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402B1 - 납땜장치 - Google Patents

납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402B1
KR100504402B1 KR10-1998-0700908A KR19980700908A KR100504402B1 KR 100504402 B1 KR100504402 B1 KR 100504402B1 KR 19980700908 A KR19980700908 A KR 19980700908A KR 100504402 B1 KR100504402 B1 KR 10050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induction
solder material
vertical plate
tank body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쥰이치 오노자키
쓰구노리 마스다
히로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1998-070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402B1/ko

Links

Abstract

땜납재료(32)를 수용하는 하나의 탱크체(33)로, 워크 반입쪽의 수직판부(35)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제 1 전자유도펌프(46)를 설치하고, 워크 반출쪽의 수직판부(36)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제 2 전자유도펌프(47)를 설치한다. 제 1 전자유도펌프(46)와 제 2 전자유도펌프(47)와의 중간부에 땜납재료(32)를 용융시키는 히터(65)를 배치한다. 각 전자유도펌프(46),(47)는, 워크 반입쪽 및 워크 반출쪽의 각 수직판부(35),(36)의 바깥쪽에 유도코일(51)이 감긴 일차철심(52)을 각각 배치하고, 각 수직판부(35),(36)의 안쪽에 땜납재료 상승간극(53)을 개재하여서 이차철심을 각각 배치한다.

Description

납땜장치
본 발명은 전자유도 펌프를 사용한 납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종래의 분출식 납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장치커버(11)의 워크반입구(12)로부터 워크반출구(13)에 걸쳐서 납땜되는 부품장착기판등의 워크를 반송하기 위한 워크반송 컨베이어(14)를 설치한다.
이 컨베이어(14)를 따라서 발포시킨 플럭스를 워크에 도포하는 플럭스기구(15)와, 워크를 예열하는 프리히터(16)와, 분출노즐로부터 분출시킨 용융땜납에 의하여 워크에 납땜을 행하는 땜납탱크(17)와, 납땜 후의 워크를 냉각하는 팬(18)을 차례로 배열한다.
땜납탱크(17)내에는 일차분출노즐(21a) 및 이차분출노즐(21b)을 설치한다. 일차분출노즐(21a)의 상단 개구부에는 다수의 분출구멍을 가진 분출판(22)을 설치한다. 일차분출노즐(21a)은, 분출판(22)의 분출구멍으로부터 불규칙하게 분출되는 다수의 작은 일차분출파(W1)에 의하여 칩 부품의 전극부 등의 구석구석까지 용융땜납을 공급하고, 또, 이차분출노즐(21b)은 고요한 이차분출파(W2)에 의하여 납땜부의 정형을 행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땜납탱크(17)는, 분출노즐(21a),(21b)의 노즐본체(21)의 아래쪽 개구에 압송덕트(23)를 끼워놓고, 이 압송덕트(23)의 끝단부에 펌프임펠러(24)를 설치한다. 이 펌프임펠러(24)에 대하여 흡입구(25)와 모우터 구동기구(26)를 설치한다.
그리고, 펌프임펠러(24)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구(25)로부터 흡입된 용융땜납은, 압송덕트(23)를 거쳐서 노즐본체(21)로 압송되고, 노즐본체(21)로부터 분출하는 분출파로 되어서, 컨베이어(14)의 반송돌기(27)에 의하여 끼워져서 반송되는 부품실장기판 등의 워크(P)의 아래면에 납땜을 행한다. 분출파의 대부분은, 그대로 땜납탱크(17)내의 용융땜납면(28)으로 되돌아가고, 펌프임펠러(24)의 흡입구(25)로 순환한다.
한편, 일본국 특공소 51-42590호 공보, 특공평 2-31628호 공보, 특공평3-60581호 공보, 실공소 63-17572호 공보등에는, 전자(電磁) 펌프를 사용한 납땜장치가 나타나 있다. 이 전자펌프에는, 직류식과 교류식이 있다.
직류식의 전자펌프는, 주석등의 도전성 땜납재료의 이동통로와 수직으로 자계를 가하고, 또한 이동통로 및 자계의 양쪽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직류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이동통로내의 도전성 땜납재료에 추력(推力)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교류식의 전자펌프는, 도전성 땜납재료의 이동통로를 따라서 평면적으로 유도코일을 배열하고, 이들 유도코일에 위상이 어긋난 교류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도전성 땜납재료의 이동통로내에 이동자계를 발생시키고, 이동통로내의 도전성 땜납재료에 전자유도에 의한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땜납재료의 기전력에 의한 전류가 이동자계의 자속내에서 흐름으로써, 땜납재료에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한 전자유도펌프이다.
종래의 모터 구동기구에 의하여 회전시킨 펌프임펠러보다 용융땜납을 압송하여서 분출시키는 형식의 분출식 납땜장치는 구조적으로 땜납탱크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고, 땜납량을 현재의 상태 이하로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땜납산화물의 임펠러 회전부에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땜납탱크를 깊게 할 필요가 있고, 이에 의하여 전체로서는 땜납탱크의 용량이 증가한다.
한편, 종래의 전자펌프에 의하여 땜납재료를 압송하여서 분출시키는 형식의 납땜장치는, 상기의 분출식 납땜장치에 비하면, 땜납재료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워크 반송방향으로 설치공간을 차지하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전자펌프식 납땜장치에는, 워크 반송방향으로 2대를 차례로 병설하여, 분출식 납땜장치와 같은 일차분출파와 이차분출파에 의하여 2종류의 납땜을 행한다고 하는 기술사상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또, 단순히 종래의 전자펌프식 납땜장치를 일차용 및 이차용으로서 2대 병설한 경우는, 장치의 표면적이 2배로 증가하여서, 설치장소를 넓게 차지할 뿐 아니라, 땜납재료량도 2배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환경보호규제에 의하여 납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땜납재료(무납땜납으로 불리고 있음)를 사용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나, 이 무납땜납은 통상의 주석-납 땜납보다도 3∼10배나 비싼 재료(인듐등)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땜납재료량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비추어서 하게 된 것으로서, 먼저, 설치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복수의 분출파를 형성할 수 있는 전자펌프식의 납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땜납재료량을 감소할 수 있는 전자펌프식의 납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납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납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종래의 분출식 납땜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종래의 분출식 납땜장치에 있어서의 땝납탱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납땜장치는, 복수의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판형상의 수직판부를 가지고 땜납재료를 수용하는 탱크체와, 상기 복수의 수직판부를 따라서 하나의 탱크체에 설치되고 이 탱크체내의 땜납재료를 위쪽으로 분출시켜서 워크를 납땜하는 복수의 전자유도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탱크체는, 하나의 전자유도펌프와 다른 전자유도펌프와의 사이에 배치된 땜납재료를 용융시키는 히터를 구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탱크체의 복수의 수직판부를 따라서 설치한 복수의 전자유도펌프는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므로 복수종류의 분출파를 형성하는 납땜장치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하나의 탱크체를 복수의 전자유도펌프에 의하여 공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수직판부 사이에 접근시켜서 탱크체내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고, 각 펌프에서 각각의 탱크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땜납재료량을 적게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전자유도펌프에 의하여 분출하는 땜납재료를 공통의 히터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용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납땜장치에 있어서의 전자유도펌프는, 수직판부의 바깥쪽에 밀착된 일차철심과, 일차철심에 감긴 유도코일과, 수직판부의 안쪽에 평행으로 배치된 이차철심과, 수직판부와 이차철심과의 사이에 설치된 땜납재료 상승간극을 구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유도코일이 감긴 일차철심을 탱크체의 수직판부보다 바깥쪽에 배치하여서, 유도코일 등의 유지관리를 바깥쪽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납땜장치는, 복수의 전자유도펌프의 상부에 각각 떼내기 가능하게 설치된 땜납재료를 분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노즐을 떼내고, 노즐 자체의 유지관리나, 전자유도펌프 내의 청소 등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면이 개구된 장치본체(31)의 내부에, 주석, 인듐 등의 도전성의 땜납재료(32)를 수용하는 하나의 탱크체(33)를 설치한다.
이 탱크체(33)는, 바닥판부(34)와, 워크 반입쪽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수직판부(35)와, 워크 반출쪽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2 수직판부(36)와, 워크 반송방향을 향해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도시되지 않은 수직판부에 의하여 펌프탱크부(37)를 형성함과 동시에, 워크 반입쪽 및 워크 반출쪽의 위쪽에 위치하는 수평판부(38),(39)와, 수직판부(41),(42)와, 위가장자리부(43),(44)와, 워크반송방향을 향해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도시되지 않은 수직판부에 의하여 분출파 형성 탱크부(45)를 형성한다. 상기 각 수직판부는,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판자형상의 부재이다.
하나의 탱크체(33)에, 제 1 전자유도펌프(46)와 제 2 전자유도펌프(47)를 설치한다. 제 1 전자유도펌프(46)는, 전체적으로 탱크체(33)에 있어서의 워크 반입쪽의 제 1 수직판부(35)를 따라서 상하방향에 설치하고, 제 2 전자유도펌프(47)는, 전체적으로 탱크체(33)에 있어서의 워크 반출쪽의 제 2 수직판부(36)를 따라서 상하방향에 설치한다.
제 1 전자유도펌프(46) 및 제 2 전자유도펌프(47)는, 탱크체(33)에 있어서의 워크 반입쪽 및 워크 반출쪽의 각 수직판부(35),(36)의 바깥쪽면에 유도코일(51)이 감긴 일차철심(52)을 수직판부(35),(36)에 밀착시켜서 각각 배치하고, 각 수직판부(35),(36)의 안쪽에 땜납재료 상승간극(53)을 개재하여서 이차철심(54)을 각각 평행으로 배치한 것이다.
일차철심(52)은, 양쪽의 수직판부(35),(36)를 향해서 개구된 다수의 오목홈(55)을 서로 마주보게 하도록 하여서 상하방향으로 배열하고, 그 각 오목홈(55) 사이에 유도코일(51)을 감고 있다.
이차철심(54)은, 하단부에 흡입구(56)를 형성하는 경사면부(57)를 설치하고, 상단부에 노즐부착부(58),(59)를 일체로 설치하여, 노즐부착부(59)의 근접부분에 위쪽을 향해 개구한 토출구(61)를 형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차철심(52) 및 이차철심(54)은, 다수의 얇은 철판을 폭방향으로 적층하여서 형성한다. 또,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이차철심(54)은, 수직판부(35),(36)와의 사이에 스페이서(62)에 의하여 땜납재료 상승간극(53)을 형성하고, 또 스페이서(62)와 반대쪽에 부착된 받침판(63)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등의 누름기구(6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서, 하나의 탱크체(33)의 중앙부에, 제 1 전자유도펌프(46)와 제 2 전자유도펌프(47)와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땜납재료(32)를 용융하기 위한 복수의 히터(65)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한다. 이 히터(65)는 폭방향(도1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긴 히터이다.
또, 제 1 전자유도펌프(46) 및 제 2 전자유도펌프(47)의 상부에, 땜납재료(32)를 분출시키는 제 1 노즐(66) 및 제 2 노즐(67)을 각각 떼내기 가능하게 설치한다.
즉, 워크 반입쪽 및 반출쪽의 이차철심(54)의 노즐부착부(58),(59)에 각각 노즐부착부(68)를 고정하고, 이들 노즐부착부(68)에 각각 제 1 노즐(66) 및 제 2 노즐(67)을 붙이고 떼기 자유롭게 끼워붙인다.
제 1 노즐(66)은, 상단의 개구(71)에 다수의 분출구멍이 뚫린 분출판(72)을 부착하고, 이 분출판(72)에 의하여, 돌기형상으로 분출하여서 불규칙하게 운동하는 다수의 일차분출파(W1)를 형성한다.
제 2 노즐(67)은, 워크(P)의 반송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방향지시판(73)과, 이 방향지시판(73)의 선단으로부터 워크(P)의 반송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방향지시핀(74)과, 반대쪽에 부착된 역 U자형 단면의 안내판(75)에 의하여, 워크(P)의 반송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의 원활한 이차분출파(W2)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전자유도펌프(46),(47)는, 땜납재료 상승간극(53)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배열한 유도코일(51)에 3상교류 등의 위상이 어긋난 교류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땜납재료 상승간극(53)내에 이동자계를 발생시키고, 땜납재료 상승간극(53)내의 도전성 땜납재료(32)에 전자유도에 의한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땜납재료(32)의 기전력에 의한 전류가 이동자계의 자속내에서 흐름으로써, 땜납재료(32)에 위쪽으로의 추력을 발생시켜서, 땜납재료를 상승이동시킨다.
이로써, 공통의 히터(65)에 의하여 용융된 땜납재료(32)는, 각각의 전자유도펌프(46),(47)에 의하여 각각의 흡입구(56)로부터 흡입되고, 탱크체(33)의 워크 반입쪽 및 반출쪽의 수직판부(35),(36)를 따라서 땜납재료 상승간극(53)을 상승하여, 각각의 토출구(61)로부터 토출하고, 제 1 노즐(66) 및 제 2 노즐(67)로부터 일차분출파(W1) 및 이차분출파(W2)로서 분출하고, 각 분출파에 반입되어 반출된 워크(P)의 기판면 실장부품을 기판면에 납땜한 후, 분출파 형성 탱크부(45)에 낙하하여 펌프탱크부(37)로 순환한다.
땜납재료 상승간극(53)은, 직선적으로 형성되어서 구부러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일차분출파(W1) 및 이차분출파(W2)의 각 파고(波高)의 분포를 탱크체(33)의 폭방향(도 1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돌기형상이 불규칙하게 운동하는 일차분출파(W1)는, 고밀도 실장기판의 미소부품 간극에도 확실하게 침입하여서, 모든 납땜부에서 양호한 부착성을 확보하고, 또, 기판진행방향에 대향하는 원호형상으로 성형된 원활한 이차분출파(W2)는, 과잉된 납땜을 정형하여서, 소위 브리지나 고드름 등의 납땜불량을 방지한다.
제 1 노즐(66) 및 제 2 노즐(67)은, 필요에 따라서 이차철심쪽의 노즐부착부(68)로부터 떼어서, 노즐(66),(67) 자체의 유지관리나, 전자유도펌프(46),(47)의 땜납재료 상승간극(53)내의 청소 등을 할 수 있다.
즉, 제 1 노즐(66) 또는 제 2 노즐(67)을 떼면, 이차철심(54)의 토출구(61)가 위쪽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그들 토출구(61)로부터 흡입구(56)에 이르기까지, 땜납재료 상승간극(53)내에 가늘고 긴 봉재 또는 판재를 삽입하면, 땜납재료 상승간극(53)의 청소 등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바닥판부(34)의 근방에 위치하는 흡입구(56)는, 산화물 등이 부유하는 땜납재료(32)의 표면으로부터 충분한 깊이에 있기 때문에, 흡입구(56)로의 산화물 등의 말려들어감이 발생하기 어려운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만일, 이 흡입구(56)에 산화물 등이 가득찬 경우라도, 땜납재료 상승간극(53)내에 삽입한 가늘고 긴 봉재 등에 의하여 산화물 등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고, 이차철심(54) 등을 분해할 필요가 없다.
또한, 유도코일(51)에 공급하는 3상교류전류의 위상을 역전시킴으로써, 땜납재료 상승간극(53)내의 땜납재료(32)를 아래쪽으로 역전구동할 수 있으므로, 하부의 흡입구(56)에 가득찬 산화물 등을 역분사하는 땜납재료의 역세척작용에 의하여 매우 용이하게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땜납재료 상승간극(53)은, 도시된 각 실시형태에서는 연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연직방향에 가까운 상태이면 다소 경사져 있어도 좋다.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는, 도 3에도 나타낸 바와같이, 탱크체(33)를 형성하는 워크 반입쪽의 수직판부(35)를 따라서 제 1 전자유도펌프(46)를, 또 탱크체(33)를 형성하는 워크 반출쪽의 수직판부(36)를 따라서 제 2 전자유도펌프(47)를, 각각 상하방향으로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워크 반송방향에 대하여 탱크체(33)가 다른 위치에 제 1 전자유도펌프(81) 및 제 2 전자유도펌프(82)를 설치한 실시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같이 워크(P)의 반송방향은, 탱크체(33)에 대하여 평면적으로 보아서 비스듬한 방향에 설치하여도 좋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탱크체(33)를 형성하는 수직판부중, 워크 반송방향을 향해서 좌우로 위치하는 한쪽의 수직판부(83)와 다른쪽의 수직판부(84)를 따라서, 제 1 전자유도펌프(81)와 제 2 전자유도펌프(82)를 각각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예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자유도펌프(81)는, 한쪽의 수직판부(83)의 안쪽면을 따라서 제 1 노즐(66)의 한쪽부 및 제 2 노즐(67)의 한쪽부에 연이어 통하는 한쪽의 땜납재료 상승간극(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제 2 전자유도펌프(82)는, 다른쪽의 수직판부(84)의 안쪽면을 따라서 제 1 노즐(66)의 다른쪽부 및 제 2 노즐(67)의 다른쪽부에 연이어 통하는 다른쪽의 땜납재료 상승간극(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그들 땜납재료 상승간극의 안쪽에 이차철심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히터(65)는, 그 좌우에 위치하는 전자유도펌프(81),(82)의 이차철심사이에 형성된 탱크부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탱크체(33)를 형성하는 제 1 수직판부(35) 및 반대쪽의 제 2 수직판부를 따라서 비스듬히 상하방향으로 제 1 전자유도펌프(85) 및 제 2 전자유도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제 1 및 제 2 수직판부의 안쪽에 설치된 땜납재료 상승간극 및 이차철심도 비스듬히 상하방향으로 설치한다.
또, 도 8은 워크(P)의 반송방향과 평행으로 전자유도펌프(81a),(81b), (81c), (82a),(82b) 및 각 펌프와 대응하는 국부노즐(91a),(91b),(91c),(92a), (92b)이 배열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것은, 통상의 일괄적인 납땜은 아니고, 국부납땜에 적합한 장치이며, 탱크체(33) 상에서 워크(P)가 일정시간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국부노즐(91a),(91b),(91c),(92a),(92b)의 위쪽의 납땜할 곳 만을 납땜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탱크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판부를 따라서 복수의 전자유도펌프를, 각각 설치장소를 차지하지 않고서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들 각 전자유도펌프에 의하여 다른 종류의 분출파를 형성하여 칩 부품등이 고밀도로 표면실장된 프린트 배선기판 등에 대하여서도 신뢰성이 높은 납땜을 할 수 있다. 또, 각각의 전자유도펌프에 의하여 각 분출파의 파고(波高)조정 등을 개별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탱크체를 복수의 전자유도펌프에 의하여 공용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수직판부 사이를 접근시켜서 탱크체내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고, 즉, 스페이스에 낭비가 적은 탱크체를 형성할 수 있고, 각 펌프에서 개별의 탱크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탱크체내의 땜납 재료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특히 납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비싼 땜납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그리고, 복수의 전자유도펌프의 중간부에 히터를 배치하여서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히터 관련구조를 간단히 할수 있음과 동시에 히터 가동효율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3 의 발명에 따르면, 탱크체를 형성하는 각 수직판부보다 바깥쪽에 전자유도펌프의 일차철심 및 유도코일을 각각 배치하였기 때문에 유도코일 등의 유지관리를 바깥쪽에서 용이하게 할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각 전자유도펌프의 상부에 각 노즐을 각각 떼내기 가능하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노즐을 떼내고, 노즐 자체의 유지관리나, 전자유도펌프내의 산화물을 위쪽에서 제거하는 등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용은, 프린트 배선기판에 고밀도로 표면실장된 칩 부품 등을, 납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땜납재료에 의하여 납땜하는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납이 함유되어 있는 땜납재료에 의하여 기판과 부품을 납땜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복수의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판형상의 수직판부를 가지고 땜납재료를 수용하는 탱크체(槽)와,
    상기 복수의 수직판부를 따라서 하나의 탱크체에 설치되고 이 탱크체내의 땜납재료를 위쪽으로 분출시켜서 워크를 납땜하는 복수의 전자유도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탱크체는, 하나의 전자유도펌프와 다른 전자유도펌프와의 사이에 배치된 땜납재료를 용융시키는 히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유도펌프는,
    수직판부의 바깥쪽면에 밀착된 일차철심과,
    그 일차철심에 감긴 유도코일과,
    상기 수직판부의 안쪽에 평행으로 배치된 이차철심과,
    상기 수직판부와 이차철심과의 사이에 설치된 땜납재료 상승간극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자유도펌프의 상부에 각각 떼내기 가능하게 설치된 땜납재료를 분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
KR10-1998-0700908A 1996-06-11 1997-06-10 납땜장치 KR10050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0908A KR100504402B1 (ko) 1996-06-11 1997-06-10 납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49591 1996-06-11
KR10-1998-0700908A KR100504402B1 (ko) 1996-06-11 1997-06-10 납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402B1 true KR100504402B1 (ko) 2005-11-21

Family

ID=4367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908A KR100504402B1 (ko) 1996-06-11 1997-06-10 납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4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2590A (ja) * 1974-10-07 1976-04-10 Sanyo Electric Co Boshokukanryodenatsusekibunsoch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2590A (ja) * 1974-10-07 1976-04-10 Sanyo Electric Co Boshokukanryodenatsusekibunsoch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404B1 (ko) 납땜장치
WO2010110341A1 (ja) 部分噴流はんだ付け装置及び部分噴流はんだ付け方法
CN103786425B (zh) 粘性材料供给装置及粘性材料印刷装置
KR20080084807A (ko) 평탄한 작업편을 납땜 부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04403B1 (ko) 납땜장치
JP3547377B2 (ja) 半田噴流装置および半田付け方法
JP3917665B2 (ja) ろう付け装置
EP0159425B1 (en) Soldering apparatus
KR100504402B1 (ko) 납땜장치
JP4394617B2 (ja) ろう付け装置
WO2004076114A1 (ja) 噴流式半田付け装置
JP3791969B2 (ja) ろう付け装置
JP3771676B2 (ja) 局所はんだ付け装置
JP3720935B2 (ja) 噴流式ろう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644626B2 (ja) ろう付け装置
KR200315473Y1 (ko) 솔더링 머신의 솔더포트 1차분사노즐 구조
JPH0160347B2 (ko)
JPH072139Y2 (ja) スポット半田付装置
JP3559059B2 (ja) 噴流式はんだ付け装置
KR200315474Y1 (ko) 솔더링 머신의 솔더포트 2차노즐 구조
JPS63108967A (ja) はんだ付け用治具
JPH10135620A (ja) 噴流式ろう付け装置
JPH10156526A (ja) ろう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1132198A (ja) プリント基板の半田付方法
JPS63149071A (ja) 片面噴流半田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