
도 5에 도시된 제어 네트워크의 경우, 콘트롤 박스(10)의 COM1 포트로는 포롭터 좌측부(16) 및 우측부(14)와 485통신을 하여야하며, COM2 포트로는 렌즈미터(20)나 검안기(22)에서 오는 데이터를 232통신 방식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또한 렌즈미터(20)나 검안기(22)에서 오는 데이터를 받아서 콘트롤 박스(10)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서버(24)가 더욱 필요하다. 만약 다른 시스템과 연결이 된다면, 다른 시스템의 출력을 통신서버(24)의 한 포트(COM 1)를 통하여 받아서, 자기 시스템에 사용될 데이터일 경우 콘트롤 박스(10)로 전달하고, 다른 시스템에 전달될 데이터이면 통신서버(24)의 다른 포트(COM 4)를 통해 또 다른 시스템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도 6은 2대의 렌즈미터(30, 31)와 2대의 검안기(32, 33), 및 3대의 자동 포롭터(34, 35, 36)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의 제어 네트워크 구성으로서, 이 경우의 통신 프로토콜은 더욱 복잡해진다. 일반적으로 프로토콜에 1:1과 1:N 통신의 구분이 추가되어 시스템(60, 62, 64) 내부에서 이루지는 통신과 시스템(60, 62, 64) 외부로 나가는 통신이 구분되며, 이 경우의 통신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이 구분자, 송신처, 수신처 등을 포함한다.
구분자 수신처 ID 송신처 ID 명령어 및 데이터
이 경우 데이터 관리가 매우 복잡해지며, 시스템의 개수가 증가하면 복잡도가 더욱 증가한다. 도 6에 도시된 제어 네트워크의 경우, 제1 시스템(60)에 연결된 검안기(32)의 데이터를 제3 시스템(64)으로 가져오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먼저 제1 시스템(60)의 검안기(32)에서 제1 통신서버(66)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1 통신서버(66)에서 1:N 데이터 방식으로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2 시스템(62)으로 보내고, 제2 통신서버(67)는 데이터를 받은 후, 다시 1:N 방식으로 가공하여, 제3 시스템(64)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를 받은 제3 통신서버(68)는 이를 포롭터(36)에 부착된 콘트롤 박스(69)로 전송한다. 만일 8개의 시스템이 사용된다면, 위의 과정은 7단계를 거쳐서야 비로소 데이터를 받을 수가 있으며, 중간에 다른 시스템의 데이터가 오면 데이터의 전송 지연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232 통신의 경우에는 통신거리의 제약도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232통신거리는 20m를 넘을 수가 없으며, 통신서버가 포롭터 근처에 있다고 볼 때, 렌즈미터나 검안기의 거리가 20m 이상 떨어져 있으면, 데이터의 전송 등 통신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검안기기 제어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하드웨어적인 구성이 단순하고, 결선이 용이한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이 편리하고, 통신 네트워크 운영이 용이한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서버가 불필요하며, 시스템의 개수가 증가하여도,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1단계로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통신거리 상의 제약도 해소되어 500m까지 통신이 가능한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끝에 종단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통신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통신선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차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 네트워크; 및 상기 버스 네트워크로부터 분기되어 연결된 둘 이상의 검안기기를 포함하는 콘트롤러 에어리어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며, 이때 상기 검안기기 제어장치는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 명령어 필드 및 상기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를 마스크하기 위한 구분자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내부적으로만 참조하는 검안기기들로 형성된 시스템의 시스템 식별자를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분자는 전송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시스템 식별자를 마스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 명령어 필드 및 상기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를 마스크하기 위한 구분자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명령어 필드에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를 마스크하기 위한 구분자를 설정하는 과정; 및 양끝에 종단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통신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통신선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차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명령어 필드에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마스크된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버스 네트워크에 연결된 검안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검안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콘트롤러 에어리어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콘트롤러 에어리어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망은 서로 통신하고자 하는 기기들을 한 쌍의 선(CAN_H, CAN_L)으로 연결하고, 양쪽 끝에 위치한 통신 기기에 약 120오옴(Ohm)의 종단저항을 설치한 후, 상기 한 쌍의 선(CAN_H, CAN_L)에 인가되는 전압차를 이용하여 제어명령, 데이터 등의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CAN 통신망은 잡음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데이터 오전송률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므로, 자동차의 자동변속기 제어, 공장의 정밀 모터 제어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검안기기는 포롭터의 좌측부, 우측부, 검안기, 렌즈미터 등의 검안 장치와 상기 검안 장치들을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기 제어장치는 양끝에 종단 저항(75a, 75b)이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통신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통신선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차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 네트워크(74) 및 상기 버스 네트워크(74)로부터 분기되어 연결된 포롭터 좌측부(72), 포롭터 우측부(73), 콘트롤 박스(71) 등의 둘 이상의 검안기기, 즉 둘 이상의 노드(Node)들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기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이 수신처 식별자 필드(field: 수신처 ID)와 명령어 필드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하여 동작한다.
수신처 ID 명령어
도 7에 도시한 검안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콘트롤 박스(71)의 데이터는 포롭터 본체의 좌측부(72) 또는 우측부(73)로 전송되는 1:1 통신 데이터이므로, 통신 프로토콜에 좌, 우측 수신처 ID 만을 포함시킴으로서, 포롭터 본체의 좌측부(72) 또는 우측부(7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의 구성으로서, 렌즈미터와 검안기가 추가로 연결된 통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는 양끝에 종단 저항(87a, 87b)이 연결되어 있는 버스 네트워크(86) 및 상기 버스 네트워크(86)로부터 분기되어 연결된 포롭터 좌측부(82), 포롭터 우측부(83), 콘트롤 박스(81), 검안기(84), 렌즈미터(85) 등의 둘 이상의 검안기기, 즉 둘 이상의 노드(Node)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검안기기 제어장치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도 5의 통상적인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통신선 구성이 매우 간단하며, 통신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도 7과 비교하면, 추가되는 검안기기를 단순히 버스 네트워크(86)에 추가로 연결함으로서 검안기기 제어장치를 물리적으로 확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제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마스터(Master)-슬래이브(Slave) 개념인 Uart 통신과는 달리, 멀티 마스터 개념을 사용하므로 통신 서버가 불필요하며, 다음과 같이 수신처 식별자 필드(수신처 ID), 송신처 식별자 필드(송신처 ID) 및 명령어 필드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구분자 수신처 ID 송신처 ID 명령어 및 데이터
도 8에서 콘트롤 박스(81)의 데이터는 포롭터의 좌측부(82) 및 우측부(83)로 전송되어야 하고, 렌즈미터(85)나 검안기(84)로 전송될 필요가 없으며, 렌즈미터(85)나 검안기(84)의 데이터는 콘트롤 박스(81)로 전송되어야 하나, 포롭터의 좌측부(82) 또는 우측부(83)로 전송될 필요가 없다. 또한 포롭터의 좌측부(82) 및 우측부(83)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피검자의 눈의 상태에 따라 상이하므로 서로 구분되어야 한다. 따라서 통신 프로토콜에 구분자 필드를 포함시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수신처 식별자 필드(수신처 ID) 및/또는 송신처 식별자 필드(송신처 ID)를 마스크 함으로서, 콘트롤 박스(10)의 CPU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2 이상의 동일한 검안기가 사용되는 경우의 제어장치로서, 종래의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도 6과 비교하여 구성이 매우 간단하며, 포롭터나 렌즈미터 등을 추가로 설치할 때도 통신 라인만 연장하여 연결하면 통신 구성이 완료됨을 알 수 있다. 도 9에서 도면 부호 108a, 108b는 도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단 저항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09는 제1 및 제2 렌즈미터(107, 106), 제1 및 제2 검안기(105, 104), 포롭터(92, 93, 95, 96, 98, 99), 콘트롤 박스(91, 94, 97) 등을 연결하는 버스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마스크를 해서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받아들여야 콘트롤 박스(91, 94, 97)의 CPU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장치에서는 제1 콘트롤 박스(91)에서 내린 명령어에 의하여 제1 포롭터의 좌측부(92) 또는 우측부(93)가 아닌, 제2 포롭터의 좌측부(95) 또는 우측부(96)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 콘트롤 박스(91), 제1 포롭터의 좌측부(92) 및 우측부(93)를 제1 시스템(101)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1 : 1로 제어되는 검안기기를 묶어 하나의 시스템을 형성하고, 자기 시스템의 콘트롤 박스에서 전송된 데이터만 받아들이고, 다른 시스템의 콘트롤 박스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마스크를 함으로서 CPU 부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검안기(104, 105)나 렌즈미터(106, 107)에서 온 데이터는 포롭터 본체에서는 필요가 없으므로, 마스크를 하여야 하고, 콘트롤 박스(91, 94, 97)는 이를 받아들여야 하므로 마스크를 하지 말아야 한다. 데이터의 종류라는 개념에서 보면 콘트롤 박스(91, 94, 97)의 데이터는 포롭터 본체로만 가므로 1:1 통신 데이터고, 렌즈미터(106, 107)나 검안기(104, 105)의 데이터는 여러 시스템에서 동시에 참조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1:N 통신 데이터이다.
이상을 종합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장치의 CAN 통신용 프로토콜은 1:1, 1:N 통신의 개념, 마스크의 설정, 시스템 내부, 시스템 외부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여야 하며,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구분자 송신 SYS ID 송신처 ID 수신 SYS ID 수신처 ID
명령어 및 데이터
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기 제어장치에서는 데이터를 내부적으로만 참조하는, 예를 들면 1:1로 제어되는 검안기기들을 묶어 하나의 시스템을 형성하고, 각 시스템에 시스템 식별자로서 SYS ID를 부여한 후, 명령어의 종류 및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에 따라 송신 및 수신하는 시스템의 SYS ID를 프로토콜에 포함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기 제어장치에서 실제로 검안기기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구분자를 이용하여 CAN의 마스크를 재구성하여 콘트롤 박스의 CPU 부하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1:1 통신의 경우, 구분자를 00001111로 놓아, 송신 시스템 식별자인 "송신 SYS ID와 송신처 ID"를 마스크시킴으로서, 자기에게 필요한 신호만 받게 된다. 또한 1:N 통신의 경우, 구분자를 00000000로 두어, 마스크를 하지 않음으로서, 모든 신호를 다 받을 수 있게 한다. 즉, 1:1통신과 1:N통신을 구분하여, 1:1통신의 경우는 마스크가 필요하고, 1:N의 경우에는 마스크가 불필요하다.
수신 시스템 식별자인 "수신 SYS ID"는 콘트롤 박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하여 제공된다. 노드 식별자인 "수신처 ID"는 각 디바이스의 번호이며, 예를 들어 제1 콘트롤 박스(91)는 00, 제1 포롭터 좌측부(92)는 01, 제1 포롭터 우측부(93)는 10 등으로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CAN 통신망을 이용하여 검안기기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시스템 식별자 "SYS ID"를 바꾸는 기능이 반드시 필요하다. 만일 시스템 식별자 "SYS ID"를 바꾸지 않으면, 시스템을 더 추가하고 제1 콘트롤 박스(91)에서 명령어를 내릴 때, 제1 포롭터(92, 93)가 아닌, 제2 포롭터(95, 96)가 동작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식별자 "SYS ID"를 바꾸는 방법은 딥스위치(DIP SW)를 이용하는 방법과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딥스위치(DIP SW)를 이용하면 100% 확실하게 동작하는 장점이 있지만, 콘트롤 박스(91, 94, 97)의 케이스를 분해하거나, 케이스 외부에 딥스위치(DIP SW)를 노출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고, 설치자가 표를 보고 일일이 딥스위치(DIP SW)를 바꾸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시스템 식별자 "SYS ID"를 바꾸는 다른 방법은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특정의 키를 눌러 콘트롤 박스를 조작하면 콘트롤 박스 자체의 시스템 식별자 "SYS ID"를 변경할 수 있고, 또한 CAN 통신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주면 여기에 연결된 포롭터의 SYS ID가 바뀌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수신 SYS ID 명령어 수정될 ID 및 데이터
또한 시스템 식별자 "SYS ID"를 0으로 초기화하는 기능이 필요할 경우를 대비하여, 명령 필드를 주어 여기에 오는 명령어에 따라 여러 가지 동작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만일 렌즈미터나 검안기에 Uart 포트는 있지만 CAN 포트가 없는 경우에는 Uart를 CAN 프로토콜로 바꾸어 CAN 통신에 접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방법은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 명령어 필드 및 상기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를 마스크하기 위한 구분자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과정(S110); 상기 명령어 필드에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를 마스크하기 위한 구분자를 설정하는 과정(S120); 및 상기 명령어 필드에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마스크된 통신 프로토콜을 버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버스 네트워크에 연결된 검안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검안기기를 제어하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내부적으로만 참조하는 검안기기들로 형성된 시스템의 시스템 식별자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분자는 전송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시스템 식별자를 마스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이 단순하고, 결선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이 편리하고, 통신 운영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는 통신서버가 불필요하며, 시스템의 개수가 증가하여도, 몇 단계를 거치지 않고 1단계로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a 및 1b는 통상적인 자동 포롭터 제어장치 및 그를 블록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통상적인 자동 포롭터에 검안기 및 렌즈미터를 연동시킨 자동 포롭터 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다수의 자동 포롭터, 렌즈미터, 검안기가 사용되는 경우의 통상적인 제어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상적인 자동 포롭터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자동 포롭터, 렌즈미터, 검안기 등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의 제어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자동 포롭터, 렌즈미터, 검안기 등 제어되는 검안기기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의 제어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CAN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Claims (7)

  1. 양끝에 종단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통신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통신선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차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 네트워크; 및
    상기 버스 네트워크로부터 분기되어 연결된 둘 이상의 검안기기를 포함하며,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 명령어 필드 및 상기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를 마스크하기 위한 구분자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하여 동작하되,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내부적으로만 참조하는 검안기기들로 형성된 시스템의 시스템 식별자를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분자는 전송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시스템 식별자를 마스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콘트롤러 에어리어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검안기기는 포롭터의 좌측부, 우측부, 검안기 및 렌즈미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안 장치와 상기 검안 장치들을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것인 콘트롤러 에어리어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내부적으로만 참조하는 검안기기들은 포롭터의 좌측부, 우측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인 것인 콘트롤러 에어리어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5. 삭제
  6.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 명령어 필드, 데이터를 내부적으로만 참조하는 검안기기들로 형성된 시스템의 시스템 식별자, 및 상기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 및 시스템 식별자를 마스크하기 위한 구분자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명령어 필드에 있는 데이터의 종류 및 전송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검안기기 식별자 필드 및 시스템 식별자를 마스크하기 위한 구분자를 설정하는 과정; 및
    양끝에 종단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통신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통신선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차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명령어 필드에 있는 데이터의 종류 및 전송신호의 종류에 따라 마스크된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버스 네트워크에 연결된 검안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검안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콘트롤러 에어리어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방법.
  7. 삭제
KR10-2003-0010920A 2003-02-21 2003-02-21 캔-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52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920A KR100524193B1 (ko) 2003-02-21 2003-02-21 캔-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920A KR100524193B1 (ko) 2003-02-21 2003-02-21 캔-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432A KR20040075432A (ko) 2004-08-30
KR100524193B1 true KR100524193B1 (ko) 2005-10-27

Family

ID=3736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920A KR100524193B1 (ko) 2003-02-21 2003-02-21 캔-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505B1 (ko) * 2006-02-13 2007-12-03 주식회사 휴비츠 자동 호롭터 제어 시스템
KR101384639B1 (ko) * 2012-05-25 2014-04-14 주식회사 브이앤아이 복수의 버스라인을 연계운용하는 캔 통신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416A (ja) * 1991-07-10 1993-01-29 Topcon Corp ネツトワークシステム
JPH10216087A (ja) * 1997-02-10 1998-08-18 Nidek Co Ltd 検眼装置
JP2001286442A (ja) * 2000-04-07 2001-10-16 Vision Megane:Kk 遠隔視力測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416A (ja) * 1991-07-10 1993-01-29 Topcon Corp ネツトワークシステム
JPH10216087A (ja) * 1997-02-10 1998-08-18 Nidek Co Ltd 検眼装置
JP2001286442A (ja) * 2000-04-07 2001-10-16 Vision Megane:Kk 遠隔視力測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432A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19725B2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ステーション内でデータ経路を構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モジュラシステム
EP0494746A2 (en) Network management interface with internal DSD
EP0938705A1 (en) Fail-over switching system
CA2446983A1 (en) Programmable logic device including programmable interface core and central processing unit
KR100291005B1 (ko) 알에스-485 다중접속을 위한 팬-아웃확장회로
KR100524193B1 (ko) 캔-통신망을 이용한 검안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SK385391A3 (en) Secret tapping of third side for controlling of collection
JPH0651881A (ja) 通信ユニット
US5668716A (en) Controller for two-way serial transmission and adapter for serial port
US6609172B1 (en) Breaking up a bus to determine the connection topology and dynamic addressing
KR100781505B1 (ko) 자동 호롭터 제어 시스템
JPH01135150A (ja) ネットワークのノードアドレス設定方式
US7565166B2 (en) Non-interacting transmission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lines
JPS63128832A (ja) 多重伝送システムの主局入出力ポ−ト可変設定方法
JP2687548B2 (ja) 信号中継装置
JPH07319515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分散制御システム
EP1233577A2 (en) A circuit module for interconnection between local networks in a distributed electronic system for motor vehicles
JPH06216923A (ja) 通信方式
JP4106708B2 (ja) 通信システム
KR100218395B1 (ko) 멀티-마스터 통신을 이용한 모니터링 기기
JPS628832B2 (ko)
JPS58146923A (ja) 周辺制御装置
JPS6251335A (ja) ステ−シヨンの2重化構成制御方式
JPS61146043A (ja) 光送受信装置
JPS63204310A (ja) ドライバ及びレシ−バ内蔵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