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244B1 - 골프공 티업기의 티 - Google Patents

골프공 티업기의 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244B1
KR100507244B1 KR10-2002-0068866A KR20020068866A KR100507244B1 KR 100507244 B1 KR100507244 B1 KR 100507244B1 KR 20020068866 A KR20020068866 A KR 20020068866A KR 100507244 B1 KR100507244 B1 KR 10050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golf ball
ball
golf
fixing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673A (ko
Inventor
조완제
Original Assignee
조완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완제 filed Critical 조완제
Priority to KR10-2002-006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24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12Devices for forming the te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 티업기의 티(Te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 티업기의 티(95)는 고정설치되는 고정원판부(95')와, 상기 고정원판부(95')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판부(95')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볼지지부(95")와, 상기 고정원판부(95')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와셔(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와셔(97)는 환형으로 된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관통홀(97')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홀(97')에는 상기 고정원판부(95')와 일체로 성형되는 연결부(95'a)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 티업기의 티에 의하면, 고정와셔에 의해 티의 강성이 강화되어 티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공 티업기의 티{Tee of golf ball tee up machine}
본 발명은 골프공 티업기의 티(Te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고정와셔가 삽입되어 티의 고정이 보다 견고한 골프공 티업기의 티에 관한 것이다.
골프연습기는 보통 실내외에 설치되어 필드에 나가지 않고 골프 타격연습을 할 수 있는 기기로 최근에는 골프대중화 추세에 부응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첨단 자동화 시설을 갖춘 골프연습장의 건설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골프연습장은 보통 다층식으로 건설되며, 골프공 티업장치를 다층식 실내외 골프연습장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설하여 시공함이 보통이다.
일반적인 다층식 실내외 골프연습장의 바닥구조는 소정간격으로 수평 배치된 에이치빔(H-Beam) 위에 규칙적으로 절곡된 데크플레이트(Deck Plate)를 올려 놓은 후, 그 위에 소정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의 골프공 티업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매설하기 위한 공간부를 마련하여 케이스를 삽입 고정한 후, 이 케이스 속으로 상기의 티업장치를 설치하고 그 위로 인조잔디매트가 덮이도록 한다.
이러한 골프연습장의 대략적인 시스템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타격에 의해 흩어진 골프공(1)을 모으는 집구장치(11)가 구비되고, 상기 집구장치(11)에 집구된 골프공(1)은 대개 건물의 상층부로 이송된다. 그리고, 건물의 상층부에서는 수평콘베어(13)를 따라 골프공(1)이 좌우로 이동하다가 수직가이드관(15)을 통해 하방에 구비된 볼공급박스(17)로 낙하한다.
상기 볼공급박스(17)은 대개 골프공 티업기가 설치된 각 층마다 구비되고, 상기 수직가이드관(15)을 통해 낙하된 골프공(1)은 볼공급박스(17)에서 일단 저장되었다가 아래에서 설명할 각각의 티업기(2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콘베어(13)는 상기 볼공급박스(17)에 구비된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볼공급박스(17)에 저장되는 골프공(1)이 상한선 이상으로 쌓이면 작동을 멈추고, 하한선 이하로 되면 다시 작동을 시작하여 골프공(1)을 상기 수직가이드관(15)으로 공급한다.
상기 볼공급박스(17)에서 분배된 골프공(1)은 슈터(19)을 따라 티업기(20)로 이동한다. 상기 슈터(19)의 내부에는 골프공(1)이 일렬로 배열되어 하나씩 티업기(20)로 공급된다.
도 2에는 골프공 티업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면을 이루고 출입공(31)이 형성되는 기저판(32)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저판(32)의 내측에는 수평 및 수직상으로 소정 형상의 틀을 형성하는 지지판(33)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33)은 상하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기저판(32)의 저면에 지지판(33)의 상면 절곡부가 맞닿게 한 후, 용착한 것이다.
상기 지지판(33)의 외벽면 상에는 이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동모터(35)가 체결되고, 구동축(37)은 상기 지지판(33)을 관통하여 내측면 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의 구동모터(35)로는 입력펄스신호에 따라 각도, 위상 및 속도제어가 가능한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33)의 내측에는 구동모터(35)의 구동축(37)에 연결되어 일정궤적을 승강회전하는 승강작동부(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승강작동부(40)는 구동축(37)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사각 막대형상의 크랭크(41) 일단이 상기 구동축(37) 상에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티업승강대(50)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내측홈(42)을 형성하는 안내레일(43)이 용착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41)의 선단부에는 베어링(44)이 축결합되어 이 베어링(44)의 외주면이 상기 안내레일(43)의 내측홈(42) 상,하면에 접하도록 조립된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어링(44)에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크랭크(41)의 선단에 축핀을 형성하고, 이 축핀에 로울러를 힌지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레일(43)의 일측에는 감지판(4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33)의 측벽면 일측 하단부에는 상기 감지판(45)의 광차단 여부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티업승강대(50)의 하한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위치제어센서(46)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3)의 내측에 골프공을 티업하는 티업승강대(50)가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지지판(33)의 상,하 절곡면 간에 고정된 승강안내봉(52) 상에 조립되어 승강안내봉(5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티업승강대(50)의 상면에는 나사식으로 조립되는 티홀더(53)가 구비되어 골프공을 지지하는 티(55)를 고정한다. 상기 티(55)는 고정원판(55')과 볼지지부(55")로 이루어지며,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티(5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의 고정원판(55')이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원판(55')은 상기 티홀더(53)에 의해 상기 티업승강대(5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원판(55')의 상면에는 고정원판(55')보다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볼지지부(55")가 수직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티(55)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보통 고무재질이 사용되므로 고무티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상기 고정원판(55')과 볼지지부(55")는 대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볼지지부(55")의 상단에는 골프공이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지지부(55")의 직경 특히, 내경은 적어도 골프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티(55)의 중공부를 통해 그 상단부에 골프공이 놓여져 있는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티업승강대(50)의 저면에는 감지센서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골프공 자동티업장치에 의한 티업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사점에 위치한 티(55) 상에 놓여 있는 골프공(1)을 스윙한 후 상기 티(55)에 골프공(1)이 없음을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인식하게 되면, 이 감지센서와 연결된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5)가 정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티업승강대(50)는 하강이동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티업승강대(50)의 하강이동이 계속 진행되면서 안내레일(43)의 감지판(45)이 상기 위치제어센서(46)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개입하여 빛을 차단하므로써 하사점까지 하강이 완료됨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상기 구동모터(35)가 회전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하향 회전한 크랭크(41)의 베어링(44)이 안내레일(43)의 정중앙에 위치하여 크랭크(41)와 안내레일(43)이 직교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하나의 골프공(1)이 볼공급박스(17)를 빠져 나와 슈트(61)를 타고 기저판(32)의 출입공(31) 속으로 공급되며, 한 개의 골프공(1)이 티(55)의 상단에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티업승강대(50) 전체가 연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35)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크랭크(41)가 회전할 때, 상기 베어링(44)은 상기 안내레일(43)의 내측홈(42)을 따라 미끄럼 회전하여 상기 티업승강대(50)가 승강안내봉(52)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상기 티(55)의 위치가 상사점에 이르렀을 때, 구동모터(35)의 회전이 정지되며, 상기 티(55)의 상단에 골프공(1)이 놓여 있는 동안에는 티업승강대(50) 저면에 부착된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골프공(1)이 놓여 있음을 감지하게 되어 이러한 정지상태가 계속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1)을 타격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는 골프공(1)이 없음을 감지하여 다시 하강을 시작하고, 또 하나의 골프공(1)을 수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며 이러한 승강운동이 계속 반복되므로써 연속적으로 골프공(1)을 자동 티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습성에 따라 티(55)의 티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계별로 설정된 외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5)의 입력펄스신호를 변환하여 회전각도를 제어하므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티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의 일반적인 경향은 점차로 골프채의 헤드부를 크게 성형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티(55)의 볼지지부(55") 높이를 높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서 티(55)의 높이를 크게 하면 골프채의 헤드부가 커지더라도 샷이 가능하나, 상기 티(55)의 볼지지부(55")의 길이가 길어져 골프채의 헤드부가 상기 볼지지부(55")위에 놓여져 있는 골프공(1)을 타격하지 아니하고 볼지지부(55")를 가격하게 되면 상기 티(55)의 고정원판(55')이 상기 티홀더(53)로부터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골퍼가 초보자인 경우등에 있어서는 티업된 골프공(1)을 정확하게 가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러한 경우 골프채의 헤드부는 골퍼의 스윙동작에 의해 상기 티(55)의 볼지지부(55")에 가격되는 순간에는 상당히 큰 속력으로 볼지지부(55")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지지부(55")는 절곡되면서 상기 골프채의 헤브부 회전력에 이끌려가게 되고,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티(55)의 고정원판(55')이 상기 티홀더(53)로부터 빠져나와 티(55) 전체가 탈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강성이 강화된 골프공 티업기의 티(Tee)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 티업기의 티는 고정설치되는 고정원판부와, 상기 고정원판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판부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볼지지부와, 상기 고정원판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와셔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와셔에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와셔의 관통홀에는 상기 고정원판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연결부가 관통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와셔는 상기 고정원판부보다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금속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원판부와 볼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 티업기의 티에 의하면, 티의 강성이 강화되어 티의 높이가 커지는 경우에도 티업기로부터의 탈거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티(Tee)가 장착된 티업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와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티(Tee)와 고정와셔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티업기는 상면을 이루고 출입공(71)이 형성된 기저판(72)이 수평으로 구비되며, 상기 기저판(72)의 내측에는 수평 및 수직상으로 소정 형상의 틀을 형성하는 지지판(73)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73)은 상,하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기저판(72)의 저면에 지지판(73)의 상면 절곡부가 맞닿게 한 후, 용착한 것이다.
상기 지지판(73)의 외벽면 상에는 이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동모터(75)가 체결되고, 구동축(77)은 상기 지지판(73)을 관통하여 내측면 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의 구동모터(75)로는 입력펄스신호에 따라 각도, 위상 및 속도제어가 가능한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73)의 내측에는 구동모터(75)의 구동축(77)에 연결되어 일정궤적을 승강회전하는 승강작동부(8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승강작동부(80)는 구동축(77)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사각 막대형상의 크랭크(81) 일단이 상기 구동축(77) 상에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티업승강대(90)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내측홈(82)을 형성하는 안내레일(83)이 용착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81)의 선단부에는 베어링(84)이 축결합되어 이 베어링(84)의 외주면이 상기 안내레일(83)의 내측홈(82) 상,하면에 접하도록 조립된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어링(84)에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크랭크(81)의 선단에 축핀을 형성하고, 이 축핀에 로울러를 힌지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레일(83)의 일측에는 감지판(8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73)의 측벽면 일측 하단부에는 상기 감지판(85)의 광차단 여부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티업승강대(90)의 하한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위치제어센서(86)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73)의 내측에는 골프공을 티업하는 티업승강대(90)가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지지판(73)의 상,하 절곡면 간에 고정된 승강안내봉(92) 상에 조립되어 승강안내봉(9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티업승강대(90)의 상면에는 나사식으로 조립되는 티홀더(93)가 구비되어 골프공을 지지하는 티(95)를 고정한다. 상기 티(95)는 교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티홀더(93)에 의해 상기 티업승강대(90)에 고정되는 고정원판부(9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원판부(95')의 상면에는 고정원판부(95')보다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볼지지부(95")가 수직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지지부(95")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돌기부(95"a)가 볼지지부(95")와 대응되는 길이로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볼지지부(95")의 상단은 경사부(95"b)가 구비되어 상단으로 갈수록 볼지지부(95")의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티(95)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보통 고무재질이 사용되므로 고무티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상기 고정원판부(95')와 볼지지부(95")는 대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볼지지부(95")의 상단에는 골프공이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지지부(95")의 직경 특히, 내경은 적어도 골프공의 직경보다는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티(95)의 고정원판부(95') 내부에는 티(95)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고정와셔(97)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와셔(97)는 보통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외경은 상기 고정원판부(95')의 외경보다 작게, 그리고 내경은 고정원판부(95')의 내경보다 크게 성형되며, 두께는 고정원판부(95')보다 얇게 성형되어 고정원판부(95')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와셔(97)에는 다수개의 관통홀(97')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97')의 내부에는 고정와셔(97)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95'a)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95'a)는 고정원판부(95')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볼지지부(95")로부터 상방으로의 힘이 가해질 때, 상기 고정원판부(95')가 고정와셔(97)를 중심으로 상,하부로 찢어져 티(95)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고정원판부(95')가 성형될 때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티(95)의 중공부를 통해 그 상단부에 골프공이 놓여져 있는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티업승강대(90)의 저면에는 감지센서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골프공 자동티업장치에 의한 티업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사점에 위치한 티(95) 상에 놓여 있는 골프공(1)을 스윙한 후 상기 티(95)에 골프공(1)이 없음을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인식하게 되면, 이 감지센서와 연결된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75)가 정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티업승강대(90)의 하강이동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티업승강대(90)의 하강이동이 계속 진행되면서 안내레일(83)의 감지판(85)이 상기 위치제어센서(86)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개입되어 빛을 차단하므로서 하사점까지 하강이 완료됨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상기 구동모터(75)가 회전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하향 회전한 크랭크(81)의 베어링(84)이 안내레일(83)의 정중앙에 위치하여 크랭크(81)와 안내레일(83)이 직교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하나의 골프공(1)이 볼공급박스(17)를 빠져 나와 슈트(61)를 타고 기저판(72)의 출입공(71) 속으로 공급되며, 한 개의 골프공(1)이 티(95)의 상단에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티업승강대(90) 전체가 연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75)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크랭크(81)가 회전할 때, 상기 베어링(84)은 상기 안내레일(83)의 내측홈(82)을 따라 미끄럼 회전하여 상기 티업승강대(90)가 승강안내봉(92)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상기 티(95)의 위치가 상사점에 이르렀을 때, 구동모터(75)의 회전이 정지되며, 상기 티(95)의 상단에 골프공(1)이 놓여 있는 동안에는 티업승강대(90) 저면에 부착된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골프공(1)이 놓여 있음을 감지하게 되어 이러한 정지상태가 계속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1)을 타격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는 골프공(1)이 없음을 감지하여 다시 하강을 시작하고, 또 하나의 골프공(1)을 수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며 이러한 승강운동이 계속 반복되므로써 연속적으로 골프공(1)을 자동 티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습성에 따라 티(95)의 티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계별로 설정된 외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75)의 입력펄스신호를 변환하여 회전각도를 제어하므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티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들어, 상기의 고정와셔(97)의 재질은 금속에 한정되지 않으며,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고정와셔(97)에 다수개의 관통홀(97')을 성형하였으나, 관통홀(97')이 없는 와셔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비록 관통홀(97')이 형성된 경우라도 관통홀(97')내부에 연결부(95'a)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연습기의 티(Tee)에 고정와셔를 삽입하여 강성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티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골퍼(golfer)가 티샷을 할 때 티가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채 헤드가 커지는 최근의 추세에 따라 티업기의 티 높이를 높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티의 탈거로 인한 티업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고객에 대한 골프연습장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골프연습장의 대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보인 전체 구성도.
도 2 는 일반적인 골프티업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 은 종래기술에 의한 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티가 채용된 티업기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티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티의 요부를 구성하는 고정와셔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골프공 71. 출입공
72. 기저판 73. 지지판
75. 구동모터 77. 구동축
80. 승강작동부 90. 티업승강기
93. 티홀더 95. 티
95'. 고정원판부 95'a. 연결부
95". 볼지지부 95"a. 돌기부
95"b. 경사부 97. 고정와셔
97'. 관통홀

Claims (7)

  1. 고정설치되는 고정원판부와;
    상기 고정원판부의 상측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판부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볼지지부; 그리고
    상기 고정원판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환형의 고정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기의 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와셔에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기의 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와셔의 관통홀에는 상기 고정원판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연결부가 관통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기의 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2-0068866A 2002-11-07 2002-11-07 골프공 티업기의 티 KR10050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866A KR100507244B1 (ko) 2002-11-07 2002-11-07 골프공 티업기의 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866A KR100507244B1 (ko) 2002-11-07 2002-11-07 골프공 티업기의 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673A KR20040040673A (ko) 2004-05-13
KR100507244B1 true KR100507244B1 (ko) 2005-08-11

Family

ID=3733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866A KR100507244B1 (ko) 2002-11-07 2002-11-07 골프공 티업기의 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814B1 (ko) * 2019-12-04 2020-05-13 (주) 지앤네트웍스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 골프티업기용 골프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1537A (en) * 1985-09-03 1988-05-03 Adam Alvin R Teeing device
US4998732A (en) * 1989-11-15 1991-03-12 Gallant Thomas M Golf tee
JPH06210032A (ja) * 1993-01-21 1994-08-02 Takeo Doge ゴルフテイ
KR970063117U (ko) * 1996-05-16 1997-12-11 자동차의 차동장치용 스러스트 와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1537A (en) * 1985-09-03 1988-05-03 Adam Alvin R Teeing device
US4998732A (en) * 1989-11-15 1991-03-12 Gallant Thomas M Golf tee
JPH06210032A (ja) * 1993-01-21 1994-08-02 Takeo Doge ゴルフテイ
KR970063117U (ko) * 1996-05-16 1997-12-11 자동차의 차동장치용 스러스트 와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673A (ko)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830B1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US5133557A (en) Golf practicing apparatus
KR101235909B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1751239B1 (ko) 고속형 골프공 오토 티업기
KR100507244B1 (ko) 골프공 티업기의 티
KR101992681B1 (ko) 퍼팅 연습장치
KR19990011336A (ko)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KR200404892Y1 (ko) 골프공 연속 공급장치
KR101377369B1 (ko) 골프공 자동 티업 장치
JPH0956865A (ja) ティーアップ装置
KR102299929B1 (ko)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
KR20090012392U (ko) 배구공 투척장치
JP5177415B2 (ja)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JP2595585Y2 (ja) ゴルフ練習装置
KR200374731Y1 (ko) 골프티 높이조절장치
KR200374732Y1 (ko) 골프티 높이조절장치
KR19990025656A (ko) 골프공 연속공급장치
KR101180189B1 (ko) 골프연습기
KR100502635B1 (ko) 승하강식 골프공 공급기를 갖는 골프 연습장치
KR19990026016A (ko)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KR200158706Y1 (ko) 골프용 공급장치
KR100503934B1 (ko) 볼 낙하소음 방지장치
KR101192933B1 (ko) 직투입 골프연습기
JP2562080Y2 (ja) ゴルフ練習装置
KR20120005174U (ko) 경사면이 형성되는 골프 연습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