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936B1 -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936B1
KR101514936B1 KR1020150031375A KR20150031375A KR101514936B1 KR 101514936 B1 KR101514936 B1 KR 101514936B1 KR 1020150031375 A KR1020150031375 A KR 1020150031375A KR 20150031375 A KR20150031375 A KR 20150031375A KR 101514936 B1 KR101514936 B1 KR 101514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sing
high density
fragments
bel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식
이의명
Original Assignee
조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식 filed Critical 조성식
Priority to KR1020150031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endless scraping or elevating pick-up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6Fluid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케이싱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하부 벨트풀리 및 상기 벨트에 설치되는 버킷을 포함한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벨트풀리가 위치한 케이싱의 내부 바닥면에 고밀도 PE판을 형성하고 상기 고밀도 PE판에 쌓인 잔곡을 긁어 내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체를 하부 벨트풀리의 드럼축에 구성하되, 상기 회전체는 드럼축의 양끝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끝단에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드럼축에 결합된 지지판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로 구성되는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부 드럼축의 내부 바닥면에 고밀도 PE판을 형성하되 상기 고밀도 PE판에 쌓인 잔곡을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의해 긁어 내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그 회전체의 후면에서 에어분사 장치를 통해 바닥에 미세하게 남은 잔곡의 미분까지 날림으로써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의 하부에 쌓이는 잔량처리를 완전히 처리하며, 이로 인해 바닥에 남은 잔곡에 의한 케이싱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고밀도 PE판에 쌓인 잔곡의 유동성과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바닥에 쌓인 잔곡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더러 이로 인해 곡물이송장치의 유지 및 관리보수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Cereal conveyance device of elevator type}
본 발명은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드럼축의 내부 바닥면에 고밀도 PE판을 형성하되 상기 고밀도 PE판에 쌓인 잔곡을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의해 긁어 내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그 회전체의 후면에서 에어분사 장치를 통해 바닥에 미세하게 남은 잔곡의 미분까지 날림으로써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의 하부에 쌓이는 잔량처리를 완전히 처리하며, 이로 인해 바닥에 남은 잔곡에 의한 케이싱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고밀도 PE판에 쌓인 잔곡의 유동성과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바닥에 쌓인 잔곡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더러 이로 인해 곡물이송장치의 유지 및 관리보수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가공 공정은 필요에 따라 세분화되고 나뉘어지며 또 분쇄와 선별, 첨가 공정을 거치면서 여러 이송라인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공정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가 있다.
이러한 종래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일측에 곡물투입구(1)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는 곡물배출구(2)가 구비된 케이싱(3)과, 상기 케이싱(3) 내부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 벨트풀리(4) 및 상기 상부 벨트풀리(4)와 벨트(5)를 통해 연결되되 케이싱(3) 내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벨트풀리(8)와, 상기 벨트(5)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벨트(5)를 따라 이동하는 버킷(6)과, 상기 상부 벨트풀리(4) 또는 하부 벨트풀리(8)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통해 곡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구동수단(7)을 작동시켜 상부 벨트풀리(4)를 회전시키면 벨트(5)를 통해 하부 벨트풀리(8)도 함께 회전한다. 이로 인해 벨트(5)에 설치된 버킷(6)이 벨트(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곡물투입구(1)를 통해 본체(3) 내부로 투입된 곡물은 이동하는 버킷(6)에 담겨 상부 벨트풀리(4)까지 이송되고, 버킷(6)이 상부 벨트풀리(4)를 지나면서 젖혀지면 곡물은 곡물배출구(2)로 유입되어 최종 배출된다.
상기 버킷(6)은 벨트(5)를 따라 일정궤도로 이동하고, 벨트(5)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송과 정과 배출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곡물투입구(1)를 통해 버킷(6)에 담기는 곡물 중 일부는 버킷(6)외부로 튀어 케이싱(3)의 내부 바닥에 떨어져 쌓이게 된다.
또한, 버킷(6)이 상부 벨트풀리(4)를 지나면서 젖혀짐에 따라 버킷(6)에 담겨있는 곡물이 곡물배출구(2)로 투입되는 과정에서도 곡물 중 일부가 케이싱(3)의 내부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케이싱(3) 내부 바닥에 쌓인 잔곡은 일정량 이상이 되면 회전하는 버킷에 의해 재이송 과정을 거치게 되나, 이때에도 하부의 간격에 의해 이송되지 못한 누적된 곡물은 부패와 변질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3)의 하부(내부 바닥)에 쌓인 곡물은 항상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케이싱(3)의 내부 철판은 부식으로 인해 표면이 심하게 거칠며, 이로 인해 바닥에 남은 잔곡은 케이싱(3) 내부 바닥과 마찰이 심하여 잔량처리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상기 케이싱(3)의 바닥에 개폐가능한 수거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거구를 통해 잔곡을 케이싱(3)으로부터 꺼낸 후 폐기되거나 다시 곡물투입구(1)로 투입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드럼축의 내부 바닥면에 고밀도 PE판을 형성하되 상기 고밀도 PE판에 쌓인 잔곡을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의해 긁어 내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그 회전체의 후면에서 에어분사 장치를 통해 바닥에 미세하게 남은 잔곡의 미분까지 날림으로써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의 하부에 쌓이는 잔량처리를 완전히 처리하며, 이로 인해 바닥에 남은 잔곡에 의한 케이싱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고밀도 PE판에 쌓인 잔곡의 유동성과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바닥에 쌓인 잔곡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더러 이로 인해 곡물이송장치의 유지 및 관리보수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케이싱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하부 벨트풀리 및 상기 벨트에 설치되는 버킷을 포함한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벨트풀리가 위치한 케이싱의 내부 바닥면에 고밀도 PE판을 형성하고 상기 고밀도 PE판에 쌓인 잔곡을 긁어 내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체를 하부 벨트풀리의 드럼축에 구성하되, 상기 회전체는 드럼축의 양끝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끝단에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드럼축에 결합된 지지판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부 드럼축의 내부 바닥면에 고밀도 PE판을 형성하되 상기 고밀도 PE판에 쌓인 잔곡을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의해 긁어 내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그 회전체의 후면에서 에어분사 장치를 통해 바닥에 미세하게 남은 잔곡의 미분까지 날림으로써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의 하부에 쌓이는 잔량처리를 완전히 처리하며, 이로 인해 바닥에 남은 잔곡에 의한 케이싱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고밀도 PE판에 쌓인 잔곡의 유동성과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바닥에 쌓인 잔곡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더러 이로 인해 곡물이송장치의 유지 및 관리보수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2 - 본 발명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 - 본 발명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의 하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 - 본 발명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의 회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 도 3의 작동상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케이싱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하부 벨트풀리 및 상기 벨트에 설치되는 버킷을 포함한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벨트풀리(110)가 위치한 케이싱(101)의 내부 바닥면(102)에 고밀도 PE판(120)을 형성하고 상기 고밀도 PE판(120)에 쌓인 잔곡을 긁어 내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체(130)를 하부 벨트풀리(110)의 드럼축(111)에 구성하되, 상기 회전체(130)는 드럼축(111)의 양끝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131)과, 상기 지지판(131)의 끝단에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스크래퍼(132)와, 상기 드럼축(111)에 결합된 지지판(131)을 소정의 각도(α)로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133)로 구성된다.
상기 고밀도 PE판(120)은 재질적 특성에 의해 케이싱(3)의 내부 바닥에 쌓인 잔곡과의 마찰을 최소화, 즉 곡물에 유동성을 부여하므로 케이싱(3)의 하부에 발생하는 수분에 의한 케이싱(3)의 내부 철판의 부식을 방지함과 더불어 고밀도 PE판(120)에 붙어있는 잔곡은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체(130)에 의해 쉽게 떨어지게 된다.
상기 회전체(130)는 고밀도 PE판(120)에 고착된 잔곡을 긁어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드럼축(111)의 양끝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131)과, 상기 지지판(131)의 끝단에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스크래퍼(132)와, 상기 드럼축(111)에 결합된 지지판(131)을 소정의 각도(α)로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13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축(111)의 양끝단부에 결합되는데, 이때 하부 벨트풀리(110)의 구동시에는 간여하지 않고 실린더(133)에 의해서만 소정의 각도(α)로 회전하도록 베어링 구조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 구조 결합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크래퍼(132)는 지지판(131)의 끝단에 드럼축(111)의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고밀도 PE판(120)에 거의 밀착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스크래퍼(132)는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지지판(131)에 의해 고밀도 PE판(120)의 바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고밀도 PE판(120)의 바닥에 고착되는 잔곡을 긁어내고 버킷(103)과 케이싱(101) 간에 남아있는 잔곡을 밀어내게 된다.
상기 실린더(133)는 지지판(131)을 소정의 각도(α)로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 드럼축(111)에 간섭받지 않고서 회전되도록 상기 지지판(131)의 끝단 하부에 결합되되, 그 끝단에 결합된 실린더로드는 소정각도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즉 상기 드럼축(111)에 간섭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린더로드의 전진과 후퇴에 따라 지지판(131)의 끝단에 형성된 스크래퍼(132)는 소정의 각도(α)로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에 따라 잔곡을 긁어내고 버킷(103)과 케이싱(101) 간에 남아있는 잔곡을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130)에 의해 긁어지고 밀어내어진 잔곡은 상기 회전체(130)의 후면에 에어분사 장치(예를 들면, 링브로워)를 부착하여 상기 에어분사 장치로 바닥에 미세하게 남은 잔곡의 미분까지 날림으로써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의 하부에 쌓이는 잔량처리을 완전히 처리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체(130)의 스크래퍼(132)의 후면(회전방향 뒷면)에 링브로워를 설치하여 바닥에 잔량을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케이싱 102: 바닥면
103: 버킷 110: 하부 벨트풀리
111: 드럼축 120: 고밀도 PE판
130: 회전체 131: 지지판
132: 스크래퍼 133: 실린더

Claims (2)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케이싱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하부 벨트풀리 및 상기 벨트에 설치되는 버킷을 포함한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벨트풀리(110)가 위치한 케이싱(101)의 내부 바닥면(102)에 고밀도 PE판(120)을 형성하고 상기 고밀도 PE판(120)에 쌓인 잔곡을 긁어 내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체(130)를 하부 벨트풀리(110)의 드럼축(111)에 구성하되, 상기 회전체(130)는 드럼축(111)의 양끝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131)과, 상기 지지판(131)의 끝단에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스크래퍼(132)와, 상기 드럼축(111)에 결합된 지지판(131)을 소정의 각도(α)로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30)의 후면에 에어분사 장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KR1020150031375A 2015-03-06 2015-03-06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KR101514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375A KR101514936B1 (ko) 2015-03-06 2015-03-06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375A KR101514936B1 (ko) 2015-03-06 2015-03-06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936B1 true KR101514936B1 (ko) 2015-04-22

Family

ID=5305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375A KR101514936B1 (ko) 2015-03-06 2015-03-06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9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5782A (zh) * 2018-09-29 2019-03-26 闫大勇 一种过氧化异丙苯生产用罐装设备
KR20190090480A (ko) 2018-01-25 2019-08-02 최보규 곡물 가공 부산물 재가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759A (ko) * 2000-06-28 2000-10-05 서용교 곡물 이송용 버킷 엘리베이터의 잔량배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759A (ko) * 2000-06-28 2000-10-05 서용교 곡물 이송용 버킷 엘리베이터의 잔량배출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480A (ko) 2018-01-25 2019-08-02 최보규 곡물 가공 부산물 재가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515782A (zh) * 2018-09-29 2019-03-26 闫大勇 一种过氧化异丙苯生产用罐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936B1 (ko)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US11781194B2 (en) HBI slow cooling system and method
JP6195751B2 (ja) 無端ベルトコンベアの落下物受板の自動ローラー傾動式水洗浄装置
JPS5817663B2 (ja) 多段式連続真空乾燥装置における乾燥物の粉砕排出装置
KR20140078647A (ko) 압축성 물질의 운반 및 이송 장치
US3955608A (en) Debarking method and apparatus
RU2558872C1 (ru) Способ сухого обогащения угля
JP2006326416A (ja) 土粉砕装置
JP5569536B2 (ja) 圧延鋼用研掃設備
US4553703A (en) Machine and process for grinding granular particles
JPH01197231A (ja) サイロに対する材料の搬入/搬出装置
JP2009154278A (ja) ショットブラスト設備
CN209953204U (zh) 一种河道淤泥处理用沙石运输装置
JP4502531B2 (ja) 沈砂及びし渣の処理装置
KR20210019169A (ko) 쇳가루 분리기
RU2343688C1 (ru) Сепаратор для очистки зерновой смеси
US2852315A (en) Material feeder
KR20160015562A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탄 처리장치
US2343357A (en) Abrasive removing apparatus
US9670005B2 (en) Self cleaning apparatus for a belt conveyor
KR101127234B1 (ko) 쇼트 블러스트 장치
US3818822A (en) Seed abrading device
KR101099685B1 (ko) 이송벨트 세척장치
US717971A (en) Separator.
JPS6393360A (ja) 不純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