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297B1 -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 - Google Patents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297B1
KR100520297B1 KR10-2002-0054177A KR20020054177A KR100520297B1 KR 100520297 B1 KR100520297 B1 KR 100520297B1 KR 20020054177 A KR20020054177 A KR 20020054177A KR 100520297 B1 KR100520297 B1 KR 100520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nchor
mounting
seat
seat back
ancho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574A (ko
Inventor
박성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29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했던 기존의 하부앵커 구조와는 달리, 시트백 후면에서 그 바닥쪽 플로어 패널에 하부 앵커를 장착시킴에 따라, 각 차종별로 시트백의 중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강도면에서도 하부 앵커의 강도를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리어 시트백 후면에서 그 바닥쪽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는 장착브라켓과, 이 장착브라켓을 좌우로 관통하며 연장되는 바와, 상기 바의 양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이드패널에 장착되는 장착판과, 상기 바에 일체로 부착된 하부 앵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Lower anchor structure for mounting infant safety seat}
본 발명은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 프레임의 하단에 용접으로 장착되던 종래의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를 개선하여, 하부 앵커를 플로어 패널에 별로도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의 강도 보강 설계에 대한 법규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유아용 시트를 보다 안전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유아를 탑승시킬 때는 유아의 안전을 고려하여 유아용 시트를 설치하고 있다.
유아용 시트의 장착은 차종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고, 그 중 하나의 방법은 유아용 시트의 후면 하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고정띠를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고정띠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하단에는 별도의 하부 앵커가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즉, 첨부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용 안전 시트(10)를 시트백(50)과 시트쿠션(60)에 밀착시켜 배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유아용 시트(10)의 고정띠(40)를 상기 시트백 프레임(70)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된 고리 형태의 하부 앵커(20b)에 걸어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유아용 시트 장착을 위한 하부 앵커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시트백 프레임에 하부 앵커가 용접으로 부착되는 바, 이 하부 앵커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시트백 프레임의 강도를 더 보강하여야 하고, 그에따라 과도하게 중량 상승되는 단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중량 상승은 차종별로 달리 적용되는 시트백에 대한 법규를 일일이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둘째, 시트백 프레임에 하부 앵커를 용접으로 부착함에 따라, 차종별로 달리 적용되는 시트백 프레임의 설계 자유도를 제약하는 요인이 되고 있고, 그에따라 개발 차종마다 시트백 구조를 고려하여 하부앵커를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부 앵커 구조를 개선하여, 시트백 프레임에 하부앵커를 장착하지 않고, 시트백 후면에서 그 바닥쪽 플로어 패널에 하부 앵커를 장착시킴에 따라, 각 차종별로 시트백의 중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강도면에서도 하부 앵커의 강도를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 시트백 후면에서 그 바닥쪽 플로어패널에 장착되는 장착브라켓과, 이 장착브라켓의 홀을 좌우로 관통하며 연장되는 바와, 상기 바의 양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이드패널에 장착되는 장착판과, 상기 바에 일체로 부착된 하부 앵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유아용 시트의 설치 위치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유아용 시트의 고정띠가 매어지는 상기 하부 앵커는 상기 바에 등간격을 이루며 여러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부 앵커 구조는 기존에 시트백 프레임(70)에 하부 앵커(20b)가 용접으로 일체 부착된 점을 배제한 구조로서, 리어 시트백(50) 후면에서 그 바닥쪽 플로어 패널(80)면에 장착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하부 앵커 구조의 구성중 장착 브라켓(12)이 플로어 패널(80)에 볼팅으로 장착되는 바, 이 장착 브라켓(12)은 플로어 패널(80)에 장착되는 수평판과 이 수평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고 홀이 형성된 수직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 브라켓(12)의 수직판에 형성된 홀(18)에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원형의 바(14)가 삽입되어진다. 이때, 상기 바(14)의 양끝단은 사이드패널(미도시됨)면까지 연장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바(14)의 양끝단에는 사이드패널면에 볼팅등으로 장착되는 장착판(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바(14)에는 고리 형상으로 된 여러개의 하부 앵커(20a)가 등간격으로 일체 부착되어지는 바, 하부 앵커(20a)를 여러개 설치한 이유는 시트에 설치되는 유아용 시트의 설치 위치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고, 또한 현행 법규상 2열시트에는 좌우 2개의 유아용 시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앵커가 부착되어야 하는 점을 감안하여 여러개가 설치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아용 시트(10)를 리어 시트백(50)과 리어 시트쿠션(6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유아용 시트(10)의 후면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띠(40)를 상기 하부 앵커(20a)에 걸어서 고정시킴에 따라, 유아용 시트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에 의하면, 기존에 시트백 프레임 하단에 하부앵커를 장착하지 않고, 시트백 후면에서 그 바닥쪽 플로어 패널에 하부 앵커를 장착시킴에 따라, 각 차종별로 시트백의 중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강도면에서도 하부 앵커의 강도를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각 차종별로 시트백 프레임의 설계 자유도를 크게 얻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 앵커 구조는 각 차종에 상관없이 모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앵커 구조에 유아용 시트를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하부 앵커 구조에 유아용 안전시트를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아용 시트 12 : 장착브라켓
14 : 바 16 : 장착판
18 : 홀 20a,20b : 하부 앵커
40 : 고정띠 50 : 리어 시트백
60 : 리어 시트쿠션 70 : 시트백 프레임
80 : 플로어 패널

Claims (2)

  1. 리어 시트백(50) 후면에서 그 바닥쪽 플로어패널(80)면에 장착되는 장착브라켓(12)과;
    상기 장착브라켓(12)의 홀(18)을 좌우로 관통하며 연장되는 바(14)와;
    상기 바(14)의 양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이드패널에 장착되는 장착판(16)과;
    유아용 시트(10)의 고정띠(40)가 매어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14)에 등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부착된 다수개의 하부 앵커(20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
  2. 삭제
KR10-2002-0054177A 2002-09-09 2002-09-09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 KR100520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77A KR100520297B1 (ko) 2002-09-09 2002-09-09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77A KR100520297B1 (ko) 2002-09-09 2002-09-09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74A KR20040022574A (ko) 2004-03-16
KR100520297B1 true KR100520297B1 (ko) 2005-10-13

Family

ID=3732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177A KR100520297B1 (ko) 2002-09-09 2002-09-09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2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798A (ja) * 1999-09-03 2001-03-21 Tachi S Co Ltd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の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ー構造
JP2001071799A (ja) * 1999-09-07 2001-03-21 Suzuki Motor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構造
KR20010051395A (ko) * 1999-11-02 2001-06-25 야마다 다카야 차체의 리어플로어 구조
JP2001219773A (ja) * 2000-02-10 2001-08-14 Hino Motors Ltd 車両用シート
JP2002225602A (ja) * 2001-01-31 2002-08-14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798A (ja) * 1999-09-03 2001-03-21 Tachi S Co Ltd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の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ー構造
JP2001071799A (ja) * 1999-09-07 2001-03-21 Suzuki Motor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構造
KR20010051395A (ko) * 1999-11-02 2001-06-25 야마다 다카야 차체의 리어플로어 구조
JP2001219773A (ja) * 2000-02-10 2001-08-14 Hino Motors Ltd 車両用シート
JP2002225602A (ja) * 2001-01-31 2002-08-14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74A (ko) 200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0168B1 (en) Child seat anchoring structure
US8398166B2 (en) Vehicle seat assembly
JP428824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テザーアンカー構造
US20050093360A1 (en) Vehicle seat
US6634710B1 (en)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child seat attachments
US8534757B2 (en) Child safety seat and its installation method
US6371545B1 (en) Seat-mounting structure for automobile
JP2006160248A (ja) フロア衝撃移動制限装置を備える車両支持構造
KR100520297B1 (ko) 유아용 안전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구조
JP4193242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CN113498389A (zh) 用于车辆座椅的软垫部分的覆盖物、车辆座椅的软垫部分以及车辆座椅
JP200221997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用ブラケット構造
JP2002225601A (ja) 車両のチャイルドシート支持構造
JP2985732B2 (ja) インナベルト構造
JP2015020597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2012076722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取付構造
JP2001071799A (ja) 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構造
JP6123668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構造
KR200219630Y1 (ko) 자동차 시트의 실드 커버 고정 구조
JPS6030108Y2 (ja) ハイバツクシ−ト
CN112810510B (zh) 儿童安全座椅及其支撑结构
JPH1134709A (ja) 車輌用リヤシート
EP0168966A2 (en) Infant safety seats
JPH1159246A (ja) トップテザー係合構造
KR20070060387A (ko) 차량 리어 시트의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