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421B1 -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링 방사 프레임 - Google Patents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링 방사 프레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07421B1 KR100507421B1 KR10-2003-0063678A KR20030063678A KR100507421B1 KR 100507421 B1 KR100507421 B1 KR 100507421B1 KR 20030063678 A KR20030063678 A KR 20030063678A KR 100507421 B1 KR100507421 B1 KR 1005074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ber bundle
- apron
- suction pipe
- aeration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1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Monitoring the entanglement of slivers in drafting arrangements
- D01H13/1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Monitoring the entanglement of slivers in drafting arrangements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섬유속 집속장치는 드래프팅 장치의 최종 송출 롤러 쌍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송출부 및 섬유속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송출부의 닙점의 상류측에 제공된 흡인구멍 (32a) 을 구비하는 접동면 (32b) 을 가지는 흡인관 (32) 을 포함한다. 상기 송출부를 구성하는 바닥 닙 롤러 (35a) 를 가로질러 상기 흡인관 (32) 의 반대편 측에 랩핑 부재 (33) 가 제공된다. 통기 에이프런 (34) 은 상기 흡인관 (32), 랩핑 부재 (33), 및 상기 바닥 닙 롤러 (35a) 의 주변을 감싼다.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 가이드 (49) 가 상기 흡인관 (32) 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 가이드 (49) 는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의 너비에 맞게 상승된 단차부 (50) 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며, 종방으로 신장하도록 상기 단차부 (50) 는 상기 흡인관 (32) 의 상단면의 전방측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 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 프레임의 드래프팅 장치(드래프팅부)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이 드래프팅 장치에 의해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섬유속 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섬유속이 비틀림 작용을 받기 전에 드래프트된 섬유를 집속함으로써 보풀 발생의 감소와 같은 실의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다양한 섬유 다발 수집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장치의 기본적 기능인 섬유속 집속 및 전달을 위해 무단의 다공 벨트 (다공 에이프런) 가 빈번히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로서 일본 공개특허 번호 11-286837 호의 단락 0022, 0030 및 도 1 및 7 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 로서 일본 공개특허 번호 2000-34631 호의 단락 0018 및 도 1 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 으로서 독일 공개특허 번호 DE 19708410A1 호의 도 2 및 3 을 참조한다.
섬유속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흡인구멍을 덮으면서 다공 벨트가 이동된다. 너비 방향 (즉, 횡방향) 으로 다공 벨트의 운동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다공 벨트에 인장력을 부여하고 안내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인장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흡인구멍이 구비된 중공 프로파일에 다공 벨트와 결합하는 횡방향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서는 다공 벨트를 인장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인장 롤러의 측방 단부를 따르는 측방에서 다공 벨트를 안내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의 도 8A 및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 문헌 3 에 개시된 장치는 다공 에이프런 (71) 이 구비된 송출 롤러쌍 (72) 을 포함하며, 흡인 공기 기류가 다공 에이프런 (71) 을 안내하는 에이프런 가이드 (73) 에 형성된 홈구멍을 통해 상기 다공 에이프런 (71) 의 전달면 상에 작용한다. 상기 다공 에이프런 (71) 은 상기 아프론 가이드 (73), 송출 롤러 (72a), 및 인장 부여 부재 (74) 주위로 감싸인다. 상기 송출 롤러 (72a) 는 전방 바닥 롤러 (도시되지 않음) 에 평행하게 설치된 회전축 (75) 의 마찰 롤러부 (75a) 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다공 에이프런 (71) 의 힝방향 운동은 상기 마찰 롤러부 (75a) 의 측면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섬유속 집속 장치를 구비하는 방사기가 방사를 통해 실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경우, 스피닝을 통해 실을 제조하기 위해 섬유속 집속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방사기가 이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 스펙 및 보풀 발생이 감소되어 U% 의 증가를 가져온다. 그러나, 이러한 점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종래 기술의 섬유속 집속 장치에 있어서, 실 품질의 개선을 위해 닙점의 하류에 대해 특별한 고안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통기 에이프런 (다공 에이프런) 을 통해 섬유속에 흡인 작용을 가하는 흡인관을 상기 닙점의 하류측에 제공하고, 플리스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통기 에이프런으로 감싸진 랩핑부재를 닙점의 하류측에 제공함으로써 실 품질의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섬유 다발 수집 장치를 고안하였다. 이러한 경우, 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용어 "플리스 각도" 는 닙점을 통과한 섬유속(플리스) 이 인출 위치로 안내되는 원호면의 곡률중심과 닙점을 연결하는 선분과 상기 곡률 중심과 상기 섬유속(F) 의 인출점을 연결하는 선분이 만드는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닙점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에 상기 통기 에이프런 (천공된 아프론) 을 감싸는 랩핑(wrapping)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는, 하류측에 랩핑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횡방향 (너비 방향)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의 존재가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상기 통기 에이프런은 특정 시간 주기의 각 세정 사이클 또는 작동 수명이 다할 경우 교체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흡인관 및 랩핑 부재에 부가하여 상기 조절 부재가 제공된 구성에서는, 상기 조절 부재와의 결합이 교체시에 해제되어야 하므로 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교체는 번거러운 일이고, 하나의 방사기에 대해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수백 내지 수천개의 통기 에이프런을 교체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회전축에 수행되는 특별한 공정을 포함하는 특허 문헌 3 에 개시된 구성의 경우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을 가지면서 통기 에이프런의 횡방향 운동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비해 보풀의 발생을 억제하여 실 품질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섬유속 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방사기의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 롤러 쌍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드래프팅부로부터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섬유속 집속 장치는, 닙롤러를 구비하는 송출부; 상기 섬유속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송출부의 닙점의 상류측에 제공되며 흡인슬릿이 제공된 안내면을 갖는 흡인관, 및 상기 송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안내면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하게 되는 통기 에이프런을 포함하며, 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일부로 감싸여진 랩핑 부재가 섬유속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송출부의 닙점 하류측에서 상기 흡인관에 평행하게 제공되며, 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 가이드가 상기 흡인관 및 랩핑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래프팅부에 의해 드래프트된 섬유속은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롤러쌍의 하류측에 제공된 섬유속 집속장치에 의해 집속되고 집속된 상태로 이이송된다. 따라서, 섬유속 집속 장치가 없는 방사기와 비교하면, 낙면은 물론 보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리 하여 실품질의 개선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흡인관과는 별개로 닙점의 하류측에 제공된 랩핑 부재 때문에, 보풀발생 억제효과가 더욱 향상되어 실품질이 개선된다. 섬유속을 전달하는 통기 에이프런은그의 횡방향 운동이 조절 가이드의 작용으로 억제된 상태에서 운동하게 되고, 따라서 섬유속의 전달이 안정된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조절 가이드는 흡인관 및 랩핑 부재 중 하나 이상과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흡인관과 랩핑 부재와 별도로 전용의 조절 가이드가 제공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구성이 간단해진다.
도 1 내지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흡인관, 랩핑 부재, 통기 에이프런 등이 설치되는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드래프팅 장치 및 섬유속 집속장치의 일 측면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은 드래프팅 장치의 바닥 롤러, 및 섬유속 집속장치의 흡인부와 바닥 닙롤러 사이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단 롤러측은 생략되어 있다. 도 4A 는 닙점에서 섬유를 인출하는 방향(드래프팅 장치에서 섬유속 이동 방향에 대해 전방에서 바라 본 방향)에서 본 섬유속 집속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드래프트부로서의 드래프팅 장치 (11) 는 전방 바닥 롤러 (12), 중앙 바닥 롤러 (13), 및 후방 바닥 롤러 (14) 를 구비한 3선식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방 바닥 롤러 (12) 는 기계의 베이스 프레임을 구성하는 롤러 스탠드 (15) 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되며, 중앙 및 후방 바닥 롤러 (13, 14) 는 종방향으로 위치조정을 하도록 상기 롤러 스탠드 (15) 에 고정된 지지브래킷 (13a, 14a) 을 통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브래킷 (13a, 14a) 은 롤러 스탠드 (15) 에 형성된 긴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모두 비도시)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바닥 에이프런 (16) 이 바닥 텐서 (17) 와 중앙 바닥 롤러 (13) 를 둘러싼다.
전방 상단 롤러 (19), 중앙 상단 롤러 (20), 및 후방 상단 롤러 (21) 는, 전방 바닥 롤러 (12), 중앙 바닥 롤러 (13), 및 후방 바닥 롤러 (14) 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중량아암(weighting arm) (18) 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있다. 각각의 상단 롤러 (19,20,21) 는 2개의 방추유닛에서 지지된다. 전방 바닥 롤러 (12) 와 전방 상단 롤러 (19) 는 드래프팅 장치 (11) 의 최종 송출 롤러쌍을 구성한다.
중량아암 (18) 에는 레버 (18a) 가 가압위치와 해제위치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레버 (18a) 가 도 2 에 도시된 중량아암 (18) 의 프레임 (18b) 과 접촉하는 가압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중량아암 (18) 에 의해 지지된 상단 롤러 (19,20,21) 가 바닥 롤러 (12,13,14) 측에 가압되는 가압위치(방사위치)에 있게되는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레버 (18a) 가 도 2 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상방의, 해제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섬유속 집속장치 (30) 는 드래프팅 장치 (11) 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섬유속 집속장치 (30) 는 송출부 (31), 흡인관 (32), 랩핑부재 (33) 및 통기 에이프런 (34) 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송출부 (31) 는, 전방 바닥 롤러 (12) 와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 (35) 에 형성된 바닥 닙 롤러 (35a), 및 통기 에이프런 (34) 을 통해 바닥 닙 롤러 (35a) 에 가압되는 상단 닙 롤러 (31a) 로 구성된다. 도 2,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인관 (32) 은 섬유속 (F) 의 이동방향에 대해 바닥 닙롤러 (35a) 의 닙점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랩핑부재 (33) 는 하류측에 배치된다.
도 4a 에 도시된 것처럼, 이 실시예의 섬유속 집속장치 (30) 에서, 상단 닙 롤러 (31a) 는, 드래프팅 장치 (11) 의 상단 롤러 (19,20,21) 처럼, 모든 2개의 방추에서 지지부재 (36)(도 2 및 도 5 에 도시)를 통해 중량아암 (18) 에 의해 지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부재 (36) 는 전방 상단 롤러 (19) 의 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한편, 섬유속 집속장치 (30) 의 바닥측에서, 드래프팅 장치 (11) 의 롤러 스탠드 (15) 사이에 배치된 방추의 절반, 즉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방추가 1유닛을 구성한다. 도 3 에 도시된 것처럼, 기계 베이스의 종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롤러 스탠드 (15) 의 중간위치에서, 기계 베이스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빔 (37) 에 베이스 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지지아암 (38) 이 배치되고, 롤러 스탠드 (15) 와 지지아암 (38) 사이에 회전축 (35) 이 지지되고 있다.
도 4b 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축 (35) 이 복수의 방추(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방추)와 대응하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베어링 (39) 이 고정된다. 그리고, 도 1 에서 보듯이, 베어링 (39) 이 엔드 플러그 (40) 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축 (35) 이 유닛에 부착되어 있다. 흡인관 (32) 과 랩핑부재 (33) 도 그들의 단부가 회전축 (35) 을 지지하는 엔드 플러그 (40) 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되고 있다.
도 4a 에 도시된 것처럼, 엔드 플러그 (40) 가 결합부 (40a) 에서 롤러 스탠드 (15) 와 지지아암 (38) 에 형성된 지지부 (15a, 38a) 에 지지되고, 이에 의해 회전축 (35) 이 롤러 스탠드 (15) 와 지지아암 (38) 과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부 (15a, 38a) 는 두 엔드 플러그 (40) 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인접하는 회전축 (35) 의 단부에 장착된 엔드 플러그 (40) 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 (15a) 는 롤러 스탠드 (15) 에 고정된 블록으로 형성되며, 기계 베이스의 전방에 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하는 결합 리세스를 갖고 있다. 또한, 지지부 (38a) 는 기계 베이스의 전방에서 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하는 결합 리세스를 갖고 있다. 그리고, 엔드 플러그 (40) 는 상기 결합 리세스와 결합가능한 결합부 (40a) 를 갖고 있으며, 결합부 (40a) 내에서 지지부 (15a,38a) 와 한번의 스냅운동으로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 (35) 은 이 회전축 (35) 과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기어 (41) 를 갖는다. 상기 기어 (41) 는 하나의 스핀들 유닛 길이 만큼 상기 회전축 (35) 의 중심으로부터 단부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제공된다. 도 3 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 바닥 롤러 (12) 에는 기어 (41) 와 대향하는 위치에 기어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아암 (38) 과 같이 베이스 단부가 지지빔 (37) 에 고정된 지지아암 (42) 에 의해 기어부 (12a) 및 기어 (41) 에 맞물려 있는 중간 기어 (43) 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즉, 전방 바닥 롤러 (12) 의 토크는 기어부 (12a), 중간기어 (43), 및 기어 (41) 를 경유하여 회전축 (35) 에 전달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 프레임의 기계 베이스에는, 섬유속 집속 장치(30)용 흡인원(부압원)으로서 작용하는 덕트(44)가 길이 방향(도 2 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덕트(44)내의 부압을 유지하기 위한 흡인 장치(45)는 관(46)을 통해 각각의 덕트(44)에 연결되어 있다. 모 터(47)에 의해 팬(47a)이 구동되는 팬 모터가 흡인장치 (45) 로서 사용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44)는 드래프팅 장치(11)의 상부 후방측 및 방적기의 장치 베이스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고, 흡인 장치(45)는 덕트(44) 밑에 배치되어 있다. 흡인관(32)은 그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연결부 (32c) (도 1) 를 가지며, 덕트(44)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태로 연결관(48)을 통해 덕트(4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은 연결부 (32c) 와 끼워맞춤된다.
흡인관(32) 은 안내면으로서 작용하는 접동면 (32b) 을 가지며, 이 접동면에는, 섬유속(플리즈)(F)이 바닥 닙 롤러(35a)의 닙점에 대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상류측쪽으로 연장하는 슬릿형 흡인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흡인관 (32) 은 통기 에이프런 (34) 을 전방 바닥 롤러 (12) 와 전방 상단 롤러 (19) 사이의 닙점 가까이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3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의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조절 가이드 (49) 가 상기 흡인관 (32)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의 너비와 일치하게 상승 단차부 (50) 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조절 가이드 (49) 가 형성되며, 종방으로 신장하도록 상기 단차부 (50) 는 상기 흡인관 (32) 의 상단면의 전방측 (섬유속(F) 의 이동 방향에 대해 하류측에) 에 형성된다. 도 1 에서, 상기 흡인구멍 (32a) 및 상기 조절 가이드 (49) 에 대한 설명의 펀의를 위해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이 하나씩 도시되어 있다.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조절 가이드 (49) 를 가지는 상기 흡인관 (32) 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흡인관 (32) 은 상기 단차부 (50) 를 갖도록 압출 성형되어, 상기 조절 가이드 (49) 가 형성될 상기 흡인관 (32) 의 부분은 높이가 상승되어 있다. 그리고는,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의 너비에 맞게 상기 단차부 (50) 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절삭 공정 및 상기 흡인구멍 (32a) 의 가공이 수행된다.
상기 랩핑 부재 (33) 는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을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으로서 접동면 (33a) 을 가진다. 랩핑 부재(33)는, 상기 닙점과, 섬유속(F)이 상기 닙점의 하류측에서 통기 에이프런(34)을 떠나는 위치와의 거리(L)(도 6a) 가 5 mm 이상, 더 바람직하게 8 내지 10 mm 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랩핑 부재(33)는 바아 형상의 중실 부재로 이루어진다.
통기 에이프런 (34) 은 일부가 흡인관 (32) 에, 다른 일부는 랩핑부재 (33) 에, 또 다른 일부는 바닥 닙 롤러 (35a) 에 접촉하도록 감싸져서, 바닥 닙 롤러 (35a) 의 회전에 따라 접동면 (32b,33b) 상에서 구르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 실시형태로서는, 통기 에이프런 (34) 이 적절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직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a 등에 도시된 것처럼, 랩핑부재 (33) 의 하방 부근에는, 실이 끊어질 때에 드래프팅 장치 (11) 로부터 송출된 섬유속 (F) 을 흡인하는 작용을 하는 싱글형 공압장의 흡인노즐 (51) 의 선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흡인노즐 (51) 의 베이스 단부는 모든 방추에 공통인 공압덕트 (52) 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방사 프레임이 작동되면, 각 섬유속 (F) 은 바닥 롤러 (12~14) 와 상단 롤러 (19~21) 사이를 통과하여 드래프팅되고, 이어서 섬유속 집속장치 (30) 로 안내된다. 송출부 (31) 의 상단 닙 롤러 (31a) 는 전방 바닥 롤러 (12) 및 전방 상단 롤러 (19) 의 표면속도보다 약간 빠르게 회전하며, 섬유속 (F) 은 적절한 인장상태에서 송출부 (31) 의 닙점을 지나간 뒤, 꼬임작용을 받으면서 하류측으로 가게 된다.
또한, 덕트 (44) 의 흡인작용이 연결관 (48) 을 통해 흡인관 (32) 에 작용하고, 접동면 (32b) 에 형성된 흡인구멍 (32a) 의 흡인작용이 통기 에이프런 (34) 을 통해 섬유속 (F) 에 미친다. 그런후, 섬유속 (F) 은 흡인구멍 (32a) 과 대응하는 위치로 흡인 및 집속되면서 이동한다. 섬유속 집속장치 (30) 가 없는 방사기와 비교하면, 그 결과, 보풀의 발생과 낙면의 발생이 억제되어, 실의 품질이 향상된다.
도 6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인관(32)의 하류측에 흡인관(32)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설치된 랩핑 부재(33)가 존재함으로써, 도 4a에 도시된 플리즈 각(θ1)은 랩핑 부재(33)가 없는 경우의 플리즈 각(θ2)(도 6b) 보다 크다. 플리즈 각이 큰 상태에서, 닙점을 통과한 후에 통기 에이프런(34)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섬유속(F)에 의해 덮인 거리는 비교적 길다. 따라서, 랩핑부로부터 섬유속(F)에 작용하는 꼬임 작용으로 인해, 섬유속이 회전하는 동시에, 섬유속(F)의 둘레로부터 비산되는 섬유(f)는 통기 에이프런(34)과 접촉하므로, 섬유(f)가 섬유속(F)으로 쉽게 꼬이고, 이에 의해 보풀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랩핑 부재(33)가 존재하는 구성에 있어서, 섬유속(F)은 에이프런상에서 구르는 상태로 왕복운동을 한다. 그 결과, 섬유속(F)의 둘레로부터 비산되는 섬유(f)는 섬유속(F)으로 쉽게 꼬인다.
플리즈 각의 증가가 실을 파손시킨다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러나, 섬유속 집속 장치(30)가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섬유속(F)은 흡인 구멍(32a)의 흡인 작용에 의해 집속되는 동시에 닙점으로부터 인출되므로, 권취 작용으로 인한 꼬임이 닙 지점의 부근까지 도달하여 이에 의해 실 강도가 증가하고, 양털각이 증가하는 경우라도 실 파손의 발생의 증가가 억제된다. 따라서, 실 파손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섬유속 (F) 을 전달하도록 된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은 그의 횡방향 변위가 조절 가이드 (49) 의 작용으로 인해 억제된 상태에서 운동 (회전) 하게 되며, 따라서 섬유속 (F) 의 전달이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 가이드 (49) 들 중에서, 연결관 (48) 에 연결되는 연결부 (32c) 에 가까운 위치에서 감싸진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가이드 (49) 는 단차부 (50) 가 제거된 그 단부면에 의해 너비 방향의 양측으로의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의 운동을 조절한다. 상기 단부 플러그 (40) 에 가까운 위치에서 감싸진 통기 에이프런 (34) 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가이드 (49) 에 대해서는, 상기 흡인관 (32) 의 중앙을 향하는 통기 에이프런 (34) 의 운동에 대한 조절은 단차부 (50) 가 제거된 조절 부재 (49) 의 단면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단부측으로의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의 운동에 대한 조절은 상기 단부 플러그 (40) 의 단면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상기 흡인관은 섬유속 (F) 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송출부 (31) 의 닙점의 상류측에 제공된다. 상기 섬유속 (F) 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닙점의 하류측에는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의 일부로 감싸여진 랩핑부재 (33) 가 흡인관 (32) 에 평행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플리스 각도가 증가되어, 상기 랩핑 부재 (33) 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에 비해 보풀 발생 방지 효과가 증대되어 실 품질에 있어 개선을 이룰 수 있다.
(2)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의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상기 조절 가이드 (49) 는 상기 흡인관 (32) 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섬유속 (F) 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은 그이 횡방향 변위가 조절 가이드 (49) 의 작용으로 억제된 상태에서 운동(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섬유속 (F) 은 안정된 방식으로 전달된다. 또한, 전뇽의 조절 가이드가 흡인관 (32) 과 별도로 제공된 경우에 비해 구조가 단순해진다.
(3) 상기 조절 가이드 (49) 가 형성되는 상기 흡인관 (32) 은 단차부 (50) 를 갖도록 압출 성형되어, 상기 조절 가이드 (49) 가 형성되는 상기 흡인관 (32)의 일부는 그 높이가 상승된다. 상기 조절 가이드 (49) 는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의 너비에 맞게 상기 단차부 (50) 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용접, 접착, 또는 나사에 의해 상기 조절 가이드가 흡인관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그 제조가 용이하다.
(4) 랩핑 부재(33)는, 송출부 (31) 의 닙 지점과, 섬유속이 닙 지점의 하류측에서 상기 통기 에이프런(34)을 떠나는 위치와의 거리 (L) 가 5 mm 이상이 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섬유속(F)이 통기 에이프런(34)상에서 구르는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섬유속(F)으로부터 비산되는 섬유(f)는 섬유속(F)으로 쉽게 꼬이고, 이에 의해 보풀 발생 억제 효과가 개선된다.
(5) 랩핑 부재(33)는 바아 형상의 중실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랩핑 부재(33)가 관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부재의 생산은 용이하다. 또한, 설치, 분해 및 유지 작동시에 랩핑 부재(33)가 다른 부재와 충돌하는 경우라도, 이 랩핑 부재는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6) 상부 닙 롤러(31a)가 통기 에이프런(34)을 가압하는 힘은 바닥 닙 롤러(35a)에 의해 생성되고, 상부 닙 롤러(31a)의 가압력은 흡인관(32)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장치(일본특허 제 11-286837 A 호)의 경우와 비교하면, 흡인관(32)의 강성이 덜 필요하고, 수지로 제조되는 경우라도 충분한 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7) 부압원으로서 작용하는 덕트(44)는 실 파손시에 드래프팅부로부터 인출된 플리즈를 흡인하기 위한 공압 장치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인관(32)의 흡인 압력은 적절한 압력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이하의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조절 가이드 (49) 는 상기 흡인관 (32) 및 랩핑 부재 (33) 중의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예를 들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가이드 (49) 가 랩핑 부재 (33) 에 형성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절 가이드 (49) 가 랩핑부재에 형성되는 경우, 조절 가이드가 상류측에 배치된 흡인관 (32) 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조절 가이드와 통기 에이프런 사이에 쌓인 먼지등을 세척/제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조절 가이드 (49) 는 또한 흡인관 (32) 및 랩핑 부재 (33)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랩핑부재 (33) 를 중실 부재로 형성하는 대신에, 관형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관형 부재로 형성될 경우, 상기 랩핑 부재 (33) 는 경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송출부 (31) 이 닙점과, 섬유속(F)이 송출부(31)의 닙 지점의 하류측에서 통기 에이프런(34)을 떠나는 위치와의 거리(L)에 있어서, 거리(L)가 5 mm 이상인 한 보풀 발생 억제 효과가 만족스럽다. 거리(L)에 있어서 어떠한 특정한 상향 제한은 없다. 그러나, 거리를 너무 길게 형성하게 되면 보풀 발생 억제 효과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고, 단지 기계 베이스의 크기가 증가할 뿐이다. 따라서, 거리의 범위는 바람직하게 8 내지 10 mm 이다.
섬유속 집속 장치(30)의 송출부의 구조는 닙 롤러 쌍이 설치된 집속 장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기 에이프런(34)을 구동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흡인관(32) 및 바닥 닙 롤러(35a)를 제거하고, 달걀형 단면의 흡인관을 설치하고, 흡인관의 소정의 위치로 흡인 구멍을 형성하며, 흡인관 및 랩핑 부재(33)의 다른 외주변에 통기 에이프런(34)을 미끄럼가능하게 감싸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도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부 닙 롤러(31a)를 적극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통기 에이프런(34)은 통기 에이프런(34)과 가압 접촉을 유지하는 상태로 상부 닙 롤러(31a)를 구동시킴으로써 구동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랩핑 부재(33)에 통기 에이프런(34)의 장력 조정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랩핑부재 (33) 에는 또한 상기 통기 에이프런 (34) 에 의해 전달된 섬유속 (F) 에 흡인 작용을 가하는 가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을 이용하여 상기 랩핑부재 (33) 를 형성하는 것에 부가하여, 랩핑 부재 (33) 에 흡인구멍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섬유속 (F) 은 상기 흡인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흡인 및 집속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섬유속 (F) 은 닙점을 통과한 이후에도 상기 흡인 작용으로 인해 집속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보풀 및 낙면의 발생이 억제되어 실의 품질이 개선된다. .
흡인관(32), 랩핑 부재(33), 및 회전축(35)은 4개의 방추 유닛이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는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인접 롤러 스탠드(15) 사이의 방추 유닛(예를 들어, 8개 방추 유닛)이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는 구조 또는 2개의 방추 유닛이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유닛이 동일한 개수의 방추 유닛을 항상 가질 필요는 없고, 인접 롤러 스탠드(15) 사이의 방추의 개수를 상이한 개수로 분리하여(예를 들어, 6개와 2개), 상응하는 2종류의 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흡인관(32)의 단부가 폐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단부 플러그(40)가 흡인관(32)의 단부를 밀폐식으로 밀봉할 필요는 없고, 베어링(39)이 결합되는 결합구멍 및 흡인관(32) 및 랩핑 부재(33)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결합 구멍)가 설치되는 것만이 필요하고, 이에 의해 생산이 용이해진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덕트(44)를 설치하는 대신에, 방사 기계의 기계 베이스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하는 단일 덕트를 또한 설치할 수 있다.
덕트(44)의 위치는 드래프팅 장치(11)의 후방측 위쪽에 제한되지 않는다. 덕트는 또한 드래프팅 장치(11)의 후방측 또는 후방측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방사기의 좌우양측에 배치된 흡인관(32)에 의해 덕트(44)가 공유되는 배치 대신에, 방사 기계의 기계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각각 좌우양쪽으로 2열로 덕트가 배치되는 배치가 또한 채택될 수 있다.
통기 에이프런(34)을 직조 직물로 형성하는 대신에, 통기 에이프런(34)을 편물 직물로 또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통기 에이프런(34)을 형성하는 벨트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적절한 수준의 통기성을 달성하여, 이에 의해 적은 비용으로 통기 에이프런(34)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편물 직물의 탄성으로 인해, 특별한 인장 장치를 제공할 필요없이 적절한 인장하에서 통기 에이프런(34)이 회전할 수 있다.
통기 에이프런(34)을 직조 직물 또는 편물 직물로 형성하는 대신에, 고무 또는 탄성 수지로 형성된 수지 벨트에 구멍을 뚫어 통기 에이프런(34)을 또한 형성할 수 있다.
바닥 닙 롤러(35a)가 형성된 회전축(35)이 모든 방추 유닛에 의해 공유되고, 또한 드래프팅 장치(11)의 바닥 롤러(12, 13, 14)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회전축이 기계 베이스의 기어 단부에 설치된 기어열을 통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를 또한 채택할 수 있다.
흡인관(32) 및 공압 장치용으로 공통 부압원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공압 장치로서, 싱글 노즐식 공압 장치 대신에 플루트식 공압 장치를 또한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래프팅부에 의해 드래프트된 섬유속은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롤러쌍의 하류측에 제공된 섬유속 집속장치에 의해 집속되고 집속된 상태로 이이송된다. 따라서, 섬유속 집속 장치가 없는 방사기와 비교하면, 낙면은 물론 보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리 하여 실품질의 개선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흡인관과는 별개로 닙점의 하류측에 제공된 랩핑 부재 때문에, 보풀발생 억제효과가 더욱 향상되어 실품질이 개선된다. 섬유속을 전달하는 통기 에이프런은그의 횡방향 운동이 조절 가이드의 작용으로 억제된 상태에서 운동하게 되고, 따라서 섬유속의 전달이 안정된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조절 가이드는 흡인관 및 랩핑 부재 중 하나 이상과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흡인관과 랩핑 부재와 별도로 전용의 조절 가이드가 제공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구성이 간단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섬유속 집속 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개략 측면도이다.
도 3 은 흡인관과 바닥 닙 롤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4A 는 섬유속 이동 방향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본 섬유 다발 수집 장치의 부분 개략도이며, 도 4B 는 회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 는 랩핑 부재가 존재할 경우의 개략 작동도이며, 도 6B 는 랩핑 부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개략 작동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A 는 종래 기술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8B 는 B-B 선을 따라 취해진 도 8A 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드래프팅 장치 12: 전방 바닥 롤러
13: 중앙 바닥 롤러 14: 후방 바닥 롤러
15: 롤러 스탠드 16: 바닥 에이프런
19: 전방 상단 롤러 20: 중앙 상단 롤러
21: 후방 상단 롤러 30: 섬유속 집속장치
31: 송출부 32: 흡인관
33: 랩핑부재 34: 에이프런
35: 회전축 36: 지지부재
38: 지지아암 39: 베어링
40: 엔드 플러그 41: 기어
Claims (6)
- 방사기의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 롤러 쌍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드래프팅부로부터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 장치로서,닙 (nip) 롤러를 구비하는 송출부와,상기 섬유속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송출부의 닙점의 상류측에 제공되며 흡인슬릿이 제공된 안내면을 갖는 흡인관과,상기 송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안내면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하게 되는 통기 에이프런을 포함하며,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일부로 감싸여진 랩핑 부재가 섬유속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송출부의 닙점 하류측에서 상기 흡인관에 평행하게 제공되며, 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 가이드가 상기 흡인관 및 랩핑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이드가 상기 랩핑 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이드가 형성되는 상기 흡인관과 랩핑부재 중의 하나는 단차부를 갖도록 압출 성형되어, 상기 조절 가이드가 형성될 부분의 높이가 상승되며, 상기 조절 가이드는 상기 통기 에이프런의 너비에 맞게 상기 단차부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 부재가 바아 형 중실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 부재가 바아형 관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 제 1 항 또는 2 항에 따른 섬유속 집속장치를 구비하는 링 방사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269690 | 2002-09-17 | ||
JP2002269690A JP3786069B2 (ja) | 2002-09-17 | 2002-09-17 | 紡機の繊維束集束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5574A KR20040025574A (ko) | 2004-03-24 |
KR100507421B1 true KR100507421B1 (ko) | 2005-08-10 |
Family
ID=3226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3678A KR100507421B1 (ko) | 2002-09-17 | 2003-09-15 |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링 방사 프레임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786069B2 (ko) |
KR (1) | KR100507421B1 (ko) |
CN (1) | CN1309891C (ko) |
TW (1) | TWI25287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44336B2 (ja) * | 2006-10-11 | 2011-12-28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
JP5282724B2 (ja) * | 2009-12-09 | 2013-09-04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紡機の繊維束集束装置における吸引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
JP5515754B2 (ja) * | 2010-01-13 | 2014-06-11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紡機の繊維束集束装置 |
CN102618977A (zh) * | 2012-04-18 | 2012-08-01 | 湖南广源麻业有限公司 | 苎麻纺织针梳并条机的麻网集束装置 |
DE102015111133A1 (de) * | 2015-07-09 | 2017-01-12 | Maschinenfabrik Rieter Ag | Spinnmaschine, Führungsstange und Riemchen |
CN106968031A (zh) * | 2017-05-22 | 2017-07-21 | 宇金涛 | 细纱机负压系统防弱捻负压补偿结构 |
CN110106590B (zh) * | 2019-05-27 | 2024-09-17 | 昌吉溢达纺织有限公司 | 负压吸风管路、负压吸风装置以及细纱机 |
JP2021175835A (ja) * | 2020-05-01 | 2021-11-04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323472C2 (de) * | 1993-07-14 | 1997-08-07 | Inst F Textil Und Verfahrenste | Doppelriemchen-Streckwerk |
DE19708410B4 (de) * | 1997-03-03 | 2007-03-29 | Saurer Gmbh & Co. Kg | Streckwerk für Spinnmaschinen mit einer Faserbündelungszone |
IT1307759B1 (it) * | 1998-03-31 | 2001-11-19 | Schurr Stahlecker & Grill | Dispositivo per condensare un composito di fibre stirato. |
CH693214A5 (de) * | 1998-07-14 | 2003-04-15 | Schurr Stahlecker & Grill | Vorrichtung zum Verdichten eines verstreckten Faserverbandes. |
DE10056668A1 (de) * | 2000-11-09 | 2002-05-16 | Fritz Stahlecker | Vorrichtung an einer Spinnmaschine zum Verdichten eines Faserverbandes |
DE10058892A1 (de) * | 2000-11-24 | 2002-06-06 | Stahlecker Fritz | Vorrichtung an einer Spinnmaschine zum Verdichten eines Faserverbandes |
-
2002
- 2002-09-17 JP JP2002269690A patent/JP378606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9-15 KR KR10-2003-0063678A patent/KR1005074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9-16 TW TW092125420A patent/TWI25287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9-17 CN CNB031586120A patent/CN130989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309891C (zh) | 2007-04-11 |
CN1495303A (zh) | 2004-05-12 |
TW200407474A (en) | 2004-05-16 |
TWI252878B (en) | 2006-04-11 |
JP2004107808A (ja) | 2004-04-08 |
JP3786069B2 (ja) | 2006-06-14 |
KR20040025574A (ko) | 2004-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11865B1 (en) | Fiber bundle collecting device for a spinning machine | |
KR100589880B1 (ko) | 방사기에서의 섬유다발 집속장치 | |
JP3820951B2 (ja) |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 |
CN103510203B (zh) | 牵伸辊的清洁装置、牵伸装置及纺纱机 | |
KR100507421B1 (ko) |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링 방사 프레임 | |
EP2573226B1 (en) | Draft device and spinning machine | |
JP2010508449A (ja) | 紡績機械に用いられるドラフト装置 | |
CN106048789B (zh) | 牵伸装置以及纺纱机 | |
KR100555188B1 (ko) |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 |
KR100551518B1 (ko) | 섬유속 집속장치 및 방사기계 | |
JPH0341566B2 (ko) | ||
JP2013067896A (ja) | ドラフト装置及び紡績機 | |
EP2865795A1 (en) | Drafting device and spinning machine | |
JP2005023430A (ja) | 繊維束集束装置 | |
US20020059701A1 (en) | Collecting and bundling device for use with fiber-drafting machine | |
CN203846173U (zh) | 一种紧密纺纱机的改进设备 | |
EP0421938B1 (en) | Improvements of unit drafting mechanism of a spinning machine | |
JP2014105415A (ja) | ドラフト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ドラフト装置、及び紡績機 | |
JP2021175835A (ja) |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 |
JPH0685374U (ja) | 毛羽抑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