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145B1 -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145B1
KR100507145B1 KR10-2002-0034577A KR20020034577A KR100507145B1 KR 100507145 B1 KR100507145 B1 KR 100507145B1 KR 20020034577 A KR20020034577 A KR 20020034577A KR 100507145 B1 KR100507145 B1 KR 10050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use
battery
veh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7279A (ko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1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와, 제1 및 제2 퓨즈와, 제어부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제1 퓨즈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항시 공급하고, 상기 제1 퓨즈 용단시 상기 제2 퓨즈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전원변경부와; 상기 제어부로의 입력전원과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비교하여 전원차 발생시 상기 전원변경부를 동작시키는 비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나의 퓨즈 용단시 자동으로 전원을 제어부로 계속해서 공급하므로써 스타트 모터의 이상 동작을 방지하고, 퓨즈 용단 여부를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정비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전원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전원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전원제어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배터리(1)와, 배터리 스위치(2)와, 배터리 릴레이(3)와, 제1 및 제2 퓨즈(4, 5)와, 제어부(6)와, 제3 내지 제n 퓨즈(7~n)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릴레이(3)는 운전자가 상기 배터리 스위치(2)를 온시켰을 경우 상기 배터리(1)의 전원을 차량 부하 등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 퓨즈(4)는 상기 배터리(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과부하시 용단되게 된다.
상기 제2 퓨즈(5)는 상기 배터리 릴레이(3)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과부하시 용단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6)는 상기 제1 퓨즈(4)를 통해 상기 배터리(1)로부터 항시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배터리스위치(2) 온시 상기 배터리릴레이(3)를 통해 구동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제3 내지 제n 퓨즈(7~n)는 상기 배터리 릴레이(3)를 통해 차량부하로 공급되는 전원의 과부하시 용단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6)는 하나의 포트가 제1 퓨즈(4)를 통해 배터리(1)에 직접 연결되어 항시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운전자가 차량의 부하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스위치(2)를 온시키게 되면 상기 배터리(1)의 전원을 배터리 릴레이(3)와 제2 퓨즈(5)를 통해 다른 포트로 공급받게 된다.
아울러 차량 부하들도 배터리(1)의 전원을 배터리 릴레이(3)와 제3 내지 제n 퓨즈(7~n)를 통해 공급받아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전원제어장치는 제1 퓨즈가 용단되었을 경우 배터리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배터리 스위칭 온오프시 키 스타트(key start)없이도 스타트 모터가 40~50msec 동작하여 크랭킹(clanking)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나의 퓨즈 용단시 자동으로 전원을 계속해서 공급하고, 퓨즈 용단 여부를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차량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제어장치의 특징은, 배터리와, 제1 및 제2 퓨즈와, 제어부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제1 퓨즈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항시 공급하고, 상기 제1 퓨즈 용단시 상기 제2 퓨즈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전원변경부와; 상기 제어부로의 입력전원과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비교하여 전원차 발생시 상기 전원변경부를 동작시키는 비교부를 포함하여 달성된다.상기 비교부는 비반전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입력받고, 반전단자를 통해 상기 제1 퓨즈의 출력측 전압을 입력받아 증폭하는 연산 증폭기(OP-AMP)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변경부는 릴레이 코일과 상기 릴레이 코일에 의해 스위칭되는 2접점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된 릴레이이며, 상기 2접점 릴레이 스위치는 상기 제1퓨즈 및 제2퓨즈에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코일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제어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배터리(1)와, 배터리 스위치(2)와, 배터리 릴레이(3)와, 제1 및 제2 퓨즈(4, 5)와, 제어부(6)와, 제3 내지 제n 퓨즈(7~n)와, 전원변경부(110)와, 비교부(120)와, 경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비교부(120)는 연산 증폭기(OP-AMP)로 반전단자는 상기 전원변경부(110)의 출력단(즉 상기 제어부로의 입력단)과, 비반전단자는 배터리(1)와 연결된다.
상기 전원변경부(110)는 릴레이 코일과, 상기 릴레이 코일에 의해 스위칭되는 2접점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된 릴레이이며, 상기 2접점 릴레이 스위치는 상기 제1퓨즈(4) 및 제2퓨즈(5)에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코일은 상기 비교기(120)의 출력측에 연결된다. 상기 전원변경부(110)는 노멀(normal) 상태에서 상기 제1 퓨즈(4)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1)의 전원을 제1 퓨즈(4)를 통해 상기 제어부(6)로 항시 공급하고, 상기 제1 퓨즈(4) 용단시 상기 비교부(120)에서 증폭된 전압에 따라 상기 제2 퓨즈(5)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1)의 전원을 상기 제어부(6)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경고부(130)는 클러스터(cluster)내 계기판(미도시)에 설치되어, 상기 비교부(120)에서 출력된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퓨즈(4)의 용단 상태를 경고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릴레이로 노멀(normal) 상태에서 상기 제1 퓨즈(4)에 연결된 전원변경부(110)는 상기 배터리(1)의 전원을 제1 퓨즈(4)를 통해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6)로 항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연산 증폭기(OP-AMP)의 반전단자는 상기 전원변경부(1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비반전단자는 배터리(1)와 연결되어 구성된 비교부(120)는 상기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전원변경부(110)의 출력전원(즉, 제어부(6)로의 입력전원)과 상기 배터리(1)의 전원이 동일하므로 로우신호(0V)를 출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퓨즈(4)가 용단되게 되면, 전원변경부(110)로부터 상기 제어부(6)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되며, 상기 배터리(1)의 전원과 상기 전원변경부(110)의 출력측 전원(상기 제어부(6)로의 입력전원)에 차이가 발생하여 상기 비교부(120)에서 상기 전원변경부(110)로 하이신호(5V)를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전원변경부(110)는 상기 비교부(120)에서 출력된 하이신호(5V)에 따라 릴레이스위치(미부호)가 제2 퓨즈(5)로 접속되어 배터리(1) 전원을 상기 제어부(6)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경고부(130)는 상기 비교부(120)에서 출력된 전원(5V)에 따라 상기 제1 퓨즈(4)의 용단 상태를 경고하게 된다.
삭제
이와 같이, 비교부(120)는 상기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전원변경부(110)의 출력전원(즉, 제어부(6)로의 입력전원)과 상기 배터리(1)의 전원의 차에 따라 상기 전원변경부(110)를 온동작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제어장치는 하나의 퓨즈 용단시 자동으로 전원을 제어부로 계속해서 공급하므로써 스타트 모터의 이상 동작을 방지하고, 퓨즈 용단 여부를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정비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전원제어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제어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전원변경부 120 : 비교부
130 : 경고부

Claims (4)

  1. 배터리와, 제1 및 제2 퓨즈와, 제어부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제1 퓨즈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항시 공급하고, 상기 제1 퓨즈 용단시 상기 제2 퓨즈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전원변경부와;
    상기 제어부로의 입력전원과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비교하여 전원차 발생시 상기 전원변경부를 동작시키는 비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비반전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입력받고, 반전단자를 통해 상기 제1 퓨즈의 출력측 전압을 입력받아 증폭하는 연산 증폭기(OP-AMP)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변경부는 릴레이 코일과 상기 릴레이 코일에 의해 스위칭되는 2접점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된 릴레이이며, 상기 2접점 릴레이 스위치는 상기 제1퓨즈 및 제2퓨즈에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코일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된 전원에 따라 상기 제1 퓨즈의 용단 상태를 경고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KR10-2002-0034577A 2002-06-20 2002-06-20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KR100507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577A KR100507145B1 (ko) 2002-06-20 2002-06-20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577A KR100507145B1 (ko) 2002-06-20 2002-06-20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279A KR20030097279A (ko) 2003-12-31
KR100507145B1 true KR100507145B1 (ko) 2005-08-09

Family

ID=3238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577A KR100507145B1 (ko) 2002-06-20 2002-06-20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480B1 (ko) 2004-05-03 2008-03-07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모터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064A (ko) * 2002-11-06 200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비정상적인 크랭킹 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599A (ko) * 1989-08-02 1991-03-29 훽스트-러셀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1,3-디하이드로-1-(피리디닐아미노)-2h-인돌-2-온,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의 약제로서의 용도
KR19980027242A (ko) * 1996-10-15 1998-07-15 박병재 전기 부하 감시장치
KR19980036078U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 과전류 차단장치
KR19980039256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차량의 퓨즈 단락 확인 장치
KR19980056740A (ko) * 1996-12-30 1998-09-25 박병재 연료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휴즈용단시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KR19990026507U (ko)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599A (ko) * 1989-08-02 1991-03-29 훽스트-러셀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1,3-디하이드로-1-(피리디닐아미노)-2h-인돌-2-온,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의 약제로서의 용도
KR19980027242A (ko) * 1996-10-15 1998-07-15 박병재 전기 부하 감시장치
KR19980036078U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 과전류 차단장치
KR19980039256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차량의 퓨즈 단락 확인 장치
KR19980056740A (ko) * 1996-12-30 1998-09-25 박병재 연료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휴즈용단시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KR19990026507U (ko)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480B1 (ko) 2004-05-03 2008-03-07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모터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279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4325A (ko) 방전등 점등회로
KR100507145B1 (ko)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EP1372257B1 (en) Diagnostic device for electric mechanism drive circuits
US6580219B1 (en) Electrical control circuit for a switched load
KR100405565B1 (ko) 차량용 팬 모터 구동 제어 장치
KR20180028051A (ko) 퓨즈 스위치의 작동상태 식별 장치
US7078861B2 (en) Vehicle lamp controlling device and vehicle lamp controlling method
KR20030035150A (ko) 차량용 팬 모터 구동 제어 장치
JP2002101547A (ja) 液晶表示装置の電源回路
KR100417849B1 (ko) 차량의 전원 고장 진단장치
JP5319983B2 (ja) 表示システム
JP2011105086A (ja) 車両用電源装置
US5742230A (en) Apparatus for triggering a warning device
KR910007202B1 (ko) 전원공급장치
KR101834219B1 (ko) 퓨즈 스위치의 작동상태 식별 장치
KR20040003436A (ko) 차량의 자동 전원차단장치
KR200338711Y1 (ko) 마그네트 브레이크의 소손방지장치
KR960009005Y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경고등 제어회로(stay break waring lamp control circuit of a car)
CN115603275A (zh) 电子熔断器型保护电路系统及其电子熔断器型保护电路
JPH1199938A (ja) 定電流制御装置
KR20040040064A (ko) 차량의 비정상적인 크랭킹 방지장치
KR0130859Y1 (ko) 릴레이 동작 제어장치
JP2546622Y2 (ja) 車両用電源装置
KR20180028055A (ko) 퓨즈 스위치의 작동상태 식별 장치
JP2006352981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