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513B1 -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513B1
KR100501513B1 KR10-2002-0050474A KR20020050474A KR100501513B1 KR 100501513 B1 KR100501513 B1 KR 100501513B1 KR 20020050474 A KR20020050474 A KR 20020050474A KR 100501513 B1 KR100501513 B1 KR 100501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age
seat
child seat
rear seat
seat 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447A (ko
Inventor
양진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5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3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seat sub-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를 리어시트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용되는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개별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일정한 길이를 가진 앵커리지 바를 이용한 일체화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차일드 시트를 리어시트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전체적인 힘의 분산으로 인한 구속효과로 앵커리지의 변형이 적고, 리어시트의 중간부분에도 스트라이커의 적용이 가능하여 센터 차일드 시트에 대한 안전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Child seat lower anchorag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를 리어시트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용되는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개별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일정한 길이를 가진 앵커리지 바를 이용한 일체화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차일드 시트를 리어시트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전체적인 힘의 분산으로 인한 구속효과로 앵커리지의 변형이 적고, 리어시트의 중간부분에도 스트라이커의 적용이 가능하여 센터 차일드 시트에 대한 안전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소비자가 유아용 차일드 시트를 리어시트에 설치 시, 시트벨트 웨빙을 이용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차일드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앵커리지를 리어시트 상부 및 하부에 설치하도록 법규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앵커리지는 그 위치의 범위가 규제되어 있으며, 좌석의 각 설계 시, 착좌위치와 동일한 차량의 종방향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첨부 도면 3은 종래의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하부 앵커리지(100)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110)는 볼트구멍(120)을 갖는 브라켓부(130)와의 접착부에서 CO2 용접되고, 상기 브라켓부(130)는 상기 볼트구멍(120)을 통해 차체에 볼트로 체결되어 장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독립된 구조로 형성되어 각각 개별적인 거동을 함으로써, 시험 시에 변형이 크고, 또한 리어시트의 중간부분의 경우에는 앵커리지의 위치 확보가 어려워 시트벨트를 사용하여 차일드 시트를 고정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의 앵커리지 바를 횡방향으로 고정하고, 그 위에 스트라이커를 CO2 용접하는 일체화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차일드 시트를 리어시트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전체적인 힘의 분산으로 인한 구속효과로 앵커리지의 변형이 적고, 리어시트의 중간부분에도 스트라이커의 적용이 가능하여 센터 차일드 시트에 대한 안전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를 리어시트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용되는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에 있어서,
차체에 볼트(14)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브라켓부(11)와;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고 횡방향으로 개재되어 상기 브라켓부(11)에 CO2 용접된 앵커리지 바(12)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리지 바(12) 위에 CO2 용접되는 스트라이커(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브라켓부(11)는 볼트구멍(11a-1)이 형성된 체결부(11a)와, 앵커리지 바(12)가 융착고정되는 접착부(1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볼트(14)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브라켓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부(11) 위에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가진 앵커리지 바(12)가 횡방향으로 개재되어 CO2 용접되며, 그 위에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트라이커(13)의 선단이 일정간격을 두고 CO2 용접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부(11)는 볼트구멍(11a-1)이 형성된 체결부(11a)와, 앵커리지 바(12)가 융착고정되는 접착부(11b)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볼트구멍(11a-1)을 통해 차체에 볼트(14)로 체결되어 장착된다.
한편, 리어시트 중간부분의 앵커리지 바(12)에 스트라이커(13)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차일드 시트의 위치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는 차일드 시트를 리어시트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전체적인 힘의 분산으로 인한 구속효과로 앵커리지의 변형이 적고, 리어시트의 중간부분에도 앵커리지 적용이 가능하여 센터 차일드 시트에 대한 안전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브라켓부 11a : 체결부
11a-1 : 볼트구멍 11b : 접착부
12 : 앵커리지 바 13 : 스트라이커
14 : 볼트

Claims (2)

  1. 차일드 시트를 리어시트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용되는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에 있어서,
    차체에 볼트(14)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브라켓부(11)와;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고 횡방향으로 개재되어 상기 브라켓부(11)에 CO2 용접된 앵커리지 바(12)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리지 바(12) 위에 CO2 용접되는 스트라이커(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11)는 볼트구멍(11a-1)이 형성된 체결부(11a)와, 앵커리지 바(12)가 융착고정되는 접착부(1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
KR10-2002-0050474A 2002-08-26 2002-08-26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 KR100501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74A KR100501513B1 (ko) 2002-08-26 2002-08-26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74A KR100501513B1 (ko) 2002-08-26 2002-08-26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447A KR20040019447A (ko) 2004-03-06
KR100501513B1 true KR100501513B1 (ko) 2005-07-18

Family

ID=3732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474A KR100501513B1 (ko) 2002-08-26 2002-08-26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1774A (zh) * 2019-05-13 2019-08-06 麦克英孚(宁波)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锚点连接装置、方法及包括其的儿童座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428A (ja) * 1999-08-30 2001-03-13 Tachi S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レッジ
JP2001063429A (ja) * 1999-08-30 2001-03-13 Tachi S Co Ltd トリム・カバー・プロテクタ
JP2001071799A (ja) * 1999-09-07 2001-03-21 Suzuki Motor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構造
KR20020034731A (ko) * 2000-11-03 2002-05-09 이계안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의 강도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428A (ja) * 1999-08-30 2001-03-13 Tachi S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レッジ
JP2001063429A (ja) * 1999-08-30 2001-03-13 Tachi S Co Ltd トリム・カバー・プロテクタ
JP2001071799A (ja) * 1999-09-07 2001-03-21 Suzuki Motor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構造
KR20020034731A (ko) * 2000-11-03 2002-05-09 이계안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의 강도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447A (ko) 200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4649B1 (en) Holding device for releasable fastening of a child seat to a vehicle seat
KR100501513B1 (ko)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리지 구조
KR20010060926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하부앵커의 조립장치
KR20030057343A (ko) 차량용 좌석
KR100747883B1 (ko) 3점식 시트 벨트의 보강 구조
KR100375445B1 (ko)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하부 앵커의 강도보강구조
JP4000439B2 (ja) 子供用シートの固定構造
KR100334280B1 (ko)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벨트 취부구조
KR012327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KR200160492Y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시트벨트고정구조
KR100569364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센터필러 트림의 웨빙 가이드구조
KR100558742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루프 어시스트 핸들용 브라켓
KR10062378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취부구조
KR100377848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
KR200143414Y1 (ko) 상용차의 시트벨트앵커 보강재
JPH0213247Y2 (ko)
KR100387652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탑승자용 무릎 보호장치
JPH0361145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取付装置
KR100288300B1 (ko) 자동차용 회전시트의 변형 방지구조
KR100432003B1 (ko) 차량의 리어 사이드 시트 벨트 마운트
KR100821791B1 (ko) 차량의 3열 시트에 설치된 시트벨트 브라켓 조립체
KR0126816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KR100366593B1 (ko) 시트벨트의 높이 조절장치 장착구조
KR20030024487A (ko) 자동차의 어린이 시트 고정용 앵커 조립체
KR20000021451U (ko) 자동차용 시트백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