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354B1 - 상변화 재료를 구비하는 온도 조절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상변화 재료를 구비하는 온도 조절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354B1
KR100518354B1 KR10-2003-7000260A KR20037000260A KR100518354B1 KR 100518354 B1 KR100518354 B1 KR 100518354B1 KR 20037000260 A KR20037000260 A KR 20037000260A KR 100518354 B1 KR100518354 B1 KR 100518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trolled surface
temperature
polymeric dispersio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314A (ko
Inventor
시몬 쥬터
롤란트 로텐바흐
Original Assignee
쇼엘러 텍스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엘러 텍스틸 아게 filed Critical 쇼엘러 텍스틸 아게
Publication of KR2003002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06Patterns of chemical products used for a specific purpose, e.g. pesticides, perfumes, adhesive patterns; use of microencapsulated material; Printing on smok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2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incorporated in microcapsu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6Processes for the non-uniform application of treating agents, e.g. one-sided treatment; Differenti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3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granular particles or dispersed in a porous, fibrous or cellular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layer of mechanically interengaged strands, strand-portions or strand-like 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layer of mechanically interengaged strands, strand-portions or strand-like strips
    • Y10T428/24818Knitted, with particular or differential bond sites or inters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Holo Graph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상기 신규한 방법에 의하면 바람직하게 직물 표면상의 스텐실 프린트가 제안되고, 여기서 상기 프린트는 특히 마디의 형태로 설계되며, 이것은 고농도의 온도 조절 재료, 바람직하게는 파라핀을 포함한다. 다수의 마디 형태로 상기 온도 조절 재료의 축적에 의하여 기질의 탄력성 및 통풍성 그리고 증기 및 수분 교환의 가능성이 상당한 정도로 유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안된 방법에 의해 온도 조절 표면이 적용된 제품, 바람직하게는 직물 제품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상변화 재료를 구비하는 온도 조절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METHOD FOR PRODUCING TEMPERATURE-REGULATING SURFACES WITH PHASE CHANGE MATERIAL}
본 발명은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가 적용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온도 조절 표면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열 저장 재료(Latentwaermespeichermaterialien)"를 포함하며, 상 변화 재료(phase change material) 또는 PCM이라고도 불린다. 예를 들어, 적당한 PCM은 파라핀으로 구성된다. 용융점 영역에 있는 PCM에 에너지가 공급되거나 또는 방산되면, PCM은 고체에서 응집 액체 상태로의 상전이(또는 그 반대)가 완결될때 까지, 또는 전체 질량이 새로운 응집상태가 될 때까지 이러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 전이가 완결된 후에만, 상기 온도는 에너지의 계속적인 공급 또는 방산에 의해 적당히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할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온도 제어, 특히 제품이나 몸체를 열 또는 냉기로부터 보호하거나, 또는 제품 또는 몸체의 특정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이용된다.
방직 가공에서는 다수의 PCM이 사용되며, 특허공보 US 5 366 801, US 5 804 297 호에 폴리머릭 바인더와 함께 마이크로캡슐화된 PCM이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캡슐화된 PCM의 제조는 상대적으로 비싸다. 또다른 형태는 캡슐화되지 않은 PCM으로 대표되는데, 이것은 구조체에 결합된 형태로 사용된다. 이러한 두가지 형태의 PCM을 구비하는 폴리머릭 바인더(polymeric binder)는 내세탁제 형태(wash-resistant form)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온도 조절 표면은 코팅에 의해 방직 재료에 적용된다. 이러한 코팅 방법은 방직 산업, 특히 방직 가공에서 잘 알려져 있다.
온도제어의 효과가 충분히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열용량 및 이에 따라 적당한 양의 PCM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코팅 내에서는 높은 코팅 두께 또는 더 높은 PCM 농도가 야기되게 된다. 높은 코팅 두께 및 높은 농도는 뻣뻣함을 증가시키고 통기성(breathability)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착용감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반투성 기능층과 관련하여서는, 온도 제어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라는 두가지 기능의 조합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은 상당히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양의 PCM을 갖는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기질(substrate)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선함에 있으며, 동시에 상기 기질의 탄력성 특성 뿐만 아니라 통기성 및 상기 표면의 증기 및 수분 교환성이 상당한 정도로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분한 양의 PCM을 포함하는 온도 조절 표면을 구비하는 제품을 제공하고, 상기 기질의 탄력성 뿐만 아니라 통기성 및 상기 표면의 증기 및 수분 교환성이 상당한 정도로 유지되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온도 조절 표면을 구비하는 기질의 단열 효과를 증가시키고 생산 및 재료 비용 뿐만 아니라 상기 표면에 적용되는 재료의 중량을 최소화 하는데 있다.
상기 제조와 관련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프린팅 방법 및 특허청구범위 제 31 항의 특징부에 따른 본 발명의 제품에 의해 해결된다.
프린팅 방법에 의한 적용의 장점은 프린트를 바람직하게 단지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프린팅되지 않은 기질의 표면 영역에 대해서는, 고유 특성, 특히 탄력성, 통기성 및 증기 및 수분 교환성이 유리하게 유지된다.
상기 기질에 충분히 많은 양의 PCM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프린팅된 부분이 마디(nubs)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략 0.6 내지 4mm,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2mm의 벽 두께를 갖고 그리고 적어도 2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의 개방 영역을 갖는 스텐실(stencils)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 변화 재료 또는 PCM으로서, 결정화 유기 물질, 예를 들면, -10 내지 65℃ 사이의 녹는점을 갖는 n-파라핀(n-도카덴 내지 n-옥타코산)이 이용된다. 이러한 파라핀은 다공성 구조에 결합된 형태 또는 마이크로캡슐화된 형태로 폴리머릭 분산에 투입될 수 있다.
PCM은, 예를 들어 큰 특성 표면을 갖는 다공성 실리케이트 분말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얻어지는 합성물은 60%에 이르는 PCM을 포함하고, 유동성 있는 분말 형태를 갖는다.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PCM에 대한 캡슐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젤라틴과 같은 멜라민 수지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이는 이러한 멜라민 수지가 팽창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머릭 분산의 용매는 알콜일 수 있으나, 물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습식 폴리머릭 분산의 수분 함량은 20 내지 60% 사이,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사이인 것이 좋다. 특히, 사용되는 폴리머가 피부 형성, 냉, 열 또는 자외선 교차결합 가능하고, 탄력성, 내한성(cold resistant), 내세탁성이고 드라이 크리닝에 견딜수 있는 것이면 유리하다.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PCM은 일정한 교반하에서 천천히 상기 수용액상 분산에 첨가된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PCM은 추가적인 분산제의 첨가에 의해 더욱 급속하게 적셔진다. 분산제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PCM의 첨가에 의해, 상기 페이스트(paste)가 더이상 교반될 수 없도록 점성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수분 함량이 증가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분산의 점성은 어떠한 응리(segregation)도 방지하기 위해, 80 내지 180 dPa·s,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0 dPa·s(하케(Hacke), 테스트 스핀들 1 에 따른)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PCM 마이크로캡슐의 첨가에 의해서도 이러한 값이 얻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증점제(thickening agent)가 추가로 첨가된다. 바인더는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건조 및/또는 가소화(plastification) 과정 동안 중합되거나 또는 교차결합된 저분자량의 폴리머의 형태일 수 있다. 교차결합제의 혼합물은 상기 바인더 시스템이 더 높은 온도에서 자기-교차결합을 하지 않을 경우에만 필요하다. 온(warm) 교차결합제 뿐만 아니라 냉(cold) 교차결합제도 적합하다.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첨가제로서 다이(dies), 정균제(bacteriostatics), 연소 지연제 또는 방향제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이 프린트의 부피를 증가시키도록 발포되어야 하는 경우, 발포제가 추가적으로 첨가된다. 최종 폴리머 분산의 건조 함량은 30 내지 80% 사이의 PCM을 함유해야 한다. 폴리머릭 분산의 예가 표 1 에 주어진다.
표 1 : 폴리머릭 분산의 조성:
1000 부분 용액 또는 수용액상 분산내의 폴리머릭 바인더 예, 디크릴란 AS바인더, 예, 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레티스, 또는 실리콘, 또는 상기 폴리머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 (copolymerisates)
200 내지 2000 부분 결합 또는 마이크로캡슐화된 형태의 PCM
0 내지 40 부분 분산제 또는 에멀젼화제 예, 인바딘 PBN 또는 라피도프린트 HL
0 내지 30 부분 증점제 예, 디크릴란 R
pH값을 상승시키기 위한암모니아
0 내지 30 부분 교차결합제 멜라민 수지에 기초하는 온 교차결합제, 예, 리오픽스 CHN이소시아네이트에 기초하는 냉 교차결합제, 예, 투비가드 픽스
선택적으로 20 내지 100 부분 발포제 예, 마이크로프린트 E-46 폴리아코팅
선택적으로 다이, 정균제, 습기방지제, 방향제
기질로서 어떠한 프린팅 가능한 표면도 유용한데, 특히 금속 시트, 금속 필름 또는 호일, 플라스틱 시트 또는 필름 형태, 발포된 재료 또는 바람직하게는 직물 표면 형태가 사용된다. 탄력성 방직 직물, 특히 텍스쳐, 편직물, 또는 부직포가 매우 유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다른 연구에서는 상기 직물 표면이 미리 소수성(hydrophobic properties)으로 가공되는 경우 유리할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으로, 상기 직물 표면의 부드러운 촉감은 이에 의해 유지되는데 이는 상기 직물이 수용액상 분산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방직 기질의 소수성 가공은, 프린팅되는 동안 상기 프린트의 접착력에 문제를 가져올 수 있는 수용액상 분산을 갖는 물 분리층이 형성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스텐실 또는 납작한 스텐실에 의해 이루어지는 스텐실 프린팅이 상기 프린트에 이용된다. 상기 프린트를 구비하는 폴리머릭 분산의 요구되는 200 내지 500 g/㎡ 건조물의 높은 적용 중량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스텐실 구조를 고려하면서, 블레이드 압력 및 기질 간격배치에 관하여 상기 페이스트 점성의 미세한 조정이 요구된다. 상기 스텐실 표면 압력은 상기 적용 중량의 결정에 중요하지 않거나 단지 간접적으로만 중요하다. 상기 프린팅에 의해 기질에 적용된 PCM은 적어도 80 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g/㎡ 이어야 한다.
이어서, 새롭게 프린팅된 기질이,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 장치를 통하여 이송된다. 분산을 포함하는 상기 PCM의 고체 함량이 높을수록, 건조에 요구되는 시간 및 에너지는 더 적어진다. 열에 의해 활성화되는 온 교차결합제가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바인딩 시스템이 자기-교차결합(self-crosslinking) 바인딩 시스템일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120 내지 150℃의 반응 온도가 건조 장치내에서 조성되어야 한다. UV-교차결합제가 사용될 경우에는, 상기 반응을 개시하기 위해 건조단계에 이어 상기 프린트에 방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발포를 위해 발포제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선택된 건조 또는 응축 조건하에서 활성화 되어야 하고, 이로써 상기 프린트는 요구되는 최종 두께로 교차결합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적층(lamination)을 위한 접착제로서 상기 폴리머릭 분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건조장치로 들어가기 이전에, 예들 들어 텍스쳐, 편직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커버층이 아직 젖은 상태의 프린트 상에 적층되게 된다.
상기 건조 장치를 통과한 후, 상기 프린트는 충분하게 가소화되어, 상기 기질은 손상되거나, 훼손되거나 또는 파괴되는 일이 없이 또는 상기 제품이 비의도적으로 접착되거나 발포된 프린트가 다시 납작하게 프레스되는 일이 없이, 말려되거나 적층된다.
상기 방법의 장점은, 본질적으로 상기 프린팅된 기질의 탄력성을 감소시키지 않고도, 상기 온도 제어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PCM이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상기 마디에 많은 양의 PCM을 축적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기질의 프린팅되지 않은 영역, 즉, 상기 마디 사이의 간격에는 탄력성과 동시에 통기성 뿐만 아니라 증기 및 수분 투과율도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기질은 완전한 표면 코팅을 갖기 때문에 덜 경화되며, 요구되는 연성이 유지된다. 상기 각각의 마디가 서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경화수단으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바인더에 대한 PCM 비율이 증가되고, 상기 제품에 있어서는 전체 두께, 전체 중량, 및 상기 생산 및 재료 비용에 대한 더 나은 PCM 질량의 비율이 얻어지게 된다.
이러한 방법의 또다른 긍정적인 효과는, 프린팅된 기질의 단열 효과가 개선된다는 점이며, 이는 특히 이것이 마디로 형성되고 또 다른 커버층이 상기 마디에 적용되는 경우에 그러하다. 상기 층 및 마디 사이에 공기가 채워짐으로써, 제품에 단열 물질에 의한 추가적인 중량이 포함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추가적인 생산 및 재료 비용을 지출하지 않고도 제품에 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장점은 상기 프린트를 선택된 위치에 단지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프린트는 의류의 제조를 위한 무늬의 프린팅 윤곽에 따라 부분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적용의 장점은 사용되지 않을 기질의 표면에 프린트를 적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중량 및 비용 절감 뿐만 아니라, 의류 제조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이음매(seams) 및 가장자리(hems)에는 제 2 프린팅 층의 추가적인 두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동일한 두께의 코팅을 갖는 최종 제작된 의류에 있어서도 유리하며, 특히 이음매 및 접히는 부분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상기 프린트의 또 다른 이점은 상기 기질상에 있는 프린트 또는 마디 각각의 국부적으로 상이한 커버층에 의해 얻어진다. 탄력성, 통기성, 수증기 유동 내성 및/또는 PCM 비율에 대한 부분적으로 상이한 요구조건을 갖는 의복 분야에 있어서는, 마디 높이, 프린팅 및 프린팅되지 않은 영역의 비율, 및 분산의 PCM 농도에 관하여 부분적으로 상이한 프린트가 적용된다. 상이한 형태를 갖는 프린트에 대해서는, 상기 프린팅 방법이 상기 필요조건에 적합한 형태로 반복된다.
특히 상기 마디 및 상기 마디를 둘러싸는 층 사이의 공기 순환은 자연적인 대류에 의해 가스의 교환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의복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선택적인 프린트 방식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문자, 로고, 그림 및 그와 유사한 것 등의 특정한 디자인 뿐만 아니라 시각적 디자인을 위한 상이한 색조 혼합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정균제 또는 연소 지연제의 혼합에 의해 추가적인 기능들이 상기 프린트에 부가될 수 있다.
상기 프린트를 이미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 기성복 직물(ready-to-wear-textiles)에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이음매가 더 두껍지 않고 프린트가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면서도 손실이 없이, 요구되는 세부사항을 구비하는 프린트가 직물 제품의 요구되는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장점은 이에 따라 얻어진 마디에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반투성 코팅을 갖는 층과 같이 마모되기 쉬운 층을 간격 유지에 의하여 마모로부터 보호한다. 아직 젖은 상태에 있는 마디가, 보호되어야 하는 층에 적용되어 상기 층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프린트는 반투성 막을 포함하는, 보호될 상기 층에 직접적으로 적용된다. 간격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요구되는 통기성 및 증기 및 수분 교환성을 보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방직 산업등에서 직물과 같은 기질의 표면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1)

  1. 내세탁성이며 드라이 크리닝에 견딜 수 있는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상 변화 재료를 프린팅 물질로서 포함하는 폴리머릭 분산을 사용하여, 회전 스텐실 또는 납작한 스텐실에 의한 프린팅 방법의 형태로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0.6 내지 4mm의 벽 두께를 갖는 스텐실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5%의 개방 표면을 갖는 스텐실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 변화 재료로서 결정화 유기 물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5℃ 사이의 녹는점을 갖는 n-파라핀(n-도데칸 내지 n-옥타코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투입된 상 변화 재료가 다공성 구조에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폴리머릭 분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투입된 상 변화 재료가 마이크로캡슐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폴리머릭 분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방법에 의해 적어도 80 g/㎡의 상 변화 재료가 상기 기질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된 분산의 30 내지 80%의 상 변화 재료를 포함하는 폴리머릭 분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200 내지 500 g/㎡의 건조물을 갖는 폴리머릭 분산이 상기 기질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머릭 분산이 사용되고,
    상기 폴리머릭 분산의 용매는 물이며,
    습식 분산에 관한 폴리머릭 분산의 수분 함량은 20 내지 6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80 내지 180 dPa·s 범위의 점성을 갖는 폴리머릭 분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릭 분산에는 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스티렌 부타디엔 레티스, 실리콘 또는 상기 폴리머들의 혼합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머릭 분산으로서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가 사용되고 이것은 냉, 온 또는 자외선에 의해 교차결합 가능하고, 탄력성, 및 내한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된 표면의 발포를 일으키는 발포제가 상기 폴리머릭 분산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릭 분산에 다이, 정균제, 또는 연소 지연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물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시트, 금속 필름 또는 호일, 플라스틱 시트 또는 필름, 발포된 재료 또는 바람직하게는 직물 표면의 형태인 프린팅 가능한 표면이 상기 기질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표면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탄력성 방직 직물, 바람직하게는 텍스쳐, 편직물 또는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소수성 방식으로 가공된 직물 표면이 상기 기질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 부분을 단지 부분적으로 덮도록 상기 프린트가 상기 기질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에 의해 마디가 기질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이 단지 부분적으로 그리고 선택된 위치에서 상기 기질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윤곽이 의복의 제조를 위한 무늬에 맞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복으로서 제조된 직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가 두 개 이상의 상이한 두께로 상기 기질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가 상이한 스텐실에 의해 적어도 2회 연속적으로 동일한 기질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는 디자인, 로고 또는 문자의 형태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가, 커버층을 갖는 적층을 위한 접착제로서, 젖은 상태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커버층으로서, 방직 직물, 편직물 또는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31.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기질상에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직하게는 직물 기질상에 적어도 하나의 온도 조절 표면 및/또는 구조를 포함하는 제품.
KR10-2003-7000260A 2001-05-18 2002-05-07 상변화 재료를 구비하는 온도 조절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 KR100518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933/01 2001-05-18
CH00933/01A CH692574A5 (de) 2001-05-18 2001-05-18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mperaturregulierenden Flächen und Erzeugnisse aus diesem.
PCT/CH2002/000245 WO2002095314A1 (de) 2001-05-18 2002-05-07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mperaturregulierenden flächen mit latenwärmespeicher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314A KR20030026314A (ko) 2003-03-31
KR100518354B1 true KR100518354B1 (ko) 2005-09-30

Family

ID=454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260A KR100518354B1 (ko) 2001-05-18 2002-05-07 상변화 재료를 구비하는 온도 조절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227047A1 (ko)
EP (1) EP1387995B8 (ko)
JP (1) JP2004519369A (ko)
KR (1) KR100518354B1 (ko)
AT (1) ATE317102T1 (ko)
CH (1) CH692574A5 (ko)
DE (1) DE50205751D1 (ko)
WO (1) WO2002095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3212A1 (en) 2000-08-05 2004-03-04 Peter Grynaeus Thermal control nonwoven material
DE10225840B4 (de) * 2002-05-31 2006-10-05 Aesculap Ag & Co. Kg Verschleißarmes medizinisches Implantatmaterial und seine Verwendung
WO2005018795A1 (en) * 2003-08-26 2005-03-03 Universidade Do Minho Double walled microcapsules with an outer thermoplastic wall and application process thereof
US7125011B2 (en) * 2004-05-07 2006-10-24 Mclaughlin Kevin William Magnetic cutting board
KR100585936B1 (ko) * 2004-07-16 2006-06-08 탱크테크 (주) 소화용 분무장치
TWI279226B (en) * 2004-07-20 2007-04-21 Schoeller Textil Ag Dressings which can be applied several times to textile fibres and textile fabrics
FR2875432A1 (fr) * 2004-09-17 2006-03-24 Air Liquide Matrice poreuse solide contenant un materiau a changement de phase microencapsule
DE102005030484B4 (de) * 2005-06-28 2007-11-15 Carl Freudenberg Kg Elastischer Vliesstoff,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DE102005044504A1 (de) 2005-09-16 2007-03-29 BLüCHER GMBH Mit wirkstoffhaltigen Mikrokapseln beaufschlagtes funktionelles Textilmaterial und seine Verwendung
DE602006020397D1 (de) * 2006-01-10 2011-04-14 Wangbunyen Tanakor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ufteinschnitten auf einem flexiblen Substrat mit Chemikalien zur Regulierung der Öffnung der Lufteinschnitten und so hergestelltes Substrat
KR101252300B1 (ko) * 2006-01-10 2013-04-09 타나콘 왕분옌 유연성 기재 상의 통풍점들을 제공하고, 그로부터 제공된통풍점들의 기능을 조절하기 위해 화학물질의 사용하는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지는 유연성 기재
FR2911152B1 (fr) 2007-01-10 2009-04-10 Lainiere De Picardie Bc Soc Pa Procede de fonctionnalisation d'un substrat textile par pontage sous rayonnement ionisant.
DE102007017791A1 (de) 2007-04-16 2008-10-3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omposit mit inversen thermochromen Eigenschaften, dieses enthaltender Verbundwerkstoff sowie dessen Verwendung
DE102007061513A1 (de) 2007-12-20 2009-06-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otierkapseln, diese enthaltende Verbundsysteme sowie deren Verwendung
CH699118A1 (de) 2008-07-15 2010-01-15 Tex A Tec Ag Multifunktionelle, responsive Funktionsschichten auf festen Oberfläch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azu.
PL2491788T3 (pl) 2011-02-25 2016-07-29 Kraft Foods R & D Inc Wyrób spożywczy z formowanym korpusem
CN102561027A (zh) * 2011-12-23 2012-07-11 宏大研究院有限公司 具有智能调温功能的絮片及其制备方法
US10252945B2 (en) 2012-09-26 2019-04-09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compositions
CN104746164A (zh) * 2013-12-31 2015-07-01 上海水星家用纺织品股份有限公司 一种近红外阳光蓄热纤维的制备和应用
MX2016014465A (es) 2014-05-05 2017-04-27 Multiple Energy Tech Llc Composiciones de bioceramica y usos biomoduladores de las mismas.
US20160223269A1 (en) * 2015-02-04 2016-08-04 Outlast Technologies, LLC Thermal management films containing phase change materials
US9348269B1 (en) 2015-02-18 2016-05-24 Day International, Inc. Image transfer product including a phase change material
US10111534B2 (en) 2015-04-01 2018-10-30 Milliken & Company Mattress containing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KR101976666B1 (ko) * 2018-04-28 2019-05-10 주식회사 백산 적외선 차폐율이 향상된 자동차 내장재용 인조 피혁 및 그 제조방법
WO2021043669A1 (de) 2019-09-04 2021-03-11 Carl Freudenberg Kg Fasermischung aus man-made cellulose-fasern und deren verwendung
CZ2019583A3 (cs) * 2019-09-13 2020-12-09 Technická univerzita v Liberci Absorbér tepla pro textilní, zejména oděvní aplikace
CN113186716A (zh) * 2021-04-12 2021-07-30 深圳大学 智能调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DE102022105897A1 (de) 2022-03-14 2023-09-14 Carl Freudenberg Kg Thermisch fixierbares Flächengebilde mit biologisch abbaubarer Haftmasse
CN115852715A (zh) * 2022-12-15 2023-03-28 青岛中天嘉业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添加pcm相变材料的多种印花纺织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42295A (en) * 1952-05-13 1955-12-21 Cilander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patterned sheet materials having mechanical formations thereon and the sheet materials produced thereby
US4654256A (en) * 1985-02-08 1987-03-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rticle containing microencapsulated materials
US5366801A (en) 1992-05-29 1994-11-22 Triangle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Fabric with reversible enhanced thermal properties
AU2943795A (en) * 1994-06-14 1996-01-05 Gateway Technologies, Inc. Energy absorbing fabric coa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US5804297A (en) 1995-07-05 1998-09-08 Colvin; David P. Thermal insulating coating employing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and method
JPH0999622A (ja) * 1995-10-03 1997-04-15 Riso Kagaku Corp 多色孔版印刷方法
US6092464A (en) * 1998-03-19 2000-07-25 M J Grant Company Three-dimensional raised image screen prin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19369A (ja) 2004-07-02
ATE317102T1 (de) 2006-02-15
DE50205751D1 (de) 2006-04-13
US20050227047A1 (en) 2005-10-13
EP1387995B1 (de) 2006-02-01
EP1387995A1 (de) 2004-02-11
KR20030026314A (ko) 2003-03-31
CH692574A5 (de) 2002-08-15
WO2002095314A1 (de) 2002-11-28
EP1387995B8 (de)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354B1 (ko) 상변화 재료를 구비하는 온도 조절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
US4747346A (en) Method of stencil printing a substrate with foam
TWI261640B (en) Coated article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exhibiting improved flexibility, softness, air permeability, or water vapor transport properties
US6514362B1 (en) Fabric coating containing energy absorbing phase chang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955188A (en) Skived foam article containing energy absorbing phase change material
CA2287488C (en) Foam article containing energy absorbing phase change material
US6207738B1 (en) Fabric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energy absorbing phase change material
MXPA04012026A (es) Composiciones de impresion y revestimiento que comprenden poliestireno expansible.
CN113874449A (zh) 用于纺织品和泡沫的热管理的组合物和方法
JP3842440B2 (ja) 装飾シート
US10729194B2 (en) Garment with strategically positioned polymide aerogel panels
JP4832821B2 (ja) 保温性と通気性を有する透湿防水防風性フィルム、及びこれを布帛に積層してなる複合材料
CN105992696B (zh) 印刷用毯及该毯的制造方法
JP4376734B2 (ja) 人工皮革の製造方法
KR101924751B1 (ko) 친환경 플라스티졸 컬러잉크 적용 전사지 및 친환경 플라스티졸 컬러잉크 적용 전사지의 열전사 방법
EP0184596B1 (en) A method of printing a substrate
JP4752530B2 (ja) 化粧材製造方法及び化粧材
JP4369213B2 (ja) 皮革様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JPH10235805A (ja) ノンハロゲンクッション性床材
JPS61143174A (ja) 基材に印刷する方法
CA1240811A (en) Method of printing a substrate
WO2021028888A1 (es) Papel de transferencia y metodo de estampado combinando serigrafía e impresión digital
DE69737569T2 (de) Geschäumter artikel mit material zur energieabsorbtion durch phasenumwandlung
JPS6140473B2 (ko)
JPS63295774A (ja) 染型用原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