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828B1 - 원료 건조 및 파쇄 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 Google Patents

원료 건조 및 파쇄 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828B1
KR100510828B1 KR10-2000-0017518A KR20000017518A KR100510828B1 KR 100510828 B1 KR100510828 B1 KR 100510828B1 KR 20000017518 A KR20000017518 A KR 20000017518A KR 100510828 B1 KR100510828 B1 KR 10051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aw material
drying
reclaimer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091A (ko
Inventor
윤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17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8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0Auxiliary treatments, e.g. aerating, heating, humidifying, deaerating, cooling, de-watering or dry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Loading or unloading in a fluid medium other tha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1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rotary pick-up conveyors
    • B65G65/20Padd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4Pulverising loaded or unloaded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 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철공장의 소결공장에 공급되는 석탄등과 같은 원료들이 빗물 또는 습기로 몽치거나 죽탄상태가 되어도 이를 파쇄하는 동시에 열풍으로서 건조시키어 소결공정까지의 운반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블록(2)의 상측으로 직각 이동하는 이동대(4)상에 설치된 붐대(10)상에 설치되며 다단으로 설치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전방에 회전토록 설치되어 원료를 직접 파쇄토록 하는 파쇄수단(4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측 중앙부분에 하우징(20)내에 유입된 원료들을 후방 으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수단(60) 및,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열로 설치되어 고압의 열풍을 하우징(20)내를 통과하는 젖은 원료에 가하여 원료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80)으로 구성되는 원료 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료 건조 및 파쇄 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RECLAIMER WITH FUNCTION DRYING AND CRUSHING RAW MATERIAL}
본 발명은 야드 적재된 석탄등의 원료를 관련 소결공장으로 공급토록 불출하는 리크레이머(branding reclaim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석탄원료등이 빗물에 의하여 죽탄형태가 되거나 또는 굳어서 딱딱하게 되어도 이를 파쇄 및 건조시키면서 불출하게 되어 원료 불출작업이 극히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원료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 필요한 소결광의 품질은 사전원료 처리과정에서 성분 및 입도가 얼마만큼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가에 영향을 받는데, 야드에 수입 적치된 여러 종류의 원료를 불출하여 브렌딩 야드에 적치하는 과정에서 1차로 섞이고 적치된 원료를 불출하여 소결공장으로 공급하는 버켓에 의한 불출과정에서 2차로 원료가 섞이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야드에 적치된 원료를 불출하는 장치를 리크레이머라 하는데, 이는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블록(110)의 상부에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대(112)상에 붐대(boom)(120)가 유입실린더(130)로서 승하강토록 설치되고, 상기 붐(120)의 상부에는 그 전방으로 설치된 버켓(140)에 의하여 불출되는 원료들을 주행블록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불출 컨베이어에 운반하는 붐 컨베이어(150)가 설치되고, 상기 주행블록(110)의 하측으로 슈트를 통하여 불출된 원료를 소결공장까지 운반하는 메인컨베이어(16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종래의 리크레이머(100)에 의하면, 서로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행블록(110)과 이동대(112)에 의하여 원료의 원하는 위치에 맞추어 이동하는 상기 버켓(140)이 원료들을 불출한 후, 붐 및 메인 컨베이어(150)(160)로서 소결공장등의 공급장소까지 운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크레이머(100)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야적된 석탄등의 원료에 빗물이 젖게되면, 상기 석탄등은 서로 뭉치면서 죽탄이 되거나, 또는 일정시간이 지난후에는 딱딱하게 굳어서 별도의 파쇄 및 건조기능이 없은 종래의 버켓(140)만으로는 원활한 원료불출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원료불출작업이 지연되고, 이는 원료공급의 지연을 초래하여 원료를 사용하는 제강공장의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빗물 또는 야적상태에서 손쉽게 가해지는 습기등으로 석탄등의 원료가 죽탄 또는 딱딱하게 굳은 상태에서는 버켓(140)에 의한 불출작업이 수행된다해도 붐 컨베이어(150) 및 메인 컨베이어(160)에 의한 운반시, 외곽부분으로 손쉽게 낙하하거나 또는 컨베이어(150)(160)의 사해운전을 발생시키어 원료낭비 및 주변설비 또는 환경을 오염시키고, 특히 붐 및 메인 컨베이어(150)(160)의 사행운전이 지속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단락과 같은 설비파손이 발생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야적된 상태의 원료가 빗물 또는 습기에 의하여 젖은 상태에서 불출되는 도중에, 건조됨으로 인하여, 보다 원활한 원료 불출작업이 수행되는 한편, 건조상태에서 소결공장으로 불출되어 원료의 소결공정을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수행시키는 원료 건조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적된 석탄등의 원료가 빗물 또는 습기등으로 인하여 딱딱하게 굳거나 죽탄형태로 불량하게 되어도, 원료를 파쇄시키어 불출하게 되어 보다 원활한 원료불출이 수행되고, 특히 덩어리형태의 원료이송시 발생되는 컨베이어의 사행운전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원료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야적된 원료를 불출하는 리크레이머에 있어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블록의 상측으로 직각 이동하는 이동대상에 설치된 붐대상에 설치되며, 전,후단 하우징 및 중앙단 하우징의 다단으로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전단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구동토록 설치된 드릴을 구비하여 하우징내의 유입원료를 파쇄토록 구성된 파쇄수단과, 상기 전,후단 하우징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날개를 구비하여 하우징내 유입 원료들을 후방으로 강제 배출토록 구성된 배출수단 및,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열로 설치되어 고압의 열풍을 하우징내를 통과하는 젖은 원료에 가하여 원료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으로 구성된 원료 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 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리크레이머의 원료 흡입, 파쇄 및, 건조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리크레이머의 원료 배출을 위한 배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리크레이머의 원료 건조를 위한 건조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야적장에 적치된 석탄등과 같은 원료들을 불출하여 소결공정등의 원하는 곳에 공급하는 리크레이머(1)는, 내부에서 원료를 파쇄 및 건조시키어 배출시키는 원통상의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전방 및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다열 설치되는 파쇄수단(40)과 건조수단(80) 및, 하우징(20)내에 유입되는 파쇄된 원료를 하우징(20)의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60)으로 크게 나누어 지는데, 먼저 상기 하우징(20)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 에서는 상기 하우징(20)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하우징(20)은 레일을 따라 야적장을 이동하는 리크레이머 주행블록(2)의 상측으로 상기 주행블록(2)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대(4)상에는 유압실린더로서 승,하강 가능토록 붐대(10)가 설치되고, 상기 붐대(10)상에는 상기 원통상의 하우징(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은 전,후방으로 야적된 원료를 유입시키는 원료 유입구(21a)와 상기 하우징(20)을 통하여 파쇄 및 건조된 원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원료 배출구(21b)가 형성되는 전체적으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하우징(20)을 다시 나누면, 상기 붐대(10)상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전,후단부 하우징(22)(24)과 상기 전,후단부 하우징(22)(24)사이에 회전 작동토록 중앙단 하우징(26)이 설치되는 3 단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중앙단(26)은 고정식으로 설치된 상기 전,후단 부 하우징(20)의 끝단부에 설치된 베어링블록(28a)을 개재하여 전,후단부 하우징 (22)(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중앙단(26)의 외경부 일지점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된 기어(28b)(28c)에는 유압모터(28d)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중앙단 하우징(26)은 회전 가능토록 된다.
다음, 도 2 및 도 3 에서는 본 발명인 리크레이머(1)의 파쇄수단(4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파쇄수단(40)은 상기 전단부 하우징(22)의 내부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유압모터(42)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모터(42)의 전방으로 하우징(20)의 원료 유입구(21a)측 중앙에는 원뿔형 드릴(44)이 설치된다.
다음, 도 3 및 도 4 에서는 본 발명인 리크레이머(1)의 배출수단(60)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배출수단(60)은 상기 전,후단 하우징 (22)(24)의 내측으로 지지대(62)로서 연결된 유압모터(64)로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66) 및, 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크류날개(68)들을 갖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62)는 3단으로 된 전,후단 및 중앙단 하우징 (22)(24)(26)중 회전하는 중앙단 하우징(26)을 피하여 상기 붐대(10)상에 고정식으로 설치된 전,후단 하우징(22)(24)내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고,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서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대(62)의 주앙부분에 구동축(66)이 베어링블록을 통하여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고, 이에 연이어 유업모터(64)가 연결된다.
다음, 도 3 및 도 5 에서는 상기 건조수단(80)들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건조수단(80)을 다시 나누어 보면, 상기 전,후단 하우징(22)(24)의 외측으로 다열 설치된 열풍 공급관(82) 및, 상기 열풍 공급관(82)에서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연결되어 열풍을 하우징(20)내를 통하는 원료에 분사하여 원료를 건조시키는 분사노즐(84)로서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열풍 공급관(82)도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회전 하지 않는 전,후단 하우징(22)(24)의 외경부를 따라 다열 설치되어야 하며, 상기 열풍 공급관(82)은 통상적인 콤푸레셔와 가열기를 통하는 고온의 열풍을 하우징(20)내에 고압으로 분하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데,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84)은 하우징(22)(24)내에서 중심을 중심으로 하부부분이 더 밀집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단 하우징(24)의 후단부는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어 그 하단부에 원료를 배출하기 위한 원료 배출가(21b)가 형성되며,상기 하우징의 외곽부분에는 주행블록(2)의 하측으로 설치된 메인컨베어(6)까지 하방으로 신장하는 원통상의 슈트(90)가 설치되어 있어, 파쇄, 배출 및 건조공정을 거친 원료(C)가 보다 원활하게 불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야드에 적치된 원료 특히, 빗물 또는 습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 석탄을 소결공장으로 불출하기 위하여 먼저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블록(2)이 이동하고, 그 다음 상기 주행블록(2)상에 서로 직각으로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대(4)상에 붐대(10)가 유압실린더로서 각도 조정토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블록(2)과 이동대(4)의 이동으로 상기 붐대(10)도 일체로 이동하며, 따라서 상기 붐대(10)상에 설치된 원통형의 하우징(20)도 이동하면서 그 전단부의 원료 유입구(21a)부분을 통하여 야적된 원료(C)가 유입된다.
이때, 도 2 및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중 전단부 하우징 (22)의 전방으로 설치된 파쇄수단(40)의 드릴(44)이 유압모터(42)의 작동으로 회전 작동하고, 결국 상기 전단부 하우징(22)의 원료 유입구(21a)를 통하여 유입되는 원료는 빗물등으로 딱딱하게 굳어 있어도 상기 드릴(44)에 의하여 파쇄되면서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전단부 하우징(22)의 외표면을 따라 설치된 3열의 열풍 공급관(82)을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전단부 하우징(22)내에 설치된 분사노즐(84)을 통하여 고압,고온상태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전단부 하우징(22)을 통과하면서 파쇄된 원료(C)는 1차적으로 건조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44)에 의하여 파쇄되고 분사노즐(84)에 의하여 1차적으로 건조된 원료(C)들은 상기 전단 하우징(22)에 연이어 연결되지만, 특히 외경부의 베어링블록(28a)과 유압모터(28d)가 연결된 기어(28b)(28c)에 의하여 하우징자체가 회전하는 중앙단 하우징(26)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중앙단 하우징(26)을 구동시키는 이유는, 유입된 원료들을 뒤석어서 건조가 덜된 부분은 다음에 설명하는 후단부 하우징(24)에서 2차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해서 인데, 상기 중앙단 하우징(26)의 내부 중앙 전,후측에는 십자형상의 지지대(62)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구동축(66)이 횡설되어 있어 그 일단으로 설치된 유압모터(64)가 구동하면 상기 구동축(66)에 설치된 스트류날개(68)들이 일체로 회전하여 하우징(20)내에 유입된 원료들을 강제로 뒤석으면서 하단부 하우징(24)을 통하여 배출토록 한다.
결국, 상기 중앙 하우징(26) 자체가 회전 작동하는 것에 더하여, 다수의 스크류날개(68)가 회전함으로써, 상기한 원료가 더욱 원활하게 두섞이게 되어 원료의 덩어리들이 더욱 미세한 입자를 갖는 상태에서 불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고압의 열풍은 원료(C)를 건조시키는 것과 동시에, 원료(C)의 하우징 유입 및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전단부 및 중앙단 하우징(22)(26)을 거친 원료들은 마지막으로 후단 하우징(24)에 유입되면서 전단 하우징(22)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온,고압의 열풍이 분사노즐(84)로서 가해지면, 상기 원료들은 2차적으로 건조되고, 동시에 원활하게 후단부 하우징(24)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에 더하여,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단부 하우징(24)은 그 끝부분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그 원료불출구(21b)를 통하여 배출되는 원료들은 하우징 (24)을 감싸는 원통형 슈트(90)로서 밀폐된 상태에서 주행블록(2) 하측의 컨베이어 (6)로서 운반되어 소결공장에 완전하게 건조되고 미세한 입자의 상태로 불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야적된 원료가 빗물 또는 습기등으로 죽탄상태가 되거나 딱딱하게 굳어 있어도 파쇄 및 건조시킨 상태에서 불출하게 됨으로써, 원료를 보다 양호한 상태로 신속하게 불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원료 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에 의하면, 야적된 상태의 원료가 빗물 또는 습기에 의하여 젖은 상태에서 불출되는 도중에, 뜨거운 상태로 분사되는 공기를 통하면서 건조됨으로 인하여, 보다 원활한 원료 불출작업이 수행되는 한편, 건조상태에서 소결공장으로 불출되어 원료의 소결공정을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수행시키는 잇점이 있다.
더하여, 야적된 석탄등의 원료가 빗물 또는 습기등으로 인하여 딱딱하게 굳거나 죽탄형태로 불량하게 되어도, 원료를 파쇄시키어 불출하게 되어 보다 원활한 원료불출이 수행되고, 특히 덩어리형태의 원료이송시 발생되는 컨베이어의 사행운전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원료의 불출이 원활하고 소결작업이 정밀하게 수행되어 원료를 이숑하는 전체 제강공정의 생산성을 물론, 그 제강공정에 따른 제품의 품질 또한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리크레이머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 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인 리크레이머의 원료 흡입, 파쇄 및, 건조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리크레이머의 원료 배출을 위한 배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리크레이머의 원료 건조를 위한 건조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리크레이머 10... 붐대
20.... 하우징 22,24,26.... 하우징의 전단,후단 및 중앙단
40.... 파쇄수단 42,64.... 유압모터
44.... 드릴 60.... 배출수단
66.... 구동축 68.... 스크류날개
80.... 건조수단 82.... 열풍 공급관
84.... 분사노즐 90.... 슈트

Claims (5)

  1. 야적된 원료를 불출하는 리크레이머(1)에 있어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블록(2)의 상측으로 직각 이동하는 이동대(4)상에 설치된 붐대(10)상에 설치되며, 전,후단 하우징(22)(24) 및 중앙단 하우징(26)의 다단으로 구성된 하우징(20)과,
    상기 전단 하우징(22)의 내부 중앙에 구동토록 설치된 드릴(44)을 구비하여 하우징내의 유입원료를 파쇄토록 구성된 파쇄수단(40)과,
    상기 전,후단 하우징(22)(24)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66)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날개(68)를 구비하여 하우징내 유입 원료들을 후방으로 강제 배출토록 구성된 배출수단(60) 및,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열로 설치되어 고압의 열풍을 하우징(20)내를 통과하는 젖은 원료에 가하여 원료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후단 하우징(22)(24)은, 상기 붐대(10)의 전,후방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앙단 하우징(26)은 상기 전,후단부 하우징(22)(24)사이에 베어링블록(28a)과 유압모터(28d)와 연결된 기어(28b)(28c)로서 회전 작동토록 설치되어 하우징은 3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단 하우징(24)의 후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후단 하우징(24)의 절곡부분에는 주행블록(2)의 하측으로 설치된 메인 컨베이어(6)에 불출된 원료를 공급토록 하는 원통형 슈트(9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40)의 드릴(44)은, 상기 전단 하우징(22)의 내부 중앙에 수평 고정된 유압모터(42)의 전방으로 일체로 연결 고정되어 구동되고, 하우징내의 유입원료를 파쇄하는 원뿔형 드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60)의 구동축(66)은 상기 전,후단 하우징(22)(24)의 내측으로 지지대(62)로서 연결된 유압모터(64)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날개(68)는 회전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80)은,
    상기 전,후단 하우징(22)(24)의 외표면에 순차로 다열 설치된 열풍 공급관 (82) 및,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으로 통과하고 열풍 공급관(82)에 연결되어 하우징(20)내에 배열 설치되는 열풍 분사노즐(84)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노즐(84)은 하우징(20)의 하부부분이 더 밀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건조 및 파쇄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KR10-2000-0017518A 2000-04-04 2000-04-04 원료 건조 및 파쇄 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KR100510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518A KR100510828B1 (ko) 2000-04-04 2000-04-04 원료 건조 및 파쇄 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518A KR100510828B1 (ko) 2000-04-04 2000-04-04 원료 건조 및 파쇄 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091A KR20010094091A (ko) 2001-10-31
KR100510828B1 true KR100510828B1 (ko) 2005-08-31

Family

ID=1966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518A KR100510828B1 (ko) 2000-04-04 2000-04-04 원료 건조 및 파쇄 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731A (ko) * 2016-12-30 2018-07-10 (주)세영 채염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5080B (zh) * 2016-12-31 2023-06-06 潘声君 一种自动油边机及其取料、烘干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508A (en) * 1978-06-15 1980-01-10 Tsubakimoto Kogyo Kk Reclaimer with auxiliary scraper means
JPS59153728A (ja) * 1983-02-23 1984-09-01 Hitachi Ltd バケツト用ホイ−ル
JPH05331816A (ja) * 1992-06-01 1993-12-14 Nippon Steel Corp 落鉱類の吸引ノズル装置
JPH10139126A (ja) * 1996-11-14 1998-05-26 Maezawa Ind Inc スクリュー式移送・破砕装置及び移送・圧搾・破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508A (en) * 1978-06-15 1980-01-10 Tsubakimoto Kogyo Kk Reclaimer with auxiliary scraper means
JPS59153728A (ja) * 1983-02-23 1984-09-01 Hitachi Ltd バケツト用ホイ−ル
JPH05331816A (ja) * 1992-06-01 1993-12-14 Nippon Steel Corp 落鉱類の吸引ノズル装置
JPH10139126A (ja) * 1996-11-14 1998-05-26 Maezawa Ind Inc スクリュー式移送・破砕装置及び移送・圧搾・破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731A (ko) * 2016-12-30 2018-07-10 (주)세영 채염기
KR101907679B1 (ko) * 2016-12-30 2018-10-12 (주)세영 채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091A (ko)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5040420B4 (de) Abrasionsvorrichtung
CN103771152A (zh) 一种石灰回转窑原料地下卸料沟系统
KR100510828B1 (ko) 원료 건조 및 파쇄 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CN210112901U (zh) 一种用于大块矿石的粉碎装置
KR102162523B1 (ko) 골재의 비산, 입도조정 및 파쇄기능으로 입형조정을 겸비한 골재이송장치
CN109053144A (zh) 一种烧结砖工艺流程
JP4768316B2 (ja) 土粉砕装置
CN209988761U (zh) 一种喷雾干燥系统用的卸料器
CN114987954B (zh) 一种防堵给料装置
CN204725650U (zh) 制砖生产线
CN207158165U (zh) 一种除尘器星型卸灰阀装置
CN106081670B (zh) 用于链式卸船机的物料板结破碎装置及链式卸船机
CN215319940U (zh) 一种再生胶配料装置
KR101514936B1 (ko)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CN104828583B (zh) 果蔬卸车机
CN208897948U (zh) 一种具有分散功能的螺旋输送机
CN210479898U (zh) 一种埋刮板输送机的出料口装置
CN108839253A (zh) 一种混凝土生产用沙石导料仓
US2735625A (en) B freeman
CN109912142A (zh) 一种低含水率污泥粒状固化设备和造粒方法
US20230039780A1 (en) Rotatingly Drivable Grinding Media Mill for Obtaining Polyisoprene and/or Other Apolar Materials
CN210434643U (zh) 一种破碎机及其构成的复合肥配料装置
CN215464185U (zh) 一种脱脂剂用的自动出料装置
CN220134025U (zh) 高粘性物料均质化充填系统
CN212711768U (zh) 一种铁颗粒加工成钢块用的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