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499B1 -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499B1
KR100512499B1 KR10-1999-7001904A KR19997001904A KR100512499B1 KR 100512499 B1 KR100512499 B1 KR 100512499B1 KR 19997001904 A KR19997001904 A KR 19997001904A KR 100512499 B1 KR100512499 B1 KR 10051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toneal dialysis
patient
drainage
patient side
di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491A (ko
Inventor
신모꼬가즈히로
다나까세이신
후지이준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000068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28Peritoneal dialysis ; Other peritoneal treatment, e.g. oxyge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28Peritoneal dialysis ; Other peritoneal treatment, e.g. oxygenation
    • A61M1/288Pri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88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a plurality of male connectors, e.g. Lue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5Multi-channel connectors or couplings, e.g. for connecting multi-lumen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는 환자의 복강 내에 저류된 복막 투석액을 신선한 복막 투석액과 교환하기 위해, 투석액 백과 배액 백을 장착하고 또 분기부를 갖는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를 환자측 튜브의 단부에 접합·분리시키고, 저류액을 몸 밖으로 배액하고, 신선한 투석액을 환자 복강 내로 주입하는 장치로서, 상기 저류액을 교환할 때, 환자측 튜브 단부와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를 접합시키는 조작 (A)와, 배액 백에 상기 저류액을 배액하고, 투석액 백으로부터 신선한 투석액을 주입하는 주·배액의 조작 (B)와, 신선한 투석액의 주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접합된 단부를 분리하고, 또 환자측 튜브 단부에 상기 튜브의 폐지 부재를 접합하는 조작 (C)의 각 조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 A, 수단 B, 수단 C를 지니고, 적어도 수단 A, 수단 C는 조작 (A) 및 조작 (C)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조작 (A), (B), (C)의 각 조작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도록 수단 A, B, C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상기 장치는, 장치 자체가 간편하며, 튜브의 탈착이나 주·배액을 포함하는 교환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조작자의 조작 실수나 그에 의한 문제를 방지하고, 교환시에 감염 기회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Automatic exchanger for peritoneal dialysis}
본 발명은 복막 투석액의 자동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는 투석액의 교환을 행하기 위해, 환자 복강 내에 연결된 튜브 단부를, 투석액 백 등에 연결한 복막 투석 회로의 튜브 단부에 접속 ·분리되는 조작을 자동적으로, 혹은 반자동적(수동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행하는 장치이며, 번잡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교환 조작을 기계에 의해 경감시키려는 목적에서 생겨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 교환 장치로서, 이하의 공보에 기재된 것 등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고 평3-52986호, 일본 특허 공고 평2-27936호, 일본 특허 공개 평8-725호).
이들은 크게 나누어 커넥터 교환형과, 튜브의 용단·용접형, 또는 그와는 다르게 살균 수단을 교환 장치 내부에 설치한 것 등이다. 그러나, 이들의 종래 장치에서는 튜브 단부, 혹은 커넥터나 그 폐지 부재의 교환 장치로의 장전 조작이, 환자에게 투석액의 주입과 배출을 전후로 2회나 필요하며, 또한 조작 및 그 순서가 번잡하기 때문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 실수나 감염(오염) 등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투석액의 교환을 기계로 행하는 것에는, 자동 복막 투석 장치(APD)가 있지만, 이 장치는 환자측 튜브 단부와 복막 투석 회로 단부와의 접속·분리를 수작업에 의해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의 착탈이나 주·배액을 포함하는 교환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조작자의 조작 실수나 그에 따른 문제를 방지하고, 또한 교환시에 감염의 기회를 감소하고, 또한 장치 자체도 간편한 복막 투석용의 자동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환자의 복강 내에 저류된 복막 투석액을 신선한 복막 투석액과 교환하기 위해, 투석액 백과 배액 백을 장착하고 또 분기부를 갖는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를 환자측 튜브의 단부에 접합·분리시키고, 저류액을 몸 밖으로 배액하고, 신선한 투석액을 환자 복강 내로 주입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로서, 상기 저류액을 교환할 때, 환자측 튜브 단부와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를 접합시키는 조작 (A)와, 배액 백에 상기 저류액을 배액하고, 투석액 백으로부터 신선한 투석액을 주입하는 주·배액의 조작 (B)와, 신선한 투석액의 주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접합된 단부를 분리하고, 또 환자측 튜브의 단부에 상기 튜브의 폐지 부재를 접합하는 조작 (C)의 각 조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 A, 수단 B, 수단 C를 지니고, 적어도 수단 A, 수단 C는 조작 (A) 및 조작 (C)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조작 (A), (B), (C)의 각 조작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도록 수단 A, B, C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에 있어서, 환자측 튜브라 함은 환자의 복강 내에 유치된 카테테르에 이어지는 연장 튜브나 기타 튜브 등을 가리키고, 환자측 튜브의 단부라 함은 카테테르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튜브 단부를 가리킨다. 또한, 복막 투석 회로의 분기부라 함은 투석액 백과 배액 백이 튜브에 의해 연결되고, 이 튜브의 중간부로부터 환자측 튜브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용 튜브가 연장되어 있지만, 그 접속용 튜브의 분기되어 있는 부위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는 분기된 튜브는 1개이며, 분기부는 Y자형인데,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라 함은 환자측 튜브에 접속되는 접속용 튜브의 단부를 가리킨다.
상기 본 발명의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의 특징은 환자측 튜브 단부와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를 접합시키는 조작 (A)와, 배액 백에 상기 저류액을 배액하고, 투석액 백으로부터 신선한 투석액을 주입하는 주·배액의 조작 (B)와, 신선한 투석액의 주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단부를 분리하고, 또 환자측 튜브의 단부에 상기 튜브의 폐지 부재를 접합하는 조작 (C)의 각 조작을 행하는 수단 A, 수단 B, 수단 C와, 그들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지니는 데 있으며, 그로써, 상기의 각 조작을 연속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환자는 본 발명의 자동 교환 장치에, 처음에 환자측 튜브 단부 및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를 세트하는 것만으로, 환자측 튜브와 복막 투석 회로의 탈착 조작(접합 및 분리) 및 주·배액 조작을 계속해서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의 바람직한 1 실시 형태로서, 상기 자동 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환자측 튜브 단부에 접합시키는 폐지 부재를 조작 개시전에 미리 세트할 수 있는 기구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환자측 튜브 단부에 접합시키는 폐지 부재를 조작 개시 전에 본 자동 교환 장치의 소정 부위에 미리 세트할 수 있는 기구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구를 지니면, 주·배액 조작이 종료된 후에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단에 의해 환자측 튜브를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로부터 분리하고, 그대로 환자측 튜브에 폐지 부재를 접합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사이, 환자는 환자측 튜브 단부나 복막 투석 회로 단부에는 일절 손을 댈 필요는 없다.
상기 주·배액 조작은 유로의 절환 순서(처음에 환자 복강 내부와 배액 백 사이가 연통하고, 다음에 투석액 백과 배액 백 사이가 연통하고, 마지막으로 투석액 백과 환자 복강 사이가 연통하도록 유로가 선택되는 순서)가 설정된 것, 또는 조작 순서(환자측 튜브 단부와 복막 투석 회로 기부의 접합 조작→주·배액 조작→환자측 튜브 단부와 폐지 부재의 접합 조작과 같이, 조작이 실시되는 순서)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유로나 조작의 절환은 그 순서대로 행해진다.
본 발명의 자동 교환 장치에 있어서는 환자측 튜브 단부와 복막 투석 회로 단부의 접합부의 착탈 조작만이 아닌, 주·배액 조작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으면, 환자는 액 교환 전에 각 접속 단자나 폐지 부재를 장치에 세트하는 것만으로, 그외의 일은 모두 자동적으로 교환 장치가 행해지므로, 환자에게 있어서 매우 편리하며, 상기 장치의 오조작이나 감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교환 장치는, 상기 환자측 튜브와 복막 투석 회로의 탈착 조작을 행하는 수단은 오조작이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일 필요가 있지만, 상기 주·배액 조작은 환자에 의해, 그에 걸리는 시간 등이 다를 경우가 있으므로, 이 주·배액 조작에 걸리는 시간에 의해 연장하거나, 단축하거나 할 수 있도록 주·배액 조작을 행하는 수단은 수동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그로 인해, 주·배액 조작은 수동으로 하거나, 혹은 상기와 같은 문제가 없으면, 모두 자동으로 해도 되며, 또한 주·배액 조작의 일부에 수동 조작이 포함되는 반자동인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환자측 튜브의 관부분 및/또는 복막 투석 회로의 분기로부터 환자측의 관부분을 수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교환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주·배액 조작을 행하는 수단을 수동으로 했다해도, 종래의 자동 교환 장치는 환자측 튜브와 복막 투석 회로측 튜브의 접속 부분을 주·배액 조작의 전후 2회, 수작업으로 자동 교환 장치에 세트해야만 했지만, 본 발명의 자동 교환 장치에서는 수작업에 의한 상기 자동 교환 장치의 접속 부분으로의 세트는 1회로 마무리되고, 상기 탈착 조작 및 주·배액 조작을 순차적으로 장치 내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오조작이나 감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주·배액 조작을 수동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환자가 액의 흐름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또는 센서로 감시하면서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상기 주·배액 조작을 모두 자동적으로 행하는 경우는, 주·배액에 관계되는 유로 전체에 개폐 수단, 예를 들어 클램프를 장착하고, 상기 클램프를 자동적으로 개폐하도록 제어하여 행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여러가지 생각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과, 튜브 내의 액의 유무나 유량을 센서에 의해 검지하는 것, 혹은 투석액 백 및/또는 배액 백과의 중량을 검지하는 것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주·배액시, 자동적으로 액의 유로가 선택되고, 종래와 같이 각각의 튜브에 장착된 클램프를 개별로 조작하는 경우에 비해, 간단하고 또한 개폐 실수에 의한 주·배액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각 접속 단부의 접합 혹은 분리를 살균 뒤에 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동 교환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적외선, 오존, 열, 마이크로파 등에 의한 살균 장치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접속 단부에 살균제를 갖는 것도 효과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서술한다.
여기에서, 환자측 커넥터라 함은 환자측 튜브 단부에 결합된 커넥터인 것이며,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와 연결 가능하다. 또한, 백측 커넥터라 함은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에 결합된 커넥터이며, 환자측 커넥터와 연결 가능하다.
제1 형태로서, 본 발명의 자동 교환 장치는 개폐 가능한 하우징을 지니고 있으며, 하우징 내부에, 이하에 서술하는 3개의 홀더를 지니고 있다. 즉, 환자측 커넥터와 제1 폐지 부재(투석액 교환전에 있어서, 환자측 커넥터에 접합하고 있는 폐지 부재를 가리킨다)를 접합 혹은 분리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1 홀더, 상기 백측 커넥터와 제2 폐지 부재(복막 투석 회로의 백측 커넥터에 미리 접합하고 있는 폐지 부재를 가리킨다)를 접합 혹은 분리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2 홀더 및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에 보유 지지된 커넥터에 각각 접합 가능한 제3 폐지 부재 및 그 밀봉 부재(폐지 부재의 내강측을 외부 경계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제3 폐지 부재에 접합하고 있는 부재를 가리킨다.)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3 홀더이다.
이들 홀더는 튜브의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의 자동 교환 장치는, 또한 이하 7개의 수단을 갖는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보유 지지된 각 폐지 부재가 접합한 각 커넥터로부터 폐지 부재를 접합 혹은 분리시키는 수단 (1), 환자의 복강 내의 저류액 교환시에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보유 지지된 각 튜브 커넥터로부터 각각 폐지 부재를 분리시키고, 또한 폐지 부재가 제거된 각 커넥터 끼리를 접합시키는 수단 (2), 환자 복강 내의 저류액을 배액 백에 송액시키고, 이 송액이 완료된 후, 투석액 백으로부터의 투석액을 환자 복강 내로 주입하는 수단 (3), 투석액 백의 투석액의, 환자 복강 내로의 액의 주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커넥터들의 접합을 해제하는 수단 (4), 제2 폐지 부재와 그 밀봉 부재를 분리하는 수단 (5), 접합이 해제된 환자측 커넥터에, 제3 홀더에 보유 지지된 상기 제3 폐지 부재를 장착하는 수단 (6), 상기 주·배액에 있어서, 상기 복막 투석 회로의 분기부로부터 투석액 백측의 관부분, 마찬가지로 배액 백측의 관부분, 마찬가지로 환자측 튜브측 관부분의 3군데 튜브 부분을 개방 또는 폐지할 수 있는 수단 (7) 등이다. 그리고, 상기 (1) 내지 (6)의 각 수단,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의 각 수단을 적어도 순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수단 및 그 제어 수단 (8)을 적어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나 폐지 부재는 나사 결합, 또는 삽입(끼움) 등, 접합되는 것 끼리를 밀폐하여 접속할 수 있고, 또 분리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그 형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형태에서는 투석액의 교환 전에는 환자측 커넥터에 폐지 부재가 접합되어 있으며, 백측 커넥터와 접합하기 위해 우선 이 폐지 부재를 분리해야만 한다. 그리고, 주·배액이 완료된 후, 환자측 커넥터에 다시 폐지 부재를 접합해야만 한다.
주·배액시, 통상 프라이밍 조작이 행해지는데, 여기에서, 주·배액시의 유로의 절환 순서는 상기 주·배액이 펌프 송액으로 행해지든지, 혹은 펌프 송액이 아닌 자연 낙하와 같은 송액에 의해 행해지든지에 의해서도 다르다.
예를 들어, 자동 교환 장치에 송액을 위한 펌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막 투석 회로의 프라이밍을 위한 송액(편리하게 프라이밍 송액이라 함)은 배액 전후 모두 상관없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순서로 행해진다. 우선, 환자 복강 내의 저류액을 배액 백 내로 배출시킨다. 다음에 투석 액을 환자의 복강 내로 주입하기 전에, 유로의 세정을 겸하고, 투석액 백의 투석액의 일부를 배액 백에 소량 송액한다. 이와 같이, 상기 투석 회로 분기부로부터 투석액 백측의 튜브를 프라이밍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투석액 백으로부터 환자 복강 내에 투석액을 주입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송액 펌프를 설치하지 않은 자연 낙하에 의한 송액의 자동 교환 장치에서는, 유로의 절환 순서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 경우에는 먼저 투석액 백으로부터 배액 백에 소량의 투석액을 흘리고, 투석 회로의 분기부로부터 배액 백측의 튜브 내를 액으로 프라이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음에 환자 복강 내로부터 저류액을 배출하고, 다시 투석액 백 내의 투석액을 배액 백에 소량 흘려서 투석 회로 내를 세정하고, 마지막으로 투석 백으로부터 투석액을 환자 복강 내로 주입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환자 복강 내 카테테르 단부가 자동 교환 장치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라도, 상기 복강 내 카테테르 단부가 배액 백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기만 하면, 낙차(사이펀 현상)에 의해 배액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배액 백이 장착된 튜브를 프라이밍해 두지 않으면, 저류액이 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낙차만으로 배액을 행하는 자동 교환 장치에서는 유로의 절환 순서를 미리 설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감염 혹은 오염의 기회가 감소하므로, 환자측 커넥터에 장착시키는 상기 제3 폐지 부재는 그 커넥터와의 접촉면이 외부 경계로부터 차단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환자측 커넥터에 접합시키는 폐지 부재의 내강이 외부 경계로부터 차단된 것이다. 이 제3 폐지 부재와, 그를 외부 경계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밀봉 부재도 예를 들어 나사 결합, 삽입(끼움) 등에 의해 접합·분리할 수 있는 것이어야만 한다.
또한, 커넥터나 폐지 부재의 탈착시에는 감염 또는 오염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환자측 커넥터가 개방된 때, 상기 수단 (2)에 있어서 커넥터 끼리를 접합시킬 때 및 상기 수단 (6)에 있어서 환자측 커넥터에 폐지 부재를 접합시킬 때 자동 교환 장치 내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폐지 부재 자체가 소독제 등의 살균제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환자측 커넥터에 접합하기 전에 살균 수단에 의해 제3 폐지 부재가 살균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복막 투석용 자동 변환 장치의 다른 실시 태양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튜브를 용단·용접하는 형태의 것을 들 수 있다.
즉, 환자의 복강 내에 저류된 복막 투석액을 신선한 복막 투석액과 교환하기 위해, 투석액 백과 배액 백을 장착하면서 분기부를 갖는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를 환자측 튜브의 단부에 접합·분리시키고, 저류액을 몸 밖으로 배액하고, 신선한 투석액을 환자 복강 내로 주입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로서, 상기 저류액을 교환할 때, 환자측 튜브의 폐지된 단부와 복막 투석 회로가 폐지된 단부를 용단하고, 또 이 용단된 단부를 용접시키는 조작 (L)과, 배액 백과 상기 저류액을 배액하고, 투석액 백으로부터 신선한 투석액을 주입하는 주·배액 조작 (W)와, 신선한 투석액의 주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접합된 환자측 튜브 단부를 용단시키는 조작 (M)의 각 조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 L, 수단 W, 수단 M을 갖고, 적어도 수단 L, 수단 M은 조작 (L), 조작 (M)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구성되고, 또한 조작 (L), (W), (M)의 각 조작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도록 수단 L, 수단 W, 수단 M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변환 장치가 있다.
이 형태의 변형으로서는 수단 M이 환자측 튜브 단부의 용단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의 폐지도 동시에 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환자측 튜브 단부를 용착에 의해 폐지하므로, 폐지된 부위가 실수로 개방되거나 하지 않도록, 확실히 용착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조작 (M) 후, 용단된 환자측 튜브 단부에 일단부가 폐쇄된 튜브형 폐지 부재의 개방 단부측을 접합하여 열 융착시켜도 된다. 상기 폐지 부재는 자동 교환 장치 내에 미리 세트해 두고, 주·배액 조작이 종료해 환자측 튜브 단부가 용단된 후, 그 용단 단부에 폐지 부재를 열 용착시킨다. 이 경우는, 환자측 튜브 단부와 열 융착되는 폐지 부재는, 특히 그 내강측을 융착 전에 살균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로 인해 자동 교환 장치 내에 살균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양단부가 폐쇄된 폐지용 튜브를 마찬가지로 세트해 두고, 주·배액 조작이 종료된 후에 폐지용 튜브를 용단하고, 한 쪽 용단 단부를 환자측 튜브 단부의 용단 단부와 맞대어서 열 융착할 수도 있다.
이 용단·용접 형태의 자동 교환 장치는, 이하와 같은 점에 있어서는 상기 커넥터 형태의 것과 거의 마찬가지인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착 조작만이 아닌, 주·배액 조작도 자동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배액 조작을 자동으로 하기 위해, 상기 수단 W가 복막 투석 회로의 투석액 백측의 관부분과 복막 투석 회로의 배액 백측의 관부분을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지하는 개폐 수단을 마련한 것, 또는 환자측 튜브의 관부분 및/또는 복막 투석 회로의 분기로부터 환자측 관부분을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지하는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1은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교환 장치를 사용한 복막 투석액 교환 방법의 일부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a)는 조작 개시시, (b) 및 (c)는 (a)에 이어서 행해지는 연속된 조작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교환 장치를 사용한 복막 투석액의 교환 방법의 일부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a), (b) 및 (c)는 도1의 (c)에 이어서 행해지는 연속된 조작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교환 장치를 사용한 복막 투석액의 교환 방법의 일부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a), (b) 및 (c)는 도2의 (c)에 이어서 행해지는 연속된 조작을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다른 태양의 교환 장치를 사용한 복막 투석액의 교환 방법의 일부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a)는 조작 개시시, (b) 및 (c)는 (a)에 이어서 행해지는 연속된 조작을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다른 형태의 교환 장치를 사용한 복막 투석액의 교환 방법의 일부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a), (b) 및 (c)는 도4의 (c)에 이어서 행해지는 연속된 조작을 도시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다른 형태의 교환 장치를 사용한 복막 투석액의 교환 방법의 일부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a), (b) 및 (c)는 도5의 (c)에 이어서 행해지는 연속된 조작을 도시한다.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1) 제1 홀더(20)(20a와 20b)에, 환자의 복막 카테테르 단부에 결합된 튜브(1)의 단부에 폐지 부재(3)가 나사 결합에 의해 접합된 환자측 커넥터(2)(상기 커넥터(2)는 Y자형 튜브(4)의 직부(職部)에 접속된 백측 커넥터(5)와 나사 결합에 의해 접합 가능), 제2 홀더(21)(21a와 21b)에, Y자형 튜브(4)의 단부에 폐지 부재(6)가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된 커넥터 부재(5), 제3 홀더(22)(22a와 22b)에, 투석액 백으로부터의 투석액이 환자의 복강 내로의 주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환자측 커넥터(2)에 접합시키는 폐지 부재(7)(상기 폐지 부재(7)는 밀봉 부재(8)가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를 각각 세트하고, 복막 투석액 교환 조작의 개시 버튼(도시 생략)을 누른다(도1의 a). 제1 홀더(20), 제2 홀더(21), 제3 홀더(22)는 각각 중앙부에서 분단 가능해지며, 도면의 좌측에 배치된 것을 각각 제1a 홀더(20a), 제2a 홀더(21a), 제3a 홀더(22a)라 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우측에 배치된 것을 각각 제1b 홀더(20b), 제2b 홀더(21b), 제3b 홀더(22b)라 칭한다. 제1b 홀더(20b), 제2b 홀더(21b), 제3b 홀더(22b)는 각각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각 커넥터나 각 폐지 부재를 이들의 홀더에 의해 파지하고, 커넥터나 폐지 부재를 회전함으로써, 커넥터와 폐지 부재의(혹은 커넥터 끼리) 접합·분리를 행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의 3개의 홀더는 이동 다이(23)의 위에 장착되어 있으며, 도1의 (b) 내지 (c), 도3의 (a) 내지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 다이(23)를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커넥터 및 폐지 부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전에 접합되어 있던 커넥터나 폐지 부재와는 다른 것을 접합시킬 수 있다.
(2)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에 세트된 나사 결합에 의해 접합된 커넥터(2, 5)와 폐지 부재(3, 6) 및 제3 홀더에 세트된 나사 결합에 의해 접합된 폐지 부재(7)와 밀봉 부재(8)를 튜브의 긴 축 방향으로 각각 자동적으로 분리시킨다(도1의 b).
(3) 상기 (2)에서 분리된 Y자형 튜브(4)의 단부에 접속된 백측 커넥터(5)와 환자의 복막 카테테르의 단부에 결합된 환자측 커넥터(2)가 나사 결합에 의해 접합할 수 있도록, 상기 (2)에서 분리된 상기 커넥터 끼리를 서로 마주 향하도록 자동적으로 배치한다(도1의 c). 이 단계에서, 상기 살균 수단 등에 의해 자동 교환 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살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3)에서 서로 마주 향한 커넥터(2, 5) 끼리를 나사 결합에 의해 자동적으로 접합하고, 다음에 상기 커넥터(2, 5)가 접합된 관부분(10) 및 배액 백(17)이 장착된 관부분(12)을 개방하고, 또한 투석액 백(16)이 장착된 관부분(11)을 폐지하여, 환자의 복강(9) 내의 저류액을 배액 백(17)으로 송액한다(도2의 a).
(5) 상기 (4)의 환자의 복강(9) 내의 저류액의 송액이 완료된 후, 커넥터(2, 5)가 접합된 관부분(10)을 폐지하고, 투석액 백(16)이 장착된 관부분(11) 및 배액 백(17)이 장착된 관부분(12)을 개방한 상태에서, 투석액 백(16)에 수납된 투석액의 일부를 배액 백(17)으로 송액함으로써, 프라이밍 처리를 행한다(도2의 b).
(6) 상기 (5)의 프라이밍 처리가 완료된 후, 투석액 백(16)이 장착된 관부분(11) 및 커넥터(2, 5)가 접합된 관부분(10)을 개방하고, 배액 백(17)이 장착된 관부분(12)을 폐지한 상태에서, 투석액 백(16)에 수납된 투석액을 환자의 복강(9) 내로 송액한다(도2의 c). 상기 관부분(10, 11 및 12)의 관의 개방 및 폐지는 조작자의 수작업으로 해도 되며, 반자동적 혹은 자동적으로 행해도 된다. 그리고, 이들의 관부분(10, 11, 12)에 장착된 개폐 수단(13, 14, 15)의 개폐에 의해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유로의 절환이 행해진다.
(7) 투석액의 환자의 복강(9) 내로의 송액이 완료된 시점에서, 커넥터(2, 5)를 분리한다(도3의 a).
(8) 상기 (7)에서 분리된 환자측 커넥터(2)와 상기 커넥터(2)에 접합시키는 폐지 부재(7) 및 상기 (7)에서 분리된 폐지 부재(5)와 밀봉 부재(8)를 나사 결합에 의해 접합할 수 있도록 서로 향하게 배치한다(도3의 b). 또한, 이 단계에서도 상기 살균 수단에 의해 자동 교환 장치의 하우징 내의 살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환자측 커넥터(2)와 폐지 부재(7) 및 백측 커넥터(5)와 밀봉 부재(8)를 나사 결합에 의해 접합한다. 단, 백측 커넥터(5)는 밀봉 부재(8)를 나사 결합에 의해 접합하지 않고, 개방한 그대로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면의 상방향으로부터 제2 홀더(21), 제3 홀더(22), 제1 홀더(20)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 배치는 사용하기 쉽도록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 내지 도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면의 상방향으로부터 제3 홀더(22), 제2 홀더(21), 제1 홀더(20)의 순으로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측 커넥터(2)와 백측 커넥터(5)를 접합하고 있는 동안, 제3 폐지 부재(7)는 제2 폐지 부재(6)와 접합시킬 수 있고, 최종적으로 환자측 커넥터(2)에 접합되는 제3 폐지 부재(7)의 내강이 오염되는 기회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교환 장치는, 하기와 같은 우수한 작용 효과를 이룬다.
(1) 튜브의 탈착이나 주·배액을 포함하는 투석액의 교환 조작이 간단하고, 개시부터 종료까지 일련의 흐름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의 수고가 줄고, 교환 조작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2) 교환 조작이 간단하므로, 조작 실수에 의한 오작동이나 그 밖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3) 수작업을 적게 할 수 있고, 또 교환 조작을 장치 내에서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실행할 수 있으므로, 튜브 접합부 및 그 주위의 감염 및 오염의 기회가 감소한다.

Claims (31)

  1. 환자의 복강 내에 저류된 복막 투석액을 신선한 복막 투석액과 교환하기 위해, 투석액 백과 배액 백을 장착하고 또 분기부를 갖는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를 환자측 튜브의 단부에 접합·분리시키고, 저류액을 몸 밖으로 배액하고, 신선한 투석액을 환자 복강 내로 주입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로서, 상기 저류액을 교환할 때, 환자측 튜브 단부와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를 접합시키는 조작 (A)와, 배액 백에 상기 저류액을 배액하고, 투석액 백으로부터 신선한 투석액을 주입하는 주·배액의 조작 (B)와, 신선한 투석액의 주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접합된 단부를 분리하고, 또 환자측 튜브 단부에 상기 튜브의 폐지 부재를 접합하는 조작 (C)의 각 조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 A, 수단 B, 수단 C를 지니고, 적어도 수단 A, 수단 C는 조작 (A) 및 조작 (C)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조작 (A), (B), (C)의 각 조작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도록 수단 A, B, C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측 튜브 단부에 접합시키는 폐지 부재를 조작 개시 전에 미리 세트할 수 있는 기구를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 B가 주·배액 조작 (B)의 적어도 일부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 B가 복막 투석 회로의 투석액 백측의 관부분과 복막 투석 회로의 배액 백측의 관부분을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지하는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이, 환자측 튜브의 관부분 또는 복막 투석 회로의 분기로부터 환자측의 관부분을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치 내부에 살균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환자측 튜브 또는 폐지 부재가 개방된 때, 자동 교환 장치 내부의 살균을 행하는 살균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8. 환자의 복강 내에 저류된 복막 투석액을 신선한 복막 투석액과 교환하기 위해, 투석액 백과 배액 백을 장착하고 또 분기부를 갖는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를 환자측 튜브의 단부에 접합·분리시키고, 저류액을 몸 밖으로 배액하고, 신선한 투석액을 환자 복강 내로 주입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로서, 상기 저류액을 교환할 때, 폐지 부재가 접합된 환자측 커넥터와 같이 폐지 부재가 접합된 백측 커넥터로부터 폐지 부재를 분리시키는 조작 (D), 상기 폐지 부재가 분리된 환자측 커넥터와 백측 커넥터 끼리를 접합시키는 조작 (E), 배액 백에 상기 저류액을 배액하고, 투석액 백으로부터 신선한 투석액을 주입하는 주·배액 조작 (Y) 및 투석액 백으로부터의 신선한 투석액의 주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커넥터들의 접합을 분리하는 조작 (F), 상기 접합이 분리된 환자측 커넥터에 폐지 부재를 접합하는 조작 (G)를 갖고, 또한 (D), (E), (Y), (F), (G)의 각 조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 D, 수단 E, 수단 Y, 수단 G를 지니고 있으며, 적어도 수단 D, E, F, G는 조작 (D), (E), (F), (G)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되고, 또 조작 (D), (E), (Y), (F), (G)가 연속적으로 행해지도록 수단 D, E, Y, F, G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측 튜브 단부에 접합시키는 폐지 부재를 조작 개시 전에 세트할 수 있는 기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 Y가 복막 투석 회로의 투석액 백측의 관부분과 복막 투석 회로의 배액 백측의 관부분을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지하는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이, 환자측 튜브의 관부분 또는 복막 투석 회로의 분기로부터 환자측 관부분을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E, F, G 수단의 접합 및 분리가 나사 결합 또는 삽입(끼움)에 의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 수단에 있어서, 환자측 커넥터에 접합시키는 폐지 부재의 내강이 외부 경계로부터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 수단에 있어서, 환자측 커넥터에 접합시키는 폐지 부재가 살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 수단에 있어서, 환자측 커넥터에 접합시키는 폐지 부재가 살균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16.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장치 내부에 살균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환자측 커넥터가 개방된 때, 자동 교환 장치 내부의 살균을 행하는 살균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E 수단에 있어서 커넥터 끼리를 접합시킬 때 및 상기 G 수단에 있어서 환자측 커넥터에 폐지 부재를 접합시킬 때, 자동 교환 장치 내부의 살균을 행하는 살균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19. 환자의 복강 내에 저류된 복막 투석액을 신선한 복막 투석액과 교환하기 위해, 투석액 백과 배액 백을 장착하면서 분기부를 갖는 복막 투석 회로의 단부를 환자측 튜브의 단부에 접합·분리시키고, 저류액을 몸 밖으로 배액하고, 신선한 투석액을 환자 복강 내로 주입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로서, 상기 저류액을 교환할 때, 환자측 튜브의 폐지된 단부와 복막 투석 회로의 폐지된 단부를 용단하고, 또 이 용단된 단부를 용접시키는 조작 (L)과, 배액 백에 상기 저류액을 배액하고, 투석액 백으로부터 신선한 투석액을 주입하는 주·배액의 조작 (W)와, 신선한 투석액의 주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접합된 환자측 튜브 단부를 용단시키는 조작 (M)의 각 조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 L, 수단 W, 수단 M을 갖고, 적어도 수단 L, 수단 M은 조작 (L), 조작 (M)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구성되고, 또한 조작 (L), (W), (M)의 각 조작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도록 수단 L, 수단 W, 수단 M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 M이 환자측 튜브 단부의 용단 및 용단과 동시에 폐지 조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환자측 튜브 단부에 열 융착시키는 폐지 부재를 조작 개시 전에 미리 세트하는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M) 후, 환자측 튜브 단부에, 환자측 단부를 폐지하기 위한 폐지 부재를 열 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융착시키는 폐지 부재가, 한 쪽 단부가 폐쇄된 튜브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융착시키는 폐지 부재가, 양단부 모두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25.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융착시키는 폐지 부재가, 살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 W가 주·배액 조작 (W)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장치 내부에 살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 W가 복막 투석 회로의 투석액 백측의 관부분과 복막 투석 회로의 배액 백측의 관부분을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지하는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이, 환자측 튜브의 관부분 또는 복막 투석 회로의 분기로부터 환자측 관부분을 자동적으로 개방 또는 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30. 제1항, 제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배액이 송액 펌프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31. 제1항, 제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배액이 낙차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KR10-1999-7001904A 1997-07-07 1998-07-06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KR100512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96469 1997-07-07
JP19646997 1997-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491A KR20000068491A (ko) 2000-11-25
KR100512499B1 true KR100512499B1 (ko) 2005-09-06

Family

ID=1635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904A KR100512499B1 (ko) 1997-07-07 1998-07-06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25797A4 (ko)
JP (1) JP4053610B2 (ko)
KR (1) KR100512499B1 (ko)
WO (1) WO1999002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5070B2 (en) * 2005-01-28 2011-05-03 Fresenius Medical Care North America Systems and methods for dextrose containing peritoneal dialysis (PD) solutions with neutral pH and reduced glucose degradation product
JP4848642B2 (ja) * 2005-02-09 2011-12-2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腹膜灌流装置とその駆動プログラム
US7736328B2 (en) 2007-07-05 2010-06-15 Baxter International Inc. Dialysis system having supply container autoconnection
US8496609B2 (en) 2007-07-05 2013-07-30 Baxter International Inc. Fluid delivery system with spiked cassette
WO2016198092A1 (en) 2015-06-08 2016-12-15 Stephan Fox Apparatus for connecting a tube connector to a fitting and to fasten or unfasten closure caps
JP6938019B2 (ja) * 2017-07-27 2021-09-22 株式会社根本杏林堂 着脱装置、及び複数回注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6214A1 (en) * 1995-10-30 1997-05-09 Cerato B.V. Dialysi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1498A (ja) * 1982-09-10 1984-08-23 バクスタ−、トラベノ−ル、ラボラトリ−ズ インコ−ポレイテッド 自動的接続および取外し
US4610670A (en) * 1983-06-13 1986-09-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erile connection process, apparatus and system
US4950230A (en) * 1987-03-19 1990-08-21 Del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gless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JPH04354953A (ja) * 1991-05-31 1992-12-09 Terumo Corp 医療用連結具交換装置
US5445610A (en) * 1993-01-15 1995-08-29 University Of Cincinnati Portable peritoneal dialysis cyc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6214A1 (en) * 1995-10-30 1997-05-09 Cerato B.V. Dialysi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5797A1 (en) 1999-06-30
EP0925797A4 (en) 2000-11-22
JP4053610B2 (ja) 2008-02-27
WO1999002205A1 (fr) 1999-01-21
KR20000068491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3921B1 (en) Automatic exchanger for peritoneal dialysis
US8021319B2 (en) Extracorporeal blood set
JP4170672B2 (ja) リンス用バッグを備える胎盤血液収集ライン
IT8224635A1 (it) Sistama a piu&#39; camere per dialisi peritoneale
US4209013A (en) Sterile connection system using flexible container
US20050015070A1 (en) Dialysis bag, a dialysis set comprising the bag, and a three-way connector for access to a dialysis bag
US5336173A (en) Peritoneal dialysis tubing set and method of operation
US4745950A (en) Connector for peritoneal dialysis
JPH0642904B2 (ja) 腹膜透析装置およびそのコネクタ
US7959596B2 (en) Extracorporeal circuit
JP3766692B2 (ja) 透析液の排出又は供給チューブへの腹膜カテーテルの無菌状態での接続装置
KR100512499B1 (ko) 복막 투석용 자동 교환 장치
EP0294427A1 (en) UNIT, STERILE FLUID DISPENSER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EP0747074A1 (en) Combined holder and connector for a dialyser
JP4399450B2 (ja) 血液治療のための集積モジュールの支持部材
KR20040077704A (ko) 주머니용 접합 셔틀
ES2284444T3 (es) Dispositivo para la dialisis peritoneal.
US7507217B2 (en) Device for exchanging and/or docking functional modules
ES2306645T3 (es) Dispositivo para la dialisis peritoneal.
SK19898A3 (en) Parenteral fluid delivery bag with integral line set
JP4189904B2 (ja) 溶液製造装置、溶液製造に用いるコネクター及び濃縮物用容器ユニット
EP0084552A1 (en) PIPE CONNECTIONS WITH ANTISEPTIC APPLICABILITY.
JP7367179B2 (ja) 袋状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34455A (ja) 無菌接続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4134383B2 (ja) Capdシステム、およびその構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