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507U -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 - Google Patents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6507U KR19990026507U KR2019970039044U KR19970039044U KR19990026507U KR 19990026507 U KR19990026507 U KR 19990026507U KR 2019970039044 U KR2019970039044 U KR 2019970039044U KR 19970039044 U KR19970039044 U KR 19970039044U KR 19990026507 U KR19990026507 U KR 1999002650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se
- vehicle
- driver
- time delay
- pnp transisto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퓨즈(Fus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있어 중요 부하의 퓨즈가 단선되었을 경우에 운전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예비 퓨즈를 통해 해당 중요 부하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는 퓨즈가 단선된 경우에 알리는 시스템이 없어 차량의 오동작 또는 미동작을 장시간 방치하여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의해 차량의 중요 부품 또는 장치의 퓨즈가 단선되었을 경우에 운전자에게 경고함과 동시에 예비 퓨즈를 통해 해당 중요 부품 또는 장치가 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퓨즈(Fus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있어 중요 부하의 퓨즈가 단선되었을 경우에 운전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예비 퓨즈를 통해 해당 중요 부하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은 운전 전압의 크기가 65(V) 이상인 경우에 안전상의 이유에서 복선식(Double Wiring System)으로 배선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차량의 정격 전압은 6, 12, 또는 24(V)이므로, 대부분 단선식(Single Wiring System)으로 배선한다.
그리고, 차량의 전기 회로에서는 보통 전원의 마이너스(-)선을 차체 또는 프레임에 접지하고 전원의 플러스(+)선을 부하(전기 부품 또는 장치)에 연결시키는 마이너스 접지 방식을 사용한다.
해당 단선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11)의 플러스 단자에서 스위치(12), 퓨즈(13) 및 부하(14)까지 전선으로 연결하고 해당 부하(14)는 바로 차체 또는 프레임에 접지하는 것인데, 해당 전선이 절약되고 배선 작업 또는 점검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반면에, 전압이 인가된 플러스선의 절연이 파손되어 차체나 프레임에 접촉되는 경우에 단락(Short)된다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접지의 불량에 원인하는 접촉 저항이 증대되는 경우에 전압 강하가 크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전조등 회로와 같은 비교적 큰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는 별도의 접지선을 이용하여 프레임 또는 차체에 확실하게 접지해야 한다.
해당 퓨즈(13)는 과전류 보호 부품의 일종으로, 규정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발열하여 녹아 끊어져 안전을 유지하게 하는 금속, 즉 단락 전류 및 과부하 전류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가용체로써, 보통 융점이 220 ~ 320(℃)인 납, 주석 및 안티모니의 합금 외에 소전류용에서는 알루미늄이나 텅스턴선과 같은 것을 단독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해당 퓨즈(13)에는 가느다란 선의 실퓨즈, 판 모양의 판퓨즈, 양단에 나사로 죄게 되어 있는 갈고리를 단 갈고리퓨즈, 베이클 라이트나 파이버 원통에 넣은 통형퓨즈, 소형기기용으로 유리관 안에 넣은 관들이퓨즈 등이 있으며, 또한 온도 퓨즈는 고온이 되면 끊어지는 것으로 난방 장치에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해당 퓨즈(13)의 단선 시에 이를 알리는 경고등이 없으므로 원인 규명하여 해당 퓨즈(13)를 교체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이로 인해 차량은 오동작 또는 미동작할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 차량에는 퓨즈가 단선된 경우에 해당 퓨즈의 단선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시스템이 없어 차량의 오동작 또는 미동작을 장시간 방치하여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에 있어 중요 부품 또는 장치의 퓨즈가 단선되었을 경우에 운전자에게 경고함과 동시에 예비 퓨즈를 통해 해당 중요 부품 또는 장치가 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단선식 배선을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PNP 트랜지스터 22 : 경고등
23 : 타임 딜레이 24 : 예비 퓨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는 베이스 단자가 차량의 퓨즈에 접속되어 있어 해당 퓨즈의 단락 시에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PNP 트랜지스터와; 상기 PNP 트랜지스터를 통해 스위칭된 전원에 의해 점등하여 상기 퓨즈의 단락을 알리는 경고등과; 상기 PNP 트랜지스터를 통해 스위칭된 전원을 소정 시간 지연시킨 후 인가하는 타임 딜레이와; 상기 타임 딜레이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과잉을 차단하는 예비 퓨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의 구성을 살펴 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NP 트랜지스터(21)와, 경고등(22)과, 타임 딜레이(23)와, 예비 퓨즈(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PNP 트랜지스터(21)는 차량의 중요 부품 또는 장치의 퓨즈에 접속되어 있는 베이스 단자(B)와, 차량의 배터리 측에 접속되어 있는 컬렉터 단자(C)와, 상기 경고등(22) 및 타임 딜레이(23)의 입력 측에 접속되어 있는 이미터 단자(E)를 구비하며, 해당 퓨즈가 정상인 경우에 배터리로부터 해당 휴즈를 통해 전원이 해당 베이스 단자(B)에 인가되어 해당 베이스 단자(B)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걸려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해당 퓨즈가 단선된 경우에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해당 베이스 단자(B)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걸려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경고등(22) 및 타임 딜레이(23)로 스위칭한다.
상기 경고등(22)은 상기 PNP 트랜지스터(21)를 통해 스위칭된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여 상기 퓨즈가 단선되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 교환하도록 한다.
상기 타임 딜레이(23)는 상기 퓨즈가 단선된 후에 배터리 전원이 안정화될 때까지의 충분한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두는데, 해당 설정된 시간 동안만큼 상기 PNP 트랜지스터(21)를 통해 스위칭된 배터리 전원을 지연시킨 후에 상기 예비 퓨즈(24)에 인가한다.
상기 예비 퓨즈(24)는 상기 타임 딜레이(23)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과잉 전류인 경우에 녹아서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타임 딜레이(23)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안정화된 경우에 차량의 중요 부품 또는 장치에 인가하여 해당 중요 부품 또는 장치의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차량의 중요 부품 또는 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이 안정화되어 있는 경우, 해당 배터리와 중요 부품 또는 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퓨즈는 단선되지 않고 해당 배터리 전원을 해당 중요 부품 및 장치에 스위칭시켜 주므로써 해당 중요 부품 또는 장치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 퓨즈에 접속되어 있는 베이스 단자(B)와, 차량의 배터리 측에 접속되어 있는 컬렉터 단자(C)와, 경고등(22) 및 타임 딜레이(23)의 입력 측에 접속되어 있는 이미터 단자(E)를 구비하는 PNP 트랜지스터(21)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퓨즈를 거쳐 해당 베이스 단자(B)로 인가받으므로, 해당 베이스 단자(B)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걸려 배터리로부터 해당 컬렉터 단자(C)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PNP 트랜지스터(21)의 이미터 단자(E)를 통해 상기 경고등(22)와 타임 딜레이(23)로 스위칭되는 배터리 전원이 없으므로, 상기 경고등(22)와 타임 딜레이(23)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배터리로부터 해당 중요 부품 또는 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이 과잉되는 경우, 상기 퓨즈는 녹아서 단선이 되므로, 즉 상기 퓨즈가 단락되어, 해당 배터리 전원이 해당 중요 부품 및 장치에 스위칭되지 않아 해당 중요 부품 또는 장치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배터리 전원이 상기 퓨즈의 단락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PNP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 단자(B)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걸리게 되므로써, 상기 PNP 트랜지스터(21)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컬렉터 단자(C)를 통해 인가받아 상기 이미터 단자(E)를 거쳐 상기 경고등(22) 및 타임 딜레이(23)로 스위칭하게 된다.
이에, 상기 경고등(22)은 상기 PNP 트랜지스터(21)의 이미터 단자(E)를 통해 스위칭된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므로써, 상기 퓨즈가 단선되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 즉시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퓨즈가 단선된 후에 상기 배터리 전원이 안정화될 때까지의 충분한 시간인 소정의 시간 만큼만 상기 PNP 트랜지스터(21)의 이미터 단자(E)를 통해 스위칭된 배터리 전원이 상기 타임 딜레이(23)에서 지연된 후, 상기 타임 딜레이(23)를 통해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이 과잉 전류인 경우에 녹아서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예비 퓨즈(24)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예비 퓨즈(24)는 상기 타임 딜레이(23)를 통해 인가되는 안정화된 배터리 전원을 해당 중요 부품 또는 장치에 스위칭하므로써, 해당 중요 부품 또는 장치의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해 차량의 중요 부품 또는 장치의 퓨즈가 단선되었을 경우에 운전자에게 경고함과 동시에 예비 퓨즈를 통해 해당 중요 부품 또는 장치가 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 베이스 단자(B)가 차량의 퓨즈에 접속되어 있어 해당 퓨즈의 단락 시에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PNP 트랜지스터(21)와; 상기 PNP 트랜지스터(21)를 통해 스위칭된 전원에 의해 점등하여 상기 퓨즈의 단락을 알리는 경고등(22)과; 상기 PNP 트랜지스터(21)를 통해 스위칭된 전원을 소정 시간 지연시킨 후 인가하는 타임 딜레이(23)와; 상기 타임 딜레이(23)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과잉을 차단하는 예비 퓨즈(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9044U KR19990026507U (ko) | 1997-12-19 | 1997-12-19 |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9044U KR19990026507U (ko) | 1997-12-19 | 1997-12-19 |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6507U true KR19990026507U (ko) | 1999-07-15 |
Family
ID=6969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9044U KR19990026507U (ko) | 1997-12-19 | 1997-12-19 |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26507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7145B1 (ko) * | 2002-06-20 | 2005-08-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
-
1997
- 1997-12-19 KR KR2019970039044U patent/KR19990026507U/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7145B1 (ko) * | 2002-06-20 | 2005-08-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715777B1 (en) | Use of ptc devices in wiring harnesses | |
US7742273B1 (en) | Self-protected, intelligent, power control module | |
US4554607A (en) | Fuse loss indicating circuit | |
JP2001078350A (ja) | レアショート検出器 | |
US4126889A (en) | Protective circuit for d.c. circuit | |
US4539466A (en) | Electric heating apparatus for dissipating fog from a window | |
JP3742253B2 (ja) | 車両の給電装置 | |
JPH10116552A (ja) | スイッチング装置 | |
KR19990026507U (ko) | 차량의 퓨즈 단선 처리 회로 | |
JPS58139835A (ja) | 自動車の電気回路用駆動、安全及び診断装置 | |
WO1995013621A1 (en) | Short circuit protected splice connector | |
JPH11329190A (ja) | 車両の異常報知装置 | |
JP3191618B2 (ja) |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電源分配装置 | |
JP3329132B2 (ja) |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電源分配装置 | |
JPH09222448A (ja) | 故障診断機能付安全回路 | |
KR19990019539U (ko) | 휴즈 단락시 자동복원장치 | |
KR20060011570A (ko) | 차량용 와이어 쇼트감지장치 | |
KR200178393Y1 (ko) | 자동차의 퓨즈 이상동작시 경고장치 | |
KR200155756Y1 (ko) | 차량 쇼트 경고회로 | |
US20050130491A1 (en) | Automobile compact fuse holder | |
JPH11306954A (ja) | ヒューズ断警報出力回路 | |
KR100536386B1 (ko) | 차량용 과전류 차단 장치 | |
JPS6138365Y2 (ko) | ||
KR19980046143U (ko) | 차량의 과전류/과전압에 의한 전장부 보호장치 | |
JPH0520290U (ja) | 切離し装置付き避雷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C193 |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