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773B1 - 시트 후 처리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후 처리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773B1
KR100523773B1 KR10-2003-0030436A KR20030030436A KR100523773B1 KR 100523773 B1 KR100523773 B1 KR 100523773B1 KR 20030030436 A KR20030030436 A KR 20030030436A KR 100523773 B1 KR100523773 B1 KR 10052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ost
staple
image form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512A (ko
Inventor
아따히로노부
하야가와야스요시
구와따다까시
이소베겐이찌로
후까쯔마사요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19Stapl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2Stationary guides or smoo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2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stapler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6Card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ile Receiver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는 개방된 상태의 상부 조오와 하부 조오의 사이에 공급된 시트를 상기 상부 조오와 하부 조오를 폐쇄하여 스테플로 스테플링하는 스테플러 본체와, 스테플러 본체를 유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홀더의 상류측부의 반송 안내면과 스테플러 본체의 하부 조오는 시트가 반송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스테플러 본체의 상류측부의 시트 반송 안내면은 하부 조오 위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시트 후 처리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SHEET AFTER-TREAT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DEVICE}
본 발명은 시트에 후 처리를 실시하는 시트 후 처리 장치와 이 시트 후 처리 장치를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트 반송을 손상하지 않고 크기의 감소를 허용하는 시트 후 처리 장치와 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시트 후 처리 장치는 장치 본체로부터 전송된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시트에 후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다.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이들 장치의 조합으로 구성된 다기능 장치 등이 있다. 화상이 그 위에 형성되는 시트는 보통지, 보통지의 대용품인 얇은 수지 시트, 두꺼운 종이, 엽서, 봉서, 오버헤드 프로젝터용 시트 등이 있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제공된 시트 후 처리 장치는 화상형성(인쇄)한 복수매의 시트의 각 단부를 정합하고 스테플과 같은 후 처리를 실행한다.
도10은 시트 후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다. 이 시트 후 처리 장치(1000)에는 시트 배출구를 구성하는 배출 롤러 쌍(1003), 배출된 시트가 함께 적재되는 중간 적재면(1002), 및 화살표(E)에 의해 지시된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하여 대향하는 측부에 배치된 스테플러(1001)등이 제공된다. 배출 롤러 쌍(1003)으로부터 배출된 시트는 중간적재면(1002)에 적재되고 스테플러(1001)의 개구부(1001a)를 향해 화살표(F)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역전(switchback) 반송된다. 다음으로, 반송 방향으로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폭 방향)의 단부와 시트 반송 방향의 단부가 정렬하는 동안, 시트는 개구부(1001a)로 안내된다. 다음으로, 시트(SB) 적재물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배출되기 전에 스테플러(1001)에 의해서 스테플링된다.
도11a 내지 도11c는 시트 후 처리 장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후 처리 장치(1010)에서, 스테플러(1011)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Q)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시트의 반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시트 반송로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단 화살표(E) 방향으로 반송되면 시트는 화살표(F) 방향으로 배향 반송되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의 종래 시트 후 처리 장치(1000)에서, 중간 적재면(1002)과 스테플러(1001)는 배출 롤러 쌍(1003)보다 한층 낮은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시트 후 처리 장치(1000)는 수직 방향으로 여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여 높이가 높아져서 대형 장치가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후자의 종래의 시트 후 처리 장치(1O1O)는 화살표(J) 방향으로 반송되어 온 시트를 시트 반송 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해 일단 시트 반송 방향의 대향 측부 상의 표면으로 시트를 인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화살표(G)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반송 경로로부터 스테플러(1011)의 개구까지 시트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폭넓은 중간 적재부가 요구되므로, 장치 전체 크기가 대형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 스테플링된 시트는 화살표(Q)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이들 종래의 시트 후 처리 장치(1000, 1010)에서, 잘못된 스테플링(mis-stapling) 또는 스테플러(1001, 1011) 등의 결과로 생긴 무효 스테플이 떨어져서 전기 부품의 쇼트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 무효 스테플을 회수하는 회수트레이를 스테플러(1001, 1011)의 근방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회수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은 여분의 공간을 요구하여, 장치 전체의 대형화 및 비용 상승으로 결과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의 반송을 손상하지 않고 소형화한 시트 후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제적인 공간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무효 스테플을 회수할 수 있는 시트 후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시트 후 처리 장치를 본체에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한 상태의 상부 조오와 하부 조오 사이에 공급된 시트를 상기 상부 조오와 하부 조오를 폐쇄함으로써 스테플에 의해 스테플링하는 스테플링 수단과, 상기 스테플링 수단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 시트 후 처리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유지 수단의 상류측부의 상단부와 상기 스테플링 수단의 하부 조오는 상기 시트가 반송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유지 수단의 상류측부의 상단부는 하부 조오 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시트를 시트 스테플링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시트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시트 단부를 정렬하는 시트 정렬 수단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테플은 고정적인 하부 조오로부터 돌출하고, 상부 조오는 스테플을 굴곡시키기 위해 하부 조오를 향해 또는 하부 조오로부터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유지 수단의 상류측에서 시트를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가 더 제공되는데, 상기 시트 안내부와, 유지 수단의 상류측부와, 하부 조오는 시트 안내부와, 유지 수단의 상류측부의 상단부와, 하부 조오가 높이 순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유지 수단의 상류측에서 시트를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가 더 제공되는데, 상기 시트 안내부와, 유지 수단의 상류측부와, 하부 조오와, 유지 수단의 하류 측부는 시트 안내부와, 유지 수단의 상류측부의 상단부와, 하부 조오와 유지 수단의 하류측부의 하단부가 높이 순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유지 수단의 상류측부의 상단부는 공급되는 상기 시트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유지 수단의 상류측 측부와 하부 조오의 상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은 시트의 잘못된 스테플링으로 인한 스테플을 저장하는 스테플 저장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테플링 수단과 유지 수단의 상류측부 사이와 스테플링 수단과 유지 수단의 하류측부 사이에서, 시트의 잘못된 스테플링의 결과로 생성된 무효 스테플을 수용하기 위한 간극이 적어도 스테플링 수단과 유지 수단의 상류측부 사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시트의 잘못된 스테플링의 결과로 생성된 스테플을 수용하기 위한 간극이 유지 수단의 상류측부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간극은 시트의 잘못된 스테플링 결과인 스테플을 안내하기 위해 기울어진 스테플 안내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테플링 수단과 유지 수단은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에서 낮아지도록 기울어진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테플링 수단과 유지 수단은 상부 조오와 하부 조오의 개구가 노출되도록 변위 가능하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테플링 수단과 유지 수단은 상부 조오와 하부 조오의 개구가 노출되도록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스테플링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시트 후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테플러 유닛(208)의 개구를 시트 반송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크기 및 비용의 감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테플러의 잘못된 스테플링 또는 오작동의 결과로 생성된 무효 스테플은 회복됨으로써 전기 부품 쇼트의 위험을 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크기 및 비용이 감소된 시트 후 처리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소형 및 저비용으로 생산된 수 있다.
전기 부품 쇼트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전술한 시트 후 처리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장치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후 처리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시트 후 처리 장치는 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의 부품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되고, 장치 본체로부터 전송된 화상이 상부에 형성된 시트에 후 처리를 수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이들 장치의 조합으로 구성된 다기능 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이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는 프린터, 통상적으로는 레이저 빔 프린터에 일 부품으로서 제공된다. 그러나, 이것은 제한적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프린터 아닌 장치에도 제공될 수 있다.
화상이 형성될 시트는 보통지, 보통지의 대용품인 얇은 수지 시트, 두꺼운 종이, 엽서, 봉서, 오버헤드 프로젝터용 시트 등이 있다.
(프린터)
도1은 본체(301)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후 처리 장치(200)를 프린터(300)의 부품의 하나로서 상부에 구비한 프린터(300)를 도시한다. 프린터는 제1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200)의 대신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후 처리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프린터(300)에 있어서, 그의 장치 본체(301)는 LAN과 같은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에 단독으로 접속되고, 컴퓨터나 네트워크 등으로부터 받은 화상 정보나 프린트 신호등을 기초로 하여 소정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서 시트를 배출하기 전에 시트 상에 화상이 형성(프린트)된다. 또한, 프린터(300)는 원고을 읽어내는 독해부를 갖추는데, 이 경우 원고의 화상은 시트가 배출되기 전 독해부로부터 받은 판독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시트 상에 복사된다. 프린터 본체(301)와 시트 후 처리 장치(200)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 커넥터에 의해 상호 전기 연결된다.
복수매의 시트(S)는 프린터 본체(301)의 하부에 제공된 공급 카세트(302)에 적재된다. 복수매의 시트(S)는 화상 형성 수단을 구성하는 화상 형성부(303)로 최상위의 시트로부터 하나씩 공급된다. 프린터 본체(301)의 화상 형성부(303)에 있어서, 토너 화상은 컴퓨터, 네트워크로부터 공급된 소정의 프린트 신호에 기초하여 소위 레이저 빔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토너 화상은 공급 카세트(302)로부터 공급된 시트(S)의 상부면에 전사된다. 시트가 화상형성부(303)로 공급되었을 때, 토너화상은 카트리지(305) 내의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부(303)의 감광 드럼(304) 상에 이미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주지하라.
다음으로, 열 및 압력이 하류측의 정착기(306)에 의해 시트에 인가되어서, 토너 화상은 시트에 영구 장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시트(S)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되는 프린터(301)의 플래퍼(307)의 위치에 따라 프린터 본체(301)의 상부에 제공된 페이스다운(face-down) 배출부(308) 또는 시트 후 처리 장치의 적재 트레이(204)로 배출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는 파단선에 의해 지시된 위치로 스위치된 플래퍼(307)에 의해 안내된다. 시트는 배출 롤러 쌍(309)으로 이르게 하는 실질적으로 U자형의 시트 반송로에서 반전된다. 결과적으로, 화상면은 반전되고, 시트는 토너 화상면이 하향하는 상태로 배출 롤러 쌍(309)에 의해 프린터 본체(301)로부터 페이스 다운 배출부(308)까지 페이스 다운 배출된다.
(제1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
시트 후 처리 장치(200)는 프린터 본체(301)로부터 외부로 배출된 시트를 수납하고, 시트를 단순 적재 모드 또는 후 처리 모드로 처리한다.
시트 후 처리 장치(200)에 단순 모드가 선택되면, 시트는 입구 롤러 쌍(201), 중간 롤러 쌍(202) 및 배출 롤러 쌍(203)에 의해 반송되고, 적재트레이(204)에 적재된다.
시트 후 처리 장치(200)에 후 처리모드가 선택되면, 배출 롤러 쌍(203)의 상부 롤러(203a)를 하부 롤러(203b)는 상호 이격되고, 복수매의 시트는 입구 롤러 쌍(201) 및 중간 롤러 쌍(202)에 의해서 스토퍼(310)의 위를 통과하여 중간 적재부(205) 상에 일시적으로 적재된다. 시트 후 처리 장치(200)는 반송 방향 정렬 패들(206)을 도1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시트 반송 방향으로 단부 조정되도록 스토퍼(310)에 인접할 때까지 시트 적재물을 중간 적재부(205) 상에서 역송한다. 동시에, 시트 반송 방향(시트의 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정렬은 예컨대 가로 정렬 수단(207)과 같은 정렬 수단에 의해 이뤄진다. 다음으로, 시트 후 처리 장치(200)는 스테플러 유닛(H1)에 의해 스테플링을 수행하고, 배출 롤러 쌍(203)의 롤러는 시트 적재물을 적재 트레이(204)로 배출하도록 다시 상호 압박된다. 패들(206)은 샤프트(227) 주위로 회전하고, 샤프트(227)는 상부 롤러(203a)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전방 단부에 레버(228)를 구비한다. 레버(228)는 스프링(229)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 롤러(203a)를 하부 롤러(203b)와 가압 유지한다.
도3a 및 도3b는 스테플러 유닛(H1)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스테플러 유닛(H1)은 스테플러 본체(208), 박스형의 홀더(211, 212) 및 스테플러 카트리지(C) 등을 갖추고 있다. 스테플러 본체(208)는 상부 조오(209) 및 하부 조오(210)를 갖추고 있다. 상부 조오(209) 및 하부 조오(210)가 개방하면, 개구부(220)가 형성된다. 스테플러 본체(208)에서, 스테플은 개구부(220) 안쪽으로 도입되는 시트를 관통하도록 고정된 하부 조오(210)로부터 돌출하고, 동시에 상부 조오(209)는 스테플을 굴곡시키기 위해 하향 이동하여 시트 적재물을 스테플링한다.
홀더(211, 212)는 스테플러 본체(208)를 상하로부터 시트 후 처리 장치(200)의 본체(221)에 고정한다. 스테플러 카트리지(C)는 스테플러 본체(208)에 착탈 가능하고 (도시되지 않는) 스테플을 포함하고 있다.
도4a 및 도4b는 스테플러 본체(208)와 홀더(211, 212)를 조립하여 형성한 스테플러 유닛(H1)을 도시한다. 시트 반송 안내면(213, 214)은 홀더(211, 212)와 일체로 형성된다. 시트 반송 안내면(213, 214)은 시트(S)를 스테플러 본체(208)의 개구부(220)로 들어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2는 스테플러 유닛(H1)의 구조와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홀더(211, 212)에 의해 유지되는 스테플러 본체(208)는 수직방향으로 대하여 각도(θ)만큼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즉, 스테플러 유닛(H1)은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에서 낮아지도록 기울어진다.
유지 수단을 구성하는 하부 홀더(212)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시트 진입측 상에서 홀더(212)의 측벽(212a)의 높이(시트 반송 안내면(214)의 높이))-(스테플러 본체(208)의 하부 조오(210)의 상부면(210a)의 높이)=T1으로 가정하면, T1은 0보다 작지 않다. T1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스테플의 두께와 상응한다. 도2에서, T1 단계는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스테플러 유닛(H1) 내부에는 스테플 저장부로서 작용하는 예컨대 포켓부(215)가 형성된다. 이러한 포켓부(215)는 시트의 잘못된 스테플링으로 인한 무효 스테플을 수납한다. 스테플러 유닛(H1)은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 상에서 낮아지도록 기울어지기 때문에, 포켓부(215) 내의 무효 스테플은 일 측부에 모이게 되어 무효 스테플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스테플러 유닛(H1)은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 상에서 낮아지도록 기울어지지 않더라도, 포켓부(215)에 무효 스테플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주지하라. 포켓부(215)에 무효 스테플을 저장함으로써, 무효 스테플이 떨어져서 전기 부품을 쇼트시키는 위험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도5a, 도5b, 도5c 및 도5d는 반송될 시트(S)의 반송 영역(SA)과 스테플러 유닛(H1)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스테플러 유닛(H1)의 개구부(220)는 시트(S)의 반송 영역(SA)과 겹친다. 시트 진입 측부 상의 홀더(212)의 측벽(212a)의 상단부 상의 시트 반송 안내면(214)(도2참조)과 하부 조오(210)의 상부면(210a)은 시트 반송 영역(SA)에 위치된다.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M) 방향으로 시트 반송 영역(SA)에 반송되어 온 시트(S)는 스테플러 본체(208)의 개구부(220)를 통과하고,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적재부(205)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는 반송 방향 정렬 패들(206)에 의해서 화살표(N) 방향으로 역송되어 반송 스토퍼(310)에 인접한다 (도1 참조). 이러한 작동은 반송된 시트가 도착할 때마다 수행된다.
제1 시트가 화살표(N) 방향으로 역송되면, 시트는 시트 반송 안내면(214)을 지나 스토퍼(310)와 인접한다. 중간 적재부(205)가 시트 반송 안내면(214)과 대략 동일면이기 때문에, 시트가 시트 반송 안내면(214)에 걸리는 위험은 없다. 제1 시트를 후속하는 시트들은 제1 시트위로 화살표(N) 방향으로 역송되므로, 이리한 시트들이 시트 반송 안내면(214)에 걸리는 위험은 없다.
소정매수의 시트(S)가 중간 적재부(205) 상에 적재되면, 그 시트 적재물(SB)은 도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 정렬부(207)에 의해 폭방향으로 정렬되면서 시트 스테플링 위치까지 화살표(R)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시트 스테플링 위치에서, 스테플러 본체(208)의 상부 조오(209)는 상부 조오(209) 및 하부 조오(210)에 의해 시트를 스테플하도록 하강한다.
이상의 동작에 있어서, 시트가 화살표(R)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도11c에서 도시한 종래 예의 화살표(G) 방향으로 이동된 이동거리보다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가 스테플러 개구부(220)에 미리 진입하고 있는 만큼 짧다. 따라서, 그 거리 차이만큼 중간 적재부(205)의 면적을 감소시켜서 시트 후 처리 장치(200)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100)에서, 시트 적재물(SB)은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R)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시트 스테플링 위치에서 스테플링되지만, 화살표(R) 방향으로의 이동 없이 시트 스테플링 위치에서 적재물을 스테플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는 시트 스테플링 위치에 의해 화살표(M) 방향으로 지난다. 그 후, 시트는 시트 스테플링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화살표(N) 방향으로 이동되고, 더 이상의 이동 없이 횡방향 정렬부(207)에 의해 그 자리에서 폭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 시트가 화살표(G)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11a 내지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예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는 화살표(G) 방향으로의 어떠한 이동도 수반하지 않으므로 중간 적재부(205)의 면적을 감소시켜서 시트 후 처리 장치(200)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
다음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 후 처리 장치(250)가 도6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제2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250)의 부품 중에서, 제1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200)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었고, 그 부품의 설명은 생략되었다. 스테플러 유닛(H2)의 박스형 홀더(251, 252)의 형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250)는 제1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200)와 다르다.
도6은 스테플러 유닛(H2) 및 그 주변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스테플러 유닛(H2) 역시 스테플러 본체(208), 홀더(251, 252) 및 (도시되지 않은) 스테플러 카트리지 등을 갖추고 있다. 홀더(251, 252)는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시트 반송 안내면(253, 254)을 갖는다. 시트 반송 안내면(253, 254)은 시트(S)가 스테플러 본체(208)의 개구부(220)로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홀더(251, 252)에 의해 유지되는 스테플러 본체(208)는 수직방향으로 대하여 각도(θ)만큼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즉, 스테플러 유닛(H2)은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 상에서 하강하도록 기울어진다.
반송 방향에 대해 스테플러 유닛(H2)의 상류측 상의 반송노면(255)의 높이와 시트 진입측 상에서 홀더(252)의 측벽(252a)의 높이(시트 반송 안내면(254)의 높이)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반송노면(255)의 높이)-(시트 진입측 상에서 홀더(252)의 측벽(252a)의 높이)= T2로 가정하면, T2는 0보다 작지 않다.
하부 홀더(252)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시트 진입측 상에서 홀더(252)의 측벽(252a)의 높이(시트 반송 안내면(254)의 높이))-(스테플러 본체(208)의 하부 조오(210)의 상부면(210a)의 높이)= T3로 가정하면, T3은 0보다 작지 않다. T3의 두께는 약 0. 5mm인데, 이것은 스테플의 두께와 대응한다. 도6에서, T3단계는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었다.
또한, 시트 배출 방향에서 홀더(252)의 측벽(252b)의 높이와 스테플러 본체(208)의 하부 조오(210)의 상부면(210a)의 높이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스테플러 본체(208)의 하부 조오(210)의 상부면(210a)의 높이)-(시트 배출 방향에서 홀더(252)의 측벽(252a)의 상단부(252ba)의 높이)=T4로 가정하면, T4는 0보다 작지 않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시트 후 처리 장치(250)에 있어서, 시트 안내부를 구성하는 예컨대 반송노면(255), 유지 수단의 상류측 상단부를 구성하는 예컨대 시트 반송 안내면(254), 하부 조오(210)의 상부면(210a) 및 유지 수단의 하류측부를 구성하는 측벽(252a)의 상단부(252ba)는 높이 순으로 정렬된다.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홀더(251, 252)의 상류측과 스테플러 본체(208) 사이에는 스테플의 두께보다 간격이 넓은 제1 간극(216)을 형성된다. 제1 간극(216)은 그 안으로 떨어지는 무효 스테플을 회수할 수 있다. 제1 간극(261)의 크기는 약 0. 5mm 이상이다. 제1 간극(216)은 반드시 스테플러 본체(208)와 홀더(251)의 사이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반송노면(255)의 하류측과 스테플러 유닛(H2) 사이에는, 마찬가지로 스테플의 두께보다 폭이 넓은 제2 간극(217)을 형성된다. 이 제2 간극(217)은 제1 간극(216)으로 회수할 수 없던 무효 스테플을 회수한다.
또한, 스테플러스틱 본체(208)와 홀더(251, 252)의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한 하류측 사이에는, 스테플의 두께보다 폭이 넓은 제3 간극(219)이 형성된다. 이 제3 간극(219)도 내부로 떨어지는 무효 스테플을 회수할 수 있다. 제3 간극(219)의 크기는 약 0. 5mm 이상이다. 제3 간극(219)은 반드시 스테플러 본체(208)와 홀더(251)의 사이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제3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
다음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 후 처리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제3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는 스테플러 유닛(H3)의 형상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와 다르다. 따라서, 도7a 및 도7b를 참조하여 주어진 후속하는 설명은 스테플러 유닛(H3)에 초점이 두었고, 실시예의 나머지 다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7a 및 도7b는 스테플러 유닛(H3)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 스테플러 유닛(H3)도 박스형 홀더(271, 272) 및 스테플 카트리지(C) 등을 갖추고 있다. 스테플러스틱 본체(208)와 유지 수단으로 작용하는 예컨대 홀더(272) 사이에는, 제2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의 스테플러 유닛(H2)의 간극(216, 219)에 해당하는 제4 간극(218)이 제공된다. 도7b는 간극(216)에 해당하는 제4 간극을 도시한다. 제4 간극(218)의 폭도 스테플 두께보다 크다. 그리고, 제4 간극(218)에는 안내면으로 작용하는 경사면(218a)이 형성된다. 경사면(218a)의 하단부의 홀더(272)는 무효 스테플을 배출하는 배출구(273)를 갖는다.
따라서, 제4 간극(218)에 떨어진 무효 스테플은 제4 간극(218)의 경사면(218a)에 미끌어져 내리고, 배출구(2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구(273)는 전기 부품이 배치된 위치에 형성된다. 전기 부품이 배출구(273)의 아래에 있는 경우에는, 배출구에 착탈식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플러 유닛(H1, H2)과 유사하게, 스테플러 유닛(H3)은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각도(θ)만큼 기울어진다.
스테플러 유닛(H1, H2, H3)은 시트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회전하여 스테플러 본체(208)의 개구부(220)를 외부에 개방하도록 시트 후 처리 장치 본체(221)(도1참조)에 제공된다. 스테플러 유닛(H1)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22, 223)에 의해 시트 후 처리 장치 본체(221)에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스테플러 유닛(H2)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24, 225)에 의해 시트 후 처리 장치 본체(221)에 제공된다. 스테플러 유닛(H3)의 지지축은 도시되지 않았다. 스테플러 유닛(H1, H2, H3)은 반드시 회전하도록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고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200)는 프린터(300)의 장치 본체(301)에 프린터(300)의 부품으로서 접속되고, 장치 본체(301)로부터 배출된 복수매의 적재된 시트를 스테플링하는 스테플러 유닛(H1)을 갖는데, 스테플링 수단으로 작용하는 예컨대 스테플러 본체(208)를 유지하는 홀더(211, 212)의 개구를 형성하는 시트 진입측의 측벽(212a)은 스테플러 본체(208)의 하부 조오 상부면(210a)보다 높게 설정했기 때문에, 시트의 선단이 스테플러(208)의 개구부(220)를 형성하는 상부 조오(209)와 하부 조오(210) 중에서 하부 조오(210)와 충돌하는 위험성이 없어져서 스테플 본체(208)의 개구부(220)를 시트 반송 영역(SA)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가 하부 조오(210)에 충돌하는 위험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시트를 원활히 반송할 수가 있다. 또한, 종래의 시트 후 처리 장치(1010)와는 달리, 시트 반송 영역(SA)과 떨어져 스테플러 유닛(H1)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시트 반송 영역(SA) 내에 스테플 본체(208)의 개구부(220)를 배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트 스테플링 위치까지의 시트의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시트 후 처리 장치(1010)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서, 스테플은 스테플러 유닛(H1)의 고정식 하부 조오(210)로부터 돌출하고, 상부 조오(209)는 스테플을 굴곡시키기 위해 하부 조오(210)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므로, 스테플링을 위해 시트 적재물을 들어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트 묶음의 정렬된 상태를 해치지 않고 시트 적재물을 스테플링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진입측의 측벽(212a)이 스테플러 본체(208)의 하부 조오(210)의 상부면(210a)보다 높고, 스테플러 유닛(H1)이 시트 진입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정됨으로써, 포켓부(215)가 하부 조오(210)의 상부면(210a)과 측벽(212a)에 의해 형성되어, 잘못된 스테플링으로 인한 무효 스테플을 스테플러 유닛(H1)의 외부로 떨어뜨리는 대신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용의 무효 스테플 회수 트레이 등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무효 스테플 낙하에 의한 전기 부품의 쇼트 등의 위험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무효 스테플 회수 트레이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크기 및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시트 후 처리 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의해 제공된 장점 외에, 제2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더 제공한다. 스테플러 본체(208)와 홀더(212)의 사이에 제1 간극(216)을 형성되는 것과 스테플러 유닛(H2)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무효 스테플은 그들이 낙하할 때 제1 간극(216)에 의해 안내되고 그 안에서 유지된다. 또한, 스테플러 본체(208)의 시트 통과면을 구성하는 하부 조오(210)의 상부면(210a)에 무효 스테플이 남지 않는다.
따라서, 무효 스테플에 의한 시트의 잼등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간극(216) 뿐만 아니라 제2 간극(217)도 제공되므로, 만일 제1 간극(216)으로 회수할 수 없던 무효 스테플은 제2 간극(217)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무효 스테플을 점검하는 측벽 등이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 연장하면서 높아지므로, 무효 스테플은 낙하할 받아내기 손쉽게 되어, 무효 스테플에 관한 안전성을 향상시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장점 외에, 제3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더 제공한다. 제3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는 스테플러 본체(208)와 홀더(272)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218)이 구비되고 외부로 연장하는 경사면(218a)을 가지므로, 무효 스테플은 스테플러 유닛(H3)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로 연장하는 경사면(218a)에 의해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테플러 유닛을 회전시키지 않고 무효 스테플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측에서 요구되는 행위를 최소화하고 보수유지의 관점에서 장치를 개선한다.
또한, 제1, 제2, 제3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플러 유닛은 회전 가능하므로 포켓부(215)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고, 대량의 무효 스테플이 포켓부(215)에 유지되어 있더라도, 그들은 손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무효 스테플에 의한 반송 잼등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는 시트 반송 영역 내에 스테플러 유닛(208)의 개구부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소형 및 저가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후 처리 장치는 스테플러의 잘못된 스테플링으로 인해 발생한 무효 스테플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전기 부품의 쇼트 등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후 처리 장치를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장치 본체의 상부에 구비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프린터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플러 유닛의 분해도.
도3b는 도3a의 스테플러 유닛의 우측 측면도.
도4a는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바라 본, 스테플러 본체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스테플러 유닛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4b는 도4a의 스테플러 유닛의 우측 측면도.
도5a 내지 도5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반송될 시트의 반송 영역과 스테플러 유닛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으로서,
도5a는 화살표(M) 방향으로 반송되어 왔을 때 시트 반송 영역에서의 시트를 도시한 도면.
도5b는 스테플러 본체의 개구를 통과했을 때의 시트를 도시한 도면.
도5c는 시트가 화살표(N) 방향으로 역송되어 반송 스토퍼에 인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5d는 시트 묶음이 화살표(R)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테플러 유닛으로 공급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 후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 후 처리 장치의 스테플러 유닛의 정면도.
도7b는 도7a의 선 ⅦB-Ⅶ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스테플러 유닛의 사시도.
도9는 스테플러 본체의 개구가 개방될 때까지 회전되었을 때 도8의 스테플러 유닛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10은 종래의 시트 후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
도11a 내지 도11c는 또 다른 종래의 시트 후 처리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로서,
도11a는 시트가 공급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11b는 시트가 역송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11c는 시트가 스테플러 안쪽으로 공급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시트
SB : 시트 묶음
SA : 시트 반송 영역
H1 : 제1 실시예의 스테플러 유닛
H2 : 재2 실시예의 스테플러 유닛
H3 : 제3 실시예의 스테플러 유닛
C : 스테플 카트리지
100, 301 : 프린터 본체
200 : 제1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
204 : 적재 트레이
205 : 중간 적재부
206 : 반송 방향 정합 패들
207 : 가로 방향 정합부(시트 정합 수단)
208 : 스테플러 본체(철 수단)
209 : 상부 조오
210 : 하부 조오
210a : 하부 조오의 상면
211, 251, 271 : 홀더
212, 252, 272 : 홀더(보유 지지 수단)
212a, 252a : 시트 진입 방향측의 측벽
213, 214 : 시트 반송 안내면
215 : 포켓부(침류부)
216 : 제1 간극
217 : 제2 간극
218 : 제4 간극
218a : 경사면(사면)
219 : 제3 간극
220 : 스테플러의 개구부
221 : 제1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 본체
222, 223, 224, 225 : 지지축
250 : 제2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
252b : 시트 배출 방향측의 측벽(보유 지지 수단의 하류측부)
252ba : 시트 배출 방향측의 측벽의 상단부(보유 지지 수단의 하류측부의 상단부)
253 : 시트 반송 안내면(보유 지지 수단의 상류측부)
254 : 시트 반송 안내면(보유 지지 수단의 상류측부의 상단부)
255 : 반송로면(시트 안내면)
270 : 제3 실시예의 시트 후 처리 장치
300 : 프린터(화상 형성 장치)
303 : 화상 형성부(화상 형성 수단)
310 : 스토퍼

Claims (24)

  1. 상부 조오와 하부 조오 사이에 반송된 시트를 상기 상부 조오와 상기 하부 조오 폐쇄 동작에 의해 스테플로 스테플링하는 상부 조오와 하부 조오를 구비한 스테플링 수단과,
    상기 스테플링 수단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과, 그리고
    상기 스테플링 수단에 의해 시트를 스테플링한 스테플을 저장하는 스테플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플 저장부는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측부와 상기 하부 조오로 형성되는 시트 후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링 수단은 시트의 반송 영역에 오버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테플 저장부는 상기 보유 지지 수단에 구비된 시트 반입 가이드의 안내면과 상기 하부 조오와의 단차로 형성되는 시트 후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은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이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부착되어 있는 시트 후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시트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에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의 안내면, 상기 시트 반입 가이드의 안내면, 상기 하부 조오의 차례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시트 후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 저장부는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의 측벽과 상기 하부 조오 사이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시트 후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링 수단은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이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부착되어 있는 시트 후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 저장부는 상기 스테플을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에 연결하는 경사진 스테플 가이드를 갖는 시트 후 처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또 다른 스테플 저장부가 상기 스테플링 수단의 시트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시트 후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스테플 저장부는 상기 스테플을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에 연결하는 경사진 스테플 가이드를 갖는 시트 후 처리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또 다른 스테플 저장부가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시트 후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링 수단은 상기 상부 조오와 상기 하부 조오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가 시트 후 처리 장치의 외부로 개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트 후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오는 고정되고, 상기 상부 조오가 상기 하부 조오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한 시트 후 처리 장치.
  13.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그리고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 형성된 시트에 처리를 실시하는 시트 후 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후 처리 장치는,
    상부 조오와 하부 조오 사이로 반송된 시트를 상기 상부 조오와 상기 하부 조오의 폐쇄 동작에 의해 스테플로 스테플링하는 상부 조오와 하부 조오를 구비하고 스테플링 수단과,
    상기 스테플링 수단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과, 그리고
    상기 스테플링 수단에 의해 시트를 스테플링한 스테플을 저장하는 스테플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플 저장부는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측부와 상기 하부 조오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링 수단은 시트의 반송 영역에 오버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테플 저장부는 상기 보유 지지 수단에 구비된 시트 반입 가이드의 안내면과 상기 하부 조오와의 단차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링 수단은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이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부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시트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에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의 안내면, 상기 시트 반입 가이드의 안내면, 상기 하부 조오의 차례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 저장부는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의 측벽과 상기 하부 조오 사이의 간극으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링 수단은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이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부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 저장부는 상기 스테플을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에 연결하는 경사진 스테플 가이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또 다른 스테플 저장부가 상기 스테플링 수단의 시트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스테플 저장부는 상기 스테플을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에 연결하는 경사진 스테플 가이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또 다른 스테플 저장부가 상기 보유 지지 수단의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링 수단은 상기 상부 조오와 상기 하부 조오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가 시트 후 처리 장치의 외부로 개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오는 고정되고, 상기 상부 조오가 상기 하부 조오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30436A 2002-05-15 2003-05-14 시트 후 처리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0523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0363 2002-05-15
JP2002140363A JP4240909B2 (ja) 2002-05-15 2002-05-15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512A KR20040021512A (ko) 2004-03-10
KR100523773B1 true KR100523773B1 (ko) 2005-10-27

Family

ID=29416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436A KR100523773B1 (ko) 2002-05-15 2003-05-14 시트 후 처리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77395B2 (ko)
JP (1) JP4240909B2 (ko)
KR (1) KR100523773B1 (ko)
CN (1) CN127218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1978B2 (ja) * 2004-02-20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23204B2 (ja) * 2004-08-02 2008-07-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10118B2 (ja) * 2005-04-19 2011-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08845B2 (ja) * 2005-04-26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84047B2 (ja) 2007-12-07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3317856A (zh) * 2012-03-20 2013-09-25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于打印装置的装订装置
JP6288543B2 (ja) * 2013-07-01 2018-03-0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93416A (ja) * 2016-04-21 2017-10-26 株式会社東芝 シート後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2312A (en) * 1986-04-15 1988-08-09 Ricoh Company, Ltd. Sorter with a function of binding copy sheets
JP2642804B2 (ja) * 1991-07-06 1997-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分類装置
JPH08192951A (ja) 1995-01-13 1996-07-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用紙後処理装置
US5709376A (en) * 1995-01-30 1998-01-20 Ricoh Company, Ltd. Sheet finisher
JPH09194121A (ja) * 1996-01-17 1997-07-29 Canon Inc ステープル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278270A (ja) * 1996-04-11 1997-10-28 Canon Inc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シート処理装置
JP2000084903A (ja) * 1998-09-11 2000-03-28 Minolta Co Ltd ステープル装置
JP3835065B2 (ja) 1999-07-21 2006-10-1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63898B2 (ja) 2000-06-20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方法、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15276A1 (en) 2003-11-20
KR20040021512A (ko) 2004-03-10
US7077395B2 (en) 2006-07-18
CN1460597A (zh) 2003-12-10
JP2003326505A (ja) 2003-11-19
CN1272183C (zh) 2006-08-30
JP4240909B2 (ja)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456B2 (en) Sheet processing device with sheet lift preventing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429219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47091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444141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8204431B2 (en) Compact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ost-processing
KR100523773B1 (ko) 시트 후 처리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US7883079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EP129619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outputting copy sheets above an original reading part
US11027567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06312547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56252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JP4401978B2 (ja)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108256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11250B2 (ja) 画像形成装置
JP4982872B2 (ja) 画像形成装置
JP4560437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9001346A (ja) 用紙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84253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4091129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24074188A (ja) シート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JP5695933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原稿情報読取装置
JP5371612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09303B2 (ja) 用紙中折り装置および用紙後処理装置
JP2010013244A (ja) シート処理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2000177915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