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195B1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195B1
KR100519195B1 KR10-2003-0012282A KR20030012282A KR100519195B1 KR 100519195 B1 KR100519195 B1 KR 100519195B1 KR 20030012282 A KR20030012282 A KR 20030012282A KR 100519195 B1 KR100519195 B1 KR 10051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device
movable contact
fixed contact
contact por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554A (ko
Inventor
사사키마고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162Driving mechanisms incorporating links interconnecting tumbler and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8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 H01H23/3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with stable centre positions and one or both end positions unstable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Contact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종래는 케이스상에 대형의 덮개체부재가 배치됨과 동시에, 조작손잡이부재가 덮개체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장치가 대형화하고, 또 부품점수가 많아져,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소형화 가능하고,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한다.
바닥벽(2a), 측벽(2b)을 가지는 케이스(2)와, 고정접점부(3)와, 가동접점부 (4)와, 측벽에 설치된 구동체(5)와, 구동체를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수단(6)을 구비하고, 구동체는 가동접점부를 가동하기 위한 작동부(5a)와, 작동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5c)를 가지고, 조작부가 구동되었을 때, 작동부에서 가동접점부가 가동되어,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조작부의 구동이 해제되었을 때, 복귀용 수단에 의하여 구동체는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가 비접촉상태가 되도록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SWITCH DEVICE}
본 발명은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탑재용의 파워윈도우장치의 구동에 사용하기 적합한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장치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도 18은 종래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9는 종래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종래의 스위치장치는, 소위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가지는 쌍극·쌍투형(雙投型)의 스위치장치이다.
박스체(81)는 대략 박스형의 케이스(82)와, 케이스(82) 내에 인서트 몰드 가공되어, 일부가 케이스(82)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설치되고,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고정접점부(83)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82)는 바닥벽(82a)과,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82b)과, 한쪽의 대향하는 측벽(82b)과 평행한 칸막이 벽(82c)과, 측벽(82b)과 칸막이 벽(82c)과의 윗쪽에 설치된 2개의 개구부(82d)를 가지고 있다.
고정접점부(83)는 제 1, 제 2 및 제 3 고정접점(도시 생략)을 가지고, 각 제 1, 제 2 및 제 3 고정접점(도시 생략)으로부터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단자(83a, 83b, 83c)가 바깥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접점부(83)는 케이스(82)의 바닥벽(82a)에 인서트가공되어, 제 1, 제 2 및 제 3 고정접점(도시 생략)의 일부가 바닥벽(82a)으로부터 표면에 노출되어 설치됨과 동시에, 제 1, 제 2 및 제 3 단자(83a, 83b, 83c)가 한쪽의 측벽(82b)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고정접점부(83)는 2개(2세트)가 케이스(82)에 대하여 대칭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가동접점부(84)는 좌우대칭으로 대략 M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M자 형상의 중앙부의 제 1 가동접점(84a)과, 제 1 가동접점(84a)을 끼고 양 자유단측에 설치된 제 2 및 제 3 가동접점(84b, 84c)을 가지고 있다.
이 가동접점부(84)는 제 1 가동접점(84a)이 제 1 고정접점(도시 생략) 상에 맞닿아 얹어 놓여짐과 동시에, 제 2 가동접점(84b)이 제 2 고정접점(도시 생략)에 대향하고, 제 3 가동접점(84c)이 제 3 고정접점(도시 생략)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가동접점부(84)는 케이스(82)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 이 가동접점부(84)는 2개 설치되어 있고, 각각이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고정접점부(83)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가동접점부(84)는 제 1 가동접점(84a)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동체(85)는 대략 박스형의 기체부(基體部)(85a)와, 기체부(85a)의 아래쪽 끝에 설치된 반원형상(반원호형상)의 한쌍의 구동부(85b)를 가지고 있다.
이 구동체(85)는 구동부(85b)의 선단부가 가동접점부(84)의 M자 형상의 중앙부의 제 1 가동접점(84a)상에 맞닿음·배치되어 있다.
덮개체부재(86)는 직사각형의 상벽(86a)과, 상벽(86a)의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86b)과, 한쪽의 대향하는 측벽(86b)의 중앙부로부터 윗쪽으로 연장 설치된 설치부(86c)와, 한쌍의 설치부(86c)의 윗쪽 끝의 근방에 동축상에 설치된 관통구멍(86d)과, 한쌍의 설치부(86c) 사이에 설치된 직사각형의 개구부(86e)를 가지고 있다.
이 덮개체부재(86)는 상벽(86a)이 케이스(82)의 2개의 개구부(82d)를 덮도록, 예를 들면 스냅 걸어맞춤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케이스(82)의 상부에 걸여맞춰져 있다. 이 때, 덮개체부재(86)의 개구부(86e) 내에 구동체(85)의 기체부(85a)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부재(87)는, 소위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부재 (87)는 구동체(85)의 기체부(85a) 내에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조작손잡이부재(88)는 직사각형의 손잡이부(88a)와, 손잡이부(88a)의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 설치되는 사방이 둘러싸인 직사각형의 수납부(88b)와, 수납부(88b)의 한쪽의 대향하는 외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원주형상의 볼록부(88c)를 가지고 있다.
이 조작손잡이부재(88)는 수납부(88b)가 덮개체부재(86)의 개구부(86e) 내에 삽입·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수납부(88b) 내에 스프링부재(87)가 설치된 구동체 (85)를 설치한다.
또 조작손잡이부재(88)의 한쌍의 볼록부(88c)가 덮개체부재(86)의 각 관통구멍(86d) 내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스프링부재(87)의 탄압력에 의하여 구동체(85)의 구동부(85b)가 가동접점부(84)의 제 1 가동접점(84a)을 고정접점부(83)의 제 1 고정접점(도시 생략)에 가세하고 있다.
또 조작손잡이부재(88)는 한쌍의 볼록부(88c)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동작(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조작손잡이부재 (88)의 요동동작에 의하여 구동체(85)가 요동된다.
그리고 이 구동체(85)의 요동에 의하여 구동체(85)의 한쌍의 구동부(85b)가 M자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접점부(84)를 시소동작시켜, 이 가동접점부(84)의 시소동작에 의하여 가동접점부(84)의 제 2, 또는 제 3 가동접점(84b, 84c)이 고정접점부 (83)의 제 2, 또는 제 3 고정접점(도시 생략)에 접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케이스상에 비교적 대형의 크기의 덮개체부재가 설치됨과 동시에, 조작손잡이부재가 덮개체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장치의 전체 구성이 대형화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스위치장치에서는 부품점수가 많아지고, 따라서 조립공수가 많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가가 되어,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리 조작손잡이부재에 스프링부재를 거쳐 조립해 둘 필요가 있어,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고, 소형화 가능 및 박형화가 가능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바닥벽 및 이 바닥벽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을 가지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바닥벽에 설치된 고정접점부와, 케이스내에 배치된 가동접점부와, 한쌍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체와, 구동체를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수단을 구비하고, 구동체는 가동접점부를 가동하기 위한 작동부와, 작동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가지고, 구동체의 조작부가 구동되었을 때, 작동부가 회동되고, 작동부에 의하여 가동접점부가 가동되어,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조작부의 구동이 해제되었을 때, 복귀용 수단에 의하여 구동체는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가 비접촉상태가 되도록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가동접점부를 탄압하는 스프링부재가 조작손잡이부재와 구동체 사이에 탄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작손잡이부재가 필수적인 구성부재가 되어, 이것으로부터 6개의 부품종류(점수)가 필요하게 되나, 한편 이 스위치장치에 있어서의 통상의 상태에서는, 조작손잡이부재가 설치되는 일 없이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체와, 구동체를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수단을 가지는 4개의 부품종류(점수)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어, 부품점수가 적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소형화 가능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 스위치장치에서는, 이 스위치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손잡이를 이 스위치장치와는 별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장치를 표준화할 수 있어, 양산효과에 의한 비용절감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복귀용 수단이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스프링부재는 형성이 용이하고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구동체가 스프링부재에 의하여 바닥벽측에 가세되고, 스프링부재의 가세력에 의하여 구동체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구동체와 스프링부재와의 배치와 동작이 단순하기 때문에, 구성이 용이하고,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스프링부재가 스프링성이 있는 평판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스프링부재를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부재의 형성이 용이하고,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케이스가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과, 윗쪽에 설치된 개구부를 가지고, 개구부가 평판에 의하여 형성된 스프링부재에 의하여 덮여져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측벽과 스프링부재에 의하여 케이스가 밀폐되기 때문에, 스위치소자내에 이물이 들어가는 일이 없어져, 안정된 성능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스프링부재가 케이스의 측벽에 스냅 걸어맞춤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확실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구동체의 작동부의 회동시, 구동체는 스프링부재의 가세에 저항하여 바닥벽측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회동동작을 행하여, 작동부가 가동접점부를 가동시켜,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구동체의 회동이 해제되었을 때, 스프링부재에 의하여 구동체는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가 비접촉상태가 되도록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스프링부재의 동작이 단순하기 때문에, 구동체의 동작에 무리가 없어, 안정된 성능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케이스에는 구동체의 조작부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스토퍼부에 의하여 조작부의 회동범위가 규제되므로, 회동범위가 안정되고, 확실한 동작을 할 수 있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구동체의 조작부가 케이스 밖에 위치함과 동시에, 스토퍼부가 케이스 밖에 설치되어, 조작부가 스토퍼부에 부딪쳐, 회동범위의 규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케이스 밖에 조작부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작 및 구성이 간단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구동체 또는 케이스의 한쪽의 대향하는 측벽의 어느 한쪽에는 볼록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쪽에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오목부내에 볼록부를 설치하여 구동체가 케이스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케이스에의 구동체의 설치가 용이하고, 조립이 간단하며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구동체는 볼록부를 가짐과 동시에, 케이스는 오목부를 가지고, 볼록부가 오목부내에 설치되어, 구동체가 케이스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구동체의 볼록부와, 케이스의 오목부와의 형성이 한층 용이하여, 조립이 간단하고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측벽의 상단에는 상부가 개방된 오목부가 설치되고, 이 오목부내에는 윗쪽으로부터 볼록부를 끼워 넣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볼록부를 윗쪽으로부터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조립이 한층 간단하고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측벽의 오목부는 구동체의 볼록부의 지름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치수를 가지고 설치되고, 볼록부가 오목부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구동체의 볼록부가 오목부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볼록부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아, 장기간 안정된 성능을 유지하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가동접점부는 평탄부와, 평탄부의 한쪽의 끝부로부터 경사진 상태에서 연장 설치된 상승부와, 상승부의 한쪽의 끝부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고정접점부에 접리하는 접점부를 가지고, 가동접점부가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동접점부의 구성이 시소운동 가능하여,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접점부상에 설치할 때에 가동접점부 방향을 특정할 수 있어, 확실한 조립을 할 수 있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가동접점부는 작동부의 가압이 평탄부로부터 상승부로 변위함으로써, 시소동작을 행하여,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작동부의 가압이 상승부로부터 평탄부로 변위함으로써, 원래의 상태가 되도록 시소동작을 행하여,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로부터 비접촉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동접점부의 시소동작을 구동체의 작동부가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동작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고정접점부는 가동접점부에 항상 접촉되어, 가동접점부를 지지하는 제 1 고정접점과, 가동접점부와 접리하는 제 2 고정접점을 가지고, 가동접점부가 제 1 고정접점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동접점부의 시소운동의 지점을 제 1 고정접점으로 함으로써, 제 1 고정접점과 가동접점부를 항상 접촉된 단순한 구성에 의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고정접점부는 제 3 고정접점을 가지고, 구동체의 비구동시, 가동접점부가 제 1 고정접점과 제 3 고정접점에 접촉되어, 제 1,제 3 고정접점 사이가 온상태가 되어 있고, 구동체가 구동되었을 때에 가동접점부의 평탄부가 제 3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간되어, 제 1, 제 3 고정접점 사이가 오프상태가 됨과 동시에, 가동접점부가 제 2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제 1, 제 2 고정접점 사이가 온상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부품점수가 적은, 저렴한 단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고정접점부와, 가동접점부와, 구동체와, 복귀용 수단에 의하여 1세트의 스위치소자를 구성하고,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케이스내에 병설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부품점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하며 저렴한 쌍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2개의 가동접점부는, 각각의 평탄부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케이스에 대하여 엇갈리게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비대칭의 2개의 가동접점부를 케이스에 대하여 엇갈리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치수를 짧은 치수로 형성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평판으로 형성된 하나의 스프링부재를 가지고, 스프링부재는 슬릿과, 슬릿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제 2 스프링부가 설치되어, 제 1, 제 2 스프링부가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쪽의 구동체가 제 1 스프링부에 의하여 가압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구동체가 제 2 스프링부에 의하여 가압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 1, 제 2 스프링부로 한쪽 또는 다른쪽의 각 구동체를 개별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의 방법이 다양화되어, 다기능인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 대한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 관계되는 케이스와 고정접점부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장치로부터 스프링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구동체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2의 6-6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박스체(1)는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성형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대략 박스형의 케이스(2)와, 케이스(2) 내에 인서트 몰드 가공되어, 일부가 케이스(2)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설치되고,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 세트의 고정접점부(3)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2)는 직사각형의 바닥벽(2a)과, 바닥벽(2a)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한쪽의 대향하는 제 1 측벽(2b)과 다른쪽의 대향하는 제 2 측벽(2c)과, 대향하는 각 제 1 측벽(2b)의 대략 중간의 위치에 배치된 제 3 측벽(2d)과, 제 1 개구부(2e)와, 제 1 개구부(2e)에 병설된 제 2 개구부(2f)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 1 측벽(2b)과 제 2 측벽(2c)에 의하여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이 구성됨과 동시에, 제 3 측벽(2d)에 의하여 케이스(2) 내에 2개의 제 1, 제 2 수납부(2g, 2 h)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제 1 측벽(2b)과 하나의 제 3 측벽(2d)에는, 제 1, 제 3 측벽(2b, 2d)의 각각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가 개방된 각각 한쌍의 오목부(2j, 2k)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한쌍의 오목부(2j)와 다른쪽의 한쌍의 오목부(2k)의 각각의 축선은 제 1, 제 3 측벽(2b, 2d)의 내·외측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서로 평행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한쪽의 한쌍의 오목부(2j)는, 한쪽의 제 1 측벽(2b)과 하나의 제 3 측벽(2d)과의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쪽의 한쌍의 오목부(2k)는 다른쪽의 제 1 측벽(2b)과 하나의 제 3 측벽(2d)과의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부터, 제 3 측벽(2d)에는 하나의 오목부(2j)와 하나의 오목부(2k)가 평행위치에 병설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제 1 측벽(2b)의 대향하는 각 바깥쪽 벽면에는, 각 오목부(2j, 2k)의 각각의 근방에 한쌍의 스토퍼부(2n)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한쌍의 제 2 측벽(2c)의 대향하는 각 바깥쪽 벽면에는, 각각 2개의 돌출부(2m)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각각 한쌍의 오목부(2j, 2k)의 하부에는, 상면이 원호형상의 각각 한쌍의 지지부(2p, 2q)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접점부(3)는 도전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고,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중앙부에 설치된 제 1 고정접점(3a)과, 제 1 고정접점(3a)의 근방에 설치된 제 2 고정접점(3b)과, 제 1 고정접점(3a)의 근방에서 제 2 고정접점(3b)에 대하여 제 1 고정접점(3a)을 끼운 위치에 설치된 제 3 고정접점(3c)을 가지고 있다.
이 제 1, 제 2 및 제 3 고정접점(3a, 3b, 3c)을 1세트의 고정접점부(3)로 하고, 2세트의 고정접점부(3)가 케이스(2)에 대하여 엇갈리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고정접점(3a)은 제 1 접촉부(3d)와, 제 1 접촉부(3d)로부터 연장 설치된 제 1 단자(3e)를 가지고 있다.
또 제 2 고정접점(3b)은 제 2 접촉부(3f)와, 제 2 접촉부(3f)로부터 연장 설치된 제 2 단자(3g)를 가지고 있다.
또 제 3 고정접점(3c)은 제 3 접촉부(3h)와, 제 3 접촉부(3h)로부터 연장 설치된 제 3 단자(3j)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 접촉부(3d)와 제 2 접촉부(3f)와 제 3 접촉부(3h)는, 케이스(2)의 바닥벽(2a)에 각각 표면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단자(3e)와 제 2 단자(3g)와 제 3 단자(3j)는 케이스(2)의 대향하는 제 1 측벽(2b)으로부터 거의 등간격의 위치에서 각각 바깥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가동접점부(4)는 도전금속제의 평판재료로 이루어지고,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한쪽의 끝부측에 형성된 평탄부(4a)와, 평탄부(4a)의 한쪽의 끝부로부터 경사진 상태에서 연장 설치된 상승부(4b)와, 상승부(4b)의 한쪽의 끝부로부터 연장 설치된 접점부(4c)를 가지고 있다.
즉, 이 가동접점부(4)는 좌우가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평탄부(4a)와 상승부(4b)와의 경계에는, 2개로 한쌍의 걸어멈춤 돌기(4d)가 2세트 형성되어 있다.
이 각 가동접점부(4)는 상기 2세트의 걸어멈춤 돌기(4d)에서, 상기 케이스(2)의 한쌍의 상기 지지부(2p, 또는 2q)를 끼워 넣어, 케이스(2)의 2개의 제 1, 제 2 수납부(2g, 2h) 내에 수납·배치됨과 동시에, 각 제 1, 제 2 수납부(2g, 2h) 내에서 각 제 1 고정접점(3a)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 각 가동접점부(4)는 각 제 1, 제 2 수납부(2g, 2h) 내에 평탄부(4a)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케이스(2)에 대하여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다.
구동체(5)는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성형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소정의 두께 치수로 형성된 작동부(5a)와, 작동부(5a)의 앞쪽끝에서 작동부(5a)의 대향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 설치된 원주형상의 축부를 구성하는 한쌍의 볼록부(5b)와, 한쪽의 볼록부(5b)의 선단부로부터 작동부(5a)의 대향면에 대하여 평행하고, 또한 작동부(5a)의 연장 설치된 뒤쪽 끝과 볼록부(5b)의 축심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각주(角柱)형상의 레버부(5c)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한쌍의 상기 볼록부(5b)와, 상기 레버부(5c)로 상기 작동부(5a)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부(5a)와, 볼록부(5b)와, 레버부(5c)는 개략, x-y-z 축 방향 위인 3방향으로 각각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볼록부(5b)는 작동부(5a)측에 설치된 굵은 지름부(5d)와, 작동부(5a)로부터 이간하는 측에 설치된 가는 지름부(5e)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5c)는 한쪽의 가는 지름부(5e)의 선단부로부터 직교하 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체(5)는 한쌍의 볼록부(5b)의 가는 지름부(5e)가, 상기 케이스(2)의 상기 제 1, 제 3 측벽(2b, 2d)의 각각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가 개방된 한쌍의 오목부(2j) 내에 설치되어, 구동체(5)의 작동부(5a)가 상기 케이스(2)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즉, 한쌍의 오목부(2j) 내에는, 케이스(2)의 윗쪽으로부터 한쌍의 볼록부(5b)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때, 상기 제 1, 제 3 측벽(2b, 2d)의 한쌍의 오목부(2j)의 폭치수는, 구동체(5)의 한쌍의 볼록부(5b)의 지름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치수를 가지고 설치되고, 한쌍의 볼록부(5b)가 한쌍의 오목부(2j) 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때, 구동체(5)의 레버부(5c)는 한쪽의 제 1 측벽(2b)의 바깥쪽 벽면과 대향하도록, 케이스(2)의 바깥쪽에 위치함과 동시에, 레버부(5c)는 스토퍼부(2n)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여기서는 한쪽의 한쌍의 오목부(2j)와 한쌍의 볼록부(5b)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쪽의 한쌍의 오목부(2k)와 한쌍의 볼록부(5b)와의 구성에 대해서는, 각각의 레버부(5c)의 방향이 케이스(2)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것 이외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복귀용 수단으로서의 스프링부재(6)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재(SUS) 등의 탄성을 가지는 금속제의 평판재료로 이루어지고,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직선형상의 슬릿(6a)과, 슬릿(6a)의 양측에 위치하여, 병설된 제 1 및 제 2 스프링부(6b, 6c)와, 제 1 및 제 2 스프링부(6b, 6c)의 대향하는 한쪽의 끝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측벽(6d)과, 각 측벽(6d)에 설치된 2개의 관통구멍(6e)를 가지고 있다.
또 제 1 및 제 2 스프링부(6b, 6c)는 각각 중앙부의 평판형상의 가압부(6f)와, 가압부(6f)의 대향하는 양쪽 끝부로부터 경사하는 경사부(6g)를 가지고 있다. 이 한쌍의 가압부(6f)와 한쌍의 경사부(6g)와의 사이에 슬릿(6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의 고정접점부(3)와, 가동접점부(4)와, 구동체(5)와, 복귀용 수단으로서의 스프링부재(6)〔제 1 또는 제 2 스프링부(6b, 6c)〕에 의하여, 1세트의 스위치소자가 구성되어 있다. 이 스위치소자는 그 구성의 일부가 각각 제 1, 제 2 수납부(2g, 2h) 내에 설치되고, 케이스(2) 내에 2세트의 스위치소자가 케이스(2)에 대하여 엇갈리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부재(6)는, 병설된 제 1 및 제 2 스프링부(6b, 6c)가 케이스(2)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제 2 개구부(2e, 2f)를 각각 덮도록 설치된다.
또 제 1 및 제 2 스프링부(6b, 6c)에 의하여,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쪽의 구동체(5)가 제 1 스프링부(6b)로 가압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구동체(5)가 제 2 스프링부(6c)로 가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때, 스프링부재(6)의 한쌍의 측벽(6d)의 각 관통구멍(6e)이 케이스(2)의 각 돌출부(2m)에 스냅 인 걸어 맞춰지고, 스프링부재(6)가 케이스(2)에 확실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시 또, 이 때, 한쪽 및 다른쪽의 각 구동체(5)의 작동부(5a)의 자유단이 가동접점부(4)의 평탄부(4a)와 상승부(4b)와의 연설(連設)부분〔평탄부(4a)측〕을 가압하고, 이 가압에 의하여 가동접점부(4)가 제 1 고정접점(3a)과 제 3 고정접점(3c)에 접촉되어, 제 1, 제 3 고정접점(3a, 3c) 사이가 온상태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 1 고정접점(3a)과 제 2 고정접점(3b)이 이간되어, 제 1, 제 2 고정접점(3a, 3b) 사이가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스위치장치는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위치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부재(7)가 스위치장치의 윗쪽에, 예를 들면 조작박스체(도시 생략)에 스위치장치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손잡이부재(7)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장치와 이 스위치장치를 조작하는 손잡이부재를 설명하는 일부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장치와 이 스위치장치를 조작하는 손잡이부재를 설명하는 일부 단면으로 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7)는 곡면에 의하여 형성된 상벽부(7a)와, 상벽부(7a)의 사방을 둘러싸아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측벽부(7b)와, 대향하는 한쪽의 측벽부(7b)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한쌍의 관통구멍(7c)과, 상벽부(7a)의 내표면의 소정의 엇갈린 개소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 설치된 2개의 조작부(7d, 7e)를 가지고 있다.
이 2개의 조작부(7d, 7e)의 선단부는, 측벽부(7b)의 아래쪽 끝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이 손잡이부재(7)는 한쌍의 관통구멍(7c)에 도시 생략하는, 예를 들면, 조작박스체에 설치된 한쌍의 볼록부(도시 생략)가 삽입되어, 손잡이부재(7)가 조작박스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스위치장치는, 예를 들면, 프린트 배선기판(8) 상에, 예를 들면, 납땜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부재(7)의 2개의 조작부(7d, 7e)가 스위치장치의 각 구동체(5)의 각각의 레버부(5c)에 맞닿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손잡이부재(7)는 스위치장치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스위치장치의 윗쪽에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2)와 고정접점부(3)를 가지는 박스체(1)를 제 1, 제 2 개구부(2e, 2f)를 상면측으로 하여, 소정의 조립반송지그(도시 생략) 상에 얹어 놓는다.
다음에, 케이스(2)의 제 1, 제 2 개구부(2e, 2f)로부터 한쌍(2개)의 가동접점부(4)를 엇갈린 방향이 되도록 각 고정접점부(3) 상에 각각 삽입·배치한다.
이 각 가동접점부재(4)의 케이스(2) 내에의 배치에 의하여, 각 가동접점부재 (4)는 각각 제 1, 제 2 수납부(2g, 2h) 내에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각 가동접점부재(4)의 대략 중앙부가 고정접점부(3)의 제 1 고정접점(3a) 상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얹어 놓여진다.
다음에, 구동체(5)의 작동부(5a)의 자유단측을 하향으로 하고, 한쌍의 볼록부(5b)를 케이스(2)의 한쪽, 및 다른쪽의 각 한쌍의 오목부(2j, 2k) 내에 각각 끼워 넣는다. 이 때, 각 레버부(5c)는 각각의 대향하는 제 1 측벽(2b)의 바깥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작동부(5a)의 자유단이 가동접점부(4)의 평탄부(4a)와 상승부(4b)와의 연설부분의 근방에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스프링부재(6)의 제 1 및 제 2 스프링부(6b, 6c)가 케이스(2)의 상부측인 제 1 및 제 2 개구부(2e, 2f)를 덮도록 설치되고, 스프링부재(6)의 각 관통구멍(6e)이 케이스(2)의 돌출부(2h)에 스냅 인 걸어맞춰져, 스프링부재(6)가 케이스(2)〔박스체(1)〕에 설치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스프링부(6b, 6c)가 각 구동체(5)의 작동부(5a)의 꼭대기부(상부)를 약간 바닥벽(2a) 방향으로 탄압한 상태로 설치되고, 이 탄압에 의하여 작동부(5a)의 자유단(하부)이 가동접점부(4)를 고정접점부(3)에 맞닿은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 스위치장치는, 고정접점부(3)가 설치된 케이스(2) 〔박스체(1)〕내에 윗방향으로부터 순서대로 가동접점부(4), 구동체(5) 및 복귀용 수단으로서의 스프링부재(6)를 수납·얹어 놓음으로써, 조립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제 1 동작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제 2 동작설명도이다.
먼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7)를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이지 않고, 각 구동체(5)를 중립위치에 놓았을 때에는, 2세트의 스위치소자는 각각의 가동접점부(4)가 각 제 1 고정접점(3a)과 각 제 3 고정접점(3c)에 접촉되어, 각 제 1, 제 3 고정접점(3a, 3c) 사이가 온(접촉)상태가 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제 1 고정접점(3a)과 각 제 2 고정접점(3b)이 이간되어, 각 제 1, 제 2 고정접점(3a, 3b) 사이가 오프(비접촉)상태인 제 1 전환상태로 되어 있다.
즉, 케이스(2) 내에 엇갈리게(표리관계) 배치되어 있는 2세트의 스위치소자는 마찬가지인 제 1 전환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손잡이부재(7)의 상벽부(7a)의 한쪽의 끝부(도 7의 오른쪽)를 가압하여, 손잡이부재(7)를 관통구멍(7c)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한쪽의 구동체(5)의 레버부(5c)〔도 9의 전면측의 레버부(5c)〕는 손잡이부재(7)의 한쪽의 조작부(7e)가 이 레버부(5c)로부터 이간되기 때문에, 도 9의 전면측의 스위치소자는 제 1 전환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이 손잡이부재(7)의 다른쪽의 조작부(7d)의 회동에 의하여, 다른쪽의 구동체(5)의 레버부(5c)〔도 9의 후면측의 레버부(5c)〕는, 이 레버부(5c)가 회동되고, 이 레버부(5c)의 회동에 의하여 다른쪽의 구동체(5)의 작동부(5a)가 다른쪽의 가동접점부(4)의 평탄부(4a)로부터 상승부(4b)상(도 10 참조)을 슬라이딩(변위)하여, 다른쪽의 가동접점부(4)가 제 1 고정접점(3a)을 지점으로 회동되고, 다른쪽의 가동접점부(4)의 접점부(4c)와 제 2 고정접점(3b)이 접촉하여 온이 되고, 제 1 고정접점(3a)과 제 2 고정접점(3b)이 이간되어 오프(비접촉)가 되는 제 2 전환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일 때, 다른쪽의 구동체(5)의 한쌍의 볼록부(5b)가 케이스(2)의 한쌍의 오목부(2k) 내를 스프링부재(6)의 탄압력에 저항하여 약간 윗쪽으로 이동하 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이 스위치장치가 파워 윈드 스위치인 경우, 윈드 유리를 여는 방향으로 모터를 전환하고 있다.
이 손잡이부재(7)의 가압에 의한 회동동작을 해제하면, 스프링부재(6)의 자기복귀력에 의하여 구동체(5)의 작동부(5a)의 가압이 상승부(4b)로부터 평탄부(4a)로 변위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이 작동부(5a)의 복귀에 의하여 다른쪽의 가동접점부(4)가 제 1 전환상태로 되돌아가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이, 가동접점부(4)는 시소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다른쪽의 구동체(5)의 한쌍의 볼록부(5b)가 케이스(2)의 한쌍의 오목부(2j) 내를 스프링부재(6)의 탄압력에 의하여 약간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손잡이부재(7)의 상벽부(7a)의 다른쪽의 끝부(도 7의 왼쪽)를 가압하여, 손잡이부재(7)를 관통구멍(7c)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도 11 참조)시키면, 다른쪽의 구동체(5)의 레버부(5c)〔도 11의 후면측의 레버부(5c)〕는 손잡이부재(7)의 다른쪽의 조작부(7d)가 이 레버부(5c)로부터이간되기 때문에, 도 11의 후면측의 스위치소자는 제 1 전환상태를 유지한다.
이하의 동작은, 상기의 손잡이부재(7)의 시계회전방향으로의 회동시에 있어서의 한쪽의 구동체(5), 한쪽의 가동접점부(4), 한쪽의 고정접점부(3)의 일련의 동작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이 스위치장치가 파워 윈드 스위치인 경우, 윈드 유리를 닫는 방향으로 모터를 전환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 스위치장치는 소위, 1세트의 스위치소자만을 가지는 단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이다.
박스체(21)는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성형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대략 박스형의 케이스(22)와, 케이스(22) 내에 인서트 몰드 가공되어, 일부가 케이스(22)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1세트의 고정접점부(23)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22)는 직사각형의 바닥벽(22a)과, 바닥벽(22a)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 설치되고,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22b)과, 한쌍의 측벽(22b)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가 개방된 각각 한쌍의 오목부(22c)와, 한쌍의 측벽(22b)의 상단측에 설치된 개방된 개방부(22d)와, 한쪽의 측벽(22b)의 바깥쪽면에 있어서, 한쪽의 오목부(22c)의 근방에 설치된 스토퍼부(22e)를 가지고 있다.
또 한쌍의 오목부(22c)는 그 중심의 축선이 동일축선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22)와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케이스(2)와의 구성의 상위는, 이 케이스(22)가 1세트의 스위치소자만을 가지는 단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임과 동시에, 한쪽의 측벽(22b)과 개방부(22d)를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의 케이스(2)는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가지는 쌍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임과 동시에, 사방을 둘러싸는 제 1, 제 2 측벽(2b, 2c)과 2개의 개구부(2e, 2f)를 가지고 있는 것이 일부의 상위이다.
고정접점부(23)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상기 고정접점부(3)와 동일한 구성, 및 배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 고정접점부(23)는 1세트만으로 구성되어, 구성의 일부로서, 1세트의 제 1, 제 2 및 제 3 단자(23a, 23b, 23c)를 가지고 있다.
또 가동접점부(24)와, 구동체(25)는, 상기 고정접점부(23)와 마찬가지로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상기 가동접점부(4)와, 상기 구동체(5)와 동일한 구성, 및 배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귀용 수단으로서의 스프링부재(26)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제의 평판재료로 이루어지고,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하나의 스프링부(26a)와, 스프링부(26a)의 대향하는 한쪽의 끝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측벽(26b)과, 각 측벽에 설치된 2개의 관통구멍(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또 스프링부(26a)는 평판형상의 가압부(26c)와, 가압부(26c)로부터 경사지는 한쌍의 경사부(26d)를 가지고 있다.
이 스프링부재(26)는 스프링부(26a)가 케이스(22)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 (22d)를 덮도록 설치되어, 스프링부재(26)의 각 관통구멍(도시 생략)이 각 측벽(22b)의 대향하는 끝면에, 예를 들면, 스냅 걸어맞춤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걸어맞춰져, 스프링부재(26)가 케이스(22)에 확실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제 2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 및 동작의 설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조립방법 및 동작은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 및 동작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 제 2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의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동작과의 상위점은,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이 엇갈리게 배치된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이 스위치장치상에 설치된 손잡이부재(7)(도 7 참조)는 시계회전방향, 및 반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이 제 2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는 1세트의 스위치소자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손잡이부재(7)는 시계회전방향, 또는 반시계회전방향의 어느 한쪽으로만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도 13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이 스위치장치는, 소위 1세트의 스위치소자만을 가지는 단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체(31)는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성형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대략 박스형의 케이스(32)와, 케이스(32) 내에 인서트 몰드 가공되어, 일부가 케이스(32)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설치되고,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1세트의 고정접점부(33)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32)는 직사각형의 바닥벽(32a)과, 이 바닥벽(32a)의 한쪽의 대향하는 바깥 둘레 끝부로부터 앞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32b)과, 한쌍의 측벽(32b)의 각각 동축인 소정의 개소에 설치된 한쌍의 관통구멍(32c)과, 윗쪽에 설치된 개방부(32d)와, 한쪽의 측벽(32b)의 안쪽면에 있어서, 한쪽의 관통구멍(32c)의 근방에 설치된 스토퍼부(32e)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32)의 측벽(32b)의 한쌍의 관통구멍(32c)이, 소위 상기의 오목부를 구성하고 있다.
고정접점부(33)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고정접점부(3)와 동일한 구성 및 배치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 고정접점부(33)는 1세트만으로 구성되고, 구성의 일부로서, 1세트의 제 1, 제 2 및 제 3 단자(33a, 33b, 33c)를 가지고 있다.
가동접점부(34)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가동접점부(4)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부(34)와 상기의 가동접점부(4)와의 상위점은, 이 가동접점부(34)가 탄성을 가지는 도전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고,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상기의 가동접점부(4)는 경성인 도전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가동접점부(34)는 평탄부(34a)와, 상승부(34b)와, 접점부(34c)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탄성을 가지는 가동접점부(34)는 탄성을 가지는 도전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접점부(34c)가 상승부(34b)로부터 탄성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변형·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탄성을 가지는 가동접점부(34)가, 소위 뒤에서 설명하는 구동체(35)를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 가동접점부(34)는 케이스(32) 내에 적절한 수단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케이스(32) 내에서, 제 1 고정접점(도시 생략)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
이 때, 가동접점부(34)의 접점부(34c)가 제 2 고정접점(33d)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평탄부(34a)가 제 3 고정접점(도시 생략)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동체(35)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구동체(5)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이 구동체(35)의 제 1 실시형태의 구동체(5)와의 구성의 상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구동체(35)는 작동부(35a)와, 한쌍의 볼록부(35b)와, 레버부(35c)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각 볼록부(35b)는 각각 굵은 지름부(35d)와, 가는 지름부(35e)를 가지고 있다.
또 한쪽의 볼록부(35b)의 가는 지름부(35e)의 길이 치수는, 다른쪽의 가는 지름부(35e)의 길이 치수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고, 레버부(35c)가 한쪽의 가는 지름부(35e)의 대략 중간부로부터 볼록부(35b)의 축심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체(35)는 한쌍의 볼록부(35b)의 각 가는 지름부(35e)의 각각의 선단이 케이스(32)의 한쌍의 관통구멍(32c) 내에 삽입되어 있고, 이 삽입에 의하여 작동부(35a)가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작동부(35a)의 선단이 평탄부(34a)와 상승부(34b)와의 연결부분 근방의 표면에 맞닿아 있다.
또 구동체(35)의 레버부(35c)는 케이스(32)의 한쌍의 측벽(32b) 중 한쪽의 측벽(32b)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는 케이스(32)와 1세트의 고정접점부(33)를 가지는 박스체(31)와, 하나의 가동접점부(34)와, 하나의 구동체(35)와의 3개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1세트의 고정접점부(33)와, 하나의 가동접점부(34)와, 하나의 구동체(35)에 의하여 1세트의 스위치소자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제 3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32)와 고정접점부(33)를 가지는 박스체(31)가 개방부(32d)를 상면측으로 하여, 소정의 조립반송지그(도시 생략)상에 얹어 놓는다.
다음에, 케이스(32)의 개방부(32d)로부터 가동접점부(34)를 소정의 방향이 되도록 각 고정접점부(33) 상에 삽입·배치한다.
다음에, 케이스(32)의 개방부(32d)의 초기의 폭치수를 소정의 폭치수로 넓히 도록 하는 소정의 조립지그(도시 생략)를 개방부(32d)에 설치하고, 이 조립지그에 의하여 개방부(32d)의 폭치수를 소정의 폭치수에 넓히도록 한다.
다음에, 개방부(32d)의 폭치수가 넓혀진 상태에서, 구동체(35)의 작동부 (35a)의 자유단을 아래쪽으로 하여, 한쌍의 볼록부(35b)의 각 가는 지름부(35e)를 케이스(32)의 측벽(32b)의 각 관통구멍(32c) 내에 삽입·배치한다.
다음에, 개방부(32d)의 폭치수를 소정의 폭치수로 넓히기 위한 조립지그를 떼어내어, 개방부(32d)의 폭치수를 원래의 폭치수에 되돌린다.
이 개방부(32d)의 폭치수가 원래의 폭치수로 되돌아감으로써, 한쌍의 볼록부(35b)의 각 가는 지름부(35e)가 각 관통구멍(32c) 내에 확실하게 삽입·배치된다.
이 때, 구동체(35)의 레버부(35c)는 바닥벽(32a)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케이스(32)의 스토퍼부(32e)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체(35)의 작동부(35a)의 자유단이 가동접점부(34)상에 맞닿음·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제 3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스위치장치가 조작되기 전일 때, 구동체(35)의 레버부(35c)는 바닥벽(32a)에 대하여 평행이어서,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일 때와 마찬가지로, 구동체(35)가 중립위치에 놓여져 있고, 이 스위치소자는 가동접점부(34)가 제 1 고정접점(33a)과 제 3 고정접점(33c)에 접촉되어, 제 1, 제 3 고정접점(33a, 33c) 사이가 온(접촉) 상태가 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 1 고정접점(33a)과 제 2 고정접점(33b)이 이간되어, 제 1, 제 2 고정접점(33a, 33b) 사이가 오프(비접촉)상태인 제 1 전환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상태로부터 구동체(35)의 레버부(35c)를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레버부(35c)의 회동에 의하여 작동부(35a)가 가동접점부(34)의 평탄부(34a)로부터 상승부(34b)상을 슬라이딩(변위)하여, 가동접점부 (34)가 제 1 고정접점(33a)을 지지점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탄성을 가지는 상승부(34b)가 탄성변위하여, 가동접점부(34)의 접점부(34c)와 제 2 고정접점(33b)이 접촉하여 온이 되고, 제 1 고정접점(33a)과 제 2 고정접점(33b)이 이간되어 오프(비접촉)가 되는 제 2 전환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일 때, 구동체(35)의 한쌍의 볼록부(35b)는, 소위 오목부를 구성하는 한쌍의 관통구멍(32c) 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구동체(35)가 한쌍의 볼록부(35b)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레버부(35c)에의 가압에 의한 회동동작을 해제하면, 탄성을 가지는 가동접점부(34)의 자기복귀력에 의하여 구동체(35)의 작동부(35a)의 가압이 상승부(34b)로부터 평탄부(34a)로 변위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이 작동부(35a)의 복귀에 의하여 가동접점부(34)가 제 1 전환상태로 되돌아가도록 동작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도 14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이 스위치장치는, 소위 1세트의 스위치소자만을 가지는 단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4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의 제 3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구성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구성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로부터 제 4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와의 상위에만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그 상위에 대해서는, 상기의 제 3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는, 오목부를 구성하는 한쌍의 관통구멍(32c)이 상기 케이스(32)의 측벽(32b)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쌍의 볼록부(35b)가 상기 구동체(35)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체(35)의 한쌍의 볼록부(35b)가 케이스(32)의 한쌍의 관통구멍(32c) 내에 설치된 구성이다.
한편, 이 제 4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는, 케이스(32)의 측벽(32b)의 대향하는 안쪽면에 한쌍의 볼록부(32m)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구동체(35)의 한쌍의 볼록부(35b)의 각 가는 지름부(35e)의 선단부에, 각 가는 지름부(35e)와 동축상에 한쌍의 오목부(35f)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32)의 한쌍의 볼록부(32m)가 구동체(35)의 한쌍의 오목부(35f) 내에 설치된 구성이다.
소위, 제 3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와 제 4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각각 다른 상태이도록 설치된 구성이다.
또 이 제 4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의 제 3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도 15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스위치장치는 1세트의 스위치소자를 가지는 단극·단투형의 스위치장치로서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51)는 직사각형의 바닥벽(51a)과, 이 바닥벽(51a)으로부터 연장되어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51b)과, 측벽(51b)의 윗쪽에 설치된 개구부(51c)와, 한쪽의 대향하는 측벽(51b)에 동축상에 설치된 한쌍의 구멍(51d)를 가지고 있다.
고정접점부(52)는 제 1 고정접점(52a)과, 제 1 고정접점(52a)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간되어 배치된 제 2 고정접점(52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 고정접점(52a)은 제 1 접촉부(52c)와, 제 1 접촉부(52c)로부터 연장 설치된 제 1 단자(52d)를 가지고 있다.
또 제 2 고정접점(52b)은 제 2 접촉부(52e)와, 제 2 접촉부(52e)로부터 연장 설치된 제 2 단자(52f)를 가지고 있다.
이 제 1 고정접점(52a)과 제 2 고정접점(52b)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접점부(52)는 케이스(51)의 바닥벽(51a)에 인서트 몰드 가공되어, 제 1 접촉부(52c)와 제 2 접촉부(52e)가 바닥벽(51a)의 내벽면에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가동접점부(53)는 탄성을 가지는 도전금속제의 평판재료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끝부측에 형성된 평탄부(53a)와, 평탄부(53a)의 한쪽의 끝부로부터 경사진 상태로 연장 설치된 상승부(53b)와, 상승부(53b)의 한쪽의 끝부로부터 연장 설치된 접점부(53c)를 가지고 있다.
즉, 이 가동접점부(53)는 좌우가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평탄부(53a)의 한쪽의 끝부측은, 상기 제 2 고정접점(52b)의 제 2 접촉부(52e)로부터 연설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가동접점부(53)는 상기 제 2 고정접점(52b)과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 가동접점부(53)는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51b) 내에 있어서, 바닥벽(51a)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접점부(53c)는 제 1 고정접점(52a)의 제 1 접촉부(52c)로부터 이간(비접촉)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을 가지는 가동접점부(53)는 탄성을 가지는 도전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예를 들면 접점부(53c)가 상승부(53b)로부터 탄성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변형·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탄성을 가지는 가동접점부(53)가, 소위 뒤에서 설명하는 구동체(5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구동체(54)는 상기의 제 3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상기 구동체(34)의 구성과 대략 동일구성으로서, 작동부(54a)와, 한쌍의 볼록부(54b)와, 레버부(54c)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각 볼록부(54b)는 각각 굵은 지름부(도시 생략)와 가는 지름부(54d)를 가지고 있다.
또 한쪽의 볼록부(54b)의 가는 지름부(54d)의 길이 치수는, 다른쪽의 가는 지름부(도시 생략)의 길이 치수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고, 레버부(54c)가 한쪽의 가는 지름부(54d)의 대략 중간부로부터 볼록부(54b)의 축심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제 5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는, 케이스(51)와 고정접점부(52)와 가동접점부(53)에서 한쪽의 하나의 부재가 구성되고, 구동체(54)가 다른쪽의 하나의 부재가 구성되고, 2개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제 5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스위치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접점부(52)의 제 2 고정접점(52b)과, 가동접점부(53)의 평탄부(53a)가 연설되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제 2 고정접점(52b)과 가동접점부(53)는 구동체(54)의 비조작시, 및 조작시에 관계 없이, 항상 도통(온: 접촉)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먼저 구동체(54)의 레버부(54c)의 비조작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구동체(54)의 작동부(54a)가 바닥벽(51a)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로 설치됨과 동시에, 작동부(54a)의 자유단이 가동접점부(53)의 평탄부(53a)에 맞닿아져 있다. 이 때, 가동접점부(53)의 접점부(53c)는 고정접점부(52)의 제 1 고정접점(52a)으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스위치소자는 오프(비접촉)의 상태이다.
다음에, 구동체(54)의 레버부(54c)의 조작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레버부(54c)가 이 스위치장치의 윗쪽에 설치된 손잡이부재(도시 생략)의 조작에 의하여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하면, 작동부(54a)의 자유단이 평탄부(53a)로부터 경사를 가지는 상승부(53b) 방향으로 경사를 따라 이동한다.
이 작동부(54a)의 이동에 의하여, 탄성을 가지는 상승부(53b)가 평탄부(53a)를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눌러 내려짐)하고, 이 상승부(53b)의 회동〔눌러 내려짐)에 의하여 접점부(53c)가 고정접점부(52)의 제 1 고정접점(52a)(제 1 접촉부(52c)〕에 접촉하고, 스위치소자는 온(접촉)인 상태가 된다.
다음에, 손잡이부재(도시 생략)의 조작을 해제하면, 가동접점부(53)의 탄발력(복원력)에 의하여 작동부(54a)가 상승부(53b) 상으로부터 변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접점부(53c)가 제 1 고정접점(52a)으로부터 이간하여, 스위치소자는 원래의 오프(비접촉) 상태가 된다. 이 작동부(54a)의 원래의 위치로의 복귀시, 레버부(54c)는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도 16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 1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 2 단면도이다.
이 스위치장치는 1세트의 스위치소자를 가지는 단극·단투형의 스위치장치로서 설명한다. 또 이 스위치장치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와 동일 구성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와 제 6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와의 구성의 상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상위는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고정접점부(3)가 제 1, 제 2및 제 3 고정접점(3a, 3b, 3c)과, 각 제 1, 제 2 및 제 3 고정접점(3a, 3b, 3c)의 제 1, 제 2 및 제 3 단자(3e, 3g, 3j)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 제 6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고정접점부(3)가 제 1 및 제 2 고정접점(3a, 3b)과, 각 제 1 및 제 2 고정접점(3a, 3b)의 제 1 및 제 2 단자(3e, 3g)만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제 6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는 제 3 고정접점(3c)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단극·단투형의 스위치장치가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는, 이 스위치장치가 단극·단투형의 스위치장치라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스위치장치를 2개 병설하여, 쌍극·단투형의 스위치장치로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이 제 6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은,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쌍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의 동작과 거의 동일하고, 그 상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제 6 실시형태의 스위치장치가 단투형의 스위치장치인 점에서의 상위뿐만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의 복귀용 수단을 스프링성이 있는 평판형상의 스프링부재에 의하여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귀용 수단을,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부재나 선 스프링 등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바닥벽 및 이 바닥벽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을 가지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바닥벽에 설치된 고정접점부와, 케이스내에 배치된 가동접점부와, 한쌍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체와, 구동체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수단을 구비하고, 구동체는 가동접점부를 가동하기 위한 작동부와, 작동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가지고, 구동체의 조작부가 구동되었을 때, 작동부가 회동되고, 작동부에 의하여 가동접점부가 가동되어,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조작부의 구동이 해제되었을 때, 복귀용 수단에 의하여 구동체는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가 비접촉상태가 되도록 원래의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부품점수가 적고, 또 부품을 순서대로 윗방향으로 겹쳐 쌓는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구동체가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바닥벽측에 가세되고, 스프링부재의 가세력에 의하여 구동체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구동체와 스프링부재와의 배치와 동작이 단순하기 때문에, 구성이 용이하고,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구동체는 스프링부재에 의하여 바닥벽측에 가세되어 있는 구동체의 작동부의 회동시, 스프링부재의 가세에 저항하여 바닥벽측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회동동작을 행하여, 작동부가 가동접점부를 가동시켜,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구동체의 회동이 해제되었을 때, 스프링부재에 의하여 구동체는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가 비접촉상태가 되도록 원래의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스프링부재의 동작이 단순하기 때문에, 구동체의 동작에 무리가 없어 안정된 성능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구동체의 조작부가 케이스 밖에 위치함과 동시에, 스토퍼부가 케이스 밖에 배치되고, 조작부가 스토퍼부에 부딪쳐, 회동범위의 규제가 됨으로써 케이스 밖에 조작부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조작부의 조작이 용이하게 되어, 조작 및 구성이 간단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구동체는 볼록부를 가짐과 동시에, 케이스는 오목부를 가지고, 볼록부가 오목부내에 설치되어, 구동체가 케이스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구동체의 볼록부와, 케이스의 오목부와의 형성이 한층 용이하여, 조립이 간단하고 저렴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측벽의 오목부는 구동체의 볼록부의 지름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치수를 가지고 설치되어, 볼록부가 오목부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구동체의 볼록부가 오목부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볼록부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아, 장기간 안정된 성능을 유지하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가동접점부는 작동부의 가압이 평탄부로부터 상승부로 변위함으로써, 시소동작을 행하여,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작동부의 가압이 상승부로부터 평탄부로 변위함으로써, 원래의 상태가 되도록 시소동작을 행하여,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로부터 비접촉이 됨으로써, 가동접점부의 시소동작을 구동체의 조작부의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동작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고정접점부는 제 3 고정접점을 가지고, 구동체의 비구동시, 가동접점부가 제 1 고정접점과 제 3 고정접점에 접촉되어, 제 1, 제 3 고정접점 사이가 온상태가 되어 있고, 구동체가 구동되었을 때에 가동접점부의 평탄부가 제 3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간되고, 제 1, 제 3 고정접점 사이가 오프상태가 됨과 동시에, 또한 가동접점부가 제 2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제 1, 제 2 고정접점 사이가 온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점수가 적은, 저렴한 단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고정접점부와, 가동접점부와, 구동체와, 복귀용 수단에 의하여 1세트의 스위치소자를 구성하고,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케이스내에 병설함으로써, 부품점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하며 저렴한 쌍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2개의 가동접점부는, 각각의 평탄부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케이스에 대하여 엇갈리게 설치함으로써, 비대칭의 2개의 가동접점부를 케이스에 대하여 엇갈리게 설치하였으므로,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치수를 짧은 치수로 형성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 관계되는 케이스와 고정접점부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장치로부터 스프링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구동체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2의 6-6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장치와 이 스위치장치를 조작하는 손잡이부재를 설명하는 일부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장치와 이 스위치장치를 조작하는 손잡이부재를 설명하는 일부 단면으로 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제 1 동작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제 2 동작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 1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 2 단면도,
도 18은 종래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9는 종래의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 : 박스체 2 : 케이스
2a : 바닥벽 2b: 제 1 측벽(측벽)
2c : 제 2 측벽(측벽) 2d : 제 3 측벽
2e : 제 1 개구부(개구부) 2f : 제 2 개구부(개구부)
2j, 2k : 오목부 2m : 돌출부
2n : 스토퍼부 3 : 고정접점부
3a : 제 1 고정접점 3b : 제 2 고정접점
3c : 제 3 고정접점 4 : 가동접점부
4a : 평탄부 4b : 상승부
4c : 접점부 5 : 구동체
5a : 작동부 5b : 볼록부
5c : 레버부 6 : 스프링부재(복귀용 수단)
6a : 슬릿 6b : 제 1 스프링부
6c : 제 2 스프링부 6e : 관통구멍
7 : 손잡이부재

Claims (20)

  1. 바닥벽 및 이 바닥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바닥벽에 설치된 고정접점부와,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된 가동접점부와,
    상기 한쌍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를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는 상기 가동접점부를 가동하기 위한 작동부와, 그 작동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체는 상기 복귀용 수단에 의하여 상기 바닥벽측에 가세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체의 상기 조작부가 구동되었을 때, 상기 작동부가 회동되어, 상기 작동부에 의하여 상기 가동접점부가 가동되어, 상기 가동접점부가 상기 고정접점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체의 상기 작동부의 회동시, 상기 구동체는 상기 복귀용 수단의 가세에 저항하여 상기 바닥벽측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의 구동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복귀용 수단에 의하여 상기 구동체는 상기 가동접점부와 상기 고정접점부가 비접촉상태가 되도록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용 수단이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가 스프링성이 있는 평판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과, 윗쪽에 설치된 개구부를 가지고, 그 개구부가 상기 평판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하여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 스냅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구동체의 상기 조작부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의 상기 조작부가 상기 케이스 밖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케이스 밖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가 상기 스토퍼부에 부딪쳐 회동범위의 규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 또는 상기 케이스의 한쪽의 대향하는 상기 측벽의 어느 한쪽에는 볼록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쪽에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내에 상기 볼록부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체가 상기 케이스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볼록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는 상기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체가 상기 케이스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단에는 상부가 개방된 상기 오목부가 설치되고, 이 상기 오목부내에는 윗쪽으로부터 상기 볼록부를 끼워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구동체의 상기 볼록부의 지름 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치수를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부는 평탄부와, 그 평탄부의 한쪽의 끝부로부터 경사진 상태로 연장 설치된 상승부와, 그 상승부의 한쪽의 끝부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상기 고정접점부에 접리하는 접점부를 가지고,
    상기 가동접점이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부는 상기 작동부의 가압이 상기 평탄부로부터 상기 상승부로 변위함으로써, 시소동작을 행하여, 상기 가동접점부가 상기 고정접점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의 가압이 상기 상승부로부터 상기 평탄부로 변위함으로써, 원래의 상태가 되도록 시소동작을 행하여, 상기 가동접점부가 상기 고정접점부로부터 비접촉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부는 상기 가동접점부에 항상 접촉되어, 상기 가동접점부를 지지하는 제 1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부와 접리하는 제 2 고정접점을 가지고,
    상기 가동접점부가 상기 제 1 고정접점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부는 제 3 고정접점을 가지고,
    상기 구동체의 비구동시, 상기 가동접점부가 상기 제 1 고정접점과 상기 제 3 고정접점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제 3 고정접점 사이가 온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구동체가 구동되었을 때에 상기 가동접점부의 상기 평탄부가 상기 제 3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제 1, 제 3 고정접점 사이가 오프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가동접점부가 상기 제 2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 사이가 온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부와, 상기 가동접점부와, 상기 구동체와, 상기 복귀용 수단에 의하여 1세트의 스위치 소자를 구성하여, 2세트의 상기 스위치소자를 케이스내에 병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2세트의 상기 스위치소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2개의 상기 가동접점부는 각각의 상기 평탄부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엇갈리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평판으로 형성된 하나의 상기 스프링부재를 가지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슬릿과, 슬릿의 양쪽에 위치하는 제 1, 제 2 스프링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제 2 스프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2세트의 상기 스위치소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쪽의 상기 구동체가 상기 제 1 스프링부에 의하여 가압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상기 구동체가 상기 제 2 스프링부에 의하여 가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2003-0012282A 2002-02-28 2003-02-27 스위치장치 KR100519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53854A JP4121754B2 (ja) 2002-02-28 2002-02-28 スイッチ装置
JPJP-P-2002-00053854 2002-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554A KR20030071554A (ko) 2003-09-03
KR100519195B1 true KR100519195B1 (ko) 2005-10-06

Family

ID=2767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282A KR100519195B1 (ko) 2002-02-28 2003-02-27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41750B2 (ko)
EP (1) EP1341200B1 (ko)
JP (1) JP4121754B2 (ko)
KR (1) KR100519195B1 (ko)
DE (1) DE6030475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88B1 (ko) * 2002-04-15 2005-03-10 강선우 밀폐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JP4279648B2 (ja) * 2003-10-20 2009-06-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2005158492A (ja) * 2003-11-26 2005-06-16 Tokai Rika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スイッチ装置
FR2886757B1 (fr) * 2005-06-07 2007-09-07 Legrand France Dispositif de commande a levier basculant, de debattement angulaire reduit
JP4717747B2 (ja) * 2006-08-10 2011-07-06 東洋電装株式会社 自動復帰型スイッチ
JP4792350B2 (ja) * 2006-08-10 2011-10-12 東洋電装株式会社 スイッチ
JP2012142229A (ja) * 2011-01-05 2012-07-26 Yazaki Corp スイッチ装置
CN103198937B (zh) * 2013-03-08 2015-10-28 上海拜骋电器有限公司 开关的联动复合刹车结构、开关和电动工具
JP5805139B2 (ja) * 2013-05-24 2015-11-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切換え装置
SG2013094115A (en) * 2013-12-19 2015-07-30 Schneider Electric South East Asia Hq Pte Ltd Trigger actuator for a switching device
JP2016031847A (ja) * 2014-07-29 2016-03-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JP5913700B1 (ja) * 2015-07-30 2016-04-27 ミック電子工業株式会社 ダブルシーソースイッチ
DE102016112277A1 (de) * 2016-07-05 2018-01-11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Bedien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
US10479166B2 (en) * 2017-12-29 2019-11-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Toggle button
CN113314365B (zh) * 2021-05-27 2024-02-27 宁波力隆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密封性好的开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9224A (en) * 1966-01-07 1967-01-17 Boyne Products Inc Self-centering toggle switch with improved actuator contact structure
IT1144854B (it) * 1981-05-29 1986-10-29 Fiat Auto Spa Dispositivo interruttore instabile per tergilavalunotto integrato nel devioguida per autoveicoli
JP2525658Y2 (ja) * 1991-09-18 1997-02-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シーソ型スイッチ
US5967303A (en) * 1998-10-30 1999-10-19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Switch activating mechanism
US6140713A (en) * 1999-03-02 2000-10-31 Methode Electronics, Inc. Electrical cammed switch
JP2000276975A (ja) * 1999-03-23 2000-10-06 Mikku Enterprise:Kk マイクロスイッチ
US6420669B1 (en) * 1999-05-10 2002-07-16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Toggle mechanism for toggle switches
US6130393A (en) * 1999-06-24 2000-10-10 Defond Manufacturing Ltd. Electrical rocker switch
US6040543A (en) * 1999-08-13 2000-03-21 Egs Electrical Group Llc Explosion proof toggle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41750B2 (en) 2005-01-11
JP2003257270A (ja) 2003-09-12
KR20030071554A (ko) 2003-09-03
EP1341200A2 (en) 2003-09-03
JP4121754B2 (ja) 2008-07-23
DE60304758D1 (de) 2006-06-01
US20030159912A1 (en) 2003-08-28
EP1341200B1 (en) 2006-04-26
EP1341200A3 (en) 2003-09-10
DE60304758T2 (de)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195B1 (ko) 스위치장치
KR100638385B1 (ko) 슬라이드조작 손잡이 및 시소조작 손잡이를 설치한경우이어도 조작감촉이 양호한 스위치장치
JPH11260201A (ja) レバースイッチとその操作方法
JP3964731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20061492A (ko) 스위치장치
JP2007207563A (ja) 電気装置の操作機構
JP3954784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7035402A (ja) 電気装置の操作機構
KR100298507B1 (ko) 스위치
JP2003045275A (ja) スイッチ装置
JP3569079B2 (ja) スイッチ
JP4326987B2 (ja) スイッチ装置
JP3790384B2 (ja) 多方向スイッチ
JP4528697B2 (ja) スイッチ装置
JP3901931B2 (ja) 多方向入力装置、及びその多方向入力装置の製造方法
JPH09259703A (ja) シーソースイッチ
JP2005209565A (ja) 押釦スイッチ
JP3819677B2 (ja) 入力装置
JP2001143571A (ja) スイッチ装置
JP2003045276A (ja) スイッチ装置
JP2003331695A (ja) スイッチ装置
JP2004200002A (ja) スイッチ装置
JP3437814B2 (ja) スイッチ用可動接片
JP2002100264A (ja) タクトスイッチ
JPH1021791A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