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653B1 - 차량의 발목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발목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653B1
KR100506653B1 KR10-2003-0002900A KR20030002900A KR100506653B1 KR 100506653 B1 KR100506653 B1 KR 100506653B1 KR 20030002900 A KR20030002900 A KR 20030002900A KR 100506653 B1 KR100506653 B1 KR 100506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nel
ankle
safety device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748A (ko
Inventor
이세복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2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653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발목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의 전방부 바닥면에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을 개폐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므로 써, 차량의 전면 충돌시 차체 변형에 의해 발목 골절 등 하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발목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발목안전장치{Ankle Safety Device of Car}
본 발명은 차량의 발목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의 전방부 바닥면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에 패널이 배치되며, 상기 패널 하단에 연결부재와 리프터가 배치되어 차량의 정면 충돌시 리프터의 작동으로 인해 발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 전방부 하단에는 브레이크 페달 및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운전 조작에 이용하지 않는 발을 거취하도록 발판이 형성되며, 상기 발판은 차량 실내의 전방 상부에서 후방 하부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의 실내 발판 구조는, 차량의 정면 충돌시 차량의 감속도성분과 차체 변형에 의해 승객의 발목 골절 등 하체의 심각한 상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유럽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에 대한 승객 상해를 상품성 평가에 반영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그에 따른 자사 및 국내의 경우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않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인 차량의 발목안전장치는, 차량 실내의 전방부 바닥면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에 패널이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패널을 개폐시키는 리프터를 형성하여 차량 충돌시 승객의 발목을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승객의 발목 상해를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차량의 발목안전장치는, 차량 실내의 전방부 바닥면에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을 개폐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므로 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발목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의 발목안전장치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실내 전방 바닥면(10)에 절개부(11)를 형성한다.
상기 절개부(11)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형성된 전방 경사부와(12)의 경계부인 후방 평면 바닥면(10)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11)는, 차량의 차폭 길이방향으로 직사각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11)로 인해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된 바닥면(10)은 그 내측에 패널(20)을 배치한다.
상기 패널(20)은, 내측 후방에 힌지(13)부를 결합하고, 전방 하단에 연결부재(30)를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30)의 일측과 상기 패널(20)의 연결은 핀(50)으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핀(50) 결합은 상기 패널(20)의 내측 하부에 제 1가이드부(21a)와 제 2가이드부(21b)를 돌출되어 평행하도록 배치하여 결합한다.
상기 가이드부(21)의 측면에 장공(22)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22)에 연결부재(30)의 끝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30)의 끝단은 힌지공(31)을 형성하여 핀(50)으로 삽입하여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은 리프터(40)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30) 및 리프터(40)는 상기 패널(20)의 하단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리프터(40)는, 일반적인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일반적인 에어백 장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차량의 발목안전장치(100)는, 차량의 정면 충돌시 그 충격을 센서로 전달받아 인플레이터에서 가스를 전개하여 리프터(40)를 신속하게 작동하여, 패널(20)을 개폐하도록 일측은 힌지부(21)에서 회동되고, 타측은 장공(22)에서 슬라이드 되어 상측으로 올려지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사고시 승객의 발목 골절 및 하체의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차량의 발목안전장치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차량의 전면 충돌시 차체 변형에 의해 발목 골절 등 하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차량의 실내 전방부 바닥면에 절개부로 구분된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패널의 하부는 리프터와 연결되므로 써, 충돌시 리프터의 작동으로 인해, 승객의 발목이 접히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세 번째, 패널과 바닥면에 힌지부로 결합되고, 상기 패널과 리프터 사이에 연결부재를 배치하여 연결하므로 써, 리프터의 작동시 패널이 보다 자연스럽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네 번째, 에어백에 장착되는 인플레이터를 리프터에 연결하여 충돌시 가스를 방출하여 신속하게 리프터를 작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발목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닥면 11 - 절개부
12 - 전방경사부 13 - 힌지부
20 - 패널 21a - 제 1가이드부
21b - 제 2가이드부 21 - 가이드부
22 - 장공 30 - 연결부재
31 - 힌지공 40 - 리프터
50 - 핀 100 - 발목안전장치

Claims (3)

  1. 삭제
  2. 차량 실내의 전방부 바닥면에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을 개폐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은 후방에 힌지부가 결합되고, 전방 하단에는 연결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리프터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발목안전장치.
  3. 삭제
KR10-2003-0002900A 2003-01-16 2003-01-16 차량의 발목안전장치 KR100506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900A KR100506653B1 (ko) 2003-01-16 2003-01-16 차량의 발목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900A KR100506653B1 (ko) 2003-01-16 2003-01-16 차량의 발목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748A KR20040065748A (ko) 2004-07-23
KR100506653B1 true KR100506653B1 (ko) 2005-08-03

Family

ID=3735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900A KR100506653B1 (ko) 2003-01-16 2003-01-16 차량의 발목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20B1 (ko) * 2007-07-31 2008-07-16 주식회사 에이.알.티 스위처블 피커실린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748A (ko)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495B2 (en) Inflatable external airbag system
JP2003191866A (ja) 自動車のフード構造
US20060022440A1 (en) Airbag module
US8936270B2 (en) Disposition structure for curtain airbag system
KR102452475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JP4474657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06653B1 (ko) 차량의 발목안전장치
KR100990569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WO2013094338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モジュールカバー
JP4626090B2 (ja) 乗員脚部保護装置
KR20220150114A (ko) 차량용 외장 에어백
JP3944632B2 (ja) 乗員脚部保護装置の設置構造
US10421426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WO2003062029A8 (es) Estructura soporte de pedales con mecanismo de seguridad ante colisiones frontales
KR101637204B1 (ko) 조수석 하부 전개형 무릎 에어백 모듈
JP2007008471A (ja) 乗員脚部保護装置
JPH05345555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2576582Y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101251754B1 (ko) 에어백 커버 구조
KR200141565Y1 (ko) 차량용 에어 백 도어의 전개장치
KR100397514B1 (ko) 자동차용 스킨 일체형 에어백 도어장치
KR20070096355A (ko) 커튼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JP3607108B2 (ja) 車体側部のエアバッグ装置
KR100656618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200157125Y1 (ko) 시트 쿠션 내장형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